KR100472974B1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974B1
KR100472974B1 KR10-2002-0008734A KR20020008734A KR100472974B1 KR 100472974 B1 KR100472974 B1 KR 100472974B1 KR 20020008734 A KR20020008734 A KR 20020008734A KR 100472974 B1 KR100472974 B1 KR 10047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ush switch
fixed contact
ca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496A (ko
Inventor
시모무라히사또
혼마히또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과제) 푸시 동작에 의해 접점부가 변형되지 않아서, 확실한 접점의 전환을 실행하는 동시에 긴 수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합성수지로 성형된 케이스 (1,17), 이 케이스 (1,17) 에서 일부가 노출되도록 케이스 (1,17) 에 매설된 고정접점 (4) 및, 조작부재 (10) 에 의해 고정접점 (4) 에 접촉/분리되는 가동접점 (6) 을 구비하고, 고정접점 (4) 은 가동접점 (6) 과 접촉/분리되는 접점부 (4a) 를 가지며, 이 접점부 (4a) 의 가동접점 (6) 과 접촉/분리되는 면과 반대측 면인 배면측이 케이스 (1) 에 형성된 받이부 (2b) 에 의해 지지되고, 케이스 (1) 에는 고정접점 (4) 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구멍 (2a) 이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의 버튼 등에 사용되는 범용의 푸시 스위치 또는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의 조작에 사용되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센터 푸시에 이용되는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7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 도 18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19 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를 도 17 내지 도 18 에 따라 설명하면, 케이스 (80) 는 박형의 박스 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사각 형상의 두께가 얇은 바닥벽부 (81) 를 갖고 있다. 바닥벽부 (81) 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구멍 (81a) 과 이 제 1 구멍 (81a) 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구멍 (81b) 을 갖고 있다.
제 1 고정접점 (82) 은 원 형상의 접점부 (82a) 와 이 접점부 (82a) 의 외측 둘레부에 형성된 부착부 (82b) 를 구비하고, 부착부 (82b) 가 바닥벽부 (81) 에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접점부 (82a) 가 제 1 구멍 (81a) 의 상면을 막은 상태에서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 2 고정접점 (83) 은 도시하지 않은 반원의 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활 형상의 접점부 (83a) 와 접점부 (83a) 의 외측 둘레부에 형성된 부착부 (83b) 를 구비하고, 활 형상의 접점부 (83a) 가 바닥벽부 (81) 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동시에, 접점부 (83a) 가 한쌍의 제 2 구멍 (81b) 을 막은 상태에서 이 제 2 고정접점 (83) 의 부착부 (83b) 는 바닥벽부 (81) 에 매설되어 있다. 제 2 고정접점 (83) 이 매설되면, 제 1 고정접점 (82) 의 접점부 (82a) 는 제 2 고정접점 (83) 의 접점부 (83a) 에 둘러싸인 상태로 된다.
가동접점 (84) 은 금속제 돔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 가장자리부 (84a) 가 한쌍의 제 2 고정접점 (83) 에 맞닿은 상태에서 바닥벽부 (81) 에 탑재되어 있다. 가동접점 (84) 이 탑재되면, 정상부 (84b) 가 제 1 고정접점 (82) 의 접점부 (82a) 와 대향된 상태로 된다. 이 가동접점 (84) 은 조작부재 (95) 에 의해 눌려 반전이 가능해지고, 이 조작부재에 눌려 가동접점 (84) 이 반전되면, 정상부 (84b) 가 제 1 고정접점 (82) 의 접점부 (82a) 에 접촉되어 제 1 고정접점 (82) 과 제 2 고정접점 (83) 이 도통된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나, 이어서 케이스 (80) 와 제 1, 제 2 고정접점 (82,83) 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 1, 제 2 고정접점 (82,83) 을 갖는 후프 형상의 접점판 (85) 을 상부금형 (86) 과 하부금형 (87) 사이에 배치하고, 이 상부금형 (86) 과 하부금형 (87) 를 조인다. 이 때 상부금형 (86) 에 삽입 통과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핀 (90) 으로, 제 1 고정접점 (82) 의 접점부 (82a) 를 하부금형 (87) 쪽으로 누르는 동시에, 제 1 핀 (90) 과 마찬가지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한쌍의 제 2 핀 (91) 으로, 제 2 고정접점 (83) 의 접점부 (83a) 를 하부금형 (87) 쪽으로 눌러, 각 접점부 (82a,83a) 가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 다음에, 용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하부금형 (87) 에 형성된 게이트 (88) 로부터 상부금형 (86) 과 하부금형 (87)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인 캐비티 (89) 내로 사출하여 충전함으로써 케이스 (80) 가 성형된다. 이 때 제 1, 제 2 핀 (90,91) 이 접점부 (82a,83a) 의 배면 전체에 맞닿고, 이 제 1 핀 (90) 을 제거하면 제 1 고정접점 (82) 의 접점부 (82a) 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제 1 구멍 (92) 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2 핀 (91) 을 제거하면, 제 2 고정접점 (83) 의 접점부 (83a) 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제 2 구멍 (93) 이 형성되게 된다. 그 다음에, 제 1, 제 2 고정접점 (81,82) 의 접속부분 (도시 생략) 을 절단하여 양쪽이 전기적으로 접하지 않게 한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나, 이 푸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가동접점 (84) 이 반전되어 그 정상부 (84b) 가 제 1 고정접점 (82) 의 접점부 (82a) 에 접촉되고, 제 1, 제 2 고정접점 (82,83) 이 도통되어 ON 상태로 되어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 이 접점부 (82a) 가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 (84) 의 하측으로 눌려 제 1 구멍 (92) 내에 서서히 돌입되고, 그리고 푸시 동작의 반복에 따라 이 접점부 (82a) 가 하측으로 움패인 상태에서 변형된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며, 푸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 1 고정접점 (82) 의 접점부 (82a) 가 제 1 구멍 (81a) 내에 변형되어 버리므로, 가동접점 (84) 의 정상부 (84b) 와 접점부 (82a) 의 거리가 커지고, 가동접점 (84) 이 반전될 때에 정상부 (84b) 와 접점부 (82a) 의 비접촉상태를 가져와 푸시 스위치의 동작이 불확실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푸시 동작에 의해 접점부가 변형되지 않아서 확실한 접점의 전환을 실행하는 동시에, 긴 수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이 케이스에서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매설된 고정접점 및, 조작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분리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는 접점부를 가지며 이 접점부의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는 면과 반대측 면인 배면측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접점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제 2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상기 구멍은 상기 접점부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제 3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상기 받이부는 상기 접점부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제 4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상기 받이부는 상기 접점부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십자 형상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제 5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상기 구멍은 상기 받이부 주위에 대략 등간격으로 점재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한다.
제 6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접점부 주위에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접점부 배면의 전체면이 상기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배면에서 상기 구멍이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받이부에 지지된 부분이 융기되어 있고, 이 부분이 상기 가동접점과 점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상면도, 도 2 는 도 1 의 2-2 선을 자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하측 케이스의 하면도, 도 5 는 도 4 의 5-5 선을 자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7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조작부재의 요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각 부재가 매설된 지지부재의 하면도, 도 9 는 도 8 의 9-9 선을 자른 단면도, 도 10, 도 11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 도 13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는 예컨대 다방향 입력장치의 푸시 스위치로서 사용되고 있고, 먼저 이 다방향 입력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측 케이스 (1) 는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8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바닥벽부 (2) 및 바닥벽부 (2) 의 외측 둘레의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형성된 측벽부 (3) 를 가지고, 바닥벽부 (2) 는 중앙에 형성된 상하로 관통하며 동일 원주 상에 부채 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제 1 구멍 (2a), 이들 제 1 구멍 (2a) 사이에 위치하며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받이부 (2b) 및, 제 1 구멍 (2a) 을 사이에 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제 2 구멍 (2c) 을 갖고 있다. 또, 바닥벽부 (2)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4 군데에 형성된 돌기 (2d) 를 가지고, 또 도 4,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부 (2e) 를 갖고 있다.
측벽부 (3) 는, 중앙으로 돌출된 돌출부 (3c) 가 형성된 제 1 측벽부 (3a) 와 제 1 측벽부 (3a) 에 서로 이웃하는 제 2 측벽부 (3b) 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제 2 측벽부 (3a,3b) 가 교대로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어 하나의 8각 형상의 측벽부 (3) 가 형성된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제 2 고정접점 (4) 은, 원 형상의 접점부 (4a) 및 이 접점부 (4a) 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부 (4b) 를 가지고, 접점부 (4a) 는 제 1 구멍 (2a) 의 상측을 막은 상태에서 바닥벽부 (2) 의 표면으로 노출되고, 단자부 (4b) 는 외측쪽으로 매설된 후 이면으로 노출되며, 다시 매설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선단이 절곡되어 오목부 (2e) 에 수납되어 있다. 이렇게 매설된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의 배면에는, 중앙부를 통과하여 십자 형상으로 횡단하도록 받이부 (2b) 가 위치하고, 접점부 (4a) 의 배면은 이 받이부 (2b) 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코먼접점 (5) 은 활 형상을 이루는 기초부 (5a), 기초부 (5a) 의 양단의 선단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의 접점부 (5b) 및, 기초부 (5a) 의 일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단자부 (5c)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접점부 (5) 가 한쌍의 제 2 구멍 (2c) 의 상측을 막은 상태에서 바닥벽부 (2) 의 표면에 노출되는 동시에, 기초부 (5a) 가 접점부 (4a) 를 둘러싼 상태에서 바닥벽부 (2) 의 표면으로 노출되며, 단자부 (5c) 의 선단이 절곡되어 오목부 (2e) 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 코먼접점 (5) 은 바닥벽부 (2) 에 매설되어 있다.
제 2 가동접점 (6) 은 금속제 돔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벽부 (2) 의 4개의 돌기 (2d) 로 안내되어 바닥벽부 (2) 의 표면에 탑재된다. 제 2 가동접점 (6) 이 탑재되면, 이 제 2 가동접점 (6) 의 외측 둘레의 가장자리가 코먼접점 (5) 의 접점부 (5b) 에 항상 접촉되고, 정상부 (6a) 가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와 접촉/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 이 제 2 가동접점 (6) 은 돌기 (2d) 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가동접점 (6), 제 2 고정접점 (4) 및 코먼접점 (5) 으로 푸시 스위치 (S1)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 (10) 는, 금속제의 8각 형상을 이룬 박판으로 이루어진 제 1 가동접점 (11) 과 이 제 1 가동접점 (11) 의 중앙부가 매설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파지부 (12) 를 가지며, 제 1 가동접점 (11) 에는, 파지부 (12) 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축방향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8각 형상을 이루는 볼록한 선 모양으로 이루어진 돌기부 (11a), 외측 둘레에 창살부를 남기고 이 돌기부 (11a) 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역삼각형을 이루는 관통구멍인 복수개 (8개) 의 도피부 (11b), 창살부의 외측 둘레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11c) 및, 하면의 중앙부에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 (11d) 를 갖고 있다. 파지부 (12) 는, 대략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박판 형상의 기초부 (12a) 와 이 기초부 (12a) 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선단이 4각 기둥으로 이루어진 기둥부 (12b) 를 갖고 있고, 제 1 가동접점 (11) 의 중앙부에 형성된 접촉부 (11d) 가 기초부 (12a) 에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부 (12) 에 제 1 가동접점 (11) 이 매설되면, 제 1 가동접점 (11) 은 파지부 (12) 의 기초부 (12a) 에서 외측으로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하고, 접촉부 (11d) 는 기초부 (12a) 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된다. 또,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동접점 (11) 과 접촉부 (11d) 사이에는 복수개의 통과구멍 (11e)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통과구멍 (11e) 은, 수지가 충전되어 파지부 (12) 의 기초부 (12a) 와 기둥부 (12b) 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조작부재 (10) 는, 제 2 가동접점 (6) 이 탑재되어 있는 하측 케이스 (1) 내에 경도가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때 제 1 가동접점 (11) 의 오목부 (11c) 내에, 제 1 측벽부 (3) 의 돌출부 (3c) 가 위치하고 안내되어 제 1 가동접점 (11) 은 하측 케이스 (1) 에 수납되는 동시에, 이 오목부 (11c) 와 돌출부 (3c) 의 끼워맞춤에 의해 조작부재 (10) 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또, 조작부재 (10) 가 하측 케이스 (1) 에 수납되면, 제 1 가동접점 (11) 의 접촉부 (11d) 의 외표면이 제 2 가동접점 (6) 에 접촉되므로, 구면끼리의 접촉이 이루어져 조작부재 (10) 가 원만하게 경도하게 된다.
4개의 제 1 고정접점 (15) 은, 각각 금속제로 이루어지고, 도 3,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부채 형상을 이루는 기초부 (15a) 와 이 기초부 (15a) 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단자부 (15b) 를 갖고 있고, 또 맞닿음부 (16) 는, 금속제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8각 형상의 통과구멍 (16a) 을 갖는 링형상부 (16b) 와 이 링형상부 (16b) 에서 사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리부 (16c) 를 갖는다. 또, 맞닿음부 (16) 는 반드시 금속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지만, 단단한 합성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이들 제 1 고정접점 (15) 및 맞닿음부 (16) 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측 케이스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17) 에 매설되어 지지부재 (17) 에 일체화되어 고정된다. 지지부재 (17) 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3, 도 8,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8각 형상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8 각 형상의 통과구멍 (17d) 을 갖는 기초부 (17a), 기초부 (17a) 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삼각형상의 볼록부 (17b) 및, 기초부 (17a) 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연결부 (17c) 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고정접점 (15) 및 맞닿음부 (16) 는 지지부재 (17) 에 대하여 동일 평면 상에 매설되어 일체화된다. 또,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접점 (15) 은 기초체 (17a) 와 볼록부 (17b) 사이에 끼여 지지되는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제 1 고정접점 (15) 끼리는 연결부 (17c)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또, 제 1 고정접점 (15) 보다 중앙측에 위치하는 맞닿음부 (16) 는 링형상부 (16b) 가 기초체 (17a) 와 볼록부 (17b)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볼록부 (17b) 에 의해 제 1 고정접점 (15) 과 일체화되어 통과구멍 (16a) 이 지지부재 (17) 의 통과구멍 (17d) 과 연통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1 고정접점 (15) 및 맞닿음부 (16) 가 매설되어 있는 지지부재 (17) 는, 상측 케이스로서 하측 케이스 (1) 의 개방부를 덮도록 고정되고, 상측 케이스인 지지부재 (17) 와 하측 케이스 (1) 로 다리부 (7) 가 구성된다. 이 때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접점 (15) 의 단자부 (15b) 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바닥벽부 (2) 의 오목부 (2e) 내에 걸어맞춰져 고정이 확실해진다. 또, 조작부재 (10) 의 파지부 (12) 는 맞닿음부 (16) 의 통과구멍 (16a) 에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지지부재 (17) 가 하측 케이스 (11) 에 고정되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 (10) 는 제 2 가동접점 (6)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돌기부 (11a) 가 맞닿음부 (16) 의 하면에 압접되는 상태로 된다. 이 돌기부 (11a) 가 맞닿음부 (16) 의 배면에 맞닿아 위치결정됨으로써, 제 1 가동접점 (11) 이 제 1 고정접점 (15) 에 대하여 이간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가동접점 (11) 과 제 1 고정접점 (15) 으로 경도 스위치 (S2) 를 구성하고, 보통 때에는 OFF 상태로 되어 있어 전력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을 참조하면, 조작부재 (10) 는, 돌기부 (11a) 와 맞닿음부 (16) 의 맞닿음점을 제 1 지점 (A) 으로 하여 경도가 가능하고, 조작부재 (10) 가 경도되면, 제 1 고정접점 (15) 과 제 1 가동접점 (11) 이 접촉되고, 제 1 고정접점 (15) 과 코먼접점 (5) 이 제 1 가동접점 (11) 과 제 2 가동접점 (6) 을 통해 도통되어 ON 으로 되면서 제 1 전기신호가 되는 방위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 1 고정접점 (15) 의 단자부 (15b) 와 코먼접점 (5) 사이가 ON 으로 되어 방위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1 을 참조하면, 조작부재 (10) 를 동일 방향으로 기울이면, 조작부재 (10) 는, 제 1 고정접점 (15) 과 제 1 가동접점 (11) 의 접촉점을 제 2 지점 (B) 으로 하여 경도시킨다. 그러면, 접촉부 (11d) 가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가동접점 (6) 을 눌러 이 제 2 가동접점 (6) 이 반전되고, 정상부 (6a) 가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와 접촉된다. 그리고, 코먼접점 (5) 과 제 2 고정접점 (4) 이 도통되어 ON 으로 되면서 제 2 전기신호인 확정신호를 출력한다. 또, 제 1 가동접점 (11) 의 도피부 (11b) 에 볼록부 (17b) 가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박형화가 가능하고 조작부재 (10) 의 경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경도의 가이드가 되기도 한다.
또, 커버부재 (20) 는, 금속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원형의 통과구멍 (20a) 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20b) 과 기판 (20b) 의 대향하는 2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다리부 20c 를 갖는다. 이러한 형상을 한 커버부재 (20) 는 지지부재 (17) 의 표면을 덮는 동시에, 다리부 20c 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바닥벽부 (2) 의 오목부 (2e) 내에 걸어맞춰져 커버부재 (20) 의 고정이 확실해진다. 이 커버부재 (20) 는, 전기 실드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단자부 (20) 가 도시하지 않은 배선기판에 형성된 그랜드 패턴 등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정전기 등이 그랜드 패턴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어 보다 확실한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사용되는 다방향 입력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나, 이어서 그 동작에 대해서 도 10, 도 11 에 따라 설명하면, 조작부재 (10) 가 십자 형상의 위치에 배치된 제 1 고정접점 (15) 내의 1 방향으로 경도되면, 조작부재 (10) 는 제 1 지점 (A) 을 지점으로 하여 경도되고, 제 1 가동접점 (11) 와 제 1 고정접점 (15) 이 접촉되어 제 1 전기신호인 방위검출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배선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된다. 또, 조작부재 (10) 가 경도되면, 조작부재 (10) 는 제 2 지점 (B) 을 지점으로 하여 경도되고, 접촉부 (11d) 에 의해 제 2 가동접점 (6) 이 하측으로 눌려 제 2 고정접점 (4) 과 접촉된다. 그리고, 제 2 고정접점 (4) 과 제 2 가동접점 (6) 이 접촉되면, 제 2 전기신호인 확정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되어 이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경도방위가 확정된 신호 (방위확정신호) 가 외부 전기기기로 출력된다. 이 때 조작자는 제 2 가동접점 (6) 이 반전됨으로써 클릭감을 얻을 수 있어, 확실히 방위확정신호가 출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조작부재 (10) 에 대한 누름력이 해제되면, 제 2 가동접점 (6) 이 복귀됨으로써, 이 탄성지지력에 의해 접촉부 (11d) 가 상측으로 눌려 돌기부 (11a) 가 맞닿음부 (16) 에 맞닿음으로써, 조작부재 (10) 가 중립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도 2 상태로 되돌아간다. 조작부재 (10) 가 중립위치로 복귀하면 제 2 고정접점 (4) 과 제 2 가동접점 (6) 이 이간되는 것은 물론이고, 제 1 고정접점 (15) 과 제 1 가동접점 (11) 이 이간되므로, 양쪽 스위치 (S1, S2) 가 OFF 상태로 되어 소전력화에 이바지한다.
또, 조작부재 (10) 는 8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십자 형상의 위치에 배치된 제 1 고정접점 (15) 의 서로 이웃하는 방향 (경사 방향) 으로 조작부재 (10) 가 경도되었을 때에는, 2개의 제 1 고정접점 (15) 과 제 1 가동접점 (11) 이 접촉되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제 1 전기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컴퓨터가 경사 방향으로 경도되었음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 (10) 가 더 경도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S1) 가 조작되어 확정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된다.
또, 조작부재 (10) 가 제 1 지점 (A) 을 지점으로 하여 경도되어 있을 때에, 경도 동작을 대신하여 이 조작부재 (10) 를 축방향으로 누름 동작하여 제 2 고정접점 (4) 과 제 2 가동접점 (6) 을 ON 으로 해도 된다.
또한, 중립상태에서 조작부재 (10) 를 축방향으로 누르면, 제 1 고정접점 (15) 과 제 1 가동접점 (11) 이 이간된 상태, 즉 경도 스위치 (S2) 가 OFF 상태에서, 제 2 고정접점 (4) 과 제 2 가동접점 (6) 이 접촉되어 푸시 스위치 (S1) 가 ON 상태로 되고, 마이크로컴퓨터에 제 2 전기신호만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는 독립된 푸시 스위치 (S1) 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전기기기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조작부재 (10) 가 경도되거나 눌림으로써 제 2 가동접점 (6) 이 반복적으로 반전되어 정상부 (6a) 가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와 접촉되고, 이 접점부 (4a) 에 하측으로의 누름력이 여러번 가해지지만, 접점부 (4a) 는 십자 형상의 받이부 (2b) 에 의해 지지되므로, 접점부 (4a) 가 변형되지 않고 정상부 (6a) 와의 스위칭이 항상 양호한 상태에서 확실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에 설명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제 2 고정접점 (4) 과 제 2 가동접점 (6) 으로 구성된 푸시 스위치 (S1) 에 사용되어 있고,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12, 도 13 에 따라 설명하면, 상부금형 (25) 은, 상하로 관통하는 제 1 관통구멍 (25a), 이 제 1 관통구멍 (25a) 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제 2 관통구멍 (25b) 및, 배면에 형성된 8각 형상의 바닥이 얕은 제 1 오목부 (25c) 를 가지고, 하부금형 (26) 은 8각 형상의 링형상을 이룬 제 2 오목부 (26a) 와 이 제 2 오목부 (26a) 의 일부에 연통되어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게이트 (26b) 를 가지며, 상부금형 (25) 과 하부금형 (26) 이 조합되어 제 1, 제 2 오목부 (25c,26a) 에 의해 캐비티 (27)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핀 (28) 은 금속제로 이루어진 원기둥으로서, 그 선단에 십자 형상의 홈부 (28a) 가 파여 형성되고, 이러한 구성의 제 1 핀 (28) 은 제 1 관통구멍 (25a) 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핀 (29) 은 금속제로 이루어진 원기둥으로서, 제 2 관통구멍 (25b) 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접점판 (30) 은 금속제 후프재로 이루어지고, 프레스 가공으로 제 2 고정접점 (4) 과 코먼접점 (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고정접점 (4) 과 코먼접점 (5) 을 갖는 후프형상의 접점판 (30) 을 상부금형 (25) 과 하부금형 (26) 사이에 배치하고, 이 상부금형 (25) 과 하부금형 (26) 을 조인다. 이 때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제 1 핀 (28) 의 홈부 (28a) 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을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의 배면측으로 눌러, 캐비티 (27) 내에 위치하는 접점부 (4a) 와 하부금형 (26)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게 하는 동시에, 접점부 (4a) 의 배면에 십자 형상의 홈부 (28a) 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핀 (28) 과 마찬가지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제 2 핀 (29) 을 제 2 코먼접점 (5) 의 접점부 (5b) 의 배면측으로 눌러, 캐비티 (27) 에 위치하는 접점부 (5b) 가 용융된 수지의 탕압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지지하고 있다.
그 다음에 용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게이트 (26b) 로부터 캐비티 (27) 내로 사출하여 충전하고, 제 2 고정접점 (4) 과 코먼접점 (5) 을 매설한 상태에서 하측 케이스 (1) 가 성형된다. 이 때, 제 1 핀 (28) 에는 십자 형상의 홈부 (28a)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홈부 (28a) 내에 용융된 수지가 충전되어 십자 형상의 받이부 (2b) 가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핀 (28) 을 제거하면 4개의 제 1 구멍 (2a) 이 접점부 (4a) 의 배면에 형성된다. 또, 제 2 핀 (29) 을 제거하면, 제 2 코먼접점 (5) 의 접점부 (5b) 의 배면에서 제 2 구멍 (2c) 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4 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확대 상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 도 15 에 따른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의 받이부 (2b) 가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횡단하도록 형성된 것과 비교하여, 도 14,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부 (4a) 배면의 거의 전체면을 받이부 (2f) 에 의해 지지하는 동시에, 접점부 (4a) 로부터 한쌍의 코먼접점 (5)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 (4c) 의 배면에서 구멍 (2g) 이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상부금형 (25) 의 제 1 관통구멍 (25a) 대신에 한쌍의 가는 구멍 (25d) 을 형성하고, 이 가는 구멍 (25d) 에 한쌍의 가는 핀 (31) 을 삽입시켜 이 가는 핀 (31) 의 선단을 제 2 고정접점 (4) 의 연장부 (4c) 에 눌러 닿게 하고, 이 상태에서 캐비티 (27) 내로 용융된 수지를 사출한다. 그러면, 제 2 고정접점 (4) 의 접점부 (4a) 는 탕압에 의한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매설된다. 이렇게 해서 제조된 푸시 스위치 (S1) 는 접점부 (4a) 의 중앙부를 포함한 전체가 받이부 (2f) 에 의해 지지되므로, 푸시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한 접점부 (4a) 의 변형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재에 동일 부호를 붙여,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구성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제조방법으로 형성되지만,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고, 접점부 (4a) 주위에 구멍을 복수개 형성해도 된다. 이 때에는 구멍을 접점부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하면, 사출 성형시에 핀으로 접점부 (4a) 를 밸런스좋게 누르므로 양호하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 받이부 (2b) 는 돌출벽을 십자 형상으로 크로스시켜 구성하였으나, 접점부 (4a) 의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하면 돌출벽은 1개여도, 3개여도, 6개여도 상관없다. 이 때에는 돌출벽을 등각도로 크로스하면, 지지하는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사용된 예에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점부 (4a) 를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한 단일 방향으로의 푸시 스위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고정접점은,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는 접점부를 가지며 이 접점부의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는 면과 반대측 면인 배면측이 케이스에 형성된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고, 케이스에는 고정접점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접점부의 가동접점과의 접촉/분리면이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어 푸시 동작에 의해 변형되지 않아서 확실한 접점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긴 수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구멍은, 접점부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출 성형시에 접점부가 확실히 눌림으로써, 수지가 접점부의 상면에 부착되지 않아서 확실히 푸시 동작에 의해 ON 으로 되는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받이부는, 접점부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출 성형시에 접점부가 확실히 눌림으로써, 접점부가 확실히 이동되지 않아서 확실한 접점의 전환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접점부의 중앙부에 받이부가 위치하므로, 접점부의 가동접점과의 접촉/분리면이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어 푸시 동작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므로, 확실히 푸시 동작에 의해 ON 으로 되는 동시에 긴 수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받이부는, 접점부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십자 형상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출 성형시에 접점부가 확실히 눌림으로써, 접점부가 확실히 이동되지 않아서 확실한 접점의 전환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접점부의 중앙부에 받이부가 위치하므로, 접점부의 가동접점과의 접촉/분리면이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어 푸시 동작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므로, 확실히 푸시 동작에 의해 ON 으로 되는 동시에 긴 수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구멍은, 받이부 주위에 대략 등간격으로 점재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출 성형시에 접점부가 확실히 눌림으로써, 접점부가 확실히 이동되지 않아서 확실한 접점의 전환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접점부의 중앙부에 받이부가 위치하므로, 접점부의 가동접점과의 접촉/분리면이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어 푸시 동작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므로, 확실히 푸시 동작에 의해 ON 으로 되는 동시에 긴 수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고정접점은, 접점부 주위에 연장부를 가지며 접점부 배면의 전체면이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연장부의 배면에서 구멍이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접점부가 이동되지 않아서 확실한 접점의 전환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점부의 전체면이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접점부에 강한 누름력이 가해져도 접점부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확실히 푸시 동작에 의해 ON 으로 되는 동시에 긴 수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상면도.
도 2 는 도 1 의 2-2 선을 자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하측 케이스의 하면도.
도 5 는 도 4 의 5-5 선을 자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부재의 요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각 부재가 매설된 지지부재의 하면도.
도 9 는 도 8 의 9-9 선을 자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요부 확대 상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17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
도 18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9 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하측 케이스 2 : 바닥벽부
2a : 제 1 구멍 2b : 받이부
2c : 제 2 구멍 2d : 돌기
2e : 오목부 2f : 받이부
2g : 구멍 3 : 측벽부
3a : 제 1 측벽부 3b : 제 2 측벽부
3c : 돌출부 4 : 제 2 고정접점
4a : 접점부 4b : 단자부
4c : 연장부 5 : 코먼접점
5a : 기초부 5b : 접점부
5c : 단자부 6 : 제 2 가동접점
6a : 정상부 7 : 다리부
10 : 조작부재 11 : 제 1 가동접점
11a : 돌기부 11b : 도피부
11c : 오목부 11d : 접촉부
11e : 통과구멍 12 : 파지부
12a : 기초부 12b : 기둥부
15 : 제 1 고정접점 15a : 기초부
15b : 단자부 16 : 맞닿음부
16a : 통과구멍 16b : 링형상부
16c : 다리부 17 : 지지부재
17a : 기초체 17b : 볼록부
17c : 연결부 20 : 커버부재
25 : 상부금형 25a : 제 1 관통구멍
25b : 제 2 관통구멍 25c : 제 1 오목부
25d : 가는 구멍 26 : 하부금형
26a : 제 2 오목부 26b : 게이트
27 : 캐비티 28 : 제 1 핀
28a : 홈부 29 : 제 2 핀
30 : 접점판 31 : 가는 핀
A : 제 1 지점 B : 제 2 지점
S1 : 푸시 스위치 S2 : 경도 스위치

Claims (7)

  1.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매설된 고정접점 및, 조작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분리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는 접점부를 가지며,
    상기 접점부의 가동접점과 접촉/분리되는 면과 반대측 면인 배면측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접점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접점부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상기 접점부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상기 접점부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십자 형상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받이부 주위에 대략 등간격으로 점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접점부 주위에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접점부 배면의 전체면이 상기 받이부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배면에서 상기 구멍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받이부에 지지된 부분이 융기되어 있고, 이 부분이 상기 가동접점과 점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02-0008734A 2001-03-08 2002-02-19 푸시 스위치 KR100472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5776A JP2002270063A (ja) 2001-03-08 2001-03-08 プッシュスイッチ
JPJP-P-2001-00065776 2001-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496A KR20020072496A (ko) 2002-09-16
KR100472974B1 true KR100472974B1 (ko) 2005-03-08

Family

ID=1892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734A KR100472974B1 (ko) 2001-03-08 2002-02-19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270063A (ko)
KR (1) KR100472974B1 (ko)
CN (1) CN1189906C (ko)
TW (1) TWI261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393B2 (ja) * 2006-10-27 2011-03-09 ホシデン株式会社 横押し型2段動作スイッチ
TWI407760B (zh) * 2007-09-14 2013-09-01 Kuo Ching Chiang 非按鍵式指令輸入之手持裝置
JP4647700B2 (ja) * 2009-10-29 2011-03-09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CN106918842A (zh) * 2017-02-22 2017-07-04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隧道注浆空洞检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661A (ja) * 1992-12-04 1994-06-2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661A (ja) * 1992-12-04 1994-06-2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4672A (zh) 2002-10-16
JP2002270063A (ja) 2002-09-20
TWI261850B (en) 2006-09-11
KR20020072496A (ko) 2002-09-16
CN1189906C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017B1 (ko) 2 개의 가동접점을 통하여 전환조작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US6635838B1 (en) Switch actua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ame
US6348664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whose stem can be tilted and pushed
JP3746374B2 (ja) 多方向入力装置
CA1231994A (en) Elastomeric overlay with particular pushbutton profile to operate membrane switch
JP48828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6635832B1 (en) Electrical switch
KR20010015683A (ko) 단일 작동 레버를 갖는 다중 전기 스위치
KR100298920B1 (ko) 키보드장치
US5803243A (en) Latching rocker switch
US6160225A (en)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US6107586A (en) Push-on switch
KR100477775B1 (ko) 다방향 스위치장치
EP1143469B1 (en) Push switch
US670357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KR100472974B1 (ko) 푸시 스위치
JP2003257270A (ja) スイッチ装置
KR100279397B1 (ko) 다방향 스위치
KR20100127275A (ko) 조작 스위치 및 전자 기기
JP2003045290A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JP3790384B2 (ja) 多方向スイッチ
KR100300362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3790304B2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JP2002307496A (ja) 成型金型、及びこれを用いた成型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