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132B1 -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 Google Patents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132B1
KR100471132B1 KR10-2002-0024190A KR20020024190A KR100471132B1 KR 100471132 B1 KR100471132 B1 KR 100471132B1 KR 20020024190 A KR20020024190 A KR 20020024190A KR 100471132 B1 KR100471132 B1 KR 10047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enting
information
management
event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892A (ko
Inventor
이승원
권오걸
서효민
Original Assignee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1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의 주도로 진행되는 일련의 전산작업에 따라, 각종 CC(Cyber-character) 의 개별 이벤트를 체계적으로 연동·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다종의 CC를 동일 가상공간 내에서, 한꺼번에 일괄·양육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CC 양육에 관한 이용자의 흥미도를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용자가 종래의 단일 CC 양육체제에 따른 단조로움에서 탈피하여, 다종의 CC를 자신의 의사에 따라 손쉽게 양육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이용자는 종래에 비해, CC 양육에 대한 관심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CC 양육 툴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필요한 숫자 감소는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Tool for rearing multifarious cyber-character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다종의 가상 캐릭터(CC:Cyber-character; 이하, "CC"라 칭함)를 임의의 가상공간 내에서, 동시에 양육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처리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다양한 종류의 CC 양육 관리 툴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CC 양육 관리 툴들은 예컨대, 컴퓨터, PDA 등과 같은 이용자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임의의 CC를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양육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14821 호 "호출기에 의한 사이버 애완동물 육성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17896 호 "전화망과 전화를 이용한 캐릭터 키우기 게임",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23997 호 "애완동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24053 호 "진화 캐릭터를 이용한 대화형 네트웍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24092 호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동물원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CC 양육 관리 툴들의 일례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CC 양육 관리 툴들은 단지, 하나의 CC가 양육되기에 적합한 단일 모듈환경을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하에서, CC 양육 관리 툴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단지, 자신이 기 선택한 하나의 CC만을 집중적으로 양육할 수밖에 없다.
즉, 종래의 체제하에서, CC 양육 툴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동일 환경 내에서, 강아지 캐릭터, 고양이 캐릭터, 송아지 캐릭터 등의 각종 CC들을 한꺼번에 키우고 싶은 욕구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해당 이용자는 자신이 기 선택한 CC, 예컨대, 강아지 캐릭터만을 집중적으로 양육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처럼, 이용자가 단지, 자신이 기 선택한 하나의 CC만을 단조롭게 양육할 수밖에 없는 경우, 해당 이용자는 CC 양육 자체에 손쉽게 싫증을 느낄 수밖에 없게 되며, 별도의 대처방안이 강구되지 않는 한, 결국, CC 양육 관리 툴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숫자는 대폭 감소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의 주도로 진행되는 일련의 전산작업에 따라, 각종 CC의 개별 이벤트를 체계적으로 연동·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다종의 CC를 동일 가상공간 내에서, 한꺼번에 일괄·양육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CC 양육에 관한 이용자의 흥미도를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종래의 단일 CC 양육체제에 따른 단조로움에서 탈피하여, 다종의 CC를 자신의 의사에 따라 손쉽게 양육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CC 양육 툴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필요한 숫자 감소를 최소화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표시 윈도우가 구비된 임의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며, 해당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는 이용자의 전산작업에 따라, 다종 CC의 양육 과정에 필요한 일련의 공통 CC 이벤트 정보, 개별 CC 이벤트 정보,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선택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다종의 CC가 독자적인 모습으로 표현된 일련의 CC 양육 플랫폼을 생성하며, 생성이 완료된 CC 양육 플랫폼을 앞의 표시 윈도우로 출력하는 CC 양육 관리 블록과, CC 양육 관리 블록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CC 양육 관리 블록의 제어 하에, 공통 CC 이벤트 정보,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과, CC 양육 관리 블록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CC 양육 관리 블록의 제어 하에, 앞의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CC 별로 개별 저장·관리하는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과, 앞의 CC 양육 관리 블록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CC 관리 블록의 제어 하에,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Skin information)를 CC 별로 개별 저장·관리하는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시스템은 크게, 임의의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본 발명 고유의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과, 이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과 예컨대, 무선 온라인망(3), 유선 온라인망(4)을 통해 온라인 접속되는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서버 시스템(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로는 예컨대,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이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서버 시스템(200)은 크게, CC 양육 관리 서버(201), D/B 관리모듈(206), D/B 블록(207)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D/B 블록(207)에는 일련의 과금정보 D/B(208), CC 물품정보 D/B(209), CC 공간/능력 정보 D/B(210) 등이 배치된다.
여기서, 과금정보 D/B(208)에는 예컨대,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을 이용해 본 발명 고유의 CC 양육 과정을 향유하는 이용자에게 부과된 과금내역 정보, 해당 이용자의 계좌정보, 해당 이용자의 결제이력 정보‥‥" 등과 같은 일련의 과금정보가 저장되며, CC 물품정보 D/B(209)에는 예컨대, "강아지 캐릭터용 목걸이 정보, 고양이 캐릭터용 의복정보, 돼지 캐릭터용 신발정보‥‥" 등과 같은 CC를 양육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물품정보가 저장되고, CC 공간/능력 정보 D/B(210)에는 예컨대, "CC의 양육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맵 정보(Map information), CC의 능력지수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유형의 아이템 정보‥‥" 등과 같은 CC를 양육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공간/능력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D/B 관리 모듈(206)은 상술한 과금정보, CC 물품정보, CC 공간/능력 정보 등을 D/B 블록(207)의 필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과금정보 D/B(208), CC 물품정보 D/B(209), CC 공간/능력 정보 D/B(210) 등으로부터 상술한 각종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 모듈(206)은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CC 양육 관리 서버(201)는 과금 관리모듈(203), CC 물품 관리모듈(204), CC 공간/능력 관리모듈(205) 등을 매개로 하여, D/B 관리모듈(206)을 체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과금정보, CC 물품정보, CC 공간/능력 정보 등의 저장 및 추출 여부가 본 발명의 CC 양육 서비스 제공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반환경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앞의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에 기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 고유의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부터 예컨대, CC 양육물품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CC 양육 맵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CC 양육 아이템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등이 발생하는 경우, CC 양육 관리 서버(201)는 그 즉시, CC 물품 관리모듈(204), CC 공간/능력 관리모듈(205) 등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CC 양육물품을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이용자가 선택한 양육 맵을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이용자가 선택한 양육 아이템을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등을 총괄·진행시킴과 아울러, 과금 관리모듈(203)을 활용하여, "일련의 CC 양육물품, CC 양육 맵, CC 양육 아이템 등을 요청한 이용자에게 일정액을 과금하고, 이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동시에 총괄·진행시킨다.
이러한 CC 양육 관리 서버(201)의 프로세스 진행에 따라, 다종 CC 동시양육 툴(100)을 통해, CC 양육과정을 진행하는 이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CC 양육물품, CC 양육 맵, CC 양육 아이템 등을 서버(200)측으로부터 추가로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202)은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과 CC 양육 관리 서버(201) 사이를 매개한 상태에서,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CC 양육 관리 서버(201)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CC 양육 관리 서버(201)로부터 전달되는 일련의 데이터를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이와 함께, CC 물품 관리모듈(204)은 앞의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부터 일련의 CC 양육물품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고, 이에 대응하여, CC 양육 관리 서버(201)로부터 "이용자가 요청한 CC 양육물품을 연산·출력하라"는 지시가 전달되는 경우, D/B 관리모듈(206)과의 신호교환과정을 통해, 예컨대, CC 물품정보 D/B(209)에 기 저장되어 있던 CC 물품정보를 이용자의 선택 내역에 따라,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CC 물품정보를 CC 양육 관리 서버(201)로 전달함으로써, CC 양육 관리 서버(201)가 이용자의 요청에 따른 일련의 CC 양육물품 제공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CC 공간/능력 관리모듈(205)은 앞의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부터 일련의 CC 양육 맵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CC 양육 아이템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등이 발생되고, 이에 대응하여, CC 양육 관리 서버(201)로부터 "이용자가 요청한 CC 양육 맵을 연산·출력하라", "이용자가 요청한 CC 양육 아이템을 연산·출력하라"는 지시가 전달되는 경우, D/B 관리모듈(206)과의 신호교환과정을 통해, 예컨대, CC 공간/능력 정보 D/B(210)에 기 저장되어 있던 CC 양육 맵 정보, CC 양육 아이템 정보 등을 이용자의 선택 내역에 따라,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CC 양육 맵 정보, CC 양육 아이템 정보 등을 CC 양육 관리 서버(201)로 전달함으로써, CC 양육 관리 서버(201)가 이용자의 요청에 따른 일련의 CC 양육 맵 제공 프로세스, CC 양육 아이템 제공 프로세스 등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과금 관리모듈(203)은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부터 앞서 언급한 CC 양육물품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CC 양육 맵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CC 양육 아이템 다운로드 요청 이벤트 등이 발생되고, 이에 대응하여, CC 양육 관리 서버(201)로부터 "이용자에게 해당 서비스에 매칭되는 일정액의 요금을 과금하라"는 지시가 전달되는 경우, 외부의 금융기관측 시스템(300)과 일련의 신호교환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료 결제내역이 금융기관측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D/B 관리모듈(206)과 일련의 신호교환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한 과금내역이 예컨대, 과금정보 D/B(208)에 안정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서버 시스템(200)과 함께 본 발명의 큰 축을 차지하는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은 크게, CC 양육 관리 블록(10)과, 이 CC 양육 관리 블록(10)의 제어에 따라 연계·동작하는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40), CC 양육 플랫폼 정보 저장블록(5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앞의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를 관리하는 이용자의 전산작업에 따라, 다종 CC의 양육 과정에 필요한 일련의 공통 CC 이벤트 정보, 개별 CC 이벤트 정보,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선택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다종의 CC가 독자적인 모습으로 표현된 CC 양육 플랫폼을 생성하며, 생성이 완료된 CC 양육 플랫폼을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의 표시 윈도우,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의 표시 윈도우 등으로 선택·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은 CC 양육 관리 블록(10)의 제어 하에, 앞서 언급한 일련의 공통 CC 이벤트 정보,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에 의해 관리되는 공통 CC 이벤트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CC들, 예컨대, "강아지 캐릭터, 고양이 캐릭터, 돼지 캐릭터‥‥"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담은 정보를 일컬으며, 개별 CC 이벤트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CC들이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담은 정보를 일컫는다.
한편, 앞의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과 함께,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40)은 CC 양육 관리 블록(10)의 제어 하에, 상술한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각종 CC 별로 개별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은 CC 양육 관리 블록(10)의 제어 하에, 상술한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51), 예컨대, "CC 그래픽 정보, CC 오디오 정보,‥‥" 등을 각종 CC 별로 개별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은 공통 CC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공통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3)과,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각 CC 별로 선별 저장하는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2)과, 앞의 CC 양육 관리 블록(1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CC 양육 관리 블록(10)의 요청에 따라, 공통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3) 및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2)에 기 저장되어 있던 공통 CC 이벤트 정보 및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거나, 해당 공통 CC 이벤트 정보 및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새롭게 갱신하는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에는 CC 양육 최종 정보 저장모듈(24)이 더 배치되는 바, 이 경우, CC 양육 최종 정보 저장모듈(24)은 이용자에 전산작업에 의해 CC 양육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CC 양육 관리 블록(10)의 제어에 따라, 최종의 CC 양육 정보를 선별·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CC 양육 관리 블록(10)과 CC 양육 최종 정보 저장모듈(24) 사이의 신호교환과정은 앞의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CC 양육 관리 블록(10)에는 CC 자동양육 모듈(11)이 더 배치되는 바, 이 경우, CC 자동양육 모듈(11)은 이용자의 전산작업이 멈추어 있는 경우, 일련의 CC 양육 과정을 이용자의 선택 없이도, 자동으로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앞서 언급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 CC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40),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50) 이외에 통신처리블록(30)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 경우, 통신처리블록(30)은 앞서 언급한 CC 양육 관리 서버(200)측과 예컨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CC 양육 관리 서버(200)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지를 이루는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의 구체적인 작용을 실례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다종 CC 동시양육 프로세스를 향유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버튼,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일련의 입력장치를 활용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무선 클라이언트(1), 유선 클라이언트(2) 등에 기 설치된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을 실행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이용자의 전산작업에 따른 일련의 CC 양육 개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이용자가 일련의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의 실행을 위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별도의 CC 양육 개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을 실행시켜, 일련의 CC 양육 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툴(100) 내에 배치된 다른 블록들, 예컨대,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40),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 통신처리블록(30) 등으로 일련의 체크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통해, 각 블록들과의 연관관계를 초기화함으로써, 이용자에 의한 일련의 다종 CC 양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기반환경을 마련한다(단계 S3).
앞의 스텝을 통해 일련의 초기화 과정이 마무리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의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을 활용하여, CC 양육 최종정보 저장모듈(24)에 기 저장되어 있던 CC 양육 최종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4).
이 경우,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은 CC 양육 최종정보 저장모듈(24)과의 신호교환과정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용자의 이전 전산작업 내역이 반영된 CC 양육 최종정보", 예컨대, "최종 저장된 CC 양육 맵 정보, 최종 저장된 각종 CC별 위치정보, 최종 저장된 각종 CC별 능력지수 정보‥‥" 등을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내역을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 신속하게 전달하게 되며,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이를 분석함으로써, "이전의 CC 양육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CC의 양육은 어떤 맵에서 이루어 졌는가, 각종 CC는 어떤 위치에 놓여 있었는가, 각종 CC는 어느 정도의 능력지수를 보유하고 있었는가‥‥" 하는 등의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앞의 스텝을 통해, 최종 저장된 CC 양육정보의 분석이 완료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CC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을 제어하여, CC 양육 최종정보 분석결과에 대응되는 CC 양육 플랫폼을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CC 양육 플랫폼을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의 표시 윈도우로 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5).
이 경우,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은 CC 양육 관리 블록(10)이 지시하는 CC 양육 최종 정보에 따라, 상술한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51), 예컨대, "CC 그래픽 정보, CC 오디오 정보,‥‥" 등을 선별하고, 선별된 CC 스킨정보를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 반환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상술한 스텝이 마무리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의 표시 윈도우에는 특정 맵을 기반으로 하여, 다종의 CC(406)가 독자적인 모습으로 표현된 CC 양육 플랫폼(401)이 디스플레이 된다. 물론, 이 CC 양육 플랫폼(401)이 이용자의 이전 전산작업 내역을 폭 넓게 반영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의 표시 윈도우에 CC 양육 플랫폼(401)이 게시된 상태에서,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이용자의 전산작업 상황을 면밀히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CC 양육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
이때, 이용자가 각 CC의 양육을 위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별도의 CC 양육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CC 자동양육 모듈(11)을 활용하여, 일련의 CC 양육과정을 인공지능 모드로 자동·운영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7).
이 경우, CC 자동양육 모듈(11)은 기 셋팅되어 있는 루틴에 따라,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40),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 등을 체계적으로 인공 제어하게 되며, 결국, 이용자는 자신의 전산작업 없이도, 일련의 CC 양육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앞의 단계 S6에서, 이용자가 각 CC의 양육을 위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여, 일련의 CC 양육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이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일련의 CC 양육 프로세스를 진행한다(단계 S8).
예를 들어, 이용자가 CC 양육 플랫폼(401)에 게시된 특정 메뉴항목(402)을 활용하여, 강아지 캐릭터(404)에 음식을 공급하는 경우,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먼저,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40)을 제어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아지 캐릭터 관련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강아지 캐릭터(404)에게 음식이 공급됨"으로 갱신함과 아울러, 기 저장된 강아지 캐릭터(404) 관련 시나리오 정보를 분석하여, "강아지 캐릭터(404)에게 음식이 공급되면, 강아지 캐릭터(404)가 즐거운 감정을 느낀다"는 시나리오를 파악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파악이 완료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의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을 활용하여, 공통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3)에 기 저장되어 있던 공통 CC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은 공통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과의 신호교환과정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통 CC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여, "즐겁다는 이벤트에 대한 모든 CC의 액션은 꼬리를 흔드는 것이다"라는 결과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내역을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 신속하게 전달하게 되며,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이를 분석함으로써, "강아지 캐릭터(404)가 즐거운 감정을 느끼면 꼬리를 흔드는 액션을 취한다"라는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앞의 스텝을 통해, 공통 CC 이벤트 정보의 분석이 완료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앞의 분석결과에 대응되는 CC 양육 플랫폼을 출력하기 위하여, CC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을 제어하게 되며,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은 CC 양육 관리 블록으로부터 일련의 제어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그 지시내역에 따라, 상술한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51), 예컨대, "강아지 캐릭터(404) 그래픽 정보, 강아지 캐릭터(404) 오디오 정보,‥‥" 등을 선별하고, 선별된 CC 스킨정보(51)를 CC 양육 관리 블록으로 반환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상술한 스텝이 마무리되고,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으로부터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가 전달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해당 CC 양육 플랫폼을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의 표시 윈도우로 출력하게 되며, 결국, 해당 표시 윈도우에는 강아지 캐릭터(404)가 꼬리를 흔드는 모습이 표현된 CC 양육 플랫폼(401)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술한 CC 양육 프로세스의 다른 예로, 이용자가 CC 양육 플랫폼(401)에 게시된 특정 메뉴항목(402)을 활용하여, 강아지 캐릭터(404), 돼지 캐릭터(405)의 능력지수 향상을 위한 아이템들, 예컨대, 영양식 아이템의 구입을 요청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통신처리블록(30)을 활용하여, CC 양육 관리 서버(201)와 일련의 신호교환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영양식 아이템 구입 과정이 온라인 상에서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상황에서, CC 양육 관리 서버(201)는 CC 공간/능력 관리모듈(205)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영양식 아이템을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과금 관리모듈(203)을 활용하여, "영양식 아이템의 구입을 요청한 이용자에게 일정액을 과금하고, 이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동시에 총괄·진행시킨다.
이러한 CC 양육 관리 서버(201)의 프로세스 진행에 따라, 이용자는 다종 CC의 양육을 위해 필요한 영양식 아이템을 서버(200)측으로부터 추가로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CC 양육 관리 서버(201)로부터 일련의 영양식 아이템이 전송되면,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100)의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강아지 캐릭터(404) 관련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돼지 캐릭터(405) 관련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강아지 캐릭터(404)의 능력지수가 2로 향상됨, 돼지 캐릭터(405)의 능력지수가 3으로 향상됨" 등으로 갱신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갱신이 완료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의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을 활용하여,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2)에 기 저장되어 있던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은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2)과의 신호교환과정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여, "강아지 캐릭터(404)의 능력지수가 2가 되면, 사이즈가 2배가되고, 털이 남", "돼지 캐릭터(405)의 능력지수가 3이 되면, 사이즈가 3배가되고, 노란색으로 바뀜"이라는 결과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내역을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 신속하게 전달하게 되며,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이를 분석함으로써, "강아지 캐릭터(404)의 능력지수가 2가 되면, 사이즈가 2배가되고, 털이 난다, 돼지 캐릭터(405)의 능력지수가 3이 되면 사이즈가 3배가되고, 노란색으로 바뀐다"라는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앞의 스텝을 통해, 개별 CC 이벤트 정보의 분석이 완료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앞의 분석결과에 대응되는 CC 양육 플랫폼을 출력하기 위하여, CC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을 제어하게 되며,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은 CC 양육 관리 블록으로부터 일련의 제어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그 지시내역에 따라, 상술한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51), 예컨대, "강아지 캐릭터(404) 그래픽 정보, 돼지 캐릭터(405) 그래픽 정보, 강아지 캐릭터(404) 오디오 정보, 돼지 캐릭터(405) 오디오 정보‥‥" 등을 선별하고, 선별된 CC 스킨정보를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 반환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상술한 스텝이 마무리되고,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으로부터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가 전달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해당 CC 양육 플랫폼을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2) 등의 표시 윈도우로 출력하게 되며, 결국, 해당 표시 윈도우에는 "사이즈가 2배가되고, 털이 난 강아지 캐릭터(404)의 모습", "사이즈가 3배가되고, 노란색으로 바뀐 돼지 캐릭터(405)의 모습" 등이 개별적으로 표현된 CC 양육 플랫폼(401)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술한 CC 양육 프로세스의 또 다른 예로, 앞의 도 5에 도시된 강아지 캐릭터(404), 고양이 캐릭터(403), 돼지 캐릭터(405) 등의 양육 맵이 예컨대, 가든 맵(Garden-map)이고, 이 가든 맵의 설정내역에 따라, 쥐가 출현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CC 양육 관리 블록은 먼저,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40)을 활용하여, "쥐가 출현하면, 각 CC의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분석한다"는 시나리오를 파악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파악이 완료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20)의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을 활용하여,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2)에 기 저장되어 있던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21)은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22)과의 신호교환과정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여, "쥐가 출현하면, 강아지 캐릭터(404)는 짖으면서, 쥐를 쫓음", "쥐가 출현하면, 돼지 캐릭터(405)는 울면서 도망감", "쥐가 출현하면, 고양이 캐릭터(4030는 울면서 쥐를 쫓음"이라는 결과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내역을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 신속하게 전달하게 되며,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이를 분석함으로써, "쥐가 출현하면, 강아지 캐릭터(404)는 짖으면서 쥐를 쫓고, 돼지 캐릭터(405)는 울면서 도망가며, 고양이 캐릭터(403)는 울면서 쥐를 쫓는다"라는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앞의 스텝을 통해, 개별 CC 이벤트 정보의 분석이 완료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앞의 분석결과에 대응되는 CC 양육 플랫폼을 출력하기 위하여, CC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을 제어하게 되며,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은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부터 일련의 제어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그 지시내역에 따라, 상술한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 예컨대, "강아지 캐릭터(404) 그래픽 정보, 돼지 캐릭터(405) 그래픽 정보, 고양이 캐릭터(403) 그래픽 정보, 강아지 캐릭터 오디오 정보, 돼지 캐릭터 오디오 정보, 고양이 캐릭터 오디오 정보‥‥" 등을 선별하고, 선별된 CC 스킨정보를 CC 양육 관리 블록(10)으로 반환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상술한 스텝이 마무리되고,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50)으로부터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가 전달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은 해당 CC 양육 플랫폼을 이용자측 무선 클라이언트, 이용자측 유선 클라이언트 등의 표시 윈도우로 출력하게 되며, 결국, 해당 표시 윈도우에는 "짖으면서 쥐를 쫓아가는 강아지 캐릭터(404)의 모습", "울면서 도망가는 돼지 캐릭터(405)의 모습", "울면서 쥐를 쫓아가는 고양이 캐릭터(403)의 모습" 등이 독자적으로 표현된 CC 양육 플랫폼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상술한 여러 형태의 CC 양육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이용자의 전산작업 진행과정을 면밀히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CC 양육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이때, 이용자가 CC 양육 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별도의 CC 양육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은 플로우를 앞의 단계 S6으로 진행시켜, 이용자의 전산작업에 따른 CC 양육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CC 양육 플랫폼(401)에 게시된 특정 메뉴항목(402)을 선택하여, 일련의 CC 양육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CC 양육 관리 블록(10)은 그 즉시, 정보·입출력 관리모듈(21)을 활용하여, 현재 상태의 마지막 CC 양육정보를 CC 양육 최종정보 저장모듈(24)로 전달하게 되며, CC 양육 최종정보 저장모듈(21)은 CC 양육 관리 블록(10)의 제어에 따라, 이러한 마지막 CC 양육정보, 예컨대, "마지막 CC 양육 맵 정보, 각종 CC의 마지막 위치정보, 각종 CC의 마지막 능력지수 정보‥‥ 등을 최종·저장함으로써, 이용자가 차후의 전산작업 시, 현재의 환경과 동일한 환경 하에서 일련의 다종 CC 양육과정을 손쉽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단계 S1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의 주도로 진행되는 일련의 전산작업에 따라, 각종 CC의 개별 이벤트를 체계적으로 연동·관리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다종의 CC를 동일 가상공간 내에서, 한꺼번에 일괄·양육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CC 양육에 관한 이용자의 흥미도를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용자가 종래의 단일 CC 양육체제에 따른 단조로움에서 탈피하여, 다종의 CC를 자신의 의사에 따라 손쉽게 양육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이용자는 종래에 비해, CC 양육에 대한 관심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CC 양육 툴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필요한 숫자 감소는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종 CC 동시양육 관리 툴의 실제 작용례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 양육 최종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CC 양육 최종정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이용자측 클라이언트에 게시되는 CC 양육 플랫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에 저장된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공통 CC 이벤트 정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Claims (4)

  1. 표시 윈도우가 구비된 임의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며, 상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는 이용자의 전산작업에 따라, 다종 CC(Cyber-Character)의 양육 과정에 필요한 일련의 공통 CC 이벤트 정보, 개별 CC 이벤트 정보,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선택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다종의 CC가 독자적인 모습으로 표현된 CC 양육 플랫폼을 생성하며, 생성이 완료된 CC 양육 플랫폼을 상기 표시 윈도우로 출력하는 CC 양육 관리 블록과;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의 제어 하에, 상기 공통 CC 이벤트 정보,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과;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의 제어 하에, 상기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CC 별로 개별 저장·관리하는 CC 양육 시나리오 정보 저장블록과;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의 제어 하에, 상기 CC 양육 플랫폼의 형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CC 스킨정보(Skin information)를 상기 CC 별로 개별 저장·관리하는 CC 양육 플랫폼 정보 관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은 상기 각 CC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담은 상기 공통 CC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공통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각 CC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담은 상기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각 CC 별로 선별 저장하는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통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 및 개별 CC 이벤트 정보 저장모듈에 기 저장되어 있던 공통 CC 이벤트 정보 및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거나, 상기 공통 CC 이벤트 정보 및 개별 CC 이벤트 정보를 새롭게 갱신하는 정보 입·출력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C 양육 이벤트 정보 저장블록은 이용자에 전산작업에 의해 CC 양육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의 제어 하에, 최종의 CC 양육 정보를 선별·저장하는 CC 양육 최종정보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 양육 관리 블록은 이용자의 전산작업이 멈추어 있는 경우, 일련의 CC 양육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CC 자동 양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KR10-2002-0024190A 2002-05-02 2002-05-02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KR10047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90A KR100471132B1 (ko) 2002-05-02 2002-05-02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90A KR100471132B1 (ko) 2002-05-02 2002-05-02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92A KR20030085892A (ko) 2003-11-07
KR100471132B1 true KR100471132B1 (ko) 2005-03-08

Family

ID=3238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190A KR100471132B1 (ko) 2002-05-02 2002-05-02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1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51A (ko) * 2000-09-25 2000-12-05 최효윤 인터넷 온라인 가상동물세계 자연농장
KR20010007698A (ko) * 2000-05-15 2001-02-05 김양환 실시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연동한 캐릭터 육성 방법 및그 서비스 시스템
KR20010057829A (ko) * 1999-12-23 2001-07-05 이민화 네트워크상에서 가상 애완동물을 분양하고 기르도록 하는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93379A (ko) * 2000-03-28 2001-10-29 노광선 캐릭터 육성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JP2002032009A (ja) * 2000-07-14 2002-01-31 Sharp Corp 仮想キャラクタ育成サーバ、仮想キャラクタ育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829A (ko) * 1999-12-23 2001-07-05 이민화 네트워크상에서 가상 애완동물을 분양하고 기르도록 하는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93379A (ko) * 2000-03-28 2001-10-29 노광선 캐릭터 육성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07698A (ko) * 2000-05-15 2001-02-05 김양환 실시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연동한 캐릭터 육성 방법 및그 서비스 시스템
JP2002032009A (ja) * 2000-07-14 2002-01-31 Sharp Corp 仮想キャラクタ育成サーバ、仮想キャラクタ育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00072751A (ko) * 2000-09-25 2000-12-05 최효윤 인터넷 온라인 가상동물세계 자연농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92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8464B1 (en) Proactive user interface including evolving agent
EP0753835B1 (en)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sharing method and system
US200701911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Game Controller Device for Electronic Trading
IL174116A (en) A proactive UI that includes a learning component
CN109621419B (zh) 游戏角色表情的生成装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20020059806A (ko) 에이전트시스템, 에이전트매매방법, 정보제공장치 및데이터 기록매체
JP2021003200A (ja) サーバ及び情報システム
JP671352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471132B1 (ko) 다종 가상 캐릭터 동시양육 관리 툴
KR20000024496A (ko) 캐릭터 육성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광고시스템
CN115328354A (zh) 游戏中的交互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10082449A (ko) 생장 캐릭터 시스템 및 그 활용에 관한 제어방법
CN110008321A (zh) 信息交互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2807688A (zh) 游戏内表情设置方法、装置、处理器及电子装置
CN101141664B (zh) 发送软件机器人消息的方法
CN110170172A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电子宠物游戏平台和家居终端
CA2536233C (en) Proactive user interface including evolving agent
KR101418680B1 (ko) 로봇 동작용 콘텐츠 저작 툴을 갖는 지능형 단말기 및 이를 통한 로봇 동작용 콘텐츠 생성방법, 이를 이용한 로봇 동작용 콘텐츠 거래 기능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로봇 게임 방법
JP7409468B1 (ja) 仮想空間生成装置、仮想空間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仮想空間生成方法
WO2024047717A1 (ja) 疑似プレイヤキャラクタ制御装置、疑似プレイヤキャラクタ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48208A (ko) 3차원 온라인 게임을 이용한 블로그 시스템 및 방법
WO20071424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ising cyber pets using internet messenger
JP2928831B2 (ja) 生物画像表示装置及び生物画像表示方法
JP3044485U (ja) 生物画像表示装置
JP3044486U (ja) 生物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