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261A -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 Google Patents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261A
KR20150107261A KR1020140029868A KR20140029868A KR20150107261A KR 20150107261 A KR20150107261 A KR 20150107261A KR 1020140029868 A KR1020140029868 A KR 1020140029868A KR 20140029868 A KR20140029868 A KR 20140029868A KR 20150107261 A KR20150107261 A KR 20150107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hole
fixture
head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filed Critical (주) 포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2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261A/ko
Publication of KR2015010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부상 방지 앵커를 시공할 필요 없이, 충분한 인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주철근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상기 PHC 파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주철근의 상측에서 기초판으로 연장되는 인장 부재; 상기 주철근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결합공을 가지는 하부 고정구;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을 가지는 상부 고정구; 및 상기 하부 고정구와 상기 상부 고정구를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Apparatus for reinforcing PHC file head}
본 발명은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PC강봉 사이사이에 철근이 추가 배치된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을 세울 때, 지반의 조건이나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PHC 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th Concrete Pile)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러한 PHC 파일은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인장된 상태로 내설된 PC 강봉(prestressing steel bar)으로 인해, 강한 하중 지지력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PHC 파일(40)이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 및 그 방법은, 복수 개의 철근(두부 보강 철근)(20)을 원형으로 배치하고 이들에 연결된 중공판 마개(10)를 PHC 파일의 중공부에 삽입하고, 중공부에 속채움 콘크리트(3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는, 기초 콘크리트(51)와 속채움 콘크리트(30)가 일체화되어 있고, 복수 개의 철근(20)에 연결된 기초판(50)이 속채움 콘크리트(30)에 매설된 복수 개의 철근(20)을 인발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이로 인해 두부 보강 기구가 PHC 파일(40)과 슬립되며, 또한 기초판(50)에 소정의 하중(인발력) 작용시 기초판(50)에 매설된 복수개의 철근(20)이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인발 저항력에 한계를 보이고, 또한 복수 개의 철근(20)이 인발되어 속채움 콘크리트(30)가 파괴되며 팽창하여, PHC 파일이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이러한 두부 보강 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추가하여, 지반에 다수의 부상(浮上) 방지 앵커(미도시)를 현장에 별도로 시공하여 보강하고 있었으나, 이는 공사 비용을 대폭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는 기초판(50)에 부력이 발생할 경우(이 경우 파일에는 인발력이 발생), 복수 개의 철근(2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이때 속채움 콘크리트(30)가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팽창 또는 균열하여 PHC 파일(40)의 내벽에 균열 및 파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부상 방지 앵커를 시공할 필요 없이, 충분한 인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기술적 과제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주철근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상기 PHC 파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주철근의 상측에서 기초판으로 연장되는 인장 부재; 상기 주철근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결합공을 가지는 하부 고정구;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을 가지는 상부 고정구; 및 상기 하부 고정구와 상기 상부 고정구를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하부 고정구를 수용하는 하부 수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둘레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 및 상기 상부 고정구를 수용하는 상부 수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응하도록 둘레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는 상기 하부 체결구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암나사는 상기 상부 체결구 중 상기 상부 수용공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체결구의 상기 하부 수용공의 일측은 상기 하부 고정구의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고정구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상부 체결구의 상기 상부 수용공의 일측은 상기 상부 고정구의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구의 상기 결합공 또는 상기 상부 고정구의 상기 체결공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장부재에 인발력이 작용할 때, 상기 돌기부가 상기 인장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에 걸려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장 부재, 하부 고정구, 상부 고정구 및 체결구를 제공하여 주철근에 인장 부재를 연결하므로, 기존의 두부 보강 효과 이외에도 부상 방지 앵커가 가지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지반에 부상(浮上) 방지 앵커를 현장에 별도로 시공하여 보강할 필요가 없어, 공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철근을 인장시키는 쐐기형상의 하부 고정구와 인장 부재를 고정시키는 쐐기 형상의 상부 고정구를 포함하는 양방향 고정 타입을 제공하여, PHC 파일의 상단부(두부)를 보강하므로, PHC 파일의 상단부(두부)에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인발력에 대한 저항력뿐만 아니라 PHC 파일의 상단부(두부)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 또는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쐐기 형상의 하부 고정구의 결합공에 주철근의 돌출부를 당겨 결합시키게 되면, 쐐기 형상의 하부 고정구가 쐐기 형상의 하부 체결구의 하부 수용공에 점점 깊숙히 들어가면서 주철근이 당겨진 상태로 하부 고정구의 결합공에 단단히 조여져 주철근의 인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PHC 파일의 두부의 취약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가 파일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중공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주철근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두부 보강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가 파일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43)를 구비하고 PC강봉(미도시) 사이사이에 주철근(41)이 추가 배치된 콘크리트 기둥(42)을 구비하는 PHC 파일(40)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인장 부재(100)와, 하부 고정구(200)와, 상부 고정구(300)와, 그리고 체결구(400)를 포함한다.
인장 부재(100)는 PHC 파일(4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된 주철근(41) 의 상측에서 기초판(50)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인장 부재(100)는 두부를 보강하는 역할과 함께 기초판(50)을 통해 작용된 인발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장 부재(100)는 철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고정구(200)는 주철근(41)의 돌출부(41a)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결합공(210)을 가진다. 또한, 결합공(210)의 내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모양의 제1 돌기부(211)가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만약,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톱니 모양의 제1 돌기부(211)가 형성될 경우 하부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의 내주면과 주철근(41)의 돌출부(41a)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하부 고정구(2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wedge shape)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쐐기 형상의 내측 고정구(200)는 특수강 재질로 열처리되며 주철근(41)보다 강한 재질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장 부재(100)에 인발력이 작용할 때 하부 고정구(200)의 톱니 모양의 제1 돌기부(211)가 주철근(41)의 외주면에 파고 들면서 이들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부 고정구(300)는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310)을 가진다. 또한, 체결공(310)의 내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모양의 제2 돌기부(311)가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만약, 체결공(310)의 내주면에 톱니 모양의 제2 돌기부(311)가 형성될 경우 상부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의 내주면과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부 고정구(300)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wedge shape)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쐐기 형상의 상부 고정구(300)는 특수강 재질로 열처리되며 인장 부재(100)보다 강한 재질로 할 수 있다. 특히, 인장 부재(100) 즉, 철근(100)에 인발력이 작용할 때 상부 고정구(300)의 톱니 모양의 제2 돌기부(311)가 인장 부재(100)의 외주면에 파고 들면서 철근(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리브, 마디)(도 1의 100a)에 걸려 이들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참고로, 철근(이형철근이라고 함)(100)의 표면에는 표면에 돌기(리브 또는 마디라고도 함)를 붙여 콘크리트 부착이 잘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결구(400)는 하부 고정구(200)와 상부 고정구(300)를 체결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체결구(4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체결구(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체결구(410)와 상부 체결구(420)를 포함한다.
하부 체결구(410)는 하부 고정구(200)를 수용하는 하부 수용공(41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둘레면에 수나사(412)가 형성된다. 특히, 하부 고정구(200)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가질 경우, 하부 체결구(410)의 하부 수용공(411)의 하반부 또한 상기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쐐기 형상을 가지므로, 하부 체결구(410)와 상부 체결구(420)가 서로 나사 체결되는 동안, 하부 고정구(200)가 하부 체결구(410)의 하부 수용공(411)에 점점 깊숙히 들어 가면서 하부 고정구(200)는 단단히 조여질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하부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결합된 주철근(41)의 돌출부(41a) 또한 그 조임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체결구(420)는 상부 고정구(300)를 수용하는 상부 수용공(42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술한 수나사(412)에 상응하도록 둘레면에 암나사(422)가 형성된다. 특히, 상부 고정구(300)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가질 경우, 상부 체결구(420)의 상부 수용공(421)의 상반부 또한 상기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쐐기 형상을 가지므로, 상부 체결구(420)와 하부 체결구(410)가 서로 나사 체결되는 동안, 상부 고정구(300)가 상부 체결구(420)의 상부 수용공(421)에 점점 깊숙히 들어 가면서 상부 고정구(300)는 단단히 조여질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상부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에 결합된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 또한 그 조임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수나사(412)는 하부 체결구(4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암나사(422)는 상부 체결구(420) 중 상부 수용공(42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체결구(420)와 하부 체결구(410)가 서로 체결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체결구(420)가 하부 체결구(410)의 상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상부 체결구(420)와 하부 체결구(410) 사이의 틈 또한 상부 체결구(420)의 내측에 위치되어 그 틈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두부 보강 기구는 인장 부재(100)가 강봉으로 구성되고, PHC 파일(40)의 주철근(41) 대신에 PHC 파일(40)의 PC 강봉(미도시)에 연장되는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를 이용하여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중공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주철근(41)이 내설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도면에 모든 과정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 3의 (a), (b), (c), (d)에서는 PHC 파일의 일측부 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고, 도 3의 (e) 및 (f)에서는 PHC 파일의 전체 부분을 나타내었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4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주철근(41)의 돌출부(41a)에 하부 체결구(410)의 하부 수용공(411)을 관통시키고, 하부 체결구(410)의 하부 수용공(411)에 쐐기 형상의 하부 고정구(200)를 수용시키면서 주철근(41)의 돌출부(41a)가 하부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관통되도록 한다.
다음,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으로 이루어진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에 상부 체결구(420)의 상부 수용공(421)을 관통시키고, 상부 체결구(420)의 상부 수용공(421)에 쐐기 형상의 상부 고정구(300)를 수용시키면서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가 상부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에 관통되도록 한다.
다음,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체결구(420)를 하부 체결구(410)에 위치시킨 후 상부 체결구(420)를 회전시키면서 상부 체결구(420)의 암나사(422)가 하부 체결구(410)의 수나사(412)에 체결되도록 한다.
다음,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체결구(420)가 하부 체결구(410)에 나사 체결되는 동안, 하부 고정구(200)가 하부 체결구(410)의 하부 수용공(411)에 점점 깊숙히 들어 가면서 하부 고정구(200)가 단단히 조여져 하부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결합된 주철근(41)의 돌출부(41a) 또한 그 조임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 고정구(300)가 상부 체결구(420)의 상부 수용공(421)에 점점 깊숙히 들어 가면서 상부 고정구(300)가 단단히 조여져 상부 고정구(300)의 체결공(310)에 결합된 인장 부재(100)의 하단부 또한 그 조임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이 후,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40)의 중공부(43)에 중공 막음판(700)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인장 부재(100)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원형 띠철근(전단 보강 철근)(800)을 배치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도 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51) 및 속채움 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장 부재(100), 하부 고정구(200), 상부 고정구(300) 및 체결구(400)를 제공하여 주철근(41)에 인장 부재(100)를 연결하므로, 기존의 두부 보강 효과 이외에도 부상 방지 앵커가 가지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지반에 부상(浮上) 방지 앵커를 현장에 별도로 시공하여 보강할 필요가 없어, 공사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철근(41)을 인장시키는 쐐기형상의 하부 고정구(200)와 인장 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쐐기 형상의 상부 고정구(300)를 포함하는 양방향 고정 타입을 제공하여, PHC 파일(40)의 상단부(두부)를 보강하므로, PHC 파일(40)의 상단부(두부)에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인발력에 대한 저항력뿐만 아니라 PHC 파일(40)의 상단부(두부)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 또는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쐐기 형상의 하부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주철근(41)의 돌출부(41a)를 당겨 결합시키게 되면, 쐐기 형상의 하부 고정구(200)가 쐐기 형상의 하부 체결구(410)의 하부 수용공(411)에 점점 깊숙히 들어가면서 주철근(41)이 당겨진 상태로 하부 고정구(200)의 결합공(210)에 단단히 조여져 주철근(41)의 인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PHC 파일(40)의 두부의 취약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40: PHC 파일 41: 주철근
41a: 주철근의 돌출부 42: 콘크리트 기둥
43: 중공부 50: 기초판
100: 인장 부재 200: 하부 고정구
210: 결합공 211: 제1 돌기부
300: 상부 고정구 310: 체결공
311: 제2 돌기부 400: 체결구
410: 하부 체결구 411: 하부 수용공
412: 수나사 420: 상부 체결구
421: 상부 수용공 422: 암나사

Claims (5)

  1. 중공부를 구비하고, PC강봉 사이사이에 주철근이 추가 배치된 콘크리트 기둥을 구비하는 PHC 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기구로서,
    상기 PHC 파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주철근의 상측에서 기초판으로 연장되고 철근으로 구성된 인장 부재;
    상기 주철근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결합공을 가지는 하부 고정구;
    상기 인장 부재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을 가지는 상부 고정구; 및
    상기 하부 고정구와 상기 상부 고정구를 체결하는 체결구
    를 포함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하부 고정구를 수용하는 하부 수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둘레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체결구; 및
    상기 상부 고정구를 수용하는 상부 수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응하도록 둘레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체결구를 포함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3. 제2항에서,
    상기 수나사는 상기 하부 체결구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는 상기 상부 체결구 중 상기 상부 수용공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4. 제2항에서,
    상기 하부 고정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하고,
    상기 하부 체결구의 상기 하부 수용공의 일측은 상기 하부 고정구의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하고,
    상기 상부 고정구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하고,
    상기 상부 체결구의 상기 상부 수용공의 일측은 상기 상부 고정구의 쐐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5. 제4항에서,
    상기 하부 고정구의 상기 결합공 또는 상기 상부 고정구의 상기 체결공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장부재에 인발력이 작용할 때, 상기 돌기부가 상기 인장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에 걸려 마찰력이 증대되는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1020140029868A 2014-03-13 2014-03-13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20150107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68A KR20150107261A (ko) 2014-03-13 2014-03-13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68A KR20150107261A (ko) 2014-03-13 2014-03-13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61A true KR20150107261A (ko) 2015-09-23

Family

ID=5424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868A KR20150107261A (ko) 2014-03-13 2014-03-13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2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1314A (zh) * 2019-11-21 2020-02-0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预应力钢管灌注桩的双层挤压式锚板及连接构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1314A (zh) * 2019-11-21 2020-02-0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预应力钢管灌注桩的双层挤压式锚板及连接构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303B1 (ko) 재인장용 정착구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463231B1 (ko)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
KR20130092356A (ko) 앵커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6233498A (ja) 落橋防止装置
KR100903751B1 (ko)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101522390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KR20150107261A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101598339B1 (ko)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KR101508751B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632285B1 (ko) 재인장이 용이한 영구 앵커 및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KR101041565B1 (ko)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JP2011043025A (ja)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873738B1 (ko) 연약지반 보강 앵커
KR101474530B1 (ko) 쐐기정착부 작용력에 의한 확장 지압형 앵커체
KR20230003704A (ko)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101442761B1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KR100750762B1 (ko) 잭킹유닛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US7162843B2 (en) Bolts with connected anchor
KR20190065651A (ko) 와이어로프의 고정력을 개선한 낙석방지망
KR100898012B1 (ko) 안전망 설치용 앵커
JP2006112189A (ja) 緊張材定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