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761B1 -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 Google Patents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761B1
KR101442761B1 KR1020140021912A KR20140021912A KR101442761B1 KR 101442761 B1 KR101442761 B1 KR 101442761B1 KR 1020140021912 A KR1020140021912 A KR 1020140021912A KR 20140021912 A KR20140021912 A KR 20140021912A KR 101442761 B1 KR101442761 B1 KR 101442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fixture
steel bar
load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filed Critical (주) 포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2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부상 방지 앵커를 시공할 필요 없이, 충분한 인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강봉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상기 PHC 파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강봉의 상측에서 기초판으로 연장되는 인장 부재; 상기 강봉의 돌출부를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결합공을 가지는 내측 고정구; 상기 내측 고정구를 일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를 타측에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을 가지는 외측 고정구; 및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면과 상기 내측 고정구의 상단면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와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Apparatus for reinforcing PHC file head}
본 발명은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을 세울 때, 지반의 조건이나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PHC 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th Concrete Pile)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러한 PHC 파일은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인장된 상태로 내설된 PC 강봉(prestressing steel bar)으로 인해, 강한 하중 지지력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PHC 파일(40)이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 및 그 방법은, 복수 개의 철근(두부 보강 철근)(20)을 원형으로 배치하고 이들에 연결된 중공판 마개(10)를 PHC 파일의 중공부에 삽입하고, 중공부에 속채움 콘크리트(3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는, 기초 콘크리트(51)와 속채움 콘크리트(30)가 일체화되어 있고, 복수 개의 철근(20)에 연결된 기초판(50)이 속채움 콘크리트(30)에 매설된 복수 개의 철근(20)를 인발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이로 인해 두부 보강 기구가 PHC 파일(40)과 슬립되며, 또한 기초판(50)에 소정의 하중(인발력) 작용시 기초판(50)에 매설된 복수개의 철근(20)이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인발 저항력에 한계를 보이고, 또한 복수 개의 철근(20)이 인발되어 속채움 콘크리트(30)가 파괴되며 팽창하여, PHC 파일이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이러한 두부 보강 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추가하여, 지반에 다수의 부상(浮上) 방지 앵커(미도시)를 현장에 별도로 시공하여 보강하고 있었으나, 이는 공사 비용을 대폭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는 기초판(50)에 부력이 발생할 경우(이 경우 파일에는 인발력이 발생), 복수 개의 철근(2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이때 속채움 콘크리트(30)가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팽창 또는 균열하여 PHC 파일(40)의 내벽에 균열 및 파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부상 방지 앵커를 시공할 필요 없이, 충분한 인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기술적 과제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강봉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상기 PHC 파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강봉의 상측에서 기초판으로 연장되는 인장 부재; 상기 강봉의 돌출부를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결합공을 가지는 내측 고정구; 상기 내측 고정구를 일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를 타측에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을 가지는 외측 고정구; 및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면과 상기 내측 고정구의 상단면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와셔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고정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할 수 있고, 상기 외측 고정구의 상기 체결공의 상기 일측은 상기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에는 체결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측 고정구의 상기 체결공의 상기 타측에는 체결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고정구의 상기 결합공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HC 파일의 상단면과 상기 외측 고정구의 하단면 사이에 실링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판에 미치는 인발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지지부는,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하중 지지판; 및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하중 지지판을 고정하는 지지판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고정구는,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는 형성되는 고정 수나사; 상기 하중 지지판에 관통되어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통과공; 및 상기 하중 지지판을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수나사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고정구는, 상기 하중 지지판의 저면과 상기 인장 부재의 상기 고정 수나사의 경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장 부재, 내측 고정구 및 외측 고정구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두부 보강 효과 이외에도 부상 방지 앵커가 가지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지반에 부상(浮上) 방지 앵커를 현장에 별도로 시공하여 보강할 필요가 없어, 공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 와셔를 제공하므로, 인장 부재의 하단부가 외측 고정구의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면서 내측 고정구를 하방향을 미는 동안 강봉의 돌출부가 내측 고정구의 상면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여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중 지지부를 더 제공하므로, 기초판에 미치는 인발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PHC 파일의 상단면과 외측 고정구의 하단면 사이에 구비된 실링 부재에 의해, 기초판에 인발력이 작용시 PHC 파일의 상단면과 외측 고정구의 하단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틈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강봉이 부식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가 파일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중공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강봉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가 파일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43)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강봉(41)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42)을 구비하는 PHC 파일(40)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인장 부재(100)와, 내측 고정구(200)와, 외측 고정구(300)와, 그리고 중간 와셔(400)를 포함한다.
인장 부재(100)는 PHC 파일(4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된 강봉(41)(예컨대, PC강봉)의 상측에서 기초판(50)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인장 부재(100)는 두부를 보강하는 역할과 함께 기초판(50)을 통해 작용된 인발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장 부재(100)는 철근 또는 PC강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 고정구(200)는 강봉(41)의 돌출부(41a)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결합공(210)을 가진다. 또한, 결합공(210)의 내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모양의 돌기부(211)가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만약,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톱니 모양의 돌기부(211)가 형성될 경우 내측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의 내주면과 강봉(41)의 돌출부(41a)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내측 고정구(2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wedge shape)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쐐기 형상의 내측 고정구(200)는 특수강 재질로 열처리되며 강봉(41)보다 강한 재질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장 부재(100)에 인발력이 작용할 때 내측 고정구(200)의 톱니 모양의 돌기부(211)가 강봉(41)의 외주면에 파고 들면서 이들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외측 고정구(300)는 내측 고정구(200)를 일측에 완전히 수용하여 결합시킴과 함께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를 타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공(310)을 가진다. 즉, 체결공(310)의 하반부에는 내측 고정구(200)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체결공(310)의 상반부에는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내측 고정구(200)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가질 경우, 외측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의 하반부 또한 상기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쐐기 형상을 가지므로 내측 고정구(200)가 체결공(310)에 점점 깊숙히 들어 갈수록 내측 고정구(200)는 단단히 조여질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내측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결합된 강봉(41)의 돌출부(41a) 또한 그 조임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외측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의 상반부와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는 나사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외측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의 하반부에는 체결 암나사(311)가 형성되고,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에는 체결 암나사(311)에 상응하도록 체결 수나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와셔(400)는 인장 부재(100)의 하단면과 내측 고정구(200)의 상단면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가 외측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에 나사 체결되면서 내측 고정구(200)를 하방향으로 미는 동안, 강봉(41)의 돌출부(41a)가 내측 고정구(200)의 상면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여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내측 고정구(200)의 상면으로 강봉(41)이 돌출되어야 체결 후 슬라이딩 발생시 체결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중간 와셔(400)의 중심에는 강봉(41)의 돌출부(41a)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PHC 파일(40)의 상단면과 외측 고정구(300)의 하단면 사이에 실링 부재(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초판(50)에 인발력이 작용하면 PHC 파일(40)의 상단면과 외측 고정구(300)의 하단면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벌어진 틈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강봉(41)이 부식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500)는 탄성이 있는 고무링(패킹)일 수 있다. 특히, 고무링은 스펀지 또는 방진고무처럼 방수성과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 지지부(600)는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기초판(50)에 미치는 인발 하중(아래에서 위로 작용하는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하중 지지부(6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중 지지부(6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610)과 지지판 고정구(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지지판(610)은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하중 지지판(610)은, 인발 하중을 제대로 지지하기 위해 인장 부재(100)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또한, 하중 지지판(610)의 크기(예컨대, 지름)는 인장 부재(100)의 전체 길이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지지판 고정구(620)는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와 하중 지지판(610)을 고정한다. 예를 들어, 지지판 고정구(6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수나사(621)와, 하중 지지판(610)에 관통되어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통과공(622)과, 하중 지지판(610)을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 수나사(621)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62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너트(623)를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의 고정 수나사(621)에 임팩트 렌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체결하면, 하중 지지판(610)이 고정되고, 하중 지지판(610)이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임팩트 렌치를 돌리면,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가 외측 고정구(300)에 회전되면서 체결되고, 쐐기 형상의 내측 고정구(200)를 아래로 깊숙히 밀어 넣어 내측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강봉(41)의 돌출부(41a)가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나아가, 임팩트 렌치를 이용할 경우 일정한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토크 검사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지지판 고정구(620)는, 하중 지지판(610)의 저면과 인장 부재(100)의 고정 수나사(621)의 경계면(111)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와셔(6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와셔(624)는 하중 지지판(610)과 인장 부재(100)의 고정 수나사(621)의 경계면(111) 사이에 미끄럼을 방지하고, 고정 너트(623)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이용하여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중공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강봉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40)이 항타된 상태에서, 두부 정리를 위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40)의 두부를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원커팅하고, 강봉(41)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기둥(42)의 내벽 및 외벽을 강봉(41) 부근까지 절단한 후 콘크리트 제거한다. 참고로, 도 3의 (b)에서, 'I' 표시는 원커팅된 PHC 파일(40)의 두부를 나타내고, 'II' 표시는 콘크리트 기둥(42)의 내벽 및 외벽을 강봉(41) 부근까지 절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40)을 보강하기 위한 인장 부재(100)(예컨대, 보강 철근)와의 이음길이를 확보한다. 참고로, 두부 정리라 함은 PHC 파일(40)을 선단 지지층까지 박고 나면 지면 쪽으로 남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계획선 레벨까지만 남기고 나머지는 절단하고 보강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 후, PHC 파일(40)의 중공부(43)에 중공 막음판(700)을 설치한다.
다음,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노출된 강봉(41)에 외측 고정구(300), 내측 고정구(200), 중간 와셔(400) 및 인장 부재(100)를 각각 조립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40)의 상단면에 실링 부재(500)를 올려 놓고 그 위에 외측 고정구(300)를 올려 놓은 후, 쐐기 형상의 내측 고정구(200)를 외측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에 수용시켜 하방향으로 내린다. 이 때, 내측 고정구(200)의 결합공(210)과 강봉(41)의 돌출부(41a)가 결합된다. 그리고,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를 외측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에 고정 와셔(624)를 끼우고 그 위에 하중 지지판(610)을 끼운 후 그 위에 고정 너트(623)를 체결한다. 이때 고정 너트(623)를 임팩트 렌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돌리면 하중 지지판(610)이 인장 부재(100)의 상단부에 단단히 고정되고, 하중 지지판(610)이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임팩트 렌치를 돌리면,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가 외측 고정구(300)에 회전되면서 더욱 더 체결되고, 쐐기 형상의 내측 고정구(200)를 아래로 깊숙히 밀어 넣어 내측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강봉(41)의 돌출부(41a)가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계속해서, 임팩트 렌치가 해당 토크 값을 가질 때까지 임팩트 렌치를 회전시키면 된다.
다음,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인장 부재(100)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원형 띠철근(전단 보강 철근)(800)을 배치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도 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51) 및 속채움 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장 부재(100), 내측 고정구(200) 및 외측 고정구(300)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두부 보강 효과 이외에도 부상 방지 앵커가 가지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지반에 부상(浮上) 방지 앵커를 현장에 별도로 시공하여 보강할 필요가 없어, 공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 와셔(400)를 제공하므로,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가 외측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에 나사 체결되면서 내측 고정구(200)를 하방향을 미는 동안 강봉(41)의 돌출부(41a)가 내측 고정구(200)의 상면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여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중 지지부(600)를 더 제공하므로, 기초판(50)에 미치는 인발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40: PHC 파일 41: 강봉
41a: 강봉의 돌출부 42: 콘크리트 기둥
43: 중공부 50: 기초판
100: 인장 부재 101: 체결 수나사
111: 경계면 200: 내측 고정구
210: 결합공 211: 톱니 모양의 돌기부
300: 외측 고정구 310: 체결공
311: 체결 암나사 400: 중간 와셔
410: 삽입공 500; 실링 부재
600: 하중 지지부 610: 하중 지지판
620: 지지판 고정구 621: 고정 수나사
622: 통과공 623: 고정 너트
624: 고정 와셔

Claims (9)

  1. 중공부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강봉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상기 PHC 파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강봉의 상측에서 기초판으로 향하는 봉 형상의 인장 부재;
    상기 강봉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결합공을 가지는 내측 고정구;
    상기 내측 고정구를 일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를 타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을 가지는 외측 고정구; 및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면과 상기 내측 고정구의 상단면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 부재와 상기 강봉은 분리되고,
    상기 인장 부재와 상기 강봉은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 상기 외측 고정구 및 상기 내측 고정구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중간 와셔는 상기 인장 부재와 상기 강봉이 결합되는 동안 상기 강봉의 돌출부가 상기 내측 고정구의 상면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면과 상기 강봉의 돌출부의 끝단면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PHC 파일의 상단면과 상기 외측 고정구의 하단면 사이에 실링 부재가 더 구비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내측 고정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하고,
    상기 외측 고정구의 상기 체결공의 상기 일측은 상기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3. 제1항에서,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에는 체결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고정구의 상기 체결공의 상기 타측에는 체결 암나사가 형성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4. 제1항에서,
    상기 내측 고정구의 상기 결합공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판에 미치는 인발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7. 제6항에서,
    상기 하중 지지부는,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하중 지지판; 및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하중 지지판을 고정하는 지지판 고정구를 포함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8. 제7항에서,
    상기 지지판 고정구는,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는 형성되는 고정 수나사;
    상기 하중 지지판에 관통되어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통과공; 및
    상기 하중 지지판을 상기 인장 부재의 상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수나사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9. 제8항에서,
    상기 지지판 고정구는,
    상기 하중 지지판의 저면과 상기 인장 부재의 상기 고정 수나사의 경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와셔를 더 포함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1020140021912A 2014-02-25 2014-02-25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10144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912A KR101442761B1 (ko) 2014-02-25 2014-02-25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912A KR101442761B1 (ko) 2014-02-25 2014-02-25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761B1 true KR101442761B1 (ko) 2014-09-23

Family

ID=5176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912A KR101442761B1 (ko) 2014-02-25 2014-02-25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492A (ko) * 2002-05-28 2003-12-03 박병구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20070109710A (ko) * 2006-05-12 2007-11-15 삼성물산 주식회사 Phc 말뚝의 두부보강을 통한 구조물의 양압력 방지구조
KR100953995B1 (ko) * 2009-07-01 2010-04-21 하영이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다구형 내부정착체
KR20110120434A (ko) * 2010-04-29 2011-11-04 한국토지주택공사 중공말뚝의 머리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중공말뚝과 기초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492A (ko) * 2002-05-28 2003-12-03 박병구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20070109710A (ko) * 2006-05-12 2007-11-15 삼성물산 주식회사 Phc 말뚝의 두부보강을 통한 구조물의 양압력 방지구조
KR100953995B1 (ko) * 2009-07-01 2010-04-21 하영이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다구형 내부정착체
KR20110120434A (ko) * 2010-04-29 2011-11-04 한국토지주택공사 중공말뚝의 머리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중공말뚝과 기초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7054C (en) Mechanical plug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6698980B2 (en) Rock stabiliz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90191007A1 (en) Resin Mixing and Cable Tensioning Device and Assembly for Cable Bolts
KR101453303B1 (ko) 재인장용 정착구
KR20040004847A (ko) 압축확장 지압형 어스앵커 정착체
AU2021204090B2 (en) Supporting post improvements
KR101442761B1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101489387B1 (ko)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KR100586078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KR20100115070A (ko) 와이어 정착용 앵커볼트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JP3960559B1 (ja) 受圧盤付き補強管、及び地表面の崩落防止工法、並びに斜面の補強工法
KR20160041673A (ko) 재인장이 용이한 영구 앵커 및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KR101683455B1 (ko) 인장재 제거 가능한 지반 고정 부재
KR100997673B1 (ko) 강연선을 교체할 수 있는 영구앵커 구조
KR20150107261A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101395867B1 (ko) 락볼트용 고정장치
KR20230003704A (ko)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20070068991A (ko) 바타입 앵커
KR200312752Y1 (ko) 네일 정착구조
KR101284182B1 (ko) 프리스트레스트를 이용한 지반강화 록볼트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03507B1 (ko) 중앙관이 구비된 압축형 앵커
KR20170065298A (ko) 어스 앵커용 정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