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647B1 -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 Google Patents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647B1
KR100471647B1 KR10-2004-0030234A KR20040030234A KR100471647B1 KR 100471647 B1 KR100471647 B1 KR 100471647B1 KR 20040030234 A KR20040030234 A KR 20040030234A KR 100471647 B1 KR100471647 B1 KR 10047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ynthetic resin
coating layer
lay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412A (ko
Inventor
오세근
Original Assignee
오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근 filed Critical 오세근
Priority to KR10-2004-003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6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합성수지 피복관 및 그것을 이용한 부식방지용 콘크리트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ㆍ폐수가 흘러가는 합성수지의 제1피복층과, 상기 제1피복층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콘크리트층에 직접 인접하여 결합되는 합성수지의 제2피복층과, 상기 제1피복층 및 상기 제2피복층의 사이에 그 일측면이 고정되면서 그 타측면이 상기 제2피복층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층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의 결합부에 의해 상기의 제2피복층에 인접하여 단단히 결합되는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 내면의 합성수지층에 의해 내부식성이 향상되어지고, 상기의 합성수지층은 그 내부의 결합부에 의해 콘크리트층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지므로, 그 내구성도 매우 양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Concrete Pipe with Plastic Coatings for Corrosion-Resistance}
본 발명은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합성수지 피복관 및 그것을 이용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콘크리트관은 비교적 성형성이 양호하고 강도가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 배수관, 농업용 및 공업용 용수관, 그리고 취수관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관은 매우 무겁고 그 제작공정상 대형의 관을 제작하기 어려우므로, 다수의 관을 일정한 길이로 각각 제작한 다음, 이들 관을 길이방향이나 그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접합하여 긴 통로를 형성하고, 그 관의 내부로 각종의 용수가 흘러가도록 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관은 주로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되고, 특히 중소도시와 대도시에서는 인구의 밀집으로 인하여 상수도의 공급과 더불어 생활하수의 배출에 무엇보다도 긴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관은 그 내부를 흘러가는 용수가 그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인식되어 있다. 이러한 누수현상은 주로 각 콘크리트관 사이의 결합부위에서 일어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관에 있어서 최대의 관심은 각 콘크리트관의 결합방식에 있다.
제1도는 종래에 행해지고 있었던 콘크리트관의 결합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첫째의 방식은 제1a도에서와 같이 2개의 평활한 콘크리트관(10)을 서로 맞대어놓고, 그 외주에 콘트크리트 연결관(20)을 끼워놓은 상태에서 그 좌우측에 시멘트 몰타르(30)를 발라서 결합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상기 시멘트 몰타르(30)의 접착부가 약하고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오늘날 이러한 방식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여 등장한 것이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째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연결부위로서 그 일단에 소켓부(11a)와 그 타단에 결합부(12a)를 형성한 콘크리트 하수관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수관(11)은 그 소켓부(11a)에 다른 하수관(12)의 결합부(12a)를 끼워넣는 방식으로서, 상기의 소켓부(11a)와 상기의 결합부(12a) 사이에는 별도의 패킹재(13)가 사용되는 것이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65397호에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패킹재(13)로서는 통상의 시멘트 몰타르, 고무제 패킹, 수팽창성 고무 패킹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콘크리트 하수관과는 별도의 패킹재(13)를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등장한 것이 셋째 방식으로서, 이는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콘크리트 하수관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상기의 패킹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그 결합수단을 콘크리트관의 본체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85992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상기의 패킹재 내지 패킹수단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것이 콘크리트관의 본체에 직접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관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콘크리트관의 최대 관심은 결합부위의 부실 내지는 결함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관의 결합방법에 주어졌을 뿐이다.
한편, 또 다른 네번째의 방식은 합성수지관을 내장시킨 콘크리트관의 등장이다. 이 방식은 콘크리트 본체에 피브이씨(PVC)관을 내장하여 그 강도를 보강하는 한편, 각각의 콘크리트관을 보다 쉽게 결합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192941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방식은 제2a도 내지 제2c도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192941호 "PVC관 보강 콘크리트관"은 비록 콘크리트관(31)의 내부에 그와 동일한 형상의 PVC관(32)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콘크리트관(31)의 소켓 접합 시공시 접합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을 명백히 하고 있다. 상기의 등록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관(31)의 소켓부(34) 내면에 결합턱(35)과 요홈(36)을 형성하고, 상기의 콘크리트관(31)과 동일한 형상의 PVC관(32)을 만들어 그 내부에 삽입하여 일체화하되 그 한쪽 단부를 콘크리트관(31)에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의 요홈(36)에 대응하도록 PVC관(32)에 요홈을 형성하여 고무링(37)을 삽입하며, 상기 PVC관의 돌출부(38)가 소켓부의 PVC관(32)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의 실용신안등록 제20-192941호 고안은 비록 그 내부에 PVC관을 삽입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콘크리트관의 결합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이었지, 콘크리트관 본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또한, 상기의 실용신안등록 고안은 단순히 PVC관을 콘크리트관에 끼워넣어 놓은 것에 불과하고, 그들 관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실용신안등록 고안은 그 내부에 끼워지는 PVC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는 바, 오늘날 상하수도관이 대형화되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과연 상기 등록고안의 제품이 대형의 상하수도관에 현실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불투명하고, 그 실용적인 가치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오늘날 콘크리트관은 그 결합부위에서만 누수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그 본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 콘크리트관의 평균수명이 대략 10년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당연히 발생될 수 밖에 없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쉬운 예로서, 콘크리트관이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그 내부를 흐르는 하수ㆍ오수ㆍ폐수 등에 의해 콘크리트관의 본체가 쉽게 부식되는 경우이다. 이것은 하수ㆍ오수ㆍ폐수 등에 함유된 각종의 유독성 물질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관이 그 성질상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각종의 황화물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콘크리트관의 본체가 파괴되었을 경우엔, 그 결합부의 흠결로 인한 경우보다도 훨씬 심각한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관의 경우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콘크리트관 본체의 내구성에 촛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하수 또는 오ㆍ폐수에 의해 콘크리트 본체가 쉽게 부식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뚜렷한 대응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관의 내부에서 흘러가는 물질에 상관없이 그 물질이 콘크리트관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관이 그 내부 물질에 의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관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내구성 콘크리트관에 직접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특히 그러한 용도로 적합한 콘크리트 부식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 제품을 예의 관찰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한 결과, 콘크리트관의 내부에 성형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피복관을 형성하되, 그 합성수지 피복관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콘크리트관과 합성수지 피복관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의 합성수지 피복관을 콘크리트관의 내경에 따라 얼마든지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롭게 완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을 대량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합성수지 피복관 및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ㆍ폐수가 흘러가는 합성수지의 제1피복층과; 상기 제1피복층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콘크리트층에 직접 인접하여 결합되는 합성수지의 제2피복층과; 상기 제1피복층 및 상기 제2피복층의 사이에 그 일측면이 고정되면서 그 타측면이 상기 제2피복층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층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의 결합부에 의해 상기의 제2피복층에 인접하여 단단히 결합되는 콘크리트층; 으로 구성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의 제조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의 제1피복층과 상기의 제2피복층 및 그 사이에 결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관이 연속적 자동적으로 제조되어진 다음, 상기의 합성수지 피복관이 콘크리트관의 내부 형틀로 사용됨으로써 제조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1피복층과 상기의 제2피복층이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층을 이루고 있고 그들 피복층 사이에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 피복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1피복층과 제2피복층은 서로 동질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록 그들이 서로 다른 재질이라고 할지라도 그들간에 서로 상용성이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동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수지 피복관을 자동적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피복관의 제조방법은, 제2압출기에서 그 단면이 사각형상인 띠 모양의 합성수지 제2피복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의 제2피복대가 냉각되면서 롤러집합부에 권취되기 전에 상기 제2피복대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결합부를 쏘아서 상기의 제2피복대에 상기의 결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제1압출기에서 그 단면이 사각형상인 띠 모양의 합성수지 제1피복대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제1피복대를 상기의 결합부가 형성된 제2피복대에 겹쳐지도록 하여 롤러집합부로 안내하는 단계; 상기의 제2피복대와 결합부 및 제1피복대가 겹쳐져서 하나로 결합된 합성수지 띠를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의 롤러집합부의 다수의 회전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서로의 합성수지 띠가 서로의 접착부위에서 접착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의 회전 롤러들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의 제1압출기와 제2압출기의 반대편으로 연속적으로 나오면서 합성수지 피복관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100)의 구성을 가장 쉽게 표현한 개략도로서,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의 주요부 절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100)은 그 내부로 오ㆍ폐수가 흘러가는 합성수지의 제1피복층(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제1피복층(110)은 그 내부로 흐르는 오ㆍ폐수가 콘크리트층(14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관(100)은 그 내부로 흐르는 오ㆍ폐수와 각종의 유해물질로 인한 콘크리트층(140)의 부식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100)은 상기 제1피복층(1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콘크리트층(140)의 내주면에 직접 인접하여 형성된 합성수지의 제2피복층(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제2피복층(120)은 결합부(130)가 관통되어 상기 결합부(130)의 몸체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피복층(110)과 결합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합성수지 피복층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결합부(13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의 결합부(130)는 상기 제1피복층(110) 및 상기 제2피복층(120)의 사이에 그 일측면이 고정되면서 그 타측면이 상기 제2피복층(120)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층(140)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100)은 상기 제2피복층(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콘크리트층(14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의 콘크리트층(140)은 콘크리트관(100) 전체의 강도를 결정하며, 상기 결합부(130)에 의해 상기 제2피복층(120)에 인접하여 단단히 결합되어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의 제1피복층(110)과 상기의 제2피복층(120)이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층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층은 상기의 결합부(130)에 의해 콘크리트층(140)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20-192941호 "PVC 보강 콘크리트관"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새롭고 진보된 기술적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1피복층(110)과 제2피복층(120)은 서로 동질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피복층(110)이 PE 합성수지일 경우 제2피복층(120)도 연질 PE 또는 경질 PE로 구성될 수 있고, 제1피복층(110)이 PVC 합성수지일 경우 제2피복층(120)은 연질 PVC 또는 경질 PVC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제1피복층(110)은 상기 제2피복층(120) 보다 연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름이 큰 대형관의 제조시에 연질 합성수지가 경질 합성수지보다 접착성이 더 좋은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비록 제1피복층(110)과 제2피복층(120)이 서로 다른 재질의 것이라고 할지라도 그들간에 서로 상용성이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동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100)의 제조에 직접 사용되어지는 합성수지 피복관(150)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피복관(150)은 상기의 제1피복층(110)과 상기의 제2피복층(120)이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층을 이루고 있고 그들 피복층 사이에 상기 결합부(130)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수지 피복관(15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합성수지 피복관(15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연속적이고 자동화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적이고 자동화된 합성수지 피복관(150)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피복관(150)은 먼저 제2압출기(220)에서 그 단면이 사각형상인 띠 모양의 합성수지 제2피복대(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의 제2압출기(220)는 본 발명의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의 제2피복층(120)을 제조하는 압출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2피복대(120')가 냉각되면서 롤러집합부(250)에 권취되기 전에, 결합부 발사기구(230)를 이용하여 상기 제2피복대(12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결합부(130)를 쏘아서, 상기의 제2피복대(120')에 상기의 결합부(130)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의 결합부 발사기구(230)로서는 철핀이나 못 또는 별도로 제작한 크립 등을 합판 등에 박는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후, 제1압출기(210)에서 그 단면이 사각형상인 또 다른 띠 모양의 합성수지 제1피복대(110')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제1피복대(110')를 상기의 결합부(130)가 형성된 제2피복대(120')에 겹쳐지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의 결합부(13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피복대(110')와 제2피복대(12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그 사이에서 단단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나로 결합된 합성수지 띠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어서 상기의 롤러집합부(250)의 다수의 회전롤러에 의해 상기의 합성수지 띠를 나선형으로 권취시키면서, 서로의 합성수지 띠를 그 양단의 접착부위에서 접착시킨다. 이 경우에 접착되는 것은 이중벽관의 제조공정에서 접착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에 의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비로소 상기의 제1피복대(110')는 합성수지 제1피복층(110)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의 제2피복대(210')는 합성수지 제2피복층 (210)으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회전 롤러들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의 제1압출기(210)와 제2압출기(220)의 반대편으로 합성수지 피복관(150)이 자동적 연속적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자동적 연속적으로 제조되어지는 합성수지 피복관(150)은 적당한 정도로 절단하여, 최종제품인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100)의 제조용 부품으로 사용되어진다. 이 경우, 상기의 합성수지 피복관(150)은 콘크리트 제조공정에서 그 내부 형틀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몰타르가 양생과정을 거쳐 그 콘크리트와 함께 굳어지게 되면, 콘크리트층에 견고하게 결합된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어진 상기의 합성수지 피복관(150)은 통상적인 평활관이나 소켓부가 형성된 상하수도용 콘크리트관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관의 내면에 합성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내부를 흐르는 오ㆍ폐수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여, 콘크리트층의 내부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층에 별도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결합부는 상기 합성수지층의 내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2피복층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층에 까지 뻗어 있으므로, 상기 합성수지층과 콘크리트층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단순한 평활관을 사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지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을 응용한 것이므로,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대형 콘크리트관에 대해서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몇몇 실시형태 및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콘크리트관과 그 결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2도는 종래의 PVC관을 보강한 콘크리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의 주요부 절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피복관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 110 : 제1피복층,
110' : 제1피복대, 120 : 제2피복층,
120' : 제2피복대, 130 : 결합부,
140 : 콘크리트층, 150 : 합성수지 피복관,
210 : 제1압출기 220 : 제2압출기,
230 : 결합부 발사기구, 250 : 롤러집합부

Claims (3)

  1. 콘크리트 내벽을 전부 둘러싸고 있으며 합성수지로 된 합성수지 피복층과, 상기 합성수지 피복층을 콘크리트층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층과 결합되어지는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콘크리트관에 있어서,
    a). 상기의 합성수지 피복층은 오ㆍ폐수가 흘러가는 합성수지의 제1피복층과, 상기 제1피복층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콘크리트층에 직접 인접하여 결합되는 합성수지의 제2피복층으로 형성되어 있고;
    b). 상기의 결합부는 그의 일측면이 상기 제1피복층 및 상기 제2피복층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고, 그의 타측면은 상기 제2피복층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층에 고정되어 있으며;
    c). 상기의 콘크리트층은 상기의 제2피복층에 직접 인접하여 있고 상기의 결합부에 의하여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피복층과 제2피복층은 서로 상용성이 있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 부식 방지용 콘크리트관.
  3. 콘크리트 내벽을 전부 둘러싸고 있으며 합성수지로 된 합성수지 피복층과, 상기 합성수지 피복층을 콘크리트층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된 부식방지용 콘크리트관에 특히 적합한 합성수지 피복관에 있어서,
    a). 콘크리트관의 가장 안쪽 내부에 위치하고, 그 내부의 오ㆍ폐수에 의해 직접 접촉되어지는 합성수지의 제1피복층과;
    b). 상기 제1피복층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콘크리트층에 직접 인접하여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의 제2피복층과;
    c). 상기 제1피복층 및 상기 제2피복층의 사이에 그 일측면이 고정되면서, 그 타측면이 상기 제2피복층을 관통하여 상기의 콘크리트층에 고정되는 결합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 콘크리트관용 합성수지 피복관.
KR10-2004-0030234A 2004-04-29 2004-04-29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KR100471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234A KR100471647B1 (ko) 2004-04-29 2004-04-29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234A KR100471647B1 (ko) 2004-04-29 2004-04-29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905A Division KR100443699B1 (ko) 2001-07-12 2001-07-12 콘크리트관용 내부식 합성수지 피복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412A KR20040045412A (ko) 2004-06-01
KR100471647B1 true KR100471647B1 (ko) 2005-03-14

Family

ID=3734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234A KR100471647B1 (ko) 2004-04-29 2004-04-29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64B1 (ko) * 2008-12-24 2016-06-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일체형 커플러를 갖는 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412A (ko)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064B2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US864648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wave-shaped synthetic resin pipes, wave-shaped synthetic resin pipes used for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S6293585A (ja) プラスチツクパイプ
US20120199276A1 (en) Tubular Liner for Underground Pipes and Method of Installing Tubular Liner
KR100471647B1 (ko)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KR100443699B1 (ko) 콘크리트관용 내부식 합성수지 피복관의 제조방법
KR200261911Y1 (ko) 부식 방지용 합성수지 피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관
JP2009085334A (ja) 合成樹脂製二重管とその製造方法
JP4441757B2 (ja) マンホールの補修構造
AU2003221369C1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JP4619111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JP7271290B2 (ja) 更生帯材
JP7290252B2 (ja) 管更生部材
JP6120681B2 (ja) 既設管路の補修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地下排水施設
JP4971233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JP3199492B2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螺旋管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11767A (ko) 갱생관용 세그먼트부재 및 그 세그먼트부재를 이용한갱생관
KR960006611Y1 (ko) 개량 합성수지 하수관
JP2008127753A (ja) 防食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下水道施設用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H06143419A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JP2022182755A (ja) 管間端口の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構造
AU2004101079A4 (en) Pipe coupling and coupling method
JP2022073553A (ja) 雨水排水口改修用部材、雨水排水口改修方法および改修雨水排水口構造
KR200231022Y1 (ko) 합성수지 라이닝 콘크리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