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026B1 -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026B1
KR100471026B1 KR10-2001-0078307A KR20010078307A KR100471026B1 KR 100471026 B1 KR100471026 B1 KR 100471026B1 KR 20010078307 A KR20010078307 A KR 20010078307A KR 100471026 B1 KR100471026 B1 KR 100471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relay
motor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596A (ko
Inventor
박준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0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 접점과 "-" 접점을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접속 및 단락시키는 방식을 채용하여 기존의 릴레이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ON/OFF" 동작회로에서 릴레이를 삭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릴레이 접점 노이즈의 발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Multi swi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 접점과 "-" 접점을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접속 및 단락시키는 방식의 멀티 스위치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ON/OFF" 동작회로에서 릴레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고 릴레이 접점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스위치들은 단순한 "ON/OFF" 기능만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1개의 모터로 "UP/DOWN" 또는 "LEFT/RIGHT" 등의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2개의 릴레이로 각각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UP 스위치(100)를 누르면 UP 릴레이(110)가 동작하여 실선 라인으로 전원이 흐르면서 모터(300)가 시계 방향으로 동작하고, DOWN 스위치(200)를 누르면 DOWN 릴레이(210)가 동작하여 점선 라인으로 전원이 흐르면서 모터(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기존의 스위치는 단순한 "ON/OFF" 만을 반복하므로, 각각의 동작을 위해서는 2개의 릴레이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원가가 높아지는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는 주로 실내에 장착되므로, 릴레이 접점 노이즈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 접점과 "-" 접점을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접속 및 단락시키는 방식을 채용하여 기존의 릴레이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ON/OFF" 동작회로에서 릴레이를 삭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릴레이 접점 노이즈의 발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이소 운동이 가능한 스위치 조작부(10)와, 상기 스위치 조작부(10)에 의해 길이 중간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동시에 이때의 길이 중간에 절연판(11)을 구비하면서 전원의 "+" 단자 및 "-" 단자와 연결되는 "+" 접점(12a) 및 "-" 접점(12b)과, 모터(19)의 양쪽 단자와 각각 연결되며 "+" 접점(12a) 및 "-" 접점(12b)의 양편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 접점(12a) 및 "-" 접점(12b)과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모터(19)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원을 인가하는 정방향 접점(13)과 역방향 접점(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 접점(12a) 및 "-" 접점(12b)과 정방향 접점(13) 및 역방향 접점(14)은 각각의 접점돌편(15)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부(10)와 "+" 접점(12a) 및 "-" 접점(12b)은 볼(18)을 이용한 접촉구조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6은 스위치 케이스이고, 17a 및 17b는 힌지부를 나타낸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누름조작이 가능한 스위치 조작부(10)는 스위치 케이스(16)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스위치 조작부(10)는 중간의 힌지부(17a)를 이용하여 시이소 운동을 할 수 있고, 한쪽은 "UP" 조작부위로 설정되고 반대쪽은 "DOWN" 조작부위로 설정된다.
이러한 스위치 조작부(10)의 저면에는 각각의 조작부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누름대가 연장되고, 그 끝에는 볼(18)이 형성되어 이것으로 후술하는 각 접점들의 접속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 케이스(16)의 내부에는 중간의 힌지부(17b)를 이용하여 시이소 운동할 수 있는 "+" 접점(12a) 및 "-" 접점(12b)이 장착되고, "+" 접점(12a) 및 "-" 접점(12b)의 중간은 절연판(11)으로 차단되어 구분되는 동시에 양단은 각각 전원의 "+" 단자 및 "-" 단자와 연결되어 항상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 접점(12a) 및 "-" 접점(12b)의 양편에는 각각 작동수단, 예를 들면 모터(19)의 각 단자측과 연결되는 정방향 접점(13) 및 역방향 접점(14)이 배치되며, 이때의 각각의 접점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점돌편(15)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멀티 스위치에 대한 조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편의상 "UP/DOWN" 조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10)의 "DOWN" 조작부위를 누르면, 도면의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 접점(12a)이 아래로 눌려지면서 정방향 접점(13)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때에는 모터(19)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10)의 "UP" 조작부위를 누르면, 도면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 접점(12b)이 아래로 눌려지면서 역방향 접점(14)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때에는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 스위치를 채용하는 회로에서는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릴레이 접점 노이즈가 전혀 없고, 릴레이 및 이에 따른 와이어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 및 공정수를 축소할 수 있으며, 2개의 릴레이 및 이에 따른 6회의 와이어가 감소되므로, 자동차 1대당 17,000원 정도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릴레이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치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릴레이의 삭제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와 릴레이 접점 노이즈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에서 "UP" 조작상태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에서 "DOWN" 조작상태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스위치를 이용한 모터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 조작부 11 : 절연판
12a : "+" 접점 12b : "-" 접점
13 : 정방향 접점 14 : 역방향 접점
15 : 접점돌편 16 : 스위치 케이스
17a,17b : 힌지부 18 : 볼
19 : 모터

Claims (3)

  1. 시이소 운동이 가능한 스위치 조작부(10)와, 상기 스위치 조작부(10)에 의해 길이 중간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동시에 길이 중간에 절연판(11)을 구비하면서 전원의 "+" 단자 및 "-" 단자와 연결되는 "+" 접점(12a) 및 "-" 접점(12b)과, 모터(19)의 양쪽 단자와 각각 연결되며 "+" 접점(12a) 및 "-" 접점(12b)의 양편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 접점(12a) 및 "-" 접점(12b)과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모터(19)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원을 인가하는 정방향 접점(13)과 역방향 접점(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 접점(12a) 및 "-" 접점(12b)과 정방향 접점(13) 및 역방향 접점(14)은 각각의 접점돌편(15)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부(10)와 "+" 접점(12a) 및 "-" 접점(12b)은 볼(18)을 이용한 접촉구조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KR10-2001-0078307A 2001-12-11 2001-12-11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KR100471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307A KR100471026B1 (ko) 2001-12-11 2001-12-11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307A KR100471026B1 (ko) 2001-12-11 2001-12-11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596A KR20030047596A (ko) 2003-06-18
KR100471026B1 true KR100471026B1 (ko) 2005-03-08

Family

ID=2957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307A KR100471026B1 (ko) 2001-12-11 2001-12-11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441129U (zh) * 2015-01-26 2015-07-0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电动开关
CN109192591B (zh) * 2018-10-22 2019-11-08 安徽银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头触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0664A (ja) * 1988-05-18 1989-11-22 Dainippon Ink & Chem Inc ピリミジン誘導体
JPH02281516A (ja) * 1989-04-21 1990-11-19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KR20020008714A (ko) * 2000-07-25 2002-01-31 박종은 멀티 전자 접촉기
KR100686987B1 (ko) * 2000-01-11 2007-02-27 미즈자와 가가꾸 고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붕산아연, 그 제법 및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0664A (ja) * 1988-05-18 1989-11-22 Dainippon Ink & Chem Inc ピリミジン誘導体
JPH02281516A (ja) * 1989-04-21 1990-11-19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KR100686987B1 (ko) * 2000-01-11 2007-02-27 미즈자와 가가꾸 고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붕산아연, 그 제법 및 용도
KR20020008714A (ko) * 2000-07-25 2002-01-31 박종은 멀티 전자 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596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9882B2 (en) Electrical switch for a motor vehicle
JP3038639B2 (ja) レバースイッチの組付構造
KR100471026B1 (ko)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US6273593B1 (en) Door and manually actuated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JPS59167276U (ja) 車両用パワ−ウインド装置
US2899513A (en) schmidt
EP0278536B1 (en) Control device for a movable part, designed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especially a sliding/tilting roof for a vehicle
US20060152312A1 (en) Combination of a switching device and a printed board
KR100656002B1 (ko) 차량용 통합 스위치
JP2004096918A (ja) スイッチ装置
US3612785A (en) Electrical switches with actuating and locating parts movable independently or concurrently
JP2571815Y2 (ja) 多方向傾動操作レバーの配線構造
JP2006351507A (ja) スイッチ装置
KR100871732B1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EP1279561A3 (de) Kraftfahrzeug-Schaltmodul
KR100513975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하이 및 로우 릴레이의 통합형 구조
JP2576759Y2 (ja) ディマパッシングスイッチ装置
KR100366214B1 (ko) 회전형 스위치의 디텐트 장치
JP2867463B2 (ja) 多連スイッチ
JP2001297648A (ja) スイッチ装置
JP2007294471A (ja) スイッチ装置
ITMI962582A1 (it) Circuito elettrico per attivare un tergicristallo
US10029609B2 (en) Steering-column switch unit for operat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sumer, which is operated by an electric load current,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eering-column switch unit
KR100330048B1 (ko) 혼 작동 장치
US6894238B2 (en) Contactor with strand-free, single-interrupting current ro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