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843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843B1
KR100472843B1 KR10-1998-0016555A KR19980016555A KR100472843B1 KR 100472843 B1 KR100472843 B1 KR 100472843B1 KR 19980016555 A KR19980016555 A KR 19980016555A KR 100472843 B1 KR100472843 B1 KR 10047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cking
plates
plat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892A (ko
Inventor
미키오 네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8008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D06F55/02Clothes-pegs with pivoted independent clam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의복 등의 가장자리 등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집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클립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가능하게 맞붙은 한 쌍의 협지판(10,10)과, 한 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집는 쪽(G)의 반대 쪽(H)으로부터 넣어져 있는 조작축(30)을 가진다. 조작축(30)이, 한 쌍의 협지판(10,10)의 회동축(11)의 양쪽에 있어서 집는 쪽(G)과,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각각, 조작축(30) 옆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며, 또한 돌출하는 방향을 서로 달리 하는 돌부(31)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협지판(10,10)을 집는 쪽(G)을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집는 쪽(G)에 있는 돌부(31)와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있는 돌부(31)가 차례로 협지판(10)에 부딪힌다.

Description

클립
이 발명은, 의복 등의 가장자리나 종이 등 여러 가지 집는 대상물(이하, 단지 대상물이라 한다)을 집기 위해 사용되는 클립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대상물을 집는 클립으로서, 예를 들면, 서스펜더를 구성하는 밴드를 의복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키거나, 세탁물을 행거에 매달기 위해서, 상기 밴드 등의 띠·끈·사슬모양체의 단부(端部)에 부착되며, 또한, 이 부착된 쪽의 반대쪽으로 상기 의복 등의 가장자리를 집는 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클립은, 한 쪽 끝을 근접·이격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맞붙은 한 쌍의 협지판(挾持板)을 구비하며, 이러한 한 쪽 끝으로 상기 의복의 가장자리 등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클립은, 이러한 한 쪽 끝으로 집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전형적으로는, 한 쌍의 협지판 사이에 상기 한 쪽 끝을 항상 좁히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금속제 스프링을 장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1-292108 공보참조).
한편, 이러한 금속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의복 등의 가장자리 등을 집도록 한 쪽 끝을 좁히는 구성을 갖춘 클립도 개시되어 있으며(예를 들면, 특개평 6-181804 공보, 특개평 7-332319 공보참조), 이와 같은 클립을 구성한 경우, 부품수 감소, 녹 등의 발생 방지, 의료품 등에 상기 클립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에 대하여 탐침기가 반응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져온다. 그 반면에, 이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이 종류의 클립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의복의 가장자리 등을 집는 한 쪽 끝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열고, 또한 닫는 기능을 확보할 필요가 있게 되며, 또한 이러한 기능을 간단한 구조로써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청된다.
그래서, 이 발명은 금속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적당한 대상물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집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클립을, 가능한 한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클립(C)이 이하 (1)∼(4)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1) 대상물의 집는 쪽(G)을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조립된 한 쌍의 협지판(10,10)과,
(2)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 사이에, 이 한 쌍의 협지판(10,10)의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으로부터 넣어져 있는 조작축(30)을 가지는 클립(C)에 있어서,
(3) 상기 조작축(30)이,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회동축(11)의 양쪽에 있어서 상기 집는 쪽(G)과,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각각, 상기 조작축(30)의 옆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며, 또한, 돌출방향을 서로 달리하는 돌부(31)를 가지고 있으며,
(4)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을, 상기 집는 쪽(G)을 근접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집는 쪽(G)에 있는 돌부(31)와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있는 돌부(31)가 차례로 상기 협지판(10)에 부딪힌다.
상기 조작축(30)에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집는 쪽(G)과,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상기 돌부(31)가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두개의 돌부(31,31)는 돌출된 방향을 서로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작축(30)을 회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돌부(31,31)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협지판(10)에 순차적으로 부딪힌다.
즉, 상기 조작축(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에 있는 상기 돌부(31)가 상기 협지판(10)에 부딪히면, 상기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집는 쪽(G)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은 회동된다(이하, 이 회동상태를 열린 상태(OP)라 한다). 또한 이러한 열린 상태(OP)로부터 상기와 같이 조작축(3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집는 쪽(G)에 있는 돌부(31)가 상기 협지판(10)에 부딪히는 것을 늦추며, 또는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한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있는 상기 돌부(31)를 상기 협지판(10)에 부딪히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집는 쪽(G)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은 회동된다(이하, 이 회동상태를 닫힌 상태(CL)라 한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클립에 의하면, 상기 열린 상태(OP)에서 대상물을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집는 쪽(G)으로 집지 않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열린 상태(OP)로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린 상태(OP)에서, 열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집는 쪽(G) 사이에 상기 대상물을 끼워 넣고, 그 후 닫힌 상태(CL)로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클립(C)이 이하 (1)∼(4)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1) 대상물의 집는 쪽(G)을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조립된 한 쌍의 협지판(40,40)과,
(2)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이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으로부터 넣어진 슬라이드부재(60)를 가지는 클립(C)에 있어서,
(3) 상기 슬라이드부재(60)에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어느 한 쪽을 향하여 돌출되며, 또한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상기 집는 쪽(G)에 있어서, 협지판(40)에 부딪혀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을 상기 집는 쪽(G)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편(61)과,
(4)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으로 향한 상기 슬라이드부재(60)의 인출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딪히며,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을 상기 집는 쪽(G)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당접면(6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넣어진 슬라이드부재(60)를 상기 집는 쪽(G)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상기 집는 쪽(G)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부재(60)에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에 있어서 상기 협지판(40)에 부딪히는 탄성편(6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탄성편(61)이 부딪히는 위치까지 상기 슬라이드부재(6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축(41)을 중심으로 상기 집는 쪽(G)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은 회동된다 (이하, 이 회동상태를 열린 상태(OP)라 한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드부재(60)에는, 상기 당접면(6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린 상태(OP)로부터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부재(60)를 인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편(61)에 의한 상기 집는 쪽(G)에 대한 부딪힘을 해제하며, 또한, 상기 탄성편(61)을 휘어 들어가게 하면서,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있어서 상기 당접면(62)을 이 반대쪽(H)에 있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딪히게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상기 회동축(41)을 중심으로 상기 집는 쪽(G)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을 회동시킬 수 있다(이하, 이 회동상태를 닫힌 상태(CL)라 한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기재된 클립(C)에 의하면, 상기 열린 상태(OP)에 있어서 대상물을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집는 쪽(G)으로 집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린 상태(OP)로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린 상태(OP)에 있어서, 열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집는 쪽(G) 사이에 상기 대상물을 끼워 넣고, 이후 상기 닫힌 상태(CL)로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을 고정시킨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23에 나타난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1)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도 1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상기 클립(C1)을 분해하여 사시(斜視)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는, 클립(C1)을 스토퍼판(13)쪽에서 본 상태로, 또한, 도 3은, 도 2에 대해 아래쪽에서 본 상태로, 도 4는, 닫힌 상태(CL)에 있는 클립(C1)을 종단면 상태로, 또한, 도 5는, 열린 상태(OP)에 있는 클립(C1)을 종단면 상태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는, 클립(C1)을 구성하는 조작축(30)을 일체로 구비한 연접체(20)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은, 이러한 연접체(20)를 연접구멍(21)의 한 쪽 개구 쪽에서 본 상태로, 또한, 도 7은, 도 6에 대해 오른쪽에서 본 상태로, 또한, 도 8은, 도 6에 대해 아래쪽에서 본 상태로, 게다가, 도 9는, 종단면의 상태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6은, 클립(C1)을 구성하는 베이스판(12)을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은, 베이스판(12)을 스토퍼판(13)과 마주보는 면에서 본 상태로, 또, 도 11은 도 10에 대해 아래쪽에서 본 상태로, 또, 도 12는 도 11을 아래쪽에서 본 상태로, 또, 도 13은 도 11을 왼쪽에서 본 상태로, 또한, 도 14는 도 11을 오른쪽에서 본 상태로, 게다가, 도 15 및 도 16은, 상기 베이스판(12)을 폭방향을 따라 단면으로 한 상태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2는, 클립(C1)을 구성하는 스토퍼판(13)을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은 스토퍼판(13)을 베이스판(12)과 마주보는 면에서 본 상태로, 또, 도 18은 도 17에 대해 위쪽에서 본 상태로, 또, 도 19는 도 18을 위쪽에서 본 상태로, 또, 도 20은 도 18을 왼쪽에서 본 상태로, 또, 도 21은 도 18을 오른쪽에서 본 상태로, 게다가 도 22는, 상기 스토퍼판(13)을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으로 한 상태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게다가, 도 23은, 상기 스토퍼판(13)과 베이스판(12)의 회동조립되는 부분의 구조가 이해되기 쉽도록, 상기 조립되는 부분에 있어서 스토퍼판(13)과 베이스판(12)을 각각 폭방향을 따라 단면으로 하고, 또한, 양자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은, 여러 가지 대상물을 집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적당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에 의복의 걸이밴드(Ta) 등의 띠·끈·사슬모양체(T)를 연접시키는데 적합한 구조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1)은,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을 집는 가늘고 긴 판상을 이루는 한 쌍의 협지판(10,10)과, 이 한 쌍의 협지판(10,10) 사이로 넣어지는 조작축(30)과, 이 조작축(30)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에 조립되는 띠·끈·사슬모양체(T)의 연접체(2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협지판(10,10)은, 폭이 넓은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또한,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서로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분이 상기 협지판(10)의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에 근접한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은 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분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상기 길이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있어서, 상기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의 회동치수가 크게 된다. 그리고, 이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의 집는 쪽(G)이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분을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한 쪽에 축오목부(12a)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협지판(10)의 다른 쪽에 상기 축오목부(12a)에 들어가는 축돌부(13a)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축오목부(12a)를 가지는 협지판(10)을 베이스판(12), 또한, 이러한 축돌부(13a)를 가지는 협지판(10)을 스토퍼판(13)이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오목부(12a)는, 상기 베이스판(12)의 길이방향에 걸친 양 측부(側部)에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側板部)(12d,12d)의, 상기 마주보는 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축오목부(12a)는 어느 것이나, 상기 측판부(12d)의 기부측(基部側)에 상기 축돌부(13a)의 한 측부(側部)가 재치되는 축수면(軸受面)(12b)을, 또는, 상기 측판부(12d)의 선단쪽에 이 축수면(12b)에 재치되는 상기 축돌부(13a)의 다른 측부에 걸치는 괘합조(掛合爪)(12c)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축돌부(13a)는, 상기 스토퍼판(13)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양쪽 단면(端面)에 있어서,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축오목부(12a)에 대하여 상기 축돌부(13a)를, 상기 축오목부(12a)에 있어서 상기 괘합조(12c)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상기 괘합조(12c)에 상기 축돌부(13a)를 눌러 이 괘합조(12c)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측판부(12d)의 일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괘합조(12c)를 타고 넘도록 하며, 타고 넘은 위치에서 상기 괘합조(12c)와 상기 축수면(12b)에 상기 축돌부(13a)를 끼워 넣은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수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2)과 스토퍼판(13)을 회동가능하게 조립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2)과 상기 스토퍼판(13)의 상기 집는 쪽(G)에는, 이 쪽에서 상기 베이스판(12)과 스토퍼판(13)의 사이에 끼워진 상기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에, 이 집는 쪽(G)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닫힌 상태(CL)에서 물어주는 치부(齒部)(12e,13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작축(30)은, 상기 베이스판(12)과 상기 스토퍼판(13) 사이에, 양판의 회동축(11)을 가로지르며, 또한, 상기 회동축(11)에 조작축(30)의 축선이 직교되도록,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으로부터 넣어짐과 동시에, 그 넣어진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판(12)에 조립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판(12)에서의 상기 스토퍼판(13)과 마주보는 쪽의 상기 회동축(11)이 통하는 위치에, 상기 조작축(30)의 중앙부를 감입(嵌入)하는 간극을 두고 한 쌍의 탄성편(12f,12f)이 돌설(突設)되어 있고, 이 한 쌍의 탄성편(12f,12f) 사이에 이 중앙부를 감입하여, 상기 베이스판(1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조작축(30)이 조립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띠·끈·사슬모양체(T)의 연접체(20)가, 길고 가느다란 상기 띠·끈·사슬모양체의 연접구멍(21)을 구비한 상자모양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접체(20)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걸친 한 쪽 가장자리부(E)의 중앙부에, 상기 조작축(30)의 한 쪽 끝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접체(20)를 들고 비틀어 돌리는 조작을 함으로써 상기 조작축(3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축(30)은, 상기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과, 그 집는 쪽의 반대쪽(H)에 각각, 그 조작축(30)의 축선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집는 쪽(G)에 있는 상기 돌부(31)(이하, 제1돌부(31a)라 한다)는, 조작축(30)의 직경방향 양쪽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있는 상기 돌부(31)(이하, 제2돌부(31b)라 한다)는, 상기 조작축의 반경방향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1돌부(31a)와 제2돌부(31b)는, 그 돌출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축(30)의 축중심과 상기 제1돌부(31a)의 돌출단(突出端)을 잇는 선분과, 상기 축중심과 상기 제2돌부(31b)의 돌출단을 잇는 선분이,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이 제1돌부(31a)와 제2돌부(3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양 돌부(31)가 어느 것이나, 상기 조작축(30)의 회동조작에 따라, 해당 돌부(31)의 선단부가 스토퍼판(13)에 부딪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딪힘에 의해, 상기 집는 쪽(G)에서 상기 베이스판(12)과 상기 스토퍼판(13)을 열린 상태(OP)로, 또는, 닫힌 상태(CL)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돌부(31b)가 상기 베이스판(12)의 판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회동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돌부(31a)는 상기 스토퍼판(13)에 부딪히지 않는다. 그리고, 이 회동위치에서는, 상기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있는 상기 스토퍼판(13)이 상기와 같이 부딪히는 제2돌부(31b)에 의해 눌러 올려지며, 이에 의해, 상기 집는 쪽(G)이 닫힌 상태(CL)로 된다(도 4).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2돌부(31b)의 선단에 소돌기(3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제2돌부(31b)가 부딪히는 상기 스토퍼판(13)의 판부(板部)에, 이러한 소돌기(32)가 들어가는 홈(1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닫힌 상태(CL)에서 이러한 소돌기(32)가 상기 홈(13c)에 들어가서, 이러한 닫힌 상태(CL)를 임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제1돌부(31a)가 상기 베이스판(12)의 판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회동위치에서는, 상기 제2돌부(31b)는 상기 스토퍼판(13)에 부딪히지 않는다. 그리고, 이 회동위치에서는, 상기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에 있는 상기 스토퍼판(13)이 상기와 같이 부딪히는 제1돌부(31a)에 의해 눌러 올려지며, 이에 의해, 상기 집는 쪽(G)이 열린 상태(OP)로 된다(도 5).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1돌부(31a)는, 상기 조작축(30)의 직경방향 양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닫힌 상태(CL)로부터 상기 조작축(30)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반향, 어느 방향으로 회동시켜도, 이러한 제1돌부(31a)를 상기 스토퍼판(13)에 부딪히게 하여, 상기 열린 상태(OP)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2)에는, 상기 스토퍼판(13)에 부딪히지 않는 쪽에 있어서 돌출된 상기 제1의 돌부(31a)를 받아들이는 퇴피구멍(12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판(13)에 대한 상기 제1돌부(31a)가 부딪히는 장소가, 상기 스토퍼판(13)의 판면으로부터 튀어나온 돌출부(13d)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3d)의 돌출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돌부(31a)의 돌출 치수를 바꾸지 않고, 상기 열린 상태(OP)에 있어서 열린 치수를 크게, 또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축(30)의 제2돌부(31b)가 상기 스토퍼판(13)에 부딪힌 상기 닫힌 상태(CL)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11)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에 대해, 상기 연접체(20)의 상기 연접구멍(21)을 둘러싸는 면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에 있는 연접체(20)를 잡거나 하여 이 연접체(20)의 상기 연접구멍(21)을 둘러싸는 면이 상기 가상의 면에 대략 직교하게 되는 방향까지 비틀어 회전시킴으로써, 점차로 상기 집는 쪽(G)을 열어, 상기 열린 상태(OP)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축오목부(12a)의 괘합조(12c) 아래쪽과, 상기 조작축(30)을 감입하는 한 쌍의 탄성편(12f,12f) 사이에, 상기 베이스판(12)의 두께방향에 걸치는 성형구멍(12h)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성형구멍(12h)을 통하여 상기 괘합조(12c)와 상기 탄성편(12f)의 선단부를, 상기 성형구멍(12h)이 뚫려 설치된 방향을 향하여 이동되는 상하 한 쌍의 금형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히, 상기 괘합조(12c)의 아래에 있는 성형구멍(12h)에 의해, 상기 괘합조(12c)가 설치된 측판의 일부를, 상기 축돌부(13a)의 상기 축오목부(12a)로 넣는 조작에 따라, 휘어 넣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2의 실시형태)
다음에, 도 24 내지 도 29에 나타난 제2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도 24는,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클립(C2)을 분해하여, 사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5는 상기 클립(C2)을 사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6 및 도 28은, 닫힌 상태(CL)의 클립(C2)을, 옆에서 본 상태로(도 26),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으로 한 상태로(도 28)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7 및 도 29는, 열린 상태(OP)의 클립(C2)을, 옆에서 본 상태로(도 27),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으로 한 상태로(도 29),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은, 여러 가지 대상물을 집기 위해 사용하는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에 의복의 걸이밴드(Ta) 등의 띠·끈·사슬모양체(T)를 연접시키는데 적합한 구조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C2)은,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을 집는 가늘고 긴 판상을 이루는 한 쌍의 협지판(40,40)과, 이 한 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 들어가는 슬라이드부재(60)와, 이 슬라이드부재(60)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에 맞붙은 띠·끈·사슬모양체(T)의 연접체(5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협지판(40,40)은, 폭이 넓은 면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또한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서로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회동조립 부분이, 상기 협지판(10)의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에 근접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은 이 회동조립 부분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상기 길이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있어서, 상기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의 회동 치수를 크게 한다. 그리고, 이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의 집는 쪽(G)이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동조립 부분을,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한 쪽에 축구멍(42a)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쪽 협지판(40)에 상기 축구멍(42a)에 들어가는 축돌부(43a)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축구멍(42a)을 가지는 협지판(40)을 베이스판(42), 또한, 이러한 축돌부(43a)를 가지는 협지판(40)을 스토퍼판(43)이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구멍(42a)은, 상기 베이스판(42)의 길이방향에 걸친 양 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축수돌부(42b)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축돌부(43a)는, 상기 스토퍼판(43)의 길이방향에 걸친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축구멍(42a)에 회전가능하게 감입되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42)과 상기 스토퍼판(43)의 상기 집는 쪽(G)에는, 상기 베이스판(42)과 스토퍼판(43) 사이에 끼이는 상기 의복 등의 가장자리(E) 등에, 이 집는 쪽(G)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닫힌 상태(CL)에서 물어주는 치부(42c,43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60)는, 상기 스토퍼판(43)과 상기 베이스판(42) 사이에,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으로부터 넣어지며, 또한, 이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집는 쪽(G)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상기 집는 쪽(G)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판(42)에 조립되어 있다. 또는, 이러한 슬라이드부재(60)는, 상기 베이스판(42)에 접하는 쪽에 개방된 내부공간(64)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재(60)는, 상기 스토퍼판(43)과 상기 베이스판(42)이 마주보는 면이 대략 평행하게 되는 상기 닫힌 상태(CL)에서, 상기 스토퍼판(43)의 판면과 상기 베이스판(42)의 판면에 별도로 접접(摺接)하는 상하면(62')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당해 슬라이드부재(60)의 안쪽이고 상기 베이스판(42)에 접접하는 쪽에, 상기 베이스판(42)에 설치된 멈춤돌부(42e)에 대하여, 이 멈춤돌부(42e)에 대해 상기 집는 쪽(G)의 측부에 부딪히는 계당면(係當面)(65)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슬라이드부재(60)는, 이 멈춤돌부(42e)에 계당면(65)이 부딪히는 위치보다 앞으로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또한 이 부딪히는 위치에서, 상기 상하면(62')이 상기 양판(兩板)(42,43)의 판면에 각각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양판사이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도 26).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띠·끈·사슬모양체(T)의 연접체(50)를, 길고 가느다란 상기 띠·끈·사슬모양체(T)의 연접구멍(51)을 구비한 판상체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접체(50)에 대한 길이방향에 걸친 한 쪽 가장자리(E)의 중앙부에, 상기 슬라이드부재(60)를 상기 양판(42,43)으로 끼워 넣은 쪽과 반대의 단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접체(50)를 집거나 하여 끌어당기거나 또는,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60)를 슬라이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닫힌 상태(CL)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60)는, 상기 스토퍼판(43)과 상기 베이스판(42)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상기 연접체(50)에 조립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를 위치시키며, 이 위치에 상기와 같이 상하면(62')을 상기 양판의 판면에 각각 밀착시킨다(도 26, 도 28). 이 결과, 이러한 닫힌 상태(CL)에서 상기 양판(42,43)은 상기 집는 쪽(G)을 여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없으며, 이러한 닫힌 상태(CL)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판(42)의 상기 상하면(62')이,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집는 쪽(G)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당접면(62)으로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60)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60)의 상기 스토퍼판(43)과 접합하는 면쪽으로부터 선단부(61b)를 돌출시키는 탄성편(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드부재(60)에 있어서 상기 연접체(50)가 연설(連設)된 쪽으로부터 반대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대략 평행한 2조의 분할홈(63a,63a)과, 이 2조의 분할홈(63a,63a)에 있어서 상기 연설된 쪽과 반대쪽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설홈(63b)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60)의 상기 스토퍼판(43)에 접하는 쪽에 상기 탄성편(61)이 구분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편은, 상기 연접체(50)가 연설된 쪽으로부터 이 연설된 쪽의 반대쪽으로 향하여, 점차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편(61)의 선단부(61b)에는, 상기 집는 쪽(G)을 향한 괘합면(6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편(61)의 선단과 슬라이딩부재(60)의 상기 집는 쪽(G)을 향한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판(43)에 대한 당접면(62)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판(43)에 있어서 상기 연접체(50) 쪽으로 향한 단부에, 상기 탄성편(61)의 선단쪽이 들어가는 큰 오목부(4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닫힌 상태(CL)에 있어서 이 오목부(43b)의 안쪽면(43c)에 상기 탄성편(61)의 괘합면(61a)이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오목부(43b)의 안쪽면(43c)과 탄성면(61)의 괘합면(61a)의 걸림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CL)에 있어서 단순히는 슬라이드부재(60)를 상기 집는 쪽(G)을 향하여 이동할 수 없게 된다(도 26, 도 28).
또한, 이러한 슬라이드부재(60)는, 상기 내부공간(64)을 가지며, 이 내부공간(64)에 상기 탄성편(61)을 휘어 넣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닫힌 상태(CL)로부터 탄성편(61)을 누르는 조작을 하여 상기 공간(64)내로 향하여 휘어 들어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오목부(43b)의 안쪽면(43c)과 탄성편(61)의 괘합면(61a)의 걸림을 풀며, 슬라이드부재(60)를 상기 집는 쪽(G)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편(61)의 선단부(61b)가, 상기 베이스판(42)과 상기 스토퍼판(43)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에 이르는 위치까지, 상기 슬라이드부재(6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재(60)가 이동하면, 상기 공간(64)을 향하여 휘어 들어간 탄성편(61)이 바깥쪽으로 휘어 돌아오는 것이 허용되며, 이 휘어 돌아옴에 의해 상기 탄성편(61)의 선단부(61b)가 상기 스토퍼판(43)에 부딪혀 이 스토퍼판(43)을 밀어 올리고, 상기 회동축(41)을 중심으로 상기 집는 쪽(G)이 이격된 열린 상태(OP)가 이루어진다(도 27, 도 29).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드부재(60)의 상기 탄성편이 돌출한 쪽에, 상기 열린 상태(OP)에서 상기 스토퍼판(43)의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이 들어오는 퇴피오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열린 상태(OP)에서, 상기 연접체(50)를 잡거나 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60)를 상기 양판(42,43) 사이에서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편(61)은 상기 스토퍼판(43)에 접하여 점차 휘어 들어오며, 상기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집는 쪽(G)의 반대쪽(H)에 있어서 다시 슬라이드부재(60)의 상하 당접면(62)이 상기 양판(42,43)의 판면에 부딪히게 되어 다시 상기 닫힌 상태(CL)가 이루어진다(도 26, 도 28).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판(42)에 상기 베이스판(4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조(突爪)(42d)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60)의 상기 집는 쪽(G) 단부의 상기 베이스판(42)과 접하는 쪽에 상기 돌조(42d)가 들어오는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부재(60)의 이동을 상기 돌조(42)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클립(C)에 의하면, 상기 조작축(30)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집는 쪽(G)을 용이하게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으며, 이 집는 쪽(G)으로 적절한 대상물을 확실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상기 조작축(30)을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10)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부딪히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C)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클립(C)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60)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의 집는 쪽(G)을 용이하게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으며, 이 집는 쪽(G)으로 적절한 대상물을 확실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상기 슬라이드부재(60)가 상기 한 쌍의 협지판(40,40)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조립해 둠으로써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C)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클립(C1)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클립(C1)의 측면도,
도 4는 클립(C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닫힌 상태(CL)),
도 5는 클립(C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열린 상태(OP)),
도 6은 조작축(30)을 구비한 연접체(連接體)(20)의 측면도,
도 7은 조작축(30)을 구비한 연접체(20)를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조작축(30)을 구비한 연접체(20)를 도 6 및 도 7과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조작축(30)을 구비한 연접체(20)의 단면도,
도 10은 베이스판(12)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과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2)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 및 도 11과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2)의 측면도,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와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0 내지 도 13과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2)의 측면도,
도 15는 도 10에 대한 A-A선 단면도,
도 16은 도 10에 대한 B-B선 단면도,
도 17은 스토퍼판(stopper板)(13)의 측면도,
도 18은 도 17과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3)의 측면도,
도 19는 도 17 및 도 18과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3)의 측면도,
도 20은 도 17 내지 도 19와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3)의 측면도,
도 21은 도 17 내지 도 20과 다른 방향에서 본 베이스판(13)의 측면도,
도 22는 스토퍼판(13)의 단면도,
도 23은 베이스판(12) 및 스토퍼판(13) 주요부의 단면도,
도 24는 클립(C2)의 분해사시도,
도 25는 클립(C2)의 사시도,
도 26은 클립(C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닫힌 상태(CL)),
도 27은 클립(C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열린 상태(OP)),
도 28은 클립(C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닫힌 상태(CL)),
도 29는 클립(C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열린 상태(OP))이다.
< 도면 부호의 설명 >
E ... 가장자리 C ... 클립
G ... 집는 쪽 H ... 집는 쪽(G)의 반대쪽
T ... 띠·끈·사슬모양체(帶·紐·鎖狀體) Ta ... 걸이밴드
10 ... 협지판(挾持板) 40 ... 협지판
11 ... 회동축(回動軸) 41 .... 회동축
21 ... 연접구멍(連接穴) 51 ... 연접구멍
30 ... 조작축 31 ... 돌부(突部)
60 ... 슬라이드부재 61 ... 탄성편
62 ... 당접면(當接面)

Claims (2)

  1. 집는 대상물의 가장자리 등 집는 쪽을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조립된 한 쌍의 협지판과,
    상기 한 쌍의 협지판 사이에, 이 한 쌍의 협지판에 있어서 상기 집는 쪽의 반대쪽으로부터 넣어지는 조작축을 가지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이,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의 회동축 양쪽에 있어 상기 집는 쪽과, 상기 집는 쪽의 반대쪽에 각각, 상기 조작축의 옆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며, 또한 돌출방향을 서로 달리 하는 돌부(突部)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을 상기 집는 쪽을 근접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집는 쪽에 있는 돌부와 상기 집는 쪽의 반대쪽에 있는 돌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협지판에 부딪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집는 대상물의 집는 쪽을 근접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키는 쪽으로 회동시키도록 조립된 한 쌍의 협지판과,
    상기 한 쌍의 협지판 사이에, 이 한 쌍의 협지판에 있어서 상기 집는 쪽의 반대쪽으로부터 넣어지는 슬라이드부재를 가지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의 어느 한 쪽을 향하여 돌출되며, 또한,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의 상기 집는 쪽에 있어서, 협지판에 부딪혀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을 상기 집는 쪽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편(彈性片)과,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의 상기 집는 쪽의 반대쪽을 향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인출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딪히며, 상기 한 쌍의 협지판을 상기 집는 쪽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당접면(當接面)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1998-0016555A 1997-05-26 1998-05-08 클립 KR100472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992697A JP3942236B2 (ja) 1997-05-26 1997-05-26 クリップ
JP1997-149926 199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892A KR19980086892A (ko) 1998-12-05
KR100472843B1 true KR100472843B1 (ko) 2005-09-26

Family

ID=1548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555A KR100472843B1 (ko) 1997-05-26 1998-05-08 클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942236B2 (ko)
KR (1) KR100472843B1 (ko)
CN (1) CN1183863C (ko)
HK (1) HK1017240A1 (ko)
TW (1) TW353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697A (ja) * 2003-11-21 2005-06-16 Nax Co Ltd 合成樹脂製クリップ
JP2009112677A (ja) * 2007-11-09 2009-05-28 Raza V Ltd クリップおよびネックストラップ
CN103908090B (zh) * 2013-01-09 2016-12-28 孙毅 图夹间距可锁定的挂图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42236B2 (ja) 2007-07-11
CN1206572A (zh) 1999-02-03
KR19980086892A (ko) 1998-12-05
HK1017240A1 (en) 1999-11-19
CN1183863C (zh) 2005-01-12
TW353603B (en) 1999-03-01
JPH10325402A (ja) 1998-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096A (en) Hair clip
EP1161892B1 (en) A plastic clipping device
EP0640300B1 (en) Auto-lock slider for concealed slide fastener
US6779695B2 (en) Garment hanger
JP4445129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
KR100472843B1 (ko) 클립
GB2325861A (en) Hinged Golf Club Cover
HU186242B (en) Earmark pliers for providing animals with identifying aermark
US20020189303A1 (en) Handcuffs
US2234853A (en) Snap hook
US20040237604A1 (en) Handcuffs
JPH04213679A (ja) 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ラッチ装置
EP0974760A1 (en) Connector with snap closure
US4566155A (en) Separable spring-latched cufflink with transversally pressable release lever
US6408493B1 (en) Jewelry clasp
JP3439291B2 (ja) 紐止め具
US20040045487A1 (en) Drop leaf support apparatus
JPH0739409A (ja) クリップ
JP2017217125A (ja) コードロック
JPS6129430Y2 (ko)
JP3187771B2 (ja) ハンドル機構
JPH057409Y2 (ko)
JPH0519484Y2 (ko)
JP2784567B2 (ja) 衣服用ハンガー
JP2629654B2 (ja) 接ぎ木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