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562B1 -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562B1
KR101213562B1 KR1020110009308A KR20110009308A KR101213562B1 KR 101213562 B1 KR101213562 B1 KR 101213562B1 KR 1020110009308 A KR1020110009308 A KR 1020110009308A KR 20110009308 A KR20110009308 A KR 20110009308A KR 101213562 B1 KR101213562 B1 KR 101213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ation
account
institution
withdrawal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159A (ko
Inventor
석창규
Original Assignee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5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부금계좌(CA: Contribution Account)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기부금보관계좌,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를 개설/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앞의 기부사업비계좌로 기부금이 입금된 경우, 그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로부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시켜, 해당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 등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한 후, 해당 기관운영비 배당내역을 기관운영비계좌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하여,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기부사업비계좌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기부금의 투명한 격리 운용, 기관운영비의 투명한 자동배당 등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예컨대, 악의의 담당직원에 의해 기부자 측 기부금이 부당 운영될 개연성 등)을 최소화하여, 기부자 측의 기부동기를 최적의 상태로 촉진시키면서, 기부금의 모금규모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The system which manages the contribution account}
본 발명은 기부금계좌(CA: Contribution Account; 이하, "CA"라 함)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부금의 투명한 격리 운용, 기관운영비의 투명한 자동배당 등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예컨대, 악의의 담당직원에 의해 기부자 측 기부금이 부당 운영될 개연성 등)을 최소화하여, 기부자 측의 기부동기를 최적의 상태로 촉진시키면서, 기부금의 모금규모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CA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공 선(Public good)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크게 개선되면서, 각종 기부활동에 참여하는 기부자(개인기부자, 기업기부자 포함)의 규모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기부활동을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육성?증대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매우 중대한 사회적 관심사로 급부상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자(1)가 기부한 기부금(5)은 기부금관리기관(2)이 금융기관(3) 측에 개설한 CA(6)로 입금된 후, 기부처(4)로 지출되는 일련의 유통절차(예컨대, 기부처의 개설계좌로 이체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금융기관(3) 또는 기부금관리기관(2) 측에서는 CA(6)를 예컨대,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 등으로 별도 분리하지 않은 체, 하나의 CA(6) 내에서 기부사업비지출, 기관운영비지출(여기서, 기관운영비는 기부금관리기관의 자체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의미함)을 한꺼번에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기부자(1) 측 기부금(5)이 부당 운영될 개연성(예컨대, 악의의 기부금관리기관 담당직원에 의해 기부자 측 기부금이 부당 운영될 개연성 등)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종래의 금융기관(3) 또는 기부금관리기관(2) 측에서는 담당직원의 요청에 따라 CA(6) 측 기부금(5)이 기부사업비, 기관운영비 등의 명목으로 출금되는 경우, 이를 증빙하기 위한 증빙서류를 실시간 확인하지 아니한 체, 맹목적으로 해당 담당직원의 지출요청을 허락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상술한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상술한 문제점의 방치 하에서, 기부자(1) 측에서는 자신의 기부행위에 대하여 매우 회의적인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기부금관리기관(2), 기부금(5)을 필요로 하는 기부처(4) 등에서는 전체적인 기부금(5)의 모금규모가 현격히 줄어드는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기부금보관계좌,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를 개설/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앞의 기부사업비계좌로 기부금이 입금된 경우, 그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로부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시켜, 해당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 등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한 후, 해당 기관운영비 배당내역을 기관운영비계좌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하여,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기부사업비계좌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기부금의 투명한 격리 운용, 기관운영비의 투명한 자동배당 등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예컨대, 악의의 담당직원에 의해 기부자 측 기부금이 부당 운영될 개연성 등)을 최소화하여, 기부자 측의 기부동기를 최적의 상태로 촉진시키면서, 기부금의 모금규모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 저장영역에 기부금보관계좌,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기부금계좌(CA: Contribution Account)를 개설시킨 상태에서, 상기 CA를 통한 기부금의 입금과정 또는 출금과정을 제어하는 CA 관리 제어모듈과;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기부사업비계좌로 기부금이 입금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상기 기부사업비계좌로 기부금이 입금된 경우, 해당 기부금 입금정보를 접수하는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과;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에 의해 접수된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부금을 상기 기부사업비계좌로부터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시켜, 해당 기부금이 상기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부터 격리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기부금 격리처리모듈과;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기부금 격리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배당한 후, 해당 기관운영비 배당내역을 상기 기관운영비계좌에 기록하는 기관운영비 배당발생 처리모듈과;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기부금 격리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상기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에 의해 접수된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하여,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상기 기부사업비계좌에 기록하는 기부사업비 입금발생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기부금보관계좌,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를 개설/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앞의 기부사업비계좌로 기부금이 입금된 경우, 그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로부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시켜, 해당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 등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한 후, 해당 기관운영비 배당내역을 기관운영비계좌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하여,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기부사업비계좌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기부금의 투명한 격리 운용, 기관운영비의 투명한 자동배당 등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예컨대, 악의의 담당직원에 의해 기부자 측 기부금이 부당 운영될 개연성 등)을 최소화하여, 기부자 측의 기부동기를 최적의 상태로 촉진시키면서, 기부금의 모금규모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CA의 운용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A 관리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A 관리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A 관리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A 관리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1), 온라인통신망(3)(예컨대, 유/무선 인터넷망, 은행 기간계 통신망 등) 등을 매개로,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에 접속 중인 담당직원 단말기(2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 저장영역에 기부금보관계좌(41), 기부사업비계좌(42), 기관운영비계좌(43)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40)를 개설시킨 상태에서, 이 CA(40)를 통한 기부금의 입금과정 또는 출금과정을 총괄 제어하는 CA 관리 제어모듈(101)과, 이 CA 관리 제어모듈(101)의 제어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CA 개설 지원모듈(104),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105), 기부금 격리 처리모듈(106), 기부사업비 입금발생 처리모듈(107), 기관운영비 배당발생 처리모듈(108),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109),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0),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1)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CA 관리시스템(100)은 상황에 따라,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 또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의 프로그램 블록 내에 종속 설치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앞의 담당직원 단말기(21)로는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이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5) 측에서는 CA(40)의 관리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의 등록정보,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의 등록정보, 담당직원 단말기(21)의 등록정보, 시스템(100)의 자원현황 정보, 기부금관리기관의 등록정보, CA(40)의 개설현황 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한 일련의 CA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CA 개설 지원모듈(104) 측에서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에 접속 중인 담당직원 단말기(2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 담당직원 단말기(21) 등으로부터 일련의 CA 개설요청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해당 CA 개설요청정보를 접수한 후,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와 통신을 취하여, 접수 완료된 CA 개설요청정보를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절차에 따라, CA 개설요청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자신의 데이터 저장영역에 기부금보관계좌(41), 기부사업비계좌(42), 기관운영비계좌(43)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40)를 CA 개설요청정보에 맞추어 개설하게 되며, 결국,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자 기관에 필요한 CA(40)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에 따라,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측 데이터 저장영역에 기부금보관계좌(41), 기부사업비계좌(42), 기관운영비계좌(43)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40)가 개설 완료된 상태에서, CA 개설 지원모듈(104) 측에서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와 통신을 취하여, CA(40)의 개설완료를 확인한 후,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CA 개설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CA 개설완료정보를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 담당직원 단말기(21) 등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자 기관의 CA 보유사실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측 데이터 저장영역에 기부금보관계좌(41), 기부사업비계좌(42), 기관운영비계좌(43)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40)가 개설 완료된 상태에서,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105) 측에서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에 접속 중인 담당직원 단말기(21)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앞의 기부사업비계좌(42)로 기부금이 입금되었는가를 확인하고, 만약, 기부사업비계좌(42)로 기부금이 입금되는 경우, 해당 기부금 입금내역이 반영된 기부금 입금정보를 접수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 경우, 기부금 입금정보에는 예컨대, 기부자 정보, 기부금 액수정보, 기부금이 입금된 기부사업비계좌 정보, 기부금관리기관 정보 등이 상세하게 기재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기부금 입금내역이 반영된 기부금 입금정보(예컨대, 기부자 정보, 기부금 액수정보, 기부금이 입금된 기부사업비계좌 정보, 기부금관리기관 정보 등)가 접수 완료되면,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금 격리모듈(106) 측에서는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접수된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한 후,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와 통신을 취하여, 기부사업비계좌(42)에 입금되어 있던 기부자 측 기부금을 CA(40)의 기부사업비계좌(42)로부터 기부금보관계좌(41)로 강제 이체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기부자 측 기부금은 기부사업비계좌(42), 기관운영비계좌(43)로부터 안정적으로 격리되어 기부금보관계좌(41) 내에서 독자적으로 보관/관리되는 절차를 겪게 되며, 결국,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기부금의 투명한 격리 운용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기부자 측 기부금이 CA(40)의 기부사업비계좌(42)로부터 기부금보관계좌(41)로 격리 이체되는 상황에서,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관운영비 배당발생 처리모듈(108) 측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설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만약,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에 예컨대, <기부금의 10%를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하여라>라는 내역이 기재되어 있고, 현재 입금된 기부자 측 기부금이 100만원인 경우, 기관운영비 배당발생 처리모듈(108) 측에서는 100만원의 10%인 10만원을 기관운영비로 배당/설정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기부금 100만원의 10%인 10만원이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설정 완료되면, 기관운영비 배당발생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측과 통신을 취하여, 상술한 기관운영비 자동 배당/설정내역을 CA(40)의 기관운영비계좌(43)에 기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물론, 이 상황에서, 단지 정보만 기록될 뿐, 격리된 기부금의 실질적인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기부금의 입금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부금관리기관의 개입 없이도,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설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자 기관의 기관운영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없게 되며, 결국, 기관운영비의 투명한 자동배당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부금 격리 처리모듈(106)에 의해 기부금이 기부금보관계좌(41)로 이체되는 상황에서,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사업비 입금발생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접수된 기부금 입금정보(예컨대, 기부자 정보, 기부금 액수정보, 기부금이 입금된 기부사업비계좌 정보, 기부금관리기관 정보 등)를 판독한 후,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기부금 입금정보에 상응하는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생성하고,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측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기부사업비계좌(42)에 기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도 3 참조)(물론, 이 상황에서도, 단지 정보만 기록될 뿐, 격리된 기부금의 실질적인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기부사업비를 관리하는 담당직원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기부사업비 운영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 또는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기부금보관계좌(41), 기부사업비계좌(42), 기관운영비계좌(43)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40)를 개설/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앞의 기부사업비계좌(42)로 기부금이 입금된 경우, 그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42)로부터 기부금보관계좌(41)로 이체시켜, 해당 기부금을 기부사업비계좌(42), 기관운영비계좌(43) 등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기부금보관계좌(41)로 이체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자동 배당한 후, 해당 기관운영비 배당내역을 기관운영비계좌(43)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41)로 이체되면,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하여,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기부사업비계좌(42)에 기록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기부금의 투명한 격리 운용, 기관운영비의 투명한 자동배당 등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예컨대, 악의의 담당직원에 의해 기부자 측 기부금이 부당 운영될 개연성 등)을 최소화하여, 기부자 측의 기부동기를 최적의 상태로 촉진시키면서, 기부금의 모금규모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 관리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는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109),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0),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1) 등이 추가 배치된다.
이때,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109) 측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 또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와 통신을 취하면서,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20)에 접속 중인 담당직원 단말기(21)로부터 기부사업비 또는 기관운영비의 출금을 위한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가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담당직원 단말기(21)로부터 상기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가 전송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해당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를 접수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기부사업비 또는 기관운영비의 출금을 위한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가 접수 완료된 상황에서,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109)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접수된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를 판독하고, 이를 통해, 해당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담당직원 등록정보, 담당직원 단말기 등록정보 등을 파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절차를 통해,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담당직원 등록정보, 담당직원 단말기 등록정보 등이 파악 완료되면,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기부사업비의 출금처리에 필요한 증빙서류를 전송해달라>고 하는 취지의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를 생성한 후, 담당직원 단말기(21)와 통신을 취하여, 해당 담당직원 단말기(21) 측으로 생성 완료된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담당직원 단말기(21) 측으로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가 전송 완료된 상황에서, 해당 담당직원 단말기(21)로부터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에 상응하는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가 전송된 경우,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이를 접수한 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110a)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를 토대로, 해당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를 판독하여, 이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가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에 정의된 요건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고,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에 기재된 기부사업비 출금금액이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에 정의된 한도내역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앞의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가 정상적인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즉시,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와 통신하여, CA(40) 측 기부금보관계좌(41)에 격리 보관되어 있던 기부금이 상술한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에 맞추어 출금되도록 조치하게 되며, 결국, 기부사업비를 관리하는 담당직원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 기관에 필요한 기부사업비 운영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담당직원의 요청에 따라, CA(40) 측 기부금이 기부사업비 명목으로 출금되는 경우, 이를 증빙하기 위한 증빙서류를 실시간 확인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은 크게 줄어들 수 있게 되며, 결국,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기부금의 투명 운용을 통해, 기부자 측의 기부동기를 최적의 상태로 촉진시키면서, 기부금의 모금규모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109)의 기능수행에 의해 기부사업비 또는 기관운영비의 출금을 위한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가 접수 완료된 상황에서, CA 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1) 측에서는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109)과 통신을 취하여 의해 접수된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를 판독하고, 이를 통해, 해당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담당직원 등록정보, 담당직원 단말기 등록정보 등을 파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절차를 통해,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담당직원 등록정보, 담당직원 단말기 등록정보 등이 파악 완료되면,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1)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기관운영비의 출금처리에 필요한 증빙서류를 전송해달라>고 하는 취지의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를 생성한 후, 담당직원 단말기(21)와 통신을 취하여, 해당 담당직원 단말기 측으로 생성 완료된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담당직원 단말기(21) 측으로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가 전송 완료된 상황에서, 해당 담당직원 단말기(21)로부터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에 상응하는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가 전송된 경우,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1)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이를 접수한 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11a)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를 토대로, 해당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를 판독하여, 이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가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에 정의된 요건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고,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에 기재된 기관운영비 출금금액이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에 정의된 한도내역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111) 측에서는 앞의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가 정상적인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즉시,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10)와 통신을 취하여, CA(40) 측 기부금보관계좌(41)에 격리 보관되어 있던 기부금이 상술한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에 맞추어 출금되도록 조치하게 되며, 결국, 기관운영비를 관리하는 담당직원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 기관에 필요한 일련의 기관운영비 소비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담당직원의 요청에 따라, CA(40) 측 기부금이 기관운영비 명목으로 출금되는 경우, 이를 증빙하기 위한 증빙서류를 실시간 확인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기부금의 부당 운영 개연성은 크게 줄어들 수 있게 되며, 결국, 기부금관리기관 측에서는 기부금의 투명 운용을 통해, 기부자 측의 기부동기를 최적의 상태로 촉진시키면서, 기부금의 모금규모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기부금의 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기부자 2: 기부금관리기관 3: 금융기관 4: 기부처 5: 기부금
6,40: CA 10: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 20: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21: 담당직원 단말기 30: 온라인통신망 41: 기부금보관계좌
42: 기부사업비계좌 43: 기관운영비계좌 100: CA 관리시스템
101: CA 관리 제어모듈 102: 인터페이스 모듈 1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 CA 개설 지원모듈 105: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
106: 기부금 격리 처리모듈 107: 기부사업비 입금발생 처리모듈
108: 기관운영비 배당발생 처리모듈
109: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
110: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
111: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

Claims (4)

  1.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 저장영역에 기부금보관계좌,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기부금계좌(CA: Contribution Account)를 개설시킨 상태에서, 상기 CA를 통한 기부금의 입금과정 또는 출금과정을 관리하기 위하여 입금과정 또는 출금과정과 관련된 모듈들을 제어하는 CA 관리 제어모듈과;
    상기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기부사업비계좌로 기부금이 입금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상기 기부사업비계좌로 기부금이 입금된 경우, 해당 기부금 입금정보를 접수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과;
    상기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에 의해 접수된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부금을 상기 기부사업비계좌로부터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시켜, 해당 기부금이 상기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부터 격리되어 관리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금 격리처리모듈과;
    상기 기부금 격리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배당기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부금 중 일부를 기관운영비로 배당한 후, 해당 기관운영비 배당내역을 상기 기관운영비계좌에 기록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기관운영비 배당발생 처리모듈과;
    상기 기부금 격리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기부금이 상기 기부금보관계좌로 이체되면, 상기 기부금 입금이벤트 접수모듈에 의해 접수된 기부금 입금정보를 판독하여,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부사업비 입금발생정보를 상기 기부사업비계좌에 기록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사업비 입금발생 처리모듈과;
    상기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또는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에 접속 중인 담당직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부사업비 또는 기관운영비의 출금을 위한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가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담당직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 또는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를 접수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과;
    상기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에 의해 접수된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담당직원 단말기로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담당직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에 상응하는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가 전송된 경우, 해당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를 토대로 판독하여, 상기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의 타당성을 판단하고, 상기 기부사업비 출금 증빙서류가 정상적인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기부금보관계좌에 보관되어 있던 기부금이 상기 기부사업비 출금요청정보에 맞추어 출금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기부사업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비/운영비 출금이벤트 접수모듈에 의해 접수된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담당직원 단말기로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담당직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 요청메시지에 상응하는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가 전송된 경우, 해당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판단기준정보를 토대로 판독하여, 상기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의 타당성을 판단하고, 상기 기관운영비 출금 증빙서류가 정상적인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기부금보관계좌에 보관되어 있던 기부금이 상기 기관운영비 출금요청정보에 맞추어 출금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기관운영비 출금타당성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측으로부터 CA 개설요청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금융기관 기간계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 저장영역에 상기 기부금보관계좌, 기부사업비계좌, 기관운영비계좌로 이루어진 기부금관리기관 명의의 CA가 상기 CA 개설요청정보에 맞추어 개설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CA가 개설 완료된 경우, CA 개설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CA 개설완료정보를 상기 기부금관리기관 기간계 서버 측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CA 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CA 개설 지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 관리시스템.
KR1020110009308A 2011-01-31 2011-01-31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KR10121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08A KR101213562B1 (ko) 2011-01-31 2011-01-31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08A KR101213562B1 (ko) 2011-01-31 2011-01-31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59A KR20120088159A (ko) 2012-08-08
KR101213562B1 true KR101213562B1 (ko) 2012-12-18

Family

ID=4687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08A KR101213562B1 (ko) 2011-01-31 2011-01-31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746B1 (ko) * 2021-07-23 2023-12-14 최영준 기부금 계좌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389B1 (ko) 2002-06-14 2005-03-10 엘지카드 주식회사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389B1 (ko) 2002-06-14 2005-03-10 엘지카드 주식회사 분할정산형 카드 관리방법 및 그 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59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64150A1 (en) Using Blockchain Ledger for Selectively Allocating Transactions to User Accounts
CN101256645B (zh) 集成式市民卡系统的设置方法
CN103548044A (zh) 提供和转移替代电子货币的系统和方法
KR101876674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공동 계좌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255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WO2020071965A1 (ru) Система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расчетного сервиса
CN110008716A (zh) 区块链交易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17511562A (ja) 大量電子取引の効率的運用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21255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monetary payments
Niya et al. A blockchain-based scientific publishing platform
CN108898492A (zh) 一种基于联盟链的众包任务实现方法和装置及系统
CN110009323A (zh) 区块链交易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0009492A (zh) 区块链交易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Bold Branchless banking in pakistan: A laboratory for innovation
KR101213562B1 (ko) 기부금계좌 관리시스템
CN112184449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管理方法和系统
CN108351990A (zh) 用于分配物理货币的方法和系统
CN110610398A (zh) 一种基于智能合约的共享图书方法
JP2004086840A (ja) 金融取引方法、金融取引システム、金融取引を仲介する第三者機関サーバ、統合キャッシュカード及びそのカードを使用するatm
CN10985890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点评信息可信度评价方法及装置
CN113450093B (zh) 基于锥体区块链的数字零钱钱包实时共识认证方法及系统
US9442467B1 (en) Event triggered data lockbox capable of anonymous revelation
JP6951084B2 (ja) 電子マネー端末、サーバ装置、電子マネー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521364A (zh) 公司内部即时通讯应用的红包发放方法及装置
KR102603375B1 (ko) 에스크로를 이용한 경조사 금융 처리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