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144B1 -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144B1
KR100469144B1 KR10-2002-0058028A KR20020058028A KR100469144B1 KR 100469144 B1 KR100469144 B1 KR 100469144B1 KR 20020058028 A KR20020058028 A KR 20020058028A KR 100469144 B1 KR100469144 B1 KR 10046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platform
stage
lift
rack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518A (ko
Inventor
이상웅
Original Assignee
이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웅 filed Critical 이상웅
Priority to KR10-2002-005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144B1/ko
Priority to JP2003072856A priority patent/JP2004115275A/ja
Publication of KR2004002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국내 주 배송반(MDF:Main distribution Frame)에서 행하여지는 점프선 연결작업에 사용되는 이동 리프트의 탑승작업대를 고정형에서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폭을 넓힌 확장형으로 개선하여 작업 대상 측으로 좀더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안정된 자세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로;
전화국내 주 배송반의 랙과 랙사이에 설치된 레일을 이동하게 케이블베어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하게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상에 유압의 발생과 승강을 도모하게 유압펌프, 실린더를 구비하면서 배전반상부와 승강작업부에 걸쳐 점프선의 인출과 홀딩을 용이하게 하는 점프선인출부를 갖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에 의해 승강 작동하여 주 배송반 랙에 대해 점프선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일측에 배치되면서 운전조작판을 구비한 승강작업부로 구성되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업부에 제1,2상,하부 가이드환봉과 여기에 조립되는 제1,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로 지지 설치하고 제1,2모터와 제1,2피니언기어 및 랙기어로 탑승작업대를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일정 범위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다단 이동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 {MULTI-STAGE SHIFTER OF ON-BOARD WORKBENCH FOR WORKING TRACK LIFT FOR MDF ROOM}
본 발명은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국내 주 배송반(MDF:Main distribution Frame)에서 행하여지는 점프선 연결작업에 사용되는 이동 리프트의 탑승작업대를 고정형에서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폭을 넓힌 확장형으로 개선하여 작업 대상 측으로 좀더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안정된 자세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화국의 주배송반(MDF)실은 랙이 5미터 높이의 천장까지 닿도록 다중으로 시설되어 있으며, 수많은 전화선이 이곳을 통과하여야 함으로 단자들 간을 연결하는 점프선 연결 및 기타 관리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화국내 주배송반실의 특성에 따라 랙과 랙사이를 이동하면서 시설물에 접촉하지 않고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자를 간섭하지 않는 리프트나 작업대가 용구되어 적용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대는 우선 2~3 미터 정도의 바퀴가 달린 수동식 사다리를 사용하여 전후방 이동은 수동으로 밀어서 이루어지고, 상부위치나 하부위치 작업은 사다리를 오르고 내리고 하므로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레일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동과 상승, 하강이 가능한 자동작업대가 개발 보급이 되어 적용하고 있으나 움직이는 자동작업대에 구동력을 주기 위하여 피복되지 아니한 나전선을 레일의 측면이나 랙 밑으로 설치하여 움직이는 차대에서 접촉식으로 전원을 인입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작업대에 의한 작업 시 수없이 발생하는 절단된 점프선(동선)이나 기타 전도성 물체가 끼이게 되면 방전 및 정전사고가 야기되어 전화선 화재사고 및 전류의 교란효과를 야기하는 등 유선통신써비스에 제공에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또, 유압으로 작동되는 자동이동작업대는, 작업중 고장유발시 유압부하로 인하여 수동이동이 어려워 작업을 중단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주배송반실 작업에 필수품인 점프선은 항상 작업자의 작업위치에서 쉽게 사용하여야 하는데 점프선 타래로부터 계속 이동하면서 작업하므로서 엉키거나 꼬여 사용하기가 불편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 또한 있다.
한편, 주배송반실의 바닥 조건상 수평으로 레일 설치가 어려워 레일 위의 4개의 바퀴는 접면이 수평이 되지 않아 안정이 될 수 없어 불안정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등으로 주배송반실에 자동작업대는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문제들에 의해 실제작업에 효과적인 수단이 되지 못하여 보급이 확산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실용신안등록출원 2001-3469호를 출원한 바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탑승작업대가 승강구조로만 되어 있고, 좌,우 이동은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작업 대상물에 대한 작업 편의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국내 주 배송반(MDF:Main distribution Frame)에서 행하여지는 점프선 연결작업에 사용되는 이동 리프트의 탑승작업대를 고정형에서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폭을 넓힌 확장형으로 개선하여 작업 대상 측으로 좀더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안정된 자세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국내 주 배송반의 랙과 랙사이에 설치된 레일을 이동하게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상에 유압의 발생과 승강을 도모하게 되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에 의해 승강 작동하여 주 배송반 랙에 대해 점프선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일측에 배치되면서 운전조작판을 구비한 승강작업부로 구성되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업부에 제1,2상,하부 가이드환봉과 여기에 조립되는 제1,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로 지지 설치하고 제1,2모터와 제1,2피니언기어 및 랙기어로 탑승작업대를 운전조작판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일정 범위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다단 이동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단 이동장치는 승강작업부의 측벽에 장착되어 운전조작판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작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제1모타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1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 기어의 상,하측에 배치되어 승강작업부 측벽에 횡으로 설치된 제1상,하부 가이드환봉과,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면서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 일측면에 부착 형성된 제1랙기어와,
상기 제1상,하부 가이드환봉에 지지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 일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 형성되어 조립되는 제1 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상,하부 가이드환봉과,
상기 제2 상,하부 가이드환봉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탑승작업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운전조작판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작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제2모타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탑승작업대의 좌,우 이동이 치합에 의해 가능하게 일측에 부착 형성한 제2랙기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조정 이동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조정 이동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도3의 A-A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의 절첩형 측면 안전바를 도시한 도면.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의 다단 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의 다단 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 4:구동부
6:유압구동부 8:운전조작판
10:승강작업부 12:주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
14:탑승작업대 16,18,20,22:제1,2상,하부 가이드환봉
24,26,28,30:제1,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 32,34:제1,2모터
36,38,40,42:제1,2피니언기어 및 랙기어 44: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
46:측면 안전바 48:절첩지지바
52:회전축 54:회동로드
56:제3모터
이하, 본 발명발명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조정 이동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조정 이동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조정 이동리프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작업대의 절첩형 측면 안전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2)는 통상의 전화국내 주 배송반의 랙과 랙사이에 설치된 레일을 이동하게 설치된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상에 유압의 발생과 승강을 도모하게 갖는 유압구동부(6)와, 상기유압구동부(6)에 의해 승강 작동하여 주 배송반 랙에 대해 점프선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일측에 배치되면서 운전조작판(8)을 구비한 승강작업부(10)로 구성되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12)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업부(10)와 탑승작업대(14)사이에 제1,2상,하부 가이드환봉(16)(18)(20)(22)과 여기에 조립되는 제1,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24)(26)(28)(30)로 지지 설치하고 제1,2모터(32)(34)와 제1,2피니언기어 및 랙기어(36)(38)(40)(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다단이동장치(2)를 이용 탑승작업대(14)를 운전조작판(8)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일정 범위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다단 이동장치(8)는 승강작업부(10)의 측벽에 장착되어 운전조작판(8)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작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제1모타(32)의 회전축에 제1피니언 기어(36)를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피니언 기어(36)의 상,하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승강작업부(10) 측벽에 횡으로 제1상,하부 가이드환봉(16)(18)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제1피니언 기어(36)와 치합하면서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44) 일측면에 제1랙기어(40)를 부착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상,하부 가이드환봉(16)(18)에 지지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44) 일측면에 제1 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24)(26)를 부착 형성하여 조립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44)의 타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2 상,하부 가이드환봉(20)(22)을 설치하고 있으며, 여기에 상기 제2 상,하부 가이드환봉(20)(22)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탑승작업대(14)의 일측면에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28)(3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44)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운전조작판(8)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작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제2모타(34)의 회전축에 제2피니언기어(38)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38)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탑승작업대(14)의 좌,우 이동이 치합에 의해 가능하게 일측에 제2랙기어(42)를 부착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탑승작업대(14)는 측면 안전바(46)를 절첩지지바(48)로 설치하고 있어 작업중 필요시 작업자가 무릎이나 손으로 밀어 외측으로 젖히면 작업자의 작업공간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5참조)
상기한 탑승작업대(14)에 절첩지지바(48)를 채용한 측면 안전바(46)는 탑승작업대(14)가 고정되거나 좌,우이동형에 구별되지 않고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6,7에 도시한 도면으로,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28)(30)에 회전축(52)으로 연결되는 회동로드(54)를 탑승작업대(14)의 일측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회동로드(54)에는 제3모터(56)를 설치하여 운전조작판(8)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방향 전환하여 점프선 연결 작업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전화국내 주 배송반의 랙과 랙사이에 배치된 자동 조정리프트(12)의 탑승작업대(14)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좀더 주배송반의 랙에 접근하여 작업하고자 하면, 작업자는 운전조작판(8)의 레버나 버튼을 조작하여 승강작업부(10)측에 설치된 제1모터(32)를 1차적으로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작동시키면 제1피니언기어(36)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피니언기어(36)의 회전으로 치합된 제1랙기어(4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랙기어(40)와 승강작업부(10)측의 제1상,하부 가이드환봉(16)(18)에 조립된 제1상,하부 볼가이드브라켓트(24)(26)로 부착된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44)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44)의 이동으로 제2상,하부 가이드 환봉(28)(30)에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28)(30)로 조립되어 거치되고 있는 탑승작업대(14)도 따라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일정 거리 일측의 랙에 접근하여 작업을 할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며, 즉, 좌,우 방향으로 탑승작업대(14)를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1차적으로 탑승작업대(14)를 일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켰지만 랙측으로 이동됨이 미약하다고 판단하면 작업자는 1차로 탑승작업대(14)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시한번 운전조작판(8)의 레버나 버튼을 조작하여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2모터(34)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제2모터(34)의 구동으로 제2피니언기어(38)가 회전하여 치합된 제2랙기어(42)를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제2랙기어(42)는탑승작업대(14)의 일측에 부착되고 있어 2차적으로 탑승작업대(14)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정지 상태인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44)의 제2상,하부 가이드 환봉(20)(22)을 따라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28)(30)가 이동하므로서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28)(30)에 장착되고 있는 탑승작업대(14)도 따라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이로서 탑승작업대(14)가 1차 이동 또는 1,2차 이동에 의해 주배송반실의 랙과 랙과 사이를 이동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최대로 향상하게 되어 피로누적등을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작업대(14)에 절첩지지바(48)로 설치된 측면 안전바(48)를 외측으로 밀어 젖히면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작업공간이 확대되므로서 가능하여 1인 또는 2인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절첩지지바(48)를 채용한 탑승작업대(14)는 좌,우 이동형이나 고정형에 모두 적형할 수 있으며, 어느 한 타입에 한정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6,7에 나타난 탑승작업대(14)는 필요시 운전조작판(8)을 조작하여 제3모터(56)를 작동시켜 탑승작업대(14)를 90°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작업할 수 도 있으며, 이의 좌,우 이동은 상기 작용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MDF 실의 자동 조정리프트의 탑승작업대를 운전조작판의 조작에의해 일정 범위내에서 좌,우로 이동을 제어하여 작업하게 하므로서 작업을 편리하게 하게 한다.
그리고 탑승작업대를 작업 대상측에 접근시키게 되므로서 작업자의 작업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작업 대상측으로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므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측면 안전바의 젖힘시 작업공간의 확장이 이루어지는 등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하게 하는등 전화국내 주배송반실용 리프트 기기 산업의 발전에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4)

  1. 전화국내 주 배송반의 랙과 랙사이에 설치된 레일을 이동하게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상에 유압의 발생과 승강을 도모하게 되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에 의해 승강 작동하여 주 배송반 랙에 대해 점프선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일측에 배치되면서 운전조작판을 구비한 승강작업부로 구성되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업부에 탑승작업대와의 사이에 제1,2상,하부 가이드환봉과 여기에 조립되는 제1,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로 지지 설치하고 제1,2모터와 제1,2피니언기어 및 랙기어를 상호 연동하게 설치하여 운전조작판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일정 범위에서 측면안전바가 구비된 탑승작업대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다단 이동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이동장치는 승강작업부의 측벽에 장착되어 운전조작판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작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제1모타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1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 기어의 상,하측에 배치되어 승강작업부 측벽에 횡으로 설치된 제1상,하부 가이드환봉과,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면서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 일측면에 부착 형성된 제1랙기어와,
    상기 제1상,하부 가이드환봉에 지지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 일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 형성되어 조립되는 제1 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상,하부 가이드환봉과,
    상기 제2 상,하부 가이드환봉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탑승작업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운전조작판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작동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제2모타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측면안전바가 구비된 탑승작업대의 좌,우 이동이 치합에 의해 가능하게 일측에 부착 형성한 제2랙기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작업대가 좌,우 끝단에서 제3모터의 회전구동에 의해 제2상,하부 볼가이드 브라켓트에 연결되는 회동로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직각 회전하여 탑승작업대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설침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작업대에 구비된 측면 안전바를 필요시 외측으로 젖힐 수 있게 절첩지지바를 부가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 배송반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 이동장치.
KR10-2002-0058028A 2002-09-25 2002-09-25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이동장치 KR100469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28A KR100469144B1 (ko) 2002-09-25 2002-09-25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이동장치
JP2003072856A JP2004115275A (ja) 2002-09-25 2003-03-17 電話局主配送盤室用軌道リフト作業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28A KR100469144B1 (ko) 2002-09-25 2002-09-25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18A KR20040026518A (ko) 2004-03-31
KR100469144B1 true KR100469144B1 (ko) 2005-01-31

Family

ID=3732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028A KR100469144B1 (ko) 2002-09-25 2002-09-25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74B1 (ko) * 2015-01-22 2016-12-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철판 운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1399A (ja) * 1995-09-06 1997-03-18 Aichi Corp 作業用アーム
JPH09124282A (ja) * 1995-11-06 1997-05-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
JPH10231095A (ja) * 1997-02-21 1998-09-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用油圧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1399A (ja) * 1995-09-06 1997-03-18 Aichi Corp 作業用アーム
JPH09124282A (ja) * 1995-11-06 1997-05-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
JPH10231095A (ja) * 1997-02-21 1998-09-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用油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18A (ko)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017A (en) Adjustable work table and modular system for the assembly thereof
US4019604A (en) Elevating platform apparatus
US10214402B2 (en) Personnel lift vehicle
CN202467467U (zh) 交叉臂式电动玻璃升降器总成
CN104944328A (zh) 一种车载绝缘升降平台
CN111689344A (zh) 一种具备旋转爬梯功能的电梯轿顶
JPH11310396A (ja) 移動式昇降作業台用垂直マストの横ジブ
KR100469144B1 (ko) 주배송반실용 자동 조정 이동리프트의 탑승작업대 다단이동장치
KR200424574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WO2013008488A1 (ja) 組立作業用コンベア装置
CN112555643B (zh) 卫星调姿装置
JPH08198549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足場装置
CN216299313U (zh) 框架式机械手
CN113047589B (zh) 一种楼房建筑装饰用辅助施工梯
KR100294806B1 (ko) 각도조정이 가능한 고가용 작업대
JPH0630798Y2 (ja) 車輌用リフト装置
CN213868839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施工平台
KR20000042969A (ko) 리프터
CN219765760U (zh) 直立式车载喷涂机器人
KR0158343B1 (ko) 대형차량용 자동이송 작업대
JP2546740B2 (ja) 産業用ロボット装置
CN204689591U (zh) 一种用于10kV带电作业的车载绝缘升降平台
CN207450951U (zh) 两面翻转横移式流水线及其控制系统
JP2758117B2 (ja) 作業装置
EP0522315A1 (en) A lif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an aerial platform, particularly for use in eleva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