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155B1 -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능동종단기 및 자체종단구동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능동종단기 및 자체종단구동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155B1
KR100469155B1 KR10-2002-0042771A KR20020042771A KR100469155B1 KR 100469155 B1 KR100469155 B1 KR 100469155B1 KR 20020042771 A KR20020042771 A KR 20020042771A KR 100469155 B1 KR100469155 B1 KR 10046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ransmission line
self
terminating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759A (ko
Inventor
권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US10/293,312 priority Critical patent/US6937111B2/en
Priority to DE10253695A priority patent/DE10253695A1/de
Priority to TW091133945A priority patent/TWI320631B/zh
Priority to JP2002337573A priority patent/JP4206731B2/ja
Publication of KR2003004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57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8Impedance 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전송선로 접속장치단 및 전송선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송선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는, 상기 전송선로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상기 수신장치와 병렬로 상기 전송선로에 수신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능동종단회로; 출력데이터에 따라 제1 상태 전압 및 제2 상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자체종단 구동회로;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출력이 제1 상태 전압인 경우,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출력이 제2 상태 전압인 경우는 상기 자체종단구동회로 또는 상기 능동종단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장치와 능동종단회로의 합성 입력임피던스 및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출력임피던스는 상기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신호송수신시 발생하는 반사파를 최소화하여 신호의 충실성을 향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능동종단기 및 자체종단 구동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Device and System Having Self-terminated Driver and Active Terminator for High Speed Interface}
본 발명은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장치 및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된 능동종단회로를 수신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전송선로에 연결시키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출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된 자체종단 구동회로를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거나, 특정레벨의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구동기로써 상기 능동종단회로를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송수신장치 및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클럭 속도 및 데이터의 전송속도의 계속적인 증가에 따라, 임피던스 부정합에서 기인하는 반사파 역시 증가하기 때문에, 고속동작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신호를 정확하게 송수신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송수신장치가 연결되는 전송선로가 단일 와이어, 버스의 일부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송신장치의 출력임피던스 및 수신장치의 입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와 충분하게 정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소진폭 고속동작(low swing high speed)을 위한 개방 드레인 구동회로(open-drain driver)와 수신장치를 사용하고, 임피던스가 정합된 칩 외부의 병렬종단저항(off-chip parallel termination resistor)를 전송선로의 종단라인에 하나만 연결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송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하나의 전송선로에는 복수의 송수신장치(10,20,30,40)가 연결이 되는데, 제1 송수신장치(10)는 송신장치(12) 및 수신장치(15)를 모두 도시하였지만, 나머지 송수신장치(20,30,4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장치(25,35,45)만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시스템에서는 필연적으로 각각의 스터브 채널(stub channel) 및 각각의 수신장치(15,25,35,45) 입력단에서는 기생용량(cp1, cp2, …,cpN)이 존재하게 되어 전송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이 길어지고 동작 주파수가 낮게 제한될 뿐 아니라, 별도의 병렬종단저항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설계가 복잡해지고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전송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이 줄어들고 동작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수신장치(15,25,35,45) 입력단을 포함하는 채널상의 불연속점(discontinous point)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파가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송신장치(12)의 출력임피던스 및 수신장치(15,25,35,45)의 입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에 정합되지 않으면 반사파를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신장치(15,25,35,45)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신호의 신호 충실성(signal integrity)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신호 충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송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고속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간단하고 편리한 임피던스 정합 혹은 근사정합을 제공하는 것은 계속된 요구사항이다.
본 발명은 송신장치의 출력임피던스 및 수신장치의 입력임피던스를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선택적으로 정합 또는 근사정합함과 동시에, 능동종단회로를 선택적으로 전송선로에 연결함으로써 전송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사파를 저감하여 높은 동작주파수에서도 전송신호의 충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수신장치 및 고속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장치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을 쌍극 전류 모드 구동회로와 능동종단회로로 구현한 실시예의 등가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을 쌍극 전압 모드 구동회로와 능동종단회로로 구현한 실시예의 등가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60,70,80 : 송수신장치 52 : 자체종단 구동회로
54,64,74,84 : 능동종단회로 56 : 선택회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송선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는, 상기 전송선로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상기 수신장치와 병렬로 상기 전송선로에 수신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능동종단회로; 출력데이터에 따라 제1 상태 전압 및 제2 상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자체종단 구동회로;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출력이 제1 상태 전압인 경우,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출력이 제2 상태 전압인 경우에는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 혹은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기 능동종단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장치와 능동종단회로의 합성 입력임피던스 및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출력임피던스는 상기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송선로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송수신장치 및 상기 복수의 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상기 송수신장치는 출력임피던스를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시킬 수 있는 자체종단 구동회로 및 수신장치와의 합성입력임피던스를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 시킬 수 있는 능동종단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특정 전위레벨의 신호를 상기 전송선로를 통해 송신할 상기 송수신장치의 경우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전송선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상기 송수신장치의 경우 능동종단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송수신장치가 전송라인을 통해 접속된 고속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좌측 송수신장치(50)에만 자체종단 구동회로(52) 및 선택회로(56)를 도시하였지만 다른 송수신장치(60,70,80)도 최좌측 송수신장치(50)와 동일한 구성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50)는 자체종단 구동회로(52), 능동종단회로(54) 및 선택회로(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체종단 구동회로(52)는 전류원(Io)과 등가저항(Ro)이 병렬로 전송선로(Zo)에 접속된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는데, 등가회로의 저항(Ro)은 출력된 신호가 반사파로 되돌아 올 경우 전송라인으로 재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송선로(Zo)에서 자체종단 구동회로(52)를 바라보았을 때의 출력임피던스(Ro)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Zo)와 정합(Z0=RO) 또는 근사정합(5ZO>RO>ZOor (ZO/5)<RO<ZO)하도록 저항값(Ro)을 설정한다. 자체종단 구동회로(52)는 송수신장치(50,60,70,80)의 출력임피던스를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시키기 때문에 임피던스 정합이 되지 않은 종래의 송수신장치에 비해 송수신장치(50,60,70,80)가 특정레벨의 전기적신호를 전송선로로 출력하는 경우 발생하는 입력단으로부터의 반사파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능동종단회로(54,64,74,84)는 각 송수신장치(50,60,70,80)의 수신장치(15,25,35,45)와 병렬로 전송선로에 접속된다. 능동종단회로(54,64,74,84)의 임피던스는 능동종단회로(54,64,74,84)와 수신장치(15,25,35,45)의 합성입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Zo)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하도록 선택된다. 능동종단회로(54,64,74,84)는 단부전위(Vtt)에 일단이 연결이 된 저항(Ro)으로 등가화할 수 있다. 송수신장치(50,60,70,80)의 능동종단회로(54,64,74,84)의 입력임피던스 뿐만 아니라 자체종단 구동회로(52)의 출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이 되기 때문에 송수신장치(50,60,70,80)가 특정레벨의 전기적신호를 전송선로를 통해 입력받는 경우 발생하는 반사파를 임피던스 정합이 되지 않은 종래의 송수신장치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선택회로(56)는 송수신장치(50,60,70,80)가 특정레벨의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변화하는 송수신시스템의 전기적 환경에 적합하도록 각 송수신장치(50,60,70,80)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송수신장치(50)가 특정레벨의 전기적신호를 전송선로로 출력하는 경우 출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된 자체종단 구동회로(52) 또는 능동종단회로(54)를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해당 송수신장치(50)가 특정레벨의 전기적신호를 전송선로를 통해 입력받는 경우 입력임피던스가 전송선로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된 능동종단회로(54)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회로(56)의 자체종단 구동회로(52)와 능동종단회로(54)간선택동작은 택일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선택회로(56)는 능동종단회로(54)와 자체종단 구동회로(52)를 선택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나, 능동종단회로(54)와 자체종단 구동회로(52)를 동시에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선택회로는 도 2에서처럼 전송선로에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지만, 도 3 내지 도 4에서처럼 파워레일(Power Rail)에 가깝게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등가인 회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단회로의 선형성은 수동소자에 의해서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송수신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자체종단 구동회로(52)와 능동종단회로(54)의 임피던스 소자와 같은 일부구성을 공유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유부분은 선택회로(56)의 선택동작과 무관하게 전송라인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대일(1-to-1) 인터페이스의 경우로써, 최좌측의 송수신장치(50)에서 최우측 송수신장치(8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가정한다. 송신측의 송수신장치(50)의 선택회로(56)는 특정레벨의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자체종단 구동회로(52) 혹은 능동종단회로(54)를 전송선로에 연결한다. 수신측의 송수신장치(80)의 선택회로는 능동종단회로(84)를 전송라인에 연결한다. 이때, 자체종단 구동회로는 선택회로에 의해 전송선로에 연결되지 않는다. 한편, 송수신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송수신장치(60,70)에서는 선택회로의 제어를 용이하게 유지하면서 적절히 충실한 신호를 수신측(80)에 전달하기 위해서, 각각의 능동종단회로(64,74)를 전부 전송라인에 연결하거나 혹은 전부 연결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신측 송수신 장치(80)에서만 능동종단회로(84)를 전송라인에 연결시키지 않고, 다만 송수신에 관여하지 않는 다른 송수신장치(60,70)에서만 근사정합된 능동종단회로(64,74)를 연결시켜서 전송선로와 각각의 송수신장치(60,70)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한 신호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수신측의 송수신장치(80)로 충실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대다(1-to-N)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송신측의 선택회로(56)는 특정전위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자체종단 구동회로(52) 혹은 능동종단회로(54)를 전송선로에 연결시키고, 나머지 수신측의 선택회로는 종단회로(64,74,84)를 전송선로에 연결시킨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구동회로(52)의 출력 임피던스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정확히 정합 또는 근사정합될 수 있으므로, 전송선로부터 유입되는 반사파를 상당히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수신측의 수신장치(25,35,45)들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있는 종단회로(65,75,85)를 칩내 종단으로 활용하여 반사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례에서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소자로 저항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저항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량성 소자 및 유도성 소자 등의 다른 수동소자 뿐만 아니라,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소자를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정합혹은 근사정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장치는 입출력 임피던스가 전송라인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되어 있으므로, 외부 병렬종단 저항을 연결하기 위한 스터브 채널(stub channel), 외부 단부전원(Vtt), 그리고 외부 종단저항(Rtt)이 전혀없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도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50)를 CMOS를 이용하여 구현한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송수신장치(50)는 자체종단 구동회로(52), 능동종단회로(54), 선택회로로 구성되는데, 자체종단 구동회로(52)는 네가티브 피드백회로(MND,MPF,MNF), 바이어스 전압원(Vbias) 및 트랜지스터(MNB)로, 종단회로(54)는 수동저항소자(Rc,Rd), 트랜지스터(MPR) 및 단부전원(Vtt)으로, 선택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스터(MPR,MND,MNF)로 각각 구현된다.
제1 실시례에 따른 송수신장치(5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전송선로로 특정전위의 전기적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하이레벨의 입력전압(Vo)이 인가되면 프리구동회로(Pre-Driver)를 거쳐 선택회로를 구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MND)가 도통하여 네가티브 피드백 회로(52)가 초기 바이어스전류(Io)로 전송선로에 연결된다. 이때 선택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MPR)는 도통하지 않으므로 종단회로(54)는 전송선로에 연결되지 않는다. 네가티브 피드백 회로(52)의 트랜지스터(MND)의 드레인에는 바이어스전류(Io)에서 트랜지스터(MNF,MPF)의 전류를 뺀 차이에 해당하는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다음으로, 로우레벨의 입력전압(Vo)이 인가되면 프리구동회로(Pre-Driver)를 거쳐 선택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MPR)가 도통하여 종단회로(54)를 전송선로에 연결시킨다. 이때 선택회로를 구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MND,MNF)는 도통하지 않으므로 자체종단 구동회로(52)는 전송선로에 연결되지 않는다. 종단회로(54)의 트랜지스터(MPR)는 단부전위(Vtt)와 전송선로의 사이에 게재되는 등가저항으로써 동작하게 된다. 이때 단부전위(Vtt)와 트랜지스터(MPR) 사이의 저항성 소자(Rc) 및 트랜지스터(MPR)와 전송선로 사이의 저항성 소자(R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50,60,70,80)를 칩내부 종단저항으로 활용해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제어신호를 통해 강제적으로 능동종단회로(54)를 전송선로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입력전압(Vo)에 무관하게 종단회로(54)를 전송선로에 연결시키기 위해 별도의 제어신호(Enable_Act)를 프리구동회로(Pre-Driver)와 선택회로(MPR,MND) 사이에 게재되는 트랜지스터에 인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하이레벨의 제어신호(Enable_Act)가 인가되면 입력전압(Vo)에 관계없이 트랜지스터(MPR)가 도통하게 되어, 능동종단회로(54)가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어신호(Enable_Act)는 각각의 송수신장치(50,60,70,8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송수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회로와는 다르게 레벨 쉬프터를 이용하여 Vdd 전압을 도 3의 Vtt에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능동종단회로(54)에 인가하는 예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인해 별도의 단부전압(Vtt)을 능동종단회로(54)에 인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수신장치(50,60,70,80)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 회로의 동작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세부동작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레벨쉬프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로 입력전압(Vo)의 상보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능동종단회로(54)가 전송선로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불필요한 능동종단회로(54)에서의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50,60,70,80)의 자체종단 구동회로(52)와 능동종단회로(54)를 양극 전류모드 회로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단극 전류 모드 구동회로(Unipolar Current-mode driver)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복잡한 양극 전류모드 구동회로(bipolar current-mode driver)에서도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는 자체종단 구동회로와 각각의 자체종단 구동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종단회로(100,105)를 포함시켜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장치가 신호를 전송라인에 출력하는 경우는 양극전류모드의 자체종단구동회로를 전송라인에 연결하고, 전송라인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거나 칩내종단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는 능동종단회로를 선택적으로 전송라인에 연결한다.
도 6은 확장된 형태의 자체종단 구동회로와 능동종단회로로 구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어떠한 형태의 전류모드 구동회로 뿐만 아니라 종래의 어떠한 형태의 전압모드 구동회로에서도 동일한 원리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종단회로로써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 소자뿐만 아니라 수동소자를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등가저항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종단회로의 선형성은 수동소자에 의해서 결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장치 및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의하면, 구동회로의 출력 임피던스를 채널 임피던스에 정확히 정합하거나 혹은 근사적으로 정합할 수 있으므로,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반사파를 최소화할 수 있고 수신기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송선로 접속장치의 능동종단회로를 선택적으로 칩내 종단으로 활용하여 반사파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각종 전송선로상에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할 때, 종래의 구동회로와 외부 병렬 종단저항을 사용한 것에 비해 고속동작 인터페이스에서 신호 충실도를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능동종단회로를 적절히 사용할 경우 외부 병렬 종단저항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단순화하고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전송선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상기 수신장치와 병렬로 상기 전송선로에 접속할 수 있는 능동종단회로;
    출력데이터에 따라 제1 상태 전압 및 제2 상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자체종단 구동회로;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출력이 제1 상태 전압인 경우,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출력이 제2상태 전압인 경우에는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 혹은 상기 능동종단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장치와 능동종단회로의 합성 입력임피던스 및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출력임피던스는 상기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종단회로는 상기 능동종단회로의 전부 또는 일부의 구성을 공유하여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출력임피던스를 상기 전송선로에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하고,
    상기 능동종단회로와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의 공통구성부분은 상기 선택회로의 동작에 무관하게 상기 전송선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장치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경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회로는 상기 능동종단회로만을 상기 전송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송수신장치 내부 또는 외부의 제어회로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는 네가티브 피드백회로를 이용하여 출력임피던스를 상기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할 수 있고,
    상기 능동종단회로는 능동소자, 수동소자 및 그 결합 중 하느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임피던스를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에 정합 또는 근사정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전압은 특정 논리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0 V 가 아닌 출력전압이고, 상기 제2 상태 전압은 반대의 논리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O V 출력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종단 구동회로는 단극전류모드 구동회로, 양극 전류모드 구동회로, 단극 전압모드 구동회로, 양극 전압모드 구동회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고,
    상기 능동종단 회로는 단극모드 능동종단 회로 또는 양극모드 능동종단회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8. 제1항에 의한 송수신장치를 다수개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송수신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송신측 송수신장치에 포함된 자체종단 구동회로와 수신측 송수신장치에 포함된 능동종단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송선로를 통해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송수신장치의 능동종단회로만을 상기 전송선로에 연결시키되, 송신측 송수신장치에 포함된 자체종단 구동회로를 상기 전송선로에 추가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2002-0042771A 2001-11-21 2002-07-20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능동종단기 및 자체종단구동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 KR10046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93,312 US6937111B2 (en) 2001-11-21 2002-11-14 Device and system having self-terminated driver and active terminator for high speed interface
DE10253695A DE10253695A1 (de) 2001-11-21 2002-11-18 Vorrichtung und System, welches einen selbst abgeschlossenen Treiber und einen aktiven Abschlusswiderstand für ein Hochgeschwindigkeitsinterface besitzt
TW091133945A TWI320631B (en) 2001-11-21 2002-11-21 Device and system having self-terminated driver and active terminator for high speed interface
JP2002337573A JP4206731B2 (ja) 2001-11-21 2002-11-21 送受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高速動作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778 2001-11-21
KR20010072778 2001-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759A KR20030041759A (ko) 2003-05-27
KR100469155B1 true KR100469155B1 (ko) 2005-02-02

Family

ID=2957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771A KR100469155B1 (ko) 2001-11-21 2002-07-20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능동종단기 및 자체종단구동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7143B2 (en) 2021-02-03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ircuit for controlling output impedance of a transmission circuit and an image sensor including i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874A (ja) * 1996-04-17 1997-10-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能動終端切替方法及び装置
KR100232317B1 (ko) * 1996-08-26 1999-12-01 포만 제프리 엘 시스템내의 장치들을 정합시키는 장치단
US6356106B1 (en) * 2000-09-12 2002-03-12 Micron Technology, Inc. Active termination in a multidrop memory system
US6369605B1 (en) * 2000-09-18 2002-04-09 Intel Corporation Self-terminated driver to prevent signal reflections of transmissions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2002204271A (ja) * 2000-12-28 2002-07-19 Hitachi Ltd 共有バスの終端回路、共有バスシステム
JP2002204154A (ja) * 2000-11-02 2002-07-19 California Micro Devices Corp 終端回路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874A (ja) * 1996-04-17 1997-10-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能動終端切替方法及び装置
KR100232317B1 (ko) * 1996-08-26 1999-12-01 포만 제프리 엘 시스템내의 장치들을 정합시키는 장치단
US6356106B1 (en) * 2000-09-12 2002-03-12 Micron Technology, Inc. Active termination in a multidrop memory system
US6369605B1 (en) * 2000-09-18 2002-04-09 Intel Corporation Self-terminated driver to prevent signal reflections of transmissions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2002204154A (ja) * 2000-11-02 2002-07-19 California Micro Devices Corp 終端回路およびその方法
JP2002204271A (ja) * 2000-12-28 2002-07-19 Hitachi Ltd 共有バスの終端回路、共有バス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7143B2 (en) 2021-02-03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ircuit for controlling output impedance of a transmission circuit and an image sensor including i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759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6731B2 (ja) 送受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高速動作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US7795919B2 (en) Transmitter driver circuit in high-speed serial communications system
KR100433019B1 (ko) 출력 버퍼 회로
EP0475711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IC chips
US6642740B2 (en) Programmable termination circuit and method
JP4960833B2 (ja) シングルエンド伝送及び差動伝送の切替えが可能な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6704818B1 (en) Voltage-mode driver with pre-emphasis, slew-rate control and source termination
KR0167471B1 (ko) Cmos 동시 전송 양방향 구동기/수신기
KR100652391B1 (ko) 저전압 차동 신호 드라이버
US7474118B2 (en) Transmission circuit,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755384B2 (en) High speed IO buffer
US7768306B2 (en) Low to high voltage conversion output driver
US7969183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281266B1 (ko) 고속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
JPH07235952A (ja) 信号伝送回路およびその回路を用いた信号伝送装置
US7920014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89944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over a channel
KR100469155B1 (ko) 고속동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능동종단기 및 자체종단구동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
US6774700B1 (en) Current-mode logic differential signal generation circuit employing squelch
US6366126B1 (en) Input circuit, output circuit, and input/output circuit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input/output circuit
US6288962B1 (en) Semiconductor device allowing fast signal transfer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050156621A1 (en) Transceiver providing high speed transmission signal using shared resources and reduced area
KR20040059440A (ko) 반도체 장치의 출력드라이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