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135B1 -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 Google Patents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135B1
KR100472135B1 KR10-2002-0029567A KR20020029567A KR100472135B1 KR 100472135 B1 KR100472135 B1 KR 100472135B1 KR 20020029567 A KR20020029567 A KR 20020029567A KR 100472135 B1 KR100472135 B1 KR 10047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line
anchor system
tension
coupl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492A (ko
Inventor
박병구
Original Assignee
박병구
서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구, 서병운 filed Critical 박병구
Priority to KR10-2002-002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135B1/ko
Priority to AU2002306135A priority patent/AU2002306135A1/en
Priority to JP2004507612A priority patent/JP3899102B2/ja
Priority to PCT/KR2002/001056 priority patent/WO2003100177A1/en
Publication of KR2003009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은 정착부, 내하체 및 인장선으로 이루어진 앵커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하체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늘음량을 조절하는 늘음량 조절부;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선과 결합하는 정착부; 상기 몸통부와 내하체를 결합하는 연결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일측을 폐쇄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로 이루어진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의 차이로 동시 인장을 할 수가 없어 단계적으로 인장을 하였으나, 상기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은 늘음량 조절부를 통하여 상기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의 차이를 보정하여 다수의 인장선을 동시에 인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Anchor System for length control}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설치되는 앵커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수의 인장선을 이용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앵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의 앵커시스템의 시공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앵커시스템은 토목 또는 건축 건축물 공사에 있어서 설치되는 정착장치로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위하거나 굴착 시에 주변 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토류벽을 가설하고 상기 토류벽을 지탱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앵커시스템은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곳에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와 경사각으로 지반에 천공을 하고, 일정한 길이로 사전에 조립된 앵커시스템을 상기 천공에 삽입하고, 그라우팅을 통하여 지반과 앵커시스템을 고정시킨다. 상기 그라우팅은 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지반과 앵커시스템을 고정시킨다.
상기 지반에 고착된 앵커시스템의 인장선을 인장하고, 토류벽 내지 기타 장비와 인장선을 연결하여 상기 토류벽 내지 기타 장비가 하중을 견딜수 있도록 정착을 한다.
상기와 같은 시공에 있어서,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인장선으로 앵커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U-턴 앵커시스템이나 제거식 앵커시스템은 인장선의 길이가 차이가 남으로 인하여 동시에 모든 인장선을 인장하여 앵커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인장선에 하중이 동일하게 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인장선을 인장시에 길이가 긴 인장선을 먼저 인장하여 일정한 하중을 걸리게 한 후에 나머지 상대적으로 짧은 인장선과 함께 동시 인장을 한다.
따라서, 인장작업을 두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초기 인장작업 시에 모든 인장선이 동일하게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인장하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2에서는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이 차이가 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따르면 앵커시스템을 설치 시에 일정한 깊이에 삽입되어 정착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앵커시스템을 조립한다.
도 2에 도시된 조립된 제거식 앵커시스템을 보면, 2개의 인장선이 한조가 되어 2조가 하나의 앵커시스템을 구성하고, 일정한 길이가 차이가 나는 것을 볼수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하는 이유는 인장선과 결합하는 내하체 및 정착부를 다른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앵커시스템 설치 시 천공의 직경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이유로 조립된 앵커시스템의 전체 길이를 L1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L2라 하면, 길이의 차이는 L3가 된다.
따라서, 앵커시스템 설치 시에 인장선을 동시에 인장하는 경우, L3만큼의 인장선 길이 차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긴 인장선과 짧은 인장선은 늘어나는 상대적 늘음량은 다르게 되며, 인장선에 작용하는 장력이 다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앵커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짧은 인장선에 하중이 많이 걸리고, 상대적으로 긴 인장선은 하중이 상대적으로 적게 걸린다.
결국 하중을 동일하게 분산시키는 앵커시스템의 목적에 반하게 되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긴 인장선을 먼저 인장하여 일정한 장력을 준 후에 동시인장을 해야한다.
즉, 상기와 같은 앵커시스템은 설치 시에 동일한 하중이 각각의 인장선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장작업을 수 차례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앵커시스템에 늘음량 조절부를 부가하여 자체적으로 늘음량 차이로 인한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을 보정하여 다수의 인장선으로 이루어진 앵커시스템의 인장작업 시에 다수의 인장선을 동시에 인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은 하중이 걸리는 인장선; 상기 인장선을 내부 통공으로 삽입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내하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하체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늘음량을 조절하는 늘음량 조절부;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선과 결합하는 정착부; 상기 몸통부와 상기 내하체를 결합하는 연결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일측을 폐쇄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늘음량 조절부는 상기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일정 길이만큼 압축되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 또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고무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부와 상기 내하체의 결합시에 연결부위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막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하체는 상기 캡이 결합된 몸통부 내지 정착부를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삽입하여 인장선과 결합할 수 있는 일체형 내하체가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내하체(50)와 연결부(60,70)를 통하여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에 삽입되어 늘음량을 조절하는 늘음량 조절부(30); 상기 몸통부(20)에 삽입되어 인장선(80)과 결합하는 정착부(100,110); 상기 몸통부(20)와 내하체(50)를 결합하는 연결부(60,70); 상기 몸통부(20)의 일측과 결합되어 일측을 폐쇄하는 캡(10); 내하체(50); 및 PVC피복이 있는 강선; 즉 인장선(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20)는 내부에 상기 정착부와 늘음량 조절부(3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은 상기 캡(10)과 결합하는 나사홈과 타측은 상기 연결부의 니플(60)과 결합할 수 있는 나사홈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몸통부(20)는 늘음량 조절부(80)를 삽입한 후, 정착부(100,110)를 삽입하고 상기 캡(10)으로 몸통부(20)의 일측을 폐쇄하며, 이렇게 조립된 몸통부(20)는 연결부(60,70)를 이용하여 내하체(50)와 결합된다.
상기 정착부는 인장선 제거용 정착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장선 제거용 정착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은 실린더 캡(100)과 결합하는 나사홈;과 타측은 인장선(80)이 삽입될 수 있는 천공을 구비한 실린더(110); 상기 실린더(110) 내부로 삽입되어 실린더 천공을 통하여 삽입된 인장선(80)을 결속하는 분할 웨지(120); 상기 분할 웨지(120)는 2분할 내지 3분할로 웨지를 형성할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분할 웨지(120)가 상기 실린더(110)의 내측면과 접촉시에 상기 분할 웨지(120)의 접촉면과 실린더(110)의 내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 웨지(120)의 실린더(110)의 내측면과의 접촉하는 외측면에 테이핑 처리를 한다. 상기 테이핑 처리를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접착수단으로 사용되는 일면에 접착성 물질이 첨부된 접착테잎(125)을 상기 분할 웨지의 외측면에 접착시킨다.
상기 접착테잎(125)은 어느 특정된 접착테잎의 형태 내지 소재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분할 웨지(120)의 접촉면과 실린더(110)의 내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분할 웨지(120)와 결합되어 인장선(80)의 인장력 제거로 인하여 발생한 반발력으로 상기 분할 웨지(120)를 견인하는 견인부(130); 상기 견인부(130) 천공에 삽입되는 멈춤 뭉치(140); 멈춤 스프링(150);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상기 견인부(130)의 후퇴를 막는 스프링(160); 및 상기 멈춤 뭉치(140)와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130)를 고정시키는 홈을 내측에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를 폐쇄하는 실린더 캡(100)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에서 견인부(130) 및 견인부 고정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는 니플(60)과 소켓(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장선 제거용 정착부와 주물을 소재로 하여 내부에 인장선(80)이 삽입되는 내하체(50)를 연결시켜 주는 체결수단으로 니플(60)과 소켓(70)을 이용한다. 니플(60)과 소켓(70)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안에서 인장선 피복은 소켓(70)까지만 삽입이 되며, 니플(60)이후에는 인장선만 삽입이 되고, 인장선 피복은 소켓(70)내부 니플(60)의 턱에 걸린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니플(60)과 소켓(70)이 일체된 일체형 연결부(6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부(20)와 내하체(50)를 상기 연결부를 이용하여 결합 시에 연결부의 니플(60) 및 상기 내하체(50)에 삽입된 니플(60)과 소켓(70)이 결합된 부위에 패킹부(40)를 부가하여, 외부로부터 모르타르 내지 수분 등이 상기 몸통부(20) 및 내하체(50)가 연결부와 결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몸통부(20)로 유입이 되어 부식 내지 모르타르로 인한 고착으로 인하여 인장선(80)을 제거하는 인발작업 시에 원할이 인장선(80)이 정착부 내지 내하체(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킹부(40)는 특히, 탄력성이 있는 고무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르타르 내지 수분의 유입을 막을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내하체(50)는 주물을 소재로 하여 내부 중심에 인장선(80)을 삽입하는 형태의 내하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주물로된 내하체는 정착시 인장선을 내하체의 외부에 설치함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내하체와 인장선이 결합된 외부를 별도의 밴딩처리를 해야하며 고정시키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내하체(50)는 인장선을 내부에 삽입하는 형태이므로 별도의 밴딩처리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몸통부 내지 정착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일체형 내하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도 8내지 도 12에서 상기 일체형 내하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늘음량 조절부(30)는 상기 몸통부(20)에 삽입되어 상기 정착부와 인장선(80)이 결합된 중간에 위치하여 인장선(80)의 늘음량을 조절한다. 늘음량 조절의 원리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늘음량 조절부(40)는 스프링 내지 고무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과 고무탄성체는 인장선에 일정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기존에 계산된 양만큼 압축하여 인장선의 늘음량을 보정할 수 있도록 제작이 된다.
예를 들어 10m의 인장선에 10ton의 하중이 걸릴 경우, 상기 스프링 내지 고무탄성체가 2cm압축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을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늘음량을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장전 앵커시스템의 인장선 자유길이는 L1과 L2이며, 동시 인장으로 인하여 늘어난 인장선의 길이가 L4, 두 인장선의 길이차이가 L3이 된다.
두 인장선이 한조를 이루는 경우, 인장선의 탄성 신장량 U는 인장선의 걸리는 하중을 P, 인장된 인장선의 길이를 L, 인장선 한조의 전단면적을 A, 인장선 2본으로 이루어진 한조의 탄성계수를 K라 하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탄성 신장량을 실시예를 통하여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이 36ton, 인장된 인장선의 길이 L1+L4, L2+L4가 각각 14m, 11m, 인장선의 전단면적을 0.987㎤, 인장선 2본으로 이루어진 1조의 탄성계수를 ㎏/㎤이라 하면, 각각의 인장선의 탄성 신장량 U1과 U2는 다음과 같다.
상기 수학식 2 및 3에서 알수 있듯이 동일한 하중이 각각 길이가 다른 인장선에 걸리는 경우 상기 조건에서 탄성 신장량이 1.31cm차이가 남을 알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탄성 신장량의 차이로 인하여 앵커시스템 시공 시에 동시인장이 불가능하며, 각각에 대하여 인장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은 상기 탄성 신장량의 차이를 스프링 내지 탄성 고무체를 이용하여 인장시 보정을 하여 모든 인장선에 대한 동시인장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늘음량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탄성 신장량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몸통부(20) 내부에 늘음량 조절부(30)를 삽입하여 인장선(80)과 정착구를 결속시킨다.
상기 인장선(80)이 인장되기 전에는 L5 길이를 갖는 늘음량 조절부(30)가 인장선(80)의 인장으로 인하여 미리 계산된 압출률에 따라 압축이 되도록 제작되어 L6 길이로 압축이 된다.
결국 상기 탄성 신장량의 차이를 L5와 L6의 길이차로 보정을 한다.
상기 계산식 조건에 따른면 L5와 L6의 길이 차이는 1.31cm이 된다. 결국 늘음량 조절부가 1.31cm만큼 압축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부의 부품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견인부(130)는 상기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 정착부의 분할 웨지((120)와 결합되어, 인장선을 해체시에 인장선의 반발력으로 분할 웨지(120)를 견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멈춤 뭉치(140)와 멈춤 스프링(150)은 상기 견인부(130)에 구비된 천공에 삽입이 되어 상기 견인부(130)가 인장선의 해체시 작용하는 반발력으로 인하여 분할 웨지를 견인한 후, 반발력 제거로 분할 웨지가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인해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부의 인장선 해체시 견인부의 걸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장선(80)의 인장으로 인하여, 늘음량 조절부(30)가 압축되어 정착부와 인장선(80)이 결속되어 앵커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에서 인장선(80)을 제거 하기 위하여 인장선에 부여된 하중을 제거하는 경우, 인장선(80)은 반발력이 생기고, 상기 반발력은 견인부(130)의 후퇴를 막는 스프링(160)을 압축하고 압축과 동시에 분할 웨지와 결합되어 있는 견인부(130)는 후퇴를 하게된다. 상기 견인부(130)의 후퇴시에 견인부에 삽입되어 있는 멈춤 뭉치(140)는 실린더 캡(100)의 내벽에 의해 돌출이 구속된 상태에서, 실린더 캡(100)의 내벽에 형성된 홈이 위치한 곳까지 견인부(130)가 후퇴를 하면, 상기 구속이 풀리게 되고, 상기 멈춤 뭉치(140)를 밀어내고 있던 멈춤 스프링(150)에 의해 상기 멈춤 뭉치(140)가 돌출이 되어 상기 실린더 캡(100)에 형성된 홈에 삽입이 되고 이로인해 인장선(80)의 반발력이 사라진 후에도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한 견인부(130)의 복귀를 막을 수가 있다.
결국, 분할 웨지의 인장선과의 결속력은 사라지고 인장선을 정착부로 부터 제거할 수가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내하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함형 내하체의 조립 외관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으로 나누어지는 포함형 내하체(800);와 상기 포함형 내하체(800)에 삽입되어 정착부로 결속이 되는 피복이 씌워진 인장선(80); 및 상기 반으로 나누어지는 포함형 내하체를 결속하여 포함형 내하체의 분리를 막는 밴딩선(810);으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함형 내하체의 일부분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포함형 내하체(800)는 동일한 형태를 같고 두개의 부분이 결합하여 하나의 포함형 내하체를 이루는 포함형 내하체 일부(900)는 내부에 캡이 결합된 몸통부 내지 정착부를 포함시킬수 있는 공간(920)과 인장선 및 연결부가 삽입되는 공간(930)과 상기 삽입된 연결부가 정착되는 걸림턱(940) 및 상기 포함형 내하체 일부(900)에 상기 인장선, 연결부 및 캡이 결합된 몸통부 내지 정착부가 조립되고, 조립된 후 상기 포함형 내하체의 분리를 막는 밴딩처리를 하기위한 밴딩선(810)이 걸리는 밴딩홈(910)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함형 내하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늘음량 조절부 및 정착부를 포함하여 캡과 결합된 몸통부(300)가 니플(60)과 소켓(70)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내지 도 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니플(60)과 소켓(70)이 상기 도 3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65)와 결합되어 인장선과 조립되어 포함형 내하체(800)에 포함된다. 이때 모르타르 내지 수분이 상기 캡이 결합된 몸통부(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40)를 추가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조립된 포함형 내하체(800)는 밴딩선(810)에 의하여 조립된 포함형 내하체(800)를 고정하여 분리를 막는다.
상기 도 10에서는 인장선 2선이 삽입되어 1조를 이루는 포함형 내하체 형태만 도시하였으나, 한선으로 이루어진 형태 또한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내하체의 조립 외관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형 내하체(1100)는 내하체를 제작시에 캡이 결합된 몸통부(300) 내지 정착부를 옆측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인장선(80)이 삽입될 수 있는 천공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11에서 알수 있듯이 캡이 결합된 몸통부(300) 또는 정착부는 삽입형 내하체(1100)의 옆측에 구비된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형 내하체(1100)에 구비되어 인장선이 삽입되는 천공을 통하여 삽입된 인장선(80)과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내하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늘음량 조절부 및 정착부를 포함하여 캡과 결합된 몸통부(300)가 니플(60)과 소켓(70)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내지 도 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니플(60)과 소켓(70)이 상기 도 3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65)와 결합되어 인장선과 조립되어 삽입형 내하체(1100)에 포함된다. 이때 모르타르 내지 수분이 상기 캡이 결합된 몸통부(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40)를 추가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12에서는 인장선 2선이 삽입되어 1조를 이루는 포함형 내하체 형태만 도시하였으나, 한선으로 이루어진 형태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시스템에 탄성 신장량을 보정할 수 있는 늘음량 조절부를 구비하여 늘음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인장이 없이도 동시에 모든 인장선을 인장할 수가 있어 앵커시스템의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사전에 계산된 양에 따라 일정한 길이의 앵커시스템의 제작이 가능하여 동시인장시 작업 효율 및 규격화를 통한 기계적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견인부 내부에 걸림 뭉치와 걸림 스프링을 구비하여 앵커시스템 제작시에 몸통부 가공의 간편함과 몸통부의 내측 직경과 삽입된 정착부의 직경과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 인하여 기계적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내하체를 포함형 내지 삽입형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내하체를 사용하여 캡이 결합된 몸통부 내지 정착부를 포함하거나 삽입하여 지반의 앵커시스템을 삽입하기 위한 천공에 앵커시스템 삽입 시에 상기 캡이 결합된 몸통부 내지 정착부가 삽입과정에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U-턴 앵커시스템 및 제거식 앵커시스템의 조립된 형태를 보이는 실시도.
도 2는 종래의 앵커시스템의 인장시에 인장선에 걸리는 하중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늘음량을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늘음량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부의 부품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부의 인장선 해체시 견인부의 걸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함형 내하체의 조립 외관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함형 내하체의 일부분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함형 내하체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내하체의 조립 외관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내하체의 단면도.

Claims (9)

  1.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선(80), 상기 인장선(80)의 말단과 결합하여 인장선(80)과 결합 및 분리를 하는 정착부 및 상기 정착부에 결합되어 정착장을 형성하는 내하체(50)로 이루어진 인장선 제거식 앵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일측면은 상기 인장선(80)이 관통하는 중앙 부위만 개방되고, 타측면은 완전히 개방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몸통부(20) 내로 삽입된 인장선(80)과 상기 인장선과 결합하는 정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인장선의 늘음량을 조절하는 늘음량 조절부(30);
    상기 몸통부(20)의 내부 공간에 늘음량 조절부(30) 및 정착부가 삽입된 후에 상기 몸통부(20)와 결합하여 상기 개방된 타측면을 폐쇄하는 캡(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늘음량 조절부(30)는
    상기 인장선(80)에 부가될 하중에 해당하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늘음량 조절부(30)는
    상기 인장선(80)에 부가될 하중에 해당하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고무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와 상기 내하체(50)의 결합시에 연결부위를 통한 외부로 부터 몸통부(2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막는 패킹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실린더 캡(100)의 내측에 홈을 형성하고,
    분할 웨지(120)와 결합하여 인장선(80)의 후퇴 시에 분할 웨지(120)와 함께 후퇴하는 견인부(130)의 내부에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견인부(130) 내부에 형성된 천공에 상기 실린더 캡(100)의 내측 홈에 걸리는 멈춤 뭉치(140)와 상기 멈춤 뭉치(140)를 밀어내는 멈춤 스프링(1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웨지(120)는
    실린더(110) 내벽과 분할 웨지(120)의 접촉면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테이핑 처리를 하기 위한 접착테잎(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체(50)는
    동일한 형태의 두편으로 형성되며, 그 한편(900)의 형태는 반원통 형태로 내부에 상기 인장선(80)이 삽입될수 있는 홈(930); 상기 홈(930)으로 연결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940); 상기 캡이 결합된 몸통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920); 및 조립된 내하체를 밴딩처리하기 위한 밴딩홈(9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하체(50)는
    일체형의 하나의 몸체에 인장선이 삽입될 수 있는 천공; 상기 연결부가 상기 천공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내하체의 측면에 상기 캡이 결합된 몸통부를 삽입하여 상기 인장선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2002-0029567A 2002-05-28 2002-05-28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047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567A KR100472135B1 (ko) 2002-05-28 2002-05-28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AU2002306135A AU2002306135A1 (en) 2002-05-28 2002-06-03 Anchor system for elongation control
JP2004507612A JP3899102B2 (ja) 2002-05-28 2002-06-03 伸び量調節アンカーシステム
PCT/KR2002/001056 WO2003100177A1 (en) 2002-05-28 2002-06-03 Anchor system for elongat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567A KR100472135B1 (ko) 2002-05-28 2002-05-28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492A KR20030091492A (ko) 2003-12-03
KR100472135B1 true KR100472135B1 (ko) 2005-03-08

Family

ID=2957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567A KR100472135B1 (ko) 2002-05-28 2002-05-28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99102B2 (ko)
KR (1) KR100472135B1 (ko)
AU (1) AU2002306135A1 (ko)
WO (1) WO20031001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284A (ko) 2021-03-29 2022-10-07 강승원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3344B2 (en) * 2002-07-04 2010-11-02 Daeyoung PC.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 members for use in anchor method
KR100479569B1 (ko) * 2002-10-17 2005-04-06 박병구 고정링과 조절판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DE102005010957A1 (de) 2005-03-10 2006-09-14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pannen eines Stufenankers
JP4663502B2 (ja) * 2005-12-07 2011-04-06 野崎 力 アンカーの定着具
JP2009114626A (ja) * 2007-11-01 2009-05-28 Tobishima Corp 縦列多段式アンカー
KR101442761B1 (ko) * 2014-02-25 2014-09-23 (주) 포유엔지니어링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JP7235578B2 (ja) * 2019-04-24 2023-03-08 エイチ・アール・ディー・シンガポール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住宅の浮上防止装置及びこの浮上防止装置による住宅の浮上防止構造並びに該浮上防止装置を備えた住宅
KR102381797B1 (ko) * 2020-09-28 2022-04-01 유세진 지반보강용 강선와이어의 자동 인장보정수단 및 이를 통한 인장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729A (ja) * 1992-04-17 1993-11-09 Japan Found Eng Co Ltd 除去アンカー
JPH06287949A (ja) * 1993-04-02 1994-10-11 Tokyu Constr Co Ltd Frpケーブルの定着装置
JPH0978835A (ja) * 1995-09-12 1997-03-25 Hikari Kogyo Kk 圧力分散装置
KR100329727B1 (ko) * 1999-06-23 2002-03-25 신종덕 정압 연선 인장 실린더
KR200276628Y1 (ko) * 2002-02-28 2002-05-25 박병구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KR20020042404A (ko) * 2001-08-29 2002-06-05 박병구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20030052233A (ko) * 2002-06-26 2003-06-26 박병구 인장재 중심선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1367B2 (ja) * 1990-04-23 1999-01-27 日本基礎技術株式会社 除去アンカー
GB9214006D0 (en) * 1992-07-01 1992-08-12 Keller Ltd Removable ground anchor
DE19626828C2 (de) * 1996-07-04 1998-07-09 Brueckner Grundbau Gmbh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s rückbaubaren Verpreßankers mit einem Verpreßkörper und einem oder mehreren angeschlossenen Zuggliedern
JP2000204550A (ja) * 1999-01-18 2000-07-25 Kanamori Tohei Shoji Kk 引張材の緊張装置及び緊張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729A (ja) * 1992-04-17 1993-11-09 Japan Found Eng Co Ltd 除去アンカー
JPH06287949A (ja) * 1993-04-02 1994-10-11 Tokyu Constr Co Ltd Frpケーブルの定着装置
JPH0978835A (ja) * 1995-09-12 1997-03-25 Hikari Kogyo Kk 圧力分散装置
KR100329727B1 (ko) * 1999-06-23 2002-03-25 신종덕 정압 연선 인장 실린더
KR20020042404A (ko) * 2001-08-29 2002-06-05 박병구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200276628Y1 (ko) * 2002-02-28 2002-05-25 박병구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KR20030052233A (ko) * 2002-06-26 2003-06-26 박병구 인장재 중심선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284A (ko) 2021-03-29 2022-10-07 강승원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99102B2 (ja) 2007-03-28
WO2003100177A1 (en) 2003-12-04
AU2002306135A1 (en) 2003-12-12
JP2005527722A (ja) 2005-09-15
KR20030091492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135B1 (ko)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KR100715633B1 (ko) 앵커용 내부정착제
KR100746879B1 (ko) 지압식 영구 앵커
KR100463269B1 (ko)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100591367B1 (ko) 사면보강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사면보강조립체
KR20050017160A (ko)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고강성 앵커
KR20090032599A (ko) 경사지반 표면 압착 보강구조 및 경사지반 표면 압착보강공법
KR100479569B1 (ko) 고정링과 조절판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200344958Y1 (ko) 웨찌콘 스프링과 웨찌 인발 스프링을 이용한 인장재제거식 앵커 해드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KR100463267B1 (ko) 인장재 중심선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101809443B1 (ko) 타격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 분리 및 회수공법
KR102225888B1 (ko) 경사면의 최대 확장성을 적용한 쐐기 지압형 앵커
KR100873738B1 (ko) 연약지반 보강 앵커
JP2003090040A (ja) アンカー引張材及びアンカーの構築方法
KR100847080B1 (ko) 재 인장이 가능한 인장선 제거식 앵커 헤드
KR100435070B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
EP3624287B1 (en) Anti-theft system for power lines
KR20030091920A (ko) 웨찌콘 스프링과 웨찌 인발 스프링을 이용한 인장재제거식 앵커 해드
KR102060423B1 (ko) 탄성 가압장치, 이를 이용한 다철근 네일체 설치 구조 및 소일네일링 공법
KR20020014647A (ko) 제거식 앙카체용 쐐기를 이용한 앙카체 및 이를 이용한 제거 앙카 공법
KR20050031078A (ko)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KR20020085119A (ko) 파이프 튜브 패커를 이용한 지반확장형 연약지반 앵커 및그 앵커를 이용한 굴착공사에서의 네일링 공법
KR101552466B1 (ko) 자중식 지반밀착형 인발저항콘과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18

Effective date: 2006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278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18

Effective date: 20061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