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569B1 - 바리케이드 - Google Patents

바리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569B1
KR100470569B1 KR10-2002-0006091A KR20020006091A KR100470569B1 KR 100470569 B1 KR100470569 B1 KR 100470569B1 KR 20020006091 A KR20020006091 A KR 20020006091A KR 100470569 B1 KR100470569 B1 KR 10047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cade
support
vertical support
vehicle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983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02-000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5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바리케이드에 의한 주차공간과 인파공간이 구분된 상태에서 주차공간에서 급발진 등과 같이 차량이 갑자기 인파공간으로 돌진하는 경우 사전에 그 위험상황을 경고해줄 수 있는 수단이 상기 바리케이드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차량 돌진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는 횡방향의 바리케이드 본체부(1)는 상호 간격을 갖는 다수의 하부지지체(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2)의 하단부 전.후방측으로 전방받침대 및 후방받침대가 연장 형성되며, 후방받침대 상에 수직지지봉(41)을 형성하되, 그 하단부가 복원체(42)에 의해 연결되고, 그 상단부는 수직지지봉(41)의 하부 후방측 감지센서(43)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부재(44)가 상기 수직지지봉(4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며, 수직지지봉(41)은 상부 양측의 연결봉(45)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바리케이드에 의한 주차공간과 인파공간이 구분된 상태에서 주차공간에서 급발진 등과 같이 차량이 갑자기 인파공간으로 돌진하는 경우 사전에 그 위험상황을 경고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차량 돌진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리케이드{barricade}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바리케이드에 의한 주차공간과 인파공간이 구분된 상태에서 주차공간에서 급발진 등과 같이 차량이 갑자기 인파공간으로 돌진하는 경우 사전에 그 위험상황을 경고해줄 수 있는 수단이 상기 바리케이드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차량 돌진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시주차장이나 행사장 등과 같이 주차공간과 사람이 많이 모여 움직이는 공간의 구분이 없는 장소에서는 차량 이동에 따른 접촉사고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그 장소에는 돌이나 통 등과 같은 장애물로 주차공간과 인파공간이 구분되게 하거나 하나의 횡봉을 양측에서 일정높이로 지지되게 하는 구조로 된 통상의 바리케이드(barricade)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차 구분방식은 급발진 등과 같이 차량이 갑자기 바리케이드를 그대로 밀고 인파로 돌진하게 되는 경우 곧바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임시주차장이나 행사장 등에는 사람이 앉아서 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지 않아 바리케이드 위에 걸터앉거나 기대는 식으로 불편성을 초래하게 되고, 바리케이드의 외관 특성상 경직된 분위기를 연출하게 됨으로써 쾌적한 공간의 저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바리케이드에 의한 주차공간과 인파공간이 구분된 상태에서 주차공간에서 급발진 등과 같이 차량이 갑자기 인파공간으로 돌진하는 경우 사전에 그 위험상황을 경고해줄 수 있는 수단이 상기 바리케이드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차량 돌진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리케이드의 설치만으로 사람이 앉아서 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 및 주변환경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리케이드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면서 차량의 급발진 등에 의한 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리케이드를 이용해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리케이드에 각종 경고 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에 보다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횡방향의 바리케이드 본체부는 상호 간격을 갖는 다수의 하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의 하단부 전.후방측으로 전방받침대 및 후방받침대가 연장 형성되며, 후방받침대 상에 수직지지봉을 형성하되, 그 하단부가 복원체에 의해 연결되고, 그 상단부는 수직지지봉의 하부 후방측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부재가 상기 수직지지봉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며, 수직지지봉은 상부 양측의 연결봉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봉은, 수직지지봉 양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받침대 및 후방받침대는 높이조절볼트가 수직 관통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는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밑면은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는, 대략 중간 상부측에 광고판이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은 바리케이드 본체부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광고판 지지봉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는, 대략 중간 하부측에 문자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받침대 사이에는 양단이 전방받침대 상에 고정되는 화분적치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의 전방측에 다수의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횡방향의 팔각봉 형태로 형성된 바리케이드 본체부(1)가 구비되고,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1)는 상호 간격을 갖는 다수의 하부지지체(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지지체(2)는 원주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지지체(2)의 하단부에는 전.후방측으로 전.후방받침대(3)(4)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바리케이드 상부측에 비교적 면적이 넓은 직사각형태의 광고판(11)이 형성되며, 상기 광고판(11)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광고판 지지봉(12)에 의해 하부가 바리케이드 본체부(1) 상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1)의 하부측에는 "차량주의"등과 같은 각종 경고문구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면적의 문자판(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함께 상기 후방받침대 상에는 바리케이드 측으로 밀고 들어오는 차량의 진입을 사전에 경보해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는 도 2 설명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상기 전방받침대와 전방받침대 사이에는 화분을 적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분적치대가 지상에서 소정높이 형성되며, 상기 화분적치대의 양단부는 볼트체결 등과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전방받침대 상에 고정 및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 본체부(1) 측으로 밀고 들어오는 차량의 접촉에 의해 차량진입을 사전에 경보해줄 수 있는 경보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경보수단은 후방받침대 상에 수직지지봉(41)이 형성되고, 상기 수 직지지봉(41)의 하단부는 외력에 의해 수직지지봉(41)의 위치가 변동된 후, 그 외력의 해제시에는 상기 수직지지봉(41)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복원체(42)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여기서는 상기 복원체(42)는 고탄력 스프링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봉(41)의 후방측(여기서는 차량진입방향을 기준)에는 차량의 진입력에 의해 수직지지봉(41)이 휘어지는 식으로 변형할 때 접촉에 의해 그 변형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43)가 구비되는 것이며, 수직지지봉(41)의 상단부에는 상기 감지센서(43)의 신호를 받아 반복적으로 점멸되도록 하거나 경고음을 내도록 하는 경보부재(44)가 상기 수직지지봉(4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보부재(44) 내부에는 광원소자 및 음향소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소자 또는 음향소자는 상기 감지센서(43)와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수직지지봉(41)은 횡봉형태의 연결봉(4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45)은 수직지지봉(41)의 상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관(46)에 삽입하는 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삽입관(46)에 의해 연결봉(45)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해진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 1의 측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리케이드 본체부(1)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체(2)의 전.후방받침대(3)(4)에는 높이조절볼트(51)가 상.하로 수직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51)의 하단부에는 판상의 받침판(52)이 일체로 형 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52)의 밑면은 요철부(53)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1) 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수직지지봉(4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진입력에 의해 휘어지는 식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그 변형되는 수직지지봉(41)이 감지센서(43)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그 상태에 대한 신호가 경보부재(44) 측으로 전달되고 이 전달된 신호에 따라 경보부재(44)는 조명이 반복적으로 동작되거나 경고음을 내는 식으로 작동되어 그 위험상황을 대외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차량 진입력이 해제되면 변형된 수직지지봉(41)은 하부측 복원체(4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리고 바리케이드 본체부(1)는 전.후방받침대(3)(4)에 형성된 높이조절부(5)의 높이조절볼트(51)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며, 상기 높이조절볼트(51)의 하단부 받침판(52) 밑면부에 형성된 요철부(53)에 의해 차량 진입력에 의한 바리케이드 본체부(1)의 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바리케이드 본체부(1)가 다수의 하부지지체(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며, 상기 하부지지체(2)의 하단부 전.후방측으로는 전.후방받침대(3)(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방받침대 사이에는 화분적치대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바리케이드 본체부(1)의 전방측에 의자(6)가 구비된 것이며, 이 의자(6)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별도 의자(6)를 구비할 필요없이 바리케이드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행사장 등에서 사람이 편하게 앉아서 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바리케이드 본체부(1)는 다수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의 연결은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1)의 직경 차이에 따른 관 삽입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의 길이는 그 삽입된 관의 슬라이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에 의한 주차공간과 인파공간이 구분된 상태에서 주차공간에서 급발진 등과 같이 차량이 갑자기 인파공간으로 돌진하는 경우 사전에 그 위험상황을 경고해줄 수 있는 수단이 상기 바리케이드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차량 돌진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의 설치만으로 사람이 앉아서 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 및 주변환경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면서 차량의 급발진 등에 의한 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를 이용해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에 각종 경고 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에 보다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 1의 측면도로서,
도 3a는 작동전의 상태도이고,
도 3b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바리케이드 본체부
11:광고판 12:광고판 지지봉
13:문자판
2:하부지지체
3:전방받침대
30:화분적치대
4:후방받침대
41:수직지지봉 42:복원체
43:감지센서 44:경보부재
45:연결봉 46:삽입관
5:높이조절부
51:높이조절볼트 52:받침판
53:요철부
6:의자

Claims (7)

  1. 횡방향의 바리케이드 본체부(1)는 상호 간격을 갖는 다수의 하부지지체(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2)의 하단부 전.후방측으로 전방받침대 및 후방받침대가 연장 형성되며, 후방받침대 상에 수직지지봉(41)을 형성하되, 그 하단부가 복원체(42)에 의해 연결되고, 그 상단부는 수직지지봉(41)의 하부 후방측 감지센서(43)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부재(44)가 상기 수직지지봉(4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며, 수직지지봉(41)은 상부 양측의 연결봉(45)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45)은,
    수직지지봉(41) 양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받침대 및 후방받침대는,
    높이조절볼트(51)가 수직 관통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51)의 하단부는 받침판(52)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부(5)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밑면은 요철부(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1)는,
    대략 중간 상부측에 광고판(11)이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11)은 바리케이드 본체부(1)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광고판 지지봉(1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는,
    대략 중간 하부측에 문자판(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받침대 사이에는 양단이 전방받침대 상에 고정되는 화분적치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리케이드 본체부(1)의 전방측에 다수의 의자(6)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바리케이드.
KR10-2002-0006091A 2002-02-02 2002-02-02 바리케이드 KR10047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91A KR100470569B1 (ko) 2002-02-02 2002-02-02 바리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91A KR100470569B1 (ko) 2002-02-02 2002-02-02 바리케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390U Division KR200275476Y1 (ko) 2002-02-02 2002-02-02 바리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983A KR20030065983A (ko) 2003-08-09
KR100470569B1 true KR100470569B1 (ko) 2005-02-22

Family

ID=3222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091A KR100470569B1 (ko) 2002-02-02 2002-02-02 바리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218B1 (ko) * 2017-12-15 2019-01-16 전자부품연구원 안전 펜스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983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3219A (en) Safety walker assembly
KR101884001B1 (ko) 보행자와 운전자의 주의환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EP1319354A3 (de) Stuhl mit höhenverstellbarer Kopfstütze
KR102339386B1 (ko) 레이더와 led를 활용한 교통사고 위험 감지 알림 시스템
US6952168B2 (en) Audio cone module
KR101928486B1 (ko) 휀스
KR100470569B1 (ko) 바리케이드
KR200275476Y1 (ko) 바리케이드
KR20180128318A (ko) 임시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EP1205137A1 (en) Hanger
JP2009155951A (ja) 段差昇降用手摺り
KR101172025B1 (ko)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JP2018044424A (ja) 迷惑駐車防止抑制装置
KR101999633B1 (ko) 휴게 의자
KR200390571Y1 (ko) 안전 펜스
ES2142696B1 (es) Sistema de anclaje para asientos de vehiculos.
KR101563540B1 (ko)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US6070347A (en) Frame mountable identifying device
CN211130831U (zh) 一种坐便椅
KR101622042B1 (ko) 조립식 편의의자
ES2227648T3 (es) Estructura de soporte para elementos de suelo modular.
GB2261239A (en) Automatic self-righting traffic bollard
CN209883626U (zh) 一种座地式展示架
JP3115881U (ja) 移動式柵
JP3151321U (ja) 立位休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