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389B1 -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389B1
KR100471389B1 KR10-2002-0033257A KR20020033257A KR100471389B1 KR 100471389 B1 KR100471389 B1 KR 100471389B1 KR 20020033257 A KR20020033257 A KR 20020033257A KR 100471389 B1 KR100471389 B1 KR 10047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ivided
information
settlement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711A (ko
Inventor
신정철
임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3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389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프로젝트 수행을 타기관으로 의뢰하는 단체나 기업체 또는 연구기관과 대학교 등과 같이 중앙에서 경비를 관리하는 경비관리자 또는 프로젝트 수행을 수임받은 프로젝트 수행원에게 각각 부서별에서 집행할 수 있는 비용의 한도 또는 프로젝트 수행에 따라 지원되는 경비 내에서 결제가 가능한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함으로써 상기 경비관리자 또는 수행원이 한 번의 카드결제를 통해서도 복수개의 부서 또는 비목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물품을 구입하고 그에 따른 비용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시스템은 상기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 및 각 카드별 한도금액과 사용내역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카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상기 경비관리자 또는 수행원이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카드의 사용내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은 상기 경비관리자측의 회계시스템과 연동 가능하고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됨으로써 경비를 관리하는 자와 상기 수행원 및 상기 수행원으로 경비를 지원한 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회계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Management Method for a Account Settlement Division Enable Card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체나 기업체 또는 연구기관 등의 임의 기관에서 각 부서별 경비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경비관리자가 상기 각 부서에서 집행하고자 하는 경비를 한번의 카드결제를 통해 집행하고 그 내역을 분할하여 정산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용카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단체나 기업체 등의 기관에서 집행하여야 하는 비용을 처리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임의의 기관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부서에서는 상기 기관 내에서 해당 부서로 할당된 예산한도에 따라 비용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된 비용내역을 회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회계 처리의 투명성을 증진시키고 회계 처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업체 등의 법인에서 경비를 관리하는 자 또는 비용을 처리하는 자는 법인명의로 발급된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업무적으로 집행되어야 하는 비용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비용내역을 정산하여 이를 바탕으로 회계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법인명의 또는 기관명의로 발급된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비용을 처리하는 경비관리자의 경우 상기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발생한 비용의 분할정산이 불가능하여 비용 처리시 효율적으로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학 등의 연구기관에서 대학본부 측이 각 학과별로 필요한 PC 등을 한번에 구입하는 경우 각 학과별로 비품 구입에 소요된 비용에 관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이를 상기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한 비용과 매칭시켜야 하므로 경비관리자의 업무가 증가하게 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비용처리 과정에서 계산상의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외에도, 각 학과별로 비용 집행시 사용 가능한 한도 금액 등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경비관리자는 비용을 처리함에 있어서 각 학과의 한도 금액 등을 사전에 고려하고 그 한도 내에서 비용을 처리하여야 하므로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경비관리자의 업무수행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개의 부서로 이루어지는 임의 기관에서 경비를 관리하는 중앙관리자에게 분할정산이 가능한 카드를 발급함으로써 상기 중앙관리자가 각 부서별로 집행하고자 하는 비용을 한번의 결제과정을 통해 처리할 수 있어 경비 집행 및 관리 시 그 편의와 효율성이 증대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수개의 부서로 이루어지는 임의 기관이나 기업체 등에서 지원한 경비로 수임받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수행원이 상기 분할정산이 가능한 카드를 통해 처리하고자 하는 비용을 각 프로젝트 혹은 비용의 항목별로 분할하여 처리할 수 있어 수행원이 편의가 증대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의 특징에 따르면, 부서별, 프로젝트별, 또는 항목별로 한 개 이상의 계정이 할당되고, 각 계정마다 부여된 한도의 총합으로 카드한도관리가 가능한 분할정산형 카드와;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 및 그에 종속되는 계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로 결제된 구매내역이 상기 계정별로 분할 입력되고, 상기 계정별로 구매내역 및 잔여한도가 정산되는 카드 관리시스템과;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 처리 내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카드운영자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의 관리방법의 특징에 따르면, 부서별, 프로젝트별 또는 항목별로 구분되는 한 개 이상의 계정이 할당되고, 각 계정마다 부여된 한도의 총합으로 카드한도관리가 가능한 분할정산형 카드가 발급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 및 그에 종속되는 계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카드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로 결제된 구매내역에 관한 정보가 각 계정별로 분할 입력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입력된 각 계정별 구매내역 정보에 따라 각 계정에 할당된 잔여한도가 정산되고,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총 한도가 차감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먼저, 분할정산형 카드에는 1장당 1개 이상의 계정이 할당되고, 각 계정마다 부여된 한도의 총합으로 카드한도관리가 가능한 카드로서, 일괄결제 후 결제내역 정보가 계정별로 입력된 후 각 계정별 잔여한도가 차감 조정되는 카드 관리시스템과 연계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계정이란 부서별, 프로젝트별, 비용항목별 등 카드관리시스템의 경비관리자가 내부적으로 임의 구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이하, 상세 설명에서는 부서별로 계정이 구분되는 경우를 주로 예시하였고, 그 외 프로젝트별, 비용항목별로 구분되어 분할 정산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체나 기업체 혹은 연구기관 등 중앙에서 경비나 비용의 관리가 필요한 곳의 경비관리자에게 발급되며 한번의 결제에 대한 비용내역을 분할 정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분할정산형 카드(C)와, 상기 경비관리자에게 부여된 분할정산형 카드(C)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C)로 결제가 이루어진 비용내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경비관리자가 결제가 이루어진 비용내역을 분할하여 정산할 수 있도록 결제내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C)를 발급하고 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과 연결되며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 처리 내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으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에서 경비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에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은 상기 경비관리자가 소속된 임의 기관의 회계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계시스템(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기관의 중앙에서 비용을 관리하는 경비관리자는 경비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회계시스템(300)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에 두 번씩 입력할 필요 없이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회계시스템(300)에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에 반영되어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비처리용 카드 통합 시스템에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카드운영자 시스템(200) 및 경비관리자의 관계가 보다 자세히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 및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과는 보안처리가 된 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는 TCP/IP 레이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버(400)와 연결 가능하다. 상기 통신서버(400)가 본 발명에 따른 경비처리용 카드 시스템의 한 구성요소를 이루는 경우 상기 중앙시스템(100)과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은 상기 통신서버(4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①)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은 상기 통신서버(400)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②) 하도록 구성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웹 서버(101)에는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몬(Deamon)이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이 직접적으로 TCP/IP 레이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서버(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은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 엑세스하여 본인에게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의 사용내역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한 비용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웹서버(101)와, 상기 경비관리자에게 부여된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C)로 처리된 비용과 그 항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비관리자는 네트워크망에 구축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K100)를 이용하여 본인에게 부여된 분할정산형 카드로 비용을 결제한 후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으로 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K100)는 상기 수행원(P)이 사용하는 PC 이나 핸드폰으로 구성 가능하다.
그 외에도,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은 상기 경비관리자가 기관에서 수행하는 업무에 따라 처리가 가능한 금액을 한도로 하며 카드번호가 부여되고 각 카드별로 비용 처리가 가능한 기관이 상이한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 발급시스템(201)과,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결제시도가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한 승인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바에 따른 승인신호를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결제시도가 이루어진 카드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카드 승인시스템(203)과,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203)에서 승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한 매입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매입 정보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카드 매입시스템(20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드 발급시스템(201)은 경비관리자가 처리 가능한 경비에 관한 정보를 참고로 하여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한 후 이에 관한 정보 즉, 카드가 발급된 기관에 관한 정보와 상기 카드의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 등을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203)은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결제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카드 매입시스템(202)을 통해 카드 판독이 이루어지면) 상기 발급시스템(201)에서 카드 발급 시 설정된 한도 및 그 후 사용금액에 따라 감소된 한도를 조회하고 그에 따라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승인신호를 상기 결제시도가 이루어진 카드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승인이 이루어진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와 승인이 이루어진 비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저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는 상기 카드 발급시스템(201)을 통해 발급된 복수개의 분할정산형 카드와 각 카드로 부여된 카드번호에 관한 정보 및 각 분할정산형 카드로 비용이 처리 가능한 기관에 관한 정보, 상기 기관을 구성하는 부서에 관한 정보, 각 부서에서 집행 가능한 비용 등의 예산 관련 정보, 각 기관에서 지원하는 경비의 한도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는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203)을 통해 전송된 정보에 따라 비용 처리가 이루어진 분할정산형 카드의 한도금액을 조정한 후 결제가 이루어진 비용에 관한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카드 매입시스템(202)도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203)을 통해 승인이 이루어져 매입이 발생한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와 발생한 매입 비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이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반영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는 상기 카드 매입시스템(202)과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203)을 통해 전송된 카드에 관한 정보에 승인내역 및 매입내역에 관한 정보를 개별적으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잔여 한도금액을 조정하여 경비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경비관리자는 본인에게 부여된 경비처리용 카드를 이용하여 비용을 처리한 후 이에 관한 내역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K100)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웹서버(101)에 엑세스하여 조회하고 또한 처리한 비용에 관한 항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경비관리자는 본인에게 부여된 분할정산형 카드로 부여된 개인 식별 코드 또는 카드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101)에 접속함으로써 본인에게 부여된 분할정산형 카드의 사용내역을 조회할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101)가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내역별로 어느 프로젝트의 어느 항목으로 얼마만큼의 비용이 사용되었는지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발급시스템(201)은 각 경비관리자가 처리 가능한 경비를 합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카드를 발급하게 되는데 경비관리자 혹은 기관 단위로 프로젝트의 경비의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분할정산형 카드로 부여되는 개인 식별용 코드는 발급되는 수행원의 주민등록번호로 하거나 혹은 기관을 구분할 수 있도록 각 기관으로 부여된 고유번호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경비관리자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웹서버(101)에 본인의 주민등록번호 등을 이용하여 엑세스한 후 이를 바탕으로 본인에게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사용내역 등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의 운영자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을 관리하여 상기 웹서버(101)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상기 경비관리자가 본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여 엑세스 가능하도록 인증 프로그램 등을 인스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 중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기관의 회계시스템(300)이 보다 자세히 도시된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회계시스템(300)은 보안상의 문제로 말미암아 통상 외부 인터넷망과 방호벽(Firewall)을 사이에 두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웹서버(101)와 상기 회계시스템(300)은 TCP/IP 레이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통상 웹상에서 개방되는 포트 80을 통해 http 프로토콜을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회계시스템(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에서 처리 가능한 경비에 관한 정보 외에도 상기 기관을 이루는 복수개의 부서에 관한 정보, 상기 부서에서 집행 가능한 비용에 관한 정보, 상기 부서에서 집행된 비용내역에 관한 정보 등 회계처리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1)와,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01)에 엑세스하여 회계데이터를 조회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서버(302)와, 상기 서비스 서버(302)를 통해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01)에 입력한 정보를 암호화 컴포넌트를 통해 암호화하여 TCP/IP 레이어를 통해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통신서버(3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서버(303)에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는 통신서버(400)와 마찬가지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용 프로그램의 일종인 통신데몬이 인스톨되어 있다.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관리시스템(100)은 그 내부에 상기 통신서버(30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관리시스템측 통신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는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로 처리 가능한 비용 및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로 비용 처리가 가능한 부서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의 카드 발급시스템(201)과 연동되어 카드 발급 시 상기 카드 발급시스템(201)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로 각 분할정산형 카드로 처리 가능한 비용에 관한 정보 및 발급된 기관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카드 발급시스템(201)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2)가 연동되지 않고도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과 상기 회계시스템(300)이 연동됨에 따라 상기 경비관리자가 경비에 관하여 입력한 데이터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반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와 상기 회계시스템(300)의 지원자측 데이터베이스(301)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는 상기 복수개의 회계시스템(300)의 데이터베이스(301)에 저장된 회계처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경비관리자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회계처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비관리자는 해당 데이터베이스(301)에 프로젝트의 비용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자동적으로 반영되므로 중복적으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에 엑세스하여 회계처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경비처리용 카드 통합 시스템에서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에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회계시스템(300)을 통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 단말기(K10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비관리자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PC 나 핸드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원자 클라이언트 단말기(K100)를 통해 엑세스하여 지원한 경비에 관한 사용내역과 각 부서별 비용내역을 입력하고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을 관리하는 카드 운영자는 상기 웹서버(101)에 상기 경비관리자가 엑세스할 수 있도록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부여하고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통해 상기 웹서버(101)에 엑세스하여 각 부서별 프로젝트 및 그에 따른 비용내역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고 필요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카드 운영자는 경비관리자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저장된 정보 중 관련된 경비의 비용내역에 관한 정보만 조회할 수 있도록 각 로그인 아이디별 엑세스 가능한 데이터를 설정하여 놓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저장된 정보 중 해당되는 기관의 경비에 관한 데이터만 조회하고 추가 자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가 상기 카드 발급시스템(201)과 상기회계시스템(300)과 연동되도록 구축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경비관리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K100)를 통해 필요한 만큼 기관의 경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저장된 정보에 엑세스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200)과 카드 관리시스템(100) 등이 송수신하는 데이터와 그 기능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운영자 시스템(200)의 카드 발급시스템(201)은 상기 웹서버(101)로 발급된 카드가 사용되는 기관 등에 관한 정보와, 분할정산형 카드의 카드번호와, 카드가 발급된 경비관리자의 주민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C1)한다. 또한, 카드 승인시스템(203)은 상기 웹서버(101)로 카드의 승인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C2)하며, 상기 웹서버(101)는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203)으로 카드 사용한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C3)한다. 마지막으로, 카드 매입시스템(202)은 상기 웹서버(101)로 결제가 이루어져 매입이 발생한 카드청구 데이터를 전송(C4)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1)는 상기 웹서버(101)로 엑세스하는 사용자들은 관리(C5)하고, 엑세스한 사용자들이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카드 사용내역 등록, 현금 사용내역 등록, 카드 사용한도 반영 등의 집행 내역을 관리(C6)하고, 경비의 집행, 승인, 청구내역, 예실대비표, 사용자 검색 등 각종 조회(C7)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입력한 바에 따라 데이터를 정산 처리(C8)하여 상기 정산 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서버(202)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단체나 연구기관 혹은 대학교 등 복수개의 부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서 경비를 담당할 필요가 있는 기관의 경비관리자는 해당 기관의 경비관리자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웹서버(101)에 등록시킬 수 있으며, 기관의 경비처리를 관리하고, 카드 사용내역을 관리(C9)할 수 있다.
또한, 카드운영자 중 카드사의 영업관리자(M1)는 상기 웹서버(101)로 분할정산형 카드가 발급된 부처나 기관의 아이디를 등록시키고 카드 등을 관리(C10)한다. 그 외에도 카드운영자 중 시스템 관리자(M2)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1)의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웹서버(101)는 상기 회계시스템(300) 연결되어 경비 사용내역 데이터와 카드 승인/청구 데이터 등을 송수신(C11)한다.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의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웹서버(101)가 구현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경비관리자가 결제한 비용내역을 입력하는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비관리자가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를 통해 결제한 내역이 상기 경비관리자가 사용하는 PC의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1)되면, 상기 경비관리자는 상기 결제내역이 어느 비목으로 어떠한 사용목적을 가지고 어떠한 프로젝트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D2)한다. 그 후, 상기 경비관지라는 상기 결제내역이 어느 부서에서 처리하여야 하는 비용인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D3)하게 된다. 상기 도 5a,5b의 실시예는 상기 경비관리자가 경비를 관리하는 기관에서 복수개의 부서가 아닌 복수개의 기관으로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임한 경우 그에 따라 집행된 비용이 어느 기관의 어느 과제 즉, 어느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하여 사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예이다.
상기 경비관리자가 입력한 결제의 상세한 내역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2)에 저장되어 상기 경비관리자에게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의 한도에 반영되는 동시에 해당 부서의 비용내역에 반영된다. 따라서 해당 부서의 예산안 등이 자동적으로 회계처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에서 분할정산형 카드가 발급되고 사용이 이루어지기까지 과정이 도시된 도이다.
먼저, 기관과 카드운영자의 영업팀 등에서 상호 협의를 통해 발급하고자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의 한도금액을 얼마로 할 것인지, 그리고 발급된 카드를 누가 사용할 것이며, 상기 발급된 카드를 사용하여 어느 부서의 비용을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파악되면 상기 카드운영자의 영업팀 등에서는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받은 경비관리자가 카드 관리시스템에 엑세스할 수 있도록 로그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아이디가 발급된 경비관리자 및 해당 기관의 정보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 등록한다. (S1)
그 후, 상기 경비관리자가 발급 받은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S2)를 하면,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결제 시도한 단말기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는 카드 승인시스템으로부터 승인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S3)
만일, 승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승인이 이루어진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승인금액이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으로 전송(S4)되며, 여기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이 상기 경비관리자의 회계시스템과 연동되는 경우 상기 승인이 이루어진 카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회계시스템으로도 전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제는 거부된다.
그 후, 상기 경비관리자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 접속 혹은 해당 회계시스템을 통하여 결제내역을 조회하고 결제내역의 해당 사용내역에 관한 정보를 입력(S5)한다. 여기서 상기 경비관리자는 결제내역을 부서별로 구분하여 각 부서별로 얼만큼의 비용이 집행되었는지에 관한 내역을 입력하게 된다.
상기 입력된 사용내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회계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S6)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의 한도금액이 조정되는 동시에 해당 부서의 비용 집행내용에 관한 데이터에 상기 입력 내용이 자동적으로 반영되어 조정되며 상기 해당 부서의 예산안 등이 자동적으로 회계 처리(S7)된다.
상기 조정된 한도금액은 그 후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되는 카드 승인시스템 등으로 전송 가능하며 추후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통한 결제가 시도되는 경우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은 상기 조정된 한도금액을 바탕으로 카드의 결제 승인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또는 상기 카드 승인시스템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와는 별도로 한도금액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에서 경비관리자가 발급받은 경비처리용 카드를 이용하여 경비를 처리하는 경우의 흐름이 보다 상세히 도시된 도이다.
먼저, 경비관리자가 복수개의 부서의 경비처리를 위하여 발급받은 분할정산형 카드를 이용하여 비용을 결제(B1)한다. 이 경우, 카드 관리시스템이 상기 경비처리용 카드의 승인여부를 결정(B2)하고 승인이 이루어진 경우 그 승인내역을 저장(B3)하는 한편, 상기 승인내역을 상기 회계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전달(B4)한다.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 저장된 승인내역이 상기 경비관리자가 비용을 처리하는 복수개의 부서에 관한 정보 및 그에 따른 경비 처리내역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회계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어 저장(B5)됨에 따라 상기 경비관리자가 결제한 비용의 승인내역을 처리(B6)하고, 결제가 이루어진 비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회계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면 회계처리(B7)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경비관리자가 입력한 정보 즉, 사용처리 내역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저장(B8)되며, 상기 경비관리자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이를 조회할 수 있다(B9).
상기와 같은 분할정산형 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 운영자는 복수개의 연구기관이나 대학 등으로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임하고 상기 프로젝트 수행 시 소요되는 연구비 등의 경비를 지원하는 단체나 기업체의 경비관리자에게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함으로써 상기 경비관리자가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이용하여 각 연구기관이나 대학 등으로 분배되는 비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할정산형 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 운영자는 한명의 경비관리자 또는 임의 기관으로부터 프로젝트를 수행을 수임받아 상기 임의 기관에서 지원하는 경비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수행원에게 그 주민등록번호에 따라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경비관리자 또는 수행원이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이용하여 한번의 결제를 통해 복수개의 비목의 비용을 집행하고 각 비목에 따라 비용을 분할정산할 수 있도록 하여 회계처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은 프로젝트 수행을 타기관으로 의뢰하는 단체나 기업체 또는 연구기관과 대학교 등과 같이 중앙에서 경비를 관리하는 경비관리자 또는 프로젝트 수행을 수임받은 프로젝트 수행원에게 각각 부서별에서 집행할 수 있는 비용의 한도 또는 프로젝트 수행에 따라 지원되는 경비 내에서 결제가 가능한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함으로써 상기 경비관리자 또는 수행원이 한 번의 카드결제를 통해서도 복수개의 부서 또는 비목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물품을 구입하고 그에 따른 비용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시스템은 상기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 및 각 카드별 한도금액과 사용내역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카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상기 경비관리자 또는 수행원이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카드의 사용내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은 상기 경비관리자측의 회계시스템과 연동 가능하고 분할정산형 카드에 관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됨으로써 경비를 관리하는 자와 상기 수행원 및 상기 수행원으로 경비를 지원한 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회계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도 1 중 카드 관리시스템과 카드운영자 시스템이 자세히 도시된 도,
도 3은 도 1 중 카드 관리시스템과 회계시스템이 자세히 도시된 도,
도 4는 도 1에서 각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데이터 및 그 기능이 도시된 도,
도 5a, 5b는 도 1의 카드 관리시스템에서 경비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이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의 관리방법이 도시된 도,
도 7은 도 6에서 경비관리자가 분할정산형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이 보다 자세히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드 관리시스템 101 : 웹서버
102 : 데이터베이스 서버 200 : 카드운영자 시스템
201 : 카드 발급시스템 202 : 카드 매입시스템
203 : 카드 승인시스템 300 : 회계시스템
301 : 데이터베이스 302 : 서비스 서버
303 : 통신서버

Claims (13)

  1. 부서별, 프로젝트별, 또는 항목별로 한 개 이상의 계정이 할당되고, 각 계정마다 부여된 한도의 총합으로 카드한도관리가 가능한 분할정산형 카드와;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 및 그에 종속되는 계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로 결제된 구매내역이 상기 계정별로 분할 입력되고, 상기 계정별로 구매내역 및 잔여한도가 정산되는 카드 관리시스템과;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 처리 내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카드운영자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은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통해 구매한 소정의 품목에 대한 일괄 결제비용이 각 계정별로 분할되어 입력되고, 각 계정별로 품목, 비용, 사용목적 등을 처리/확인할 수 있으며 잔여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웹 서버와;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 및 그에 종속되는 계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입력된 각 계정별 구매내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은 상기 웹서버가 전송한 정보에 따라 각 계정별 잔여한도 및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한도금액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 시스템은 상기 웹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경비관리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경비관리자가 관리하는 경비에 관한 회계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회계시스템에 엑세스하여 상기 회계시스템에 입력된 구매내역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통합 시스템.
  9. 삭제
  10. 부서별, 프로젝트별 또는 항목별로 구분되는 한 개 이상의 계정이 할당되고, 각 계정마다 부여된 한도의 총합으로 카드한도관리가 가능한 분할정산형 카드가 발급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발급된 분할정산형 카드 및 그에 종속되는 계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카드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로 결제된 구매내역에 관한 정보가 각 계정별로 분할 입력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입력된 각 계정별 구매내역 정보에 따라 각 계정에 할당된 잔여한도가 정산되고,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총 한도가 차감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경비관리자가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이용하여 각 계정에서 요청한 소정의 품목에 대해 일괄 결제하는 과정과;
    상기 일괄 결제 후 카드관리 시스템에 접속한 상기 경비관리자가 결제한 구매내역 정보를 각 계정별로 분할 입력하는 입력과정과;
    상기 입력과정에서 각 계정별 구매내역 정보에 따라 각 계정별 잔여한도 및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의 잔여한도가 조정된 후 저장되는 저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통해 결제된 구매내역이 상기 분할정산형 카드를 발급하고 결제 승인여부를 결정하는 카드운영자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결제가 승인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카드 관리시스템에서 조정된 계정별 잔여한도에 관한 정보가 상기 카드운영자 시스템에 전송되어 해당 분할정산형 카드의 총 한도가 조정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KR10-2002-0033257A 2002-06-14 2002-06-14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KR100471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257A KR100471389B1 (ko) 2002-06-14 2002-06-14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257A KR100471389B1 (ko) 2002-06-14 2002-06-14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711A KR20030095711A (ko) 2003-12-24
KR100471389B1 true KR100471389B1 (ko) 2005-03-10

Family

ID=3238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257A KR100471389B1 (ko) 2002-06-14 2002-06-14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62B1 (ko) 2011-01-31 2012-12-18 웹케시 주식회사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65B1 (ko) * 2018-10-19 2020-04-22 웹케시 주식회사 연구비 회계 처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570A (ko) * 1999-05-21 1999-11-05 김윤효 신용카드사용으로각종세금,국민연금,의료보험금의부과를하는시스템및방법.
KR20010100996A (ko) * 1998-11-09 2001-11-14 로버트 마틴 러서포드 2-행정 사이클 엔진
KR20020033936A (ko) * 2000-10-31 2002-05-08 구자홍 법인 카드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996A (ko) * 1998-11-09 2001-11-14 로버트 마틴 러서포드 2-행정 사이클 엔진
KR19990078570A (ko) * 1999-05-21 1999-11-05 김윤효 신용카드사용으로각종세금,국민연금,의료보험금의부과를하는시스템및방법.
KR20020033936A (ko) * 2000-10-31 2002-05-08 구자홍 법인 카드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기업의 경비 내역을 관리,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카드 서비스 시스템[머니투데이],2001.06.20) *
카탈로그(연구비 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되어 사업관계자들이 연구비 관리실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구비카드제[매일경제],2001.03.2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62B1 (ko) 2011-01-31 2012-12-18 웹케시 주식회사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711A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9208A (ko) 전자 금융 기프트 카드의 유효화 방법
KR100372336B1 (ko) 네트워크 기반 근로자 복리후생 시스템
AU2006342506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20032622A1 (en) Shop management method and platfor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230298036A1 (en) Intelligent recommendations for dynamic policies used in real-time transactions
JP6995097B2 (ja) 本人確認システム、本人確認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37368B1 (ko)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1389B1 (ko)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JP20240069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171897A (ja) Icカードを利用した電子マネーシステム
JP2004199525A (ja) 前払可能な支払方法及びサー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440706B1 (ko) 경비처리용 카드 통합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JP2000251147A (ja) 口座管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口座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20000030542A (ko) 본인인증정보로 지문조합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KR100509026B1 (ko)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6491A (ko) 사이버 부동산 개발사업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197416A (ja) 財産のデータを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7385341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400462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25632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685615B1 (ko) 포인트제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복지관리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JP2005044289A (ja) 代金決済システム,振込操作端末,金融機関サーバ,引出操作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代金決済方法
KR20230030979A (ko) 팩토링 사업에 기초한 업무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30978A (ko) 팩토링 사업에 기초한 업무 대행 서비스를 위한 배송 관리 시스템
KR20230126780A (ko) 금융서비스 이용 약자를 위한 다계좌 투자 일임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