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628Y1 -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 Google Patents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628Y1
KR200276628Y1 KR2020020006091U KR20020006091U KR200276628Y1 KR 200276628 Y1 KR200276628 Y1 KR 200276628Y1 KR 2020020006091 U KR2020020006091 U KR 2020020006091U KR 20020006091 U KR20020006091 U KR 20020006091U KR 200276628 Y1 KR200276628 Y1 KR 200276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anchorage
split wedge
anchor structure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구
서병운
Original Assignee
박병구
서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구, 서병운 filed Critical 박병구
Priority to KR2020020006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628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기계적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인장재가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한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은, 인장재가 관통하는 통로에서 니플을 통하여 정착체에 연결되며, 원추형 공간부를 가지는 정착구와; 상기 원추형 공간부에 위치하고, 결속 수단에 의하여 결속되는 분할 웨지와; 상기 정착구에 결합되는 스프링 캡에 지지되는 웨지 지지용 스프링과; 상기 분할 웨지가 상기 웨지 지지용 스프링의 탄성력을 거슬러 반발되었을 때, 분할 웨지를 상기 원추형 공간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멈춤용 스프링 볼트를 포함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분할 웨지의 결속 수단은 외부 반발력 전달 캡이 구비되거나 또는 내부 반발력 전달 캡 및 탄성체 링이 구비되며, 반발력 전달 캡들은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상기 분할 웨지와 상기 원추형 공간부와의 눌어붙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와 같은 접촉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니플에 의하여 연결된 정착구와 정착체 사이에는 탄성체 패드가 제공되어 서로 풀림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Tension member disjointable type of anchor structure}
본 고안은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공사에 사용되는 앵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 웨지에 분산된 반발력을 결속하여 웨지 지지용 스프링에 전달함으로써 인장재 해체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분할 웨지와 정착구 사이의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정착구와 정착체가 서로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앵커는 건물 건축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위하여, 주변 지하의 침하를 방지하게 위하여 토류벽을 가설하고, 이 토류벽을 지지하는 것으로, 앵커의 용도에 따라서 영구 지반 앵커와 가설 지반 앵커로 구분될 수 있다. 영구 지반 앵커는 지하수 침출지, 경사지 등에 건축물이나 기타 구조물 설치할 때 이동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앵커이고, 가설 지반 앵커는 공사 완료 후에 제거될 수 있는 지하 고정 구조물이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1년 8월 29일자로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1-52383호에는 상부에 분할 웨지의 후퇴를 막는 탄력성 있는 수단과, 상기 탄력성 있는 수단과 결합하는 스프링 캡과, 상기의 스프링 캡과 결합하는 정착구와, 상기 정착구의 원추형 공간부에 삽입되어 단선 인장재를 결속하는 분할 웨지로 이루어진 앵커와, 상기 인장재를 내부에 삽입하는 주물로 된 정착체와, 상기 앵커와 상기 주물로 된 정착체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된 발명은 정착구가 니플을 통하여 인장재가 통과하는 통로에서 정착체에 연결되고, 앵커가 정착체의 각 통로에 하나의 인장재가 통과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자재 절감과 설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인장재의 절단으로 인한 반발력으로 분할 웨지가 후퇴될 때 분할된 각 웨지에 분산된 반발력으로 인하여 인장재 해체 동작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착구에 형성된 원추형 공간부에 위치되는 분할 웨지가 인장재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서로 눌어붙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리고 니플에 의하여 연결된 정착구와 정착체가 서로 풀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인장재의 절단으로 인한 반발력으로 분할 웨지가 후퇴될 때 분할된 각 웨지에 분산된 반발력을 결속하여 웨지 지지용 스프링에 전달하는 결속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인장재 해체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장재에 작용하는 인장력으로 인한 분할 웨지와 정착구 사이의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니플에 의하여 연결된 정착구와 정착체가 서로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의 분해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분할 웨지와 반발력 전달 캡이 결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탄성체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착구 2 : 분할 웨지
3 : 웨지 지지용 스프링 4 : 스프링 캡
5 : 니플 6 : 정착체
7 : 멈춤용 스프링 볼트 8 : 멈춤쇠 전진용 스프링
9 : 멈춤쇠 10 : 인장재
11 : 원추형 공간부 12 : 테이프
14, 15 : 반발력 전달 캡 16 : 탄성체 링
17 : 나사 관통공 18 : 탄성체 패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인장재가 관통하는 통로에서 니플을 통하여 정착체에 연결되며, 원추형 공간부를 가지는 정착구와;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정착구 내로 돌출된 인장재를 파지하도록 상기 원추형 공간부에 위치되고, 결속 수단에 의하여 결속되는 분할 웨지와; 상기 분할 웨지를 상기 정착구의 원추형 공간부로 가압하도록 상기 정착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캡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웨지 지지용 스프링과; 상기 분할 웨지가 상기 웨지 지지용 스프링의 탄성력을 거슬러 반발되었을 때, 상기 분할 웨지를 상기 원추형 공간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멈춤용 스프링 볼트를 포함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있어서, 분할 웨지의 결속 수단을 상기 분할 웨지의 각각의 웨지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결속하는 외부 반발력 전달 캡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웨지의 결속 수단은 상기 분할 웨지의 각각의 웨지의 상부를 내부로부터 결속하는 내부 반발력 전달 캡 및 상기 웨지들을 상기 내부 반발력 전달 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링을 구비한다.
상기 반발력 전달 캡들은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분할 웨지가 상기 원추형 공간부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분할 웨지와 상기 원추형 공간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아울러, 접촉 방지 부재는 상기 분할 웨지의 각각의 웨지에 접착되는 테이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상기 정착구와 정착체 사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착구와 정착체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체 패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있어서, 앵커 구조물은 원통 형상의 정착구(1), 정착구(1) 내에 수용되는 분할 웨지(2), 결속수단에 의하여 결속된 분할 웨지(2)를 가압하기 위한 웨지 지지용 스프링(3), 및 웨지 지지용 스프링(3)을 지지하도록 정착구(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캡(4)을 포함한다. 웨지(2)는 3 분할형 또는 2 분할형 웨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정착구(1)는 니플(5)을 통하여 인장재(10)가 통과하는 통로(1a)에서 정착체(6)에 연결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은 하나의 인장재(10, 강연선)가 정착체(6)의 한 통로(1a)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자재 절감과 설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니플(5)과 정착구(1)는 서로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니플(5)을 통하여 정착구(1) 내로 연장하는 인장재(10)의 단부가 분할 웨지(2)에 의하여 파지된다. 분할 웨지(2)는 인장재(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안쪽에 주름이 형성된다. 인장재(10)를 파지한 분할 웨지(2)는 인장재(10)에 가해지는 힘과 스프링 캡(4)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웨지 지지용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정착구(1)에 형성된 원추형 공간부(11)에 밀착 가압된다. 그러므로, 인장재(10)에 대한 분할 웨지(2)의 파지력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분할 웨지(2)를 결속하는 결속수단은 인장재(10)를 절단할 때 반발력을 받는 분할 웨지(2)를 구속하여 반발력을 웨지 지지용 스프링(3)에 전달하는 반발력 전달 캡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반발력 전달 캡(14) 또는 내부 반발력 전달 캡(15)에 의하여 분할 웨지(2)는 결속될 수 있다. 외부 반발력 전달 캡(14)은 하부의 내향 플랜지 부분이 분할 웨지(2)의 각 웨지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됨으로써 각 웨지들을 결합하는 방식이며, 내부 반발력 전달 캡(15)은 웨지들을 내부 반발력 전달 캡(15)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링(16)의 가압력에 의해 분할 웨지(2)의 각각의 웨지의 상부를 내부로부터 결속한다. 즉 반발력 전달 캡(14,15)들은 분할 웨지(2)와 웨지 지지용 스프링(3) 사이에 위치되어 분할 웨지(2)와 한 몸체가 되도록 결속하는 한편 인장재(10)가 절단될 때 발생되는 반발력을 웨지로부터 전달받아 정확히 웨지 지지용 스프링(3)에 전달함으로써 인장재(10) 해체 동작이 보다 확실해진다. 이러한 반발력 전달 캡(14,15)들은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서는 분할 웨지(2)가 인장재(10)에 가해지는 힘과 웨지 지지용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정착구(1)의 원추형 공간부(11)에 밀착된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될 때, 분할 웨지(2)는 열처리가 된 것으로 정착구(1)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기 때문에, 분할 웨지(2)가 상기된 바와 같은 힘에 의해 열처리가 되지 아니한 정착구의 원추형 공간부(11)에 눌러 붙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분할 웨지(2)와 원추형 공간부(11)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방지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접촉 방지 부재는 분할 웨지(2)의 각각의 웨지에 접착되는 테이프(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12)에 의하여 분할 웨지(2)가 원추형 공간부(11)와 눌어붙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된 바와 같이, 분할 웨지(2)가 인장재(10)를 파지하여 정착구(1)에 형성된 원추형 공간부(11)에 위치되었을 때, 정착구(1)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제공되는 멈춤용 스프링 볼트(7)가 분할 웨지(2)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멈춤용 스프링 볼트(7)는 정착구(1)에 형성된 나사 관통공(17)에 체결되는 나사체(7a), 나사체(7a)에 제공되는 멈춤쇠 전진용 스프링(8), 및 멈춤쇠 전진용 스프링(8)의 단부에 연결되는 멈춤쇠(9)를 구비한다.
인장재(10)들이 절단되었을 때, 분할 웨지(2)는 반발력에 의해 웨지 지지용 스프링(3)의 힘을 거슬러 분할 웨지(2)의 상부 콘 부분이 멈춤용 스프링 볼트(7)와 분리되는 범위만큼 반발하게 된다. 이 때, 멈춤쇠 전진용 스프링(8)에 의하여 분할 웨지(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멈춤쇠(9)가 멈춤쇠 전진용 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하여 분할 웨지(2)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분할 웨지(2)가 정착구(1)의 원추형 공간부(11)와 접촉되는 것을 막는다.
그러므로, 분할 웨지(2)는 원추형 공간부(11)와의 밀착으로 인한 측압력이제거되어, 분할 웨지(2)의 각 웨지가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분할 웨지(2)로부터 인장재(10)가 분리되어, 인장재는 용이하게 해체된다.
한편, 도 4는 탄성체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니플(5)에 의하여 연결된 정착구(1)와 정착체(6)가 동일한 금속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착구(1)와 정착체(6) 사이에는 링 형상의 탄성체 패드(18)가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패드가 사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의하면, 인장재의 절단으로 인한 반발력으로 분할 웨지가 후퇴될 때 각 분할된 웨지에 분산된 반발력을 결속하여 웨지 지지용 스프링에 전달하는 반발력 전달갭이 구비됨으로써 인장재 해체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장재에 작용하는 인장력으로 인한 분할 웨지와 정착구 사이의 눌어붙음을 테이프가 제공되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니플에 의하여 연결된 정착구와 정착체 사이에 탄성체 패드가 제공됨으로써 정착구와 정착체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인장재(10)가 관통하는 통로(1a)에서 니플(5)을 통하여 정착체(6)에 연결되며, 원추형 공간부(11)를 가지는 정착구(1)와; 상기 통로(1a)를 통하여 상기 정착구(1) 내로 돌출된 인장재(10)를 파지하도록 상기 원추형 공간부(11)에 위치되고, 결속 수단에 의하여 결속되는 분할 웨지(2)와; 상기 분할 웨지(2)를 상기 정착구(1)의 원추형 공간부(11)로 가압하도록 상기 정착구(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캡(4)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웨지 지지용 스프링(3)과; 상기 분할 웨지(2)가 상기 웨지 지지용 스프링(3)의 탄성력을 거슬러 반발되었을 때, 상기 분할 웨지(2)를 상기 원추형 공간부(1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멈춤용 스프링 볼트(7)를 포함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분할 웨지(2)의 결속 수단을 상기 분할 웨지의 각각의 웨지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결속하는 외부 반발력 전달 캡(14)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웨지(2)의 결속 수단은 상기 분할 웨지의 각각의 웨지의 상부를 내부로부터 결속하는 내부 반발력 전달 캡(15) 및 상기 웨지들을 상기 내부 반발력 전달 캡(15)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링(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발력 전달 캡(14 또는 15)은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발력 전달 캡(14 또는 15)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웨지(2)가 상기 원추형 공간부(11)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분할 웨지(2)와 상기 원추형 공간부(11)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방지 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접촉 방지 부재(12)는 상기 분할 웨지(2)의 각각의 웨지에 접착되는 테이프(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1)와 정착체(6) 사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착구(1)와 정착체(6) 사이에 제공되는 고무 등의 탄성체 패드(1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KR2020020006091U 2002-02-28 2002-02-28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KR200276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91U KR200276628Y1 (ko) 2002-02-28 2002-02-28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91U KR200276628Y1 (ko) 2002-02-28 2002-02-28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628Y1 true KR200276628Y1 (ko) 2002-05-25

Family

ID=7311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91U KR200276628Y1 (ko) 2002-02-28 2002-02-28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62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67B1 (ko) * 2002-06-26 2004-12-23 박병구 인장재 중심선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100472135B1 (ko) * 2002-05-28 2005-03-08 박병구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0479569B1 (ko) * 2002-10-17 2005-04-06 박병구 고정링과 조절판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100494011B1 (ko) * 2002-08-21 2005-06-13 신종덕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101609619B1 (ko) * 2015-12-14 2016-04-06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연선 정착용 그립웨지
KR101902007B1 (ko) 2017-11-21 2018-09-27 (주)케이모듈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KR102345139B1 (ko) * 2021-05-31 2021-12-30 이승혁 인장재 제거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35B1 (ko) * 2002-05-28 2005-03-08 박병구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0463267B1 (ko) * 2002-06-26 2004-12-23 박병구 인장재 중심선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100494011B1 (ko) * 2002-08-21 2005-06-13 신종덕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100479569B1 (ko) * 2002-10-17 2005-04-06 박병구 고정링과 조절판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101609619B1 (ko) * 2015-12-14 2016-04-06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연선 정착용 그립웨지
KR101902007B1 (ko) 2017-11-21 2018-09-27 (주)케이모듈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KR102345139B1 (ko) * 2021-05-31 2021-12-30 이승혁 인장재 제거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783B1 (ko) 수평 추진형 이탈방지 스파이크가 장착된 주철관용 압륜
CA2797176C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KR200276628Y1 (ko) 인장재 해체형 앵커 구조물
JPH0643710B2 (ja) 固定装置およびその固定装置を設置する工具
WO2017033158A1 (en) Security device
KR100463269B1 (ko)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JP2005501190A6 (ja) 引張材を除去可能な定着装置および引張材の除去方法
KR100586078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200400693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20070005840A (ko) 중력에 의해 스냅링이 제거되는 인장재 제거식 정착구
KR20160066766A (ko)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앵커
KR101774869B1 (ko) 제거식 앵커용 정착구
KR100479569B1 (ko) 고정링과 조절판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KR200344958Y1 (ko) 웨찌콘 스프링과 웨찌 인발 스프링을 이용한 인장재제거식 앵커 해드
KR100413550B1 (ko)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CN109667386B (zh) 具有能够分离的螺栓的锚固楔及用其锚固预应力筋的方法
KR200240313Y1 (ko) 제거식 앙카체용 쐐기를 이용한 앙카체
KR102651235B1 (ko) 그라운드 앵커 재 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 긴장 방법
US4246688A (en) Method of anchoring in concrete
CN213296884U (zh) 一种可回收式锚具
JP5399522B2 (ja) 減衰装置
KR100395772B1 (ko) 토건구조물 고정을 위한 피시강선용 웨지
KR200386826Y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20030091920A (ko) 웨찌콘 스프링과 웨찌 인발 스프링을 이용한 인장재제거식 앵커 해드
AU752771B2 (en) Cable tensio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