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454B1 -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54B1
KR100468454B1 KR10-2000-0049095A KR20000049095A KR100468454B1 KR 100468454 B1 KR100468454 B1 KR 100468454B1 KR 20000049095 A KR20000049095 A KR 20000049095A KR 100468454 B1 KR100468454 B1 KR 10046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zing
pipe
thin plate
arc
arc to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011A (ko
Inventor
김숙환
이목영
권영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4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8/00Welding or cutting not covered by any of the preceding groups, e.g. electrolytic welding
    • B23K28/02Combined welding or cutting procedur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접대상의 크기나 두께에 상관없이 아크 브레이징작업을 자동화하는 한편, 용접부위에 최소의 열량으로 열변형을 최소화하면서 파이프와 박판의 아크용접을 수행토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베이스(12)의 상,하부에 설치된 제 1, 2수평대(14)(16)를 갖춘 베이스부(10)와, 제 1 수평대 (14)상에 박판(2)을 냉각 고정토록 설치되는 냉각블록(22)을 갖춘 고정부재 (20)와, 상기 제 2 수평대(16)의 단부에 모터로서 일정속도(S) 구동토록 수직 설치된 구동축(32)의 하부에 횡설된 간격조정부재(30)에 박판(2)과 파이프(4)의 브레이징부(3)에 일정각도(θ) 및 일정간격(D)으로 위치토록 고정되고, 일정전압(V)과 전류(A)가 인가되면서 일정유량의 아르곤가스(G)가 포위되는 아크토치(40)와, 상기 수직베이스(12)의 일측에 설치된 송급기(52)로서 공급되고 상기 아크토치(40)의 중심을 통하여 공급되는 일정직경(T)의 와이어(50) 및, 상기 구동축(32)의 하단부에 고정부재(20)로서 고정된 박판(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파이프 (4)의 중심에 고정토록 설치되는 중심조정블록(60)으로 구성된 박판과 파이프 브레이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RC BRAZING FOR PIPE AND SHEET}
본 발명은 연료 주입구인 파이프와 이를 고정하는 박판사이의 용접을 수행하는 파이프와 박판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파이프의 중심에 위치되는 중심고정자와 이에 파이프의 원주를 따라 회전토록 설치된 아크토치로서 파이프와 박판의 브레이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용접대상의 크기나 두께에 상관없이 아크 브레이징작업을 자동화하는 한편, 용접부위에 최소의 열량으로 파이프와 박판의 아크용접을 수행토록 한 파이프와 박판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징(BRAZING)은 납땜법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용접되는 모재금속을 용융함이 없이 모재보다 저융점인 금속(땜납재료)을 접합면 틈새에 모세관(母細管) 현상을 이용하여 침투시켜 원재끼리의 확산침투로 결합시키는 용접의 한 방법이다.
한편, 종래의 연료 주입구인 파이프와 박판사이의 용접시에는 가장 비용이 적게들고 손쉬운 방법으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점 용접후 납땜을 하거나또는, 산소와 아세틸렌 또는 프로판등을 이용한 토치(가스) 브레이징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토치에 의한 용접방법에 있어서는, 토치에 의한 가열되는 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굴기에 따라 송급속도와 브레이징 속도 및 연소가스 유량등이 별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자동화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고, 결국 작업자의 경험과 기능에 의존하여 파이프와 박판의 용접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토치 브레이징의 경우 가열면적이 넓어 소재가 받은 열량이 크고, 결국 박판소재의 경우 열변형에 의한 균열이 손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열에 의해 소재가 변형되는 현상 특히, 뒤틀림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로 구속될 수 있도록 성형을 하지 않고서는 브레이징의 정확한 평가사 어렵고 결국, 상당히 큰 소재의 시편을 가지고 성형한후 시험을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이프의 중심에 위치되는 중심고정자와 이에 파이프의 원주를 따라 회전토록 설치된 아크토치로서 파이프와 박판의 브레이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용접대상의 크기나 두께에 상관없이 아크 브레이징작업을 자동화하는 한편, 용접부위에 최소의 열량으로 파이프와 박판의 아크용접을 수행토록 한 파이프와 박판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와 박판의 브레이징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브레이징장치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브레이징장치의 냉각수단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브레이징장치에서 전압과 전류변화에 따른 용적이행을 도시한 그래프도
도 5의 (a) 및 (b)는 종래 가스토치와 본 발명의 아크 브레이징작업에 따른 시편의 전면 및 이면 브레이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아크 브레이징과 종래 가스토치 용접에 따른 시편의 조직특성을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브레이징장치 10.... 베이스부
12,... 수직베이스 14.16.... 제 1,2 수평대
20... 고정부재 22... 냉각블록
30.... 간격조정부재 32.... 구동축
40.... 아크토치 50....와이어
52.... 송급기 60.... 중심조정블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베이스의 중앙에 설치된 제 1 수평대와 수직베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는 제 2 수평대를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수평대상에 박판을 냉각 고정토록 설치되는 냉각블록을 갖춘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수평대의 단부에 모터로서 일정속도 구동토록 수직 설치된 구동축의 하부에 횡설된 간격조정부재에 박판과 파이프의 브레이징부에 일정각도 및 일정간격으로 위치토록 고정되고, 일정전압과 전류가 인가되면서 일정유량의 아르곤가스가 포위되는 아크토치와,
상기 수직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송급기로서 공급되고 상기 아크토치의 중심을 통하여 공급되는 일정직경의 와이어 및,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에 고정부재로서 고정된 박판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파이프의 중심에 고정토록 설치되는 중심조정블록으로 구성되는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서, 박판과 파이프의 브레이지방법에 있어서, 제 2 수평대의 상,하부 고정블록사이에 유압유니트를 작동시키면서 36 - 40φ의 직경과 0.8-1.2t의 두께를 갖춘 파이프가 내부에 위치된 0.8-1.2t의 두께를 갖는 박판을 반호형의 냉각블록사이에 고정하고,
수직베이스상의 제 2 수평대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제 2 수평대의 단부에 수칙 설치된 구동축 하단의 원추형 중심조정블록을 파이프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상기 구동축의 하부에 설치된 간격조정부재의 단부에 고정지그로서 박판과 파이프의 브레이징부에 30 - 60°의 각도와 5-10mm,1-10mm의 간격을 갖도록 아크토치를 고정한후,
상기 아크토치를 통하여 송급기로서 0.8-1.2t 의 직경인 와이어를 공급하고, 10-25 l/min의 유량으로 아르곤가스를 토치를 통하여 분출시키어 브레이징부를 포위시키면서,
상기 아크토치에 14-20V의 전압과 40-120A의 전류를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블록의 공급 및 배출관을 통하여 냉각수를 흐르게 하고, 모터 구동되는 구동축에 의해 18-60cm/min 의 속도로 브레이징부를 따라 아크토치를 회전시키어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작업을 수행하는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인 박판(2)과 파이프(4)의 아크 브레이징장치(1)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와 박판의 브레이징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브레이징장치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브레이징장치의 냉각블록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베이스부(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지면상에 설치된 베이스판(10a)에 일체로 수직하게 결합 고정된 수직베이스 (12)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베이스(12)의 중앙부분에는 고정볼트로서 브레이징작업시 지지대가 되는 제 1 수평대(14)가 수직베이스(12)에 수평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 2 에서는 상기 제 2 수평대(16)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사각형강인 수직베이스(12)의 상부 내측으로 중공부분에 상,하측의 고정판사이에 설치된 스크류바아(16a)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16c)의 일측으로 상기 수직베이스(16)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체로 수평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16c)에는 상기 수직베이스(16)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토록 설치된 핸들(16b)이 연결되어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핸들(16b)의 조작시 상기 이동블록(16c)은 스크류바아(16a)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에 상기 제 2 수평대(16)도 핸들(16b)의 조작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된다.
다음, 도 1 및 도 2 에서는 제 1 수평대(14)상에 박판(2)을 냉각시면서 고정토록 설치되는 고정부재(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고정부재(20)는 양측으로 개재된 유압유니트(24)로서 상,하 압착되어 내측으로 위치되는 냉각블록(22)과 박판모재(2)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상,하 고정블록(20a)(20b)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블록(22)은 박판모재(2)와 브레이징되는 원통모재(4)의 원주를 따라 감싸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원통모재(4)의 외곽부분에 상하로 위치되는 2 개의 반호형 냉각블록(22a)(22b)으로 이루지는 한편, 상기 냉각블록(22)의 단부에는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공급 및 배출관(23a)(23b)이 각각 연결된다.
다음, 도 1 및 도 2 에서는 상기 제 2 수평대(16)의 단부에 모터 구동토록 수직 설치된 구동축(32)의 하부에 횡설되는 간격조정부재(30)에 일정 각도(θ)와 박판(2)과 파이프(4)의 브레이징부(3)에 일정간격(D)(E)으로 위치토록 고정되는 아크토치(4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구동축(32)은 상기 제 2 수평대 (16)의 단부에 설치된 기어박스 (32a)상에 설치된 구동모터(32b)의 단부 구동기어(32c)와 맞물리는 회전기어(32d)가 기어박스(32a)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서 구동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정부재(30)는 상기 구동축(32)의 하부로 중심조정블록 (60)의 상측으로 수평 고정되는 고정봉(30a)과, 이를 통하여 후단부에 설치된 조정편(30b)의 회전으로 상기 고정봉(30a)을 통하여 전후 이동토록 설치되는 이동봉 (30c)을 갖추고, 상기 이동봉(30c)의 단부에는 상기 토치(50)를 각도조정토록 하는 고정판(54)이 고정지그(54a) 고정된다.
다음, 도 1 및 도 2 에서는 실질적으로 모재(2)(4)의 용접부위(3)에서 용융되어 모재(2)(4)들을 브레이징하는 와이어(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와이어 (50)는 상기 수직베이스(12)의 일측에 설치된 송급기(52)로서 상기 아크토치(40)의 중심을 통하여 공급된다.
다음, 도 2에서는 상기 중심조정블록(6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구동축(3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로서 고정된 박판(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파이프(4)의 중심에 중심 조정토록 삽입지지되는 원추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장치(1)로서 본 발명인 박판과 파이프 아크브레이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수평대(16)의 상,하부 고정블록(20a)(20b)사이에 유압유니트(24)를 작동시키어 그 내측의 반호형 냉각블록 (22a)(22b)사이에 0.8 - 1.2t, 바람직하게는 1.0t의 두께인 박판(2)을 고정하고, 그 다음 상기 박판(2)의 내측으로 지지판(4a)위에 수직하여 36 - 40φ바람직하게는 38 φ의 직경과 0.8 - 1.2t 바람직하게는 1.0t의 두께를 갖춘 파이프(4)를 삽입시킨후, 상기 유압유니트(24)를 작동시키어 박판(2)을 고정시킨다.
다음, 수직베이스(12)의 핸들(16b)을 회전시키어 제 2 수평대(16)의 구동축 (32) 하단에 설치된 원추형의 중심조정블록(60)을 상기 박판(2) 내측의 파이프(4) 중심에 삽입 고정시킨 후, 상기 구동축(32)의 하부에 설치된 간격조정부재(30)의 이동봉(30c)을 조정편(30b)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이동봉(30c)의 단부에 힌지(54a)로서 설치된 고정지그(54)에 상기 박판(2)과 파이프(4)의 브레이징부(3)에 대하여 30 - 60°의 각도(θ)와 5-10mm 의 간격(D) 및 1-10mm 간격(E)을 갖도록 아크토치 (4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아크토치(40)에 14 - 20V 바람직하기는 17V의 전압(V)과 40-120A 바람직하게는 80A 의 전류(A)를 인가시키는 한편, 상기 아크토치(40)를 통하여 10-25 l/min 바람직하게는 17 l/min 의 유량으로 불화성가스인 아르곤가스(G)를 분출시키어 상기 브레이징부(3)를 포위시킨 상태로 송급기(52)로서 아크토치(40)의 중심을 통하여 0.8 - 1.2t바람직하게는 1.0t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50)를 공급한다.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32b)를 구동시키어 구동축(32) 즉, 상기 구동축(32)의 하부에 간격조정부재(30)로서 고정된 아크토치(40)를 18-60cm/min 의 속도(S)로 브레이징부(3)를 따라 회전시키면서 박판(2)과 파이프(4)의 브레이징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징작업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박판(2)의 상,하측에 반호형으로 감싸면서 고정부재(20)로서 고정된 냉각블록(22a)(22b)에 연결된 공급 및 배출관(23a)(23b)을 통하여 냉각수를 흐르게 하여 상기 박판모재(2)를 냉각시키는 상태에서 박판(2)과 파이프(4)의 아크 브레이징작업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박판(2)과 파이프(4) 즉, 자동차의 주입구부분이 되는 파이프의 필렛(FILLET)부분과 연료통의 몸체를 이루는 박판(2)을 종래의 가스(토치)용접이 아닌 아크용접으로서 브레이징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는 통상 아크토치(40)의 중심을 통하여 와이어(50)를 공급 용융시키면서 아크용접을 수행하고, 동시에 불화성 가스 예를 들어 아르곤가스를분출시키어 용접부위를 포위하여 대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아크용접중에 하나인 미그(MIG)용접과 같다.
이때, 실시예의 박판(2)은 0.8 - 1.2t, 바람직하게는 1.0t의 두께인 박판(2)과 36 - 40φ바람직하게는 38 φ의 직경과 0.8 - 1.2t 바람직하게는 1.0t의 두께를 갖춘 파이프(4)를 아크 브레이징 수행하는데, 이는 자동차 연료통의 통상적인 두께와 직경이다.
한편, 박판(2)과 파이프(4)의 아크 브레이징작업시 결함발생억제와 건전한 아크 브레이징부(3)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리합금의 와이어(50)를 사용하는데, 이는 아크열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토치 브레이징작어에서 사용되는 황동와이어는 융점이 낮기때문에 사용할 수 없고, 따라서 융점이 높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및 구리-실리콘합금 와이어(50)를 사용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와이어(60)의 직경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0.8-1.2 t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60)를 사용하며, 만약 상기 와이어(50)의 직경이 0.8mm 보다 작으면, 융용량이 너무적어 필렛 접합부를 완전하게 채우는 것이 불가능하고 반대로, 1.2mm보다 크면 입열량이 많아져 박판(2)을 용락 즉, 박판(2)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문제가 있다.
다음, 상기 아크토치(40)의 팁(42)과 박판(2)과 파이프(40)의 브레이징부(3) 사이의 알측간격(D)은 5-10mmm 바람직하기는 7mm로 형성시키는 동시에, 타측 간격(E)은 1-10mm 바람직하게는 5mm 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아크토치(40)와 박판 및 파이프 브레이징부(3) 사이의 각도(θ)는 30°- 60° 바람직하기는 45°로하였다.
이때, 상기 간격(D)과 각도(A)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면, 박판(2)과 파이프(4)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정상적인 비드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결국 건전한 브레이징부(3)의 형성이 불가능한 것이다.
다음, 상기 아크토치(40)에는 14 - 20V 바람직하기는 17V의 전압(V)과 40-120A 바람직하게는 80A 의 전류(A)를 인가시키어 브레이징을 수행하였는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4V의 전압과 40A의 전류 이하영역(도 4의 X 영역)에서는 용융 금속 이행이 단락이행 형태로 입열량이 부족한 융합불량 즉, 박판(2)과 파이프 (4) 사이의 브레이징부(3)에 여러개의 용융불량에 따른 구멍들이 발생함을 알수 있으며, 반대로 20V의 전압과 120A의 전류이상의 영역(도 4의 Z)에서는 스패터 (SPATTER)(용융물이 튀는것)가 다량으로 발생할 분 만 아니라 브레이징의 표면상태가 불량하고, 특히 박판(2) 또는 파이프(4)에 구멍이 생기는 용락현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브레이징작업이 불가능하였다.
즉, 아크토치(40)에 40-120A의 전류와 14-20 V의 전압을 인가하는 도 4의 Y 영역에서는 인가되는 전류와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글로블라(GLOBULAR)와 스프레이 (SPRAY)형태로 금속이행이 발생하고 완전한 융합이 발생함을 알수 있었다.
다음, 브레이징을 수행하도록 와이어(60)를 용융시키는 토치(40)의 회전속도 즉, 구동모터(32b)의 구동에 따른 상기 토치(40)가 고정된 구동축(32)의 회전속도 (V)를 18 - 60 cm/min 로 하고, 동시에 브레이징시 10-25 l/min 바람직하게는 18 l/min의 유량을 갖는 아르곤가스(G)를 브레이징부(3)의 주위 전,후측에 각각 분출시켰다.
즉, 상기 토치(40)의 회전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브레이징부(3)에 결합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상기 아르곤 가스(G)를 상기 브레이징부(3)를 포위토록 분출시키는 이유는 브레이징시 발생되는 가장 큰 문제인 브레이징의 시점 및 중첩되는 종점(마무리위치)에서 발생되는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데, 만약 10 l/min 보다 낮으면, 브레이징시 용융와이어가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될때 까지 브레이징부(3)의 대기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반대로 25 l/min 보다 크게 과다하게 분출되면, 아르곤가스가 융용물에 혼힙되어 용접상태를 불량하게 함을 알수 있었다.
다음, 도 5 및 도 6 에서는 종래의 가스토치 브레이징작업에 의한 시편과 본 발명인 아크 브레이징작업에 의한 시편상태를 나타내는데, 본발명인 도 5b의 경우에는 브레이징부의 전면과 이면의 열영향부가 도 5a에서의 종래 열영향부에 비하여 이하로 1/2 이하로 상당히 적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이면부가 과열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반대로 종래의 경우에는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영향부가 상당히 확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결국 본 발명인 아크방식의 브레이징을 통하면 박판의 표면처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식성 또는 표면처리의 고유특성을 보존함을 알수 있었다.
다음, 도 6에서는 종래 가스토치(도 6b)와 본발명인 아크 브레이징(도 6a)에 의한 조직변화를 도시한 것으로서 아크 브레이징인 본발명인 경우에 입열량이 적어 조직의 조대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종래의 토치에 의한 브레이징작업시에는조직의 조대화현상이 잘 나타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아크 브레이징방법으로 수행한 경우 열변형이 작아 시편 즉, 박판과 파이프상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원혀모재인 파이프와 박판모재 즉 박판의 빌렛(FILLET)부를 브레이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열량을 최소화시켜 모재의 열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모재의 표면코팅층이 손상을 입는 것을 최소화하는 잇점이 있다.
더하여, 종래의 토치 브레이징시에는 과열에 의하여 용접부 조직의 조대화가 크지만, 본 발명인 경우인 아크 브레이징방법에서는 제한된 범위에만 최소한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조직의 조대화를 감소시키어 모재의 열변형 또는 균열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금속이행모드를 이용한 브레이징시의 변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융합불량을 방지하고 스패터를 최소화시킴으로서 보다 미려한 비드외관을 얻을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박판과 파이프 브레이징장치에 있어서,
    수직베이스(12)의 중앙에 설치된 제 1 수평대(14)와 상기 수직베이스(12)의 상부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는 제 2 수평대(16)를 갖는 베이스부(10);와,
    상기 제 1 수평대(14)상에 박판(2)을 냉각 고정토록 설치되는 냉각블록(22)을 갖춘 고정부재(20);와,
    상기 제 2 수평대(16)의 단부에 모터로서 일정속도(S) 구동토록 수직 설치된 구동축(32)의 하부에 횡설된 간격조정부재(30)에 박판(2)과 파이프(4)의 브레이징부(3)에 일정각도(θ) 및 일정간격(D)으로 위치토록 고정되고, 일정전압(V)과 전류(A)가 인가되면서 일정유량의 아르곤가스(G)가 포위되는 아크토치(40);와,
    상기 수직베이스(12)의 일측에 설치된 송급기(52)로서 공급되고 상기 아크토치(40)의 중심을 통하여 공급되는 일정직경(T)의 와이어(50); 및,
    상기 구동축(32)의 하단부에 고정부재(20)로서 고정된 박판(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파이프(4)의 중심에 고정토록 설치되는 중심조정블록(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양측으로 개재된 유압유니트(24)로서 상,하 압착되어 내측의 상기 냉각블록(22)과 박판(2)을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블록(20a)(2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블록(22)은 파이프(4)를 감싸는 2 개의 반호형 냉각블록(22a)(22b)으로 이루어 지고 냉각수 공급 및 배출관(23a)(23b)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2)과 파이프(4)는 0.8 - 1.2t의 두께 및, 36 - 40φ의 직경(d)과 0.8-1.2t의 두께를 갖추고, 상기 아크토치(40)는 30 - 60°의 각도(θ)와 일측의 5-10mm의 간격(D) 과 타측의 1-10mm의 간격(E)을 갖도록 간격조정부재(30)에 고정되고, 상기 아크토치 (40)는 14-20V의 전압(V)과 40-120A의 전류(A)가 인가되고, 상기 아크토치의 작동시 분출되어 브레이징부(3)를 포위하는 블활성 아르곤가스(G)의 유량은 10-25l/min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32)에 의한 아크토치(40)의 회전속도(S)는 18-60 cm/min 이며, 상기 송급기(52)로서 아크토치 (40)의 중심을 통하여 공급되는 와이어(50)의 직경(T)은 0.8-1.2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장치
  4. 박판과 파이프의 브레이징방법에 있어서,
    제 2 수평대(16)의 상,하부 고정블록(20a)(20b)사이에 유압유니트(24)를 작동시키면서 36 - 40φ의 직경(d)과 0.8-1.2t의 두께를 갖춘 파이프(4)가 내부에 위치된 0.8-1.2t의 두께를 갖는 박판(2)를 반호형의 냉각블록(22a)(22b)사이에 고정하고,
    수직베이스(12)의 제 2 수평대(16)의 높이를 조정조정하여 상기 제 2 수평대(16)의 단부에 수칙 설치된 구동축(32) 하단의 원추형 중심조정블록(60)을파이프(4)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상기 구동축(32)의 하부에 설치된 간격조정부재(30)의 단부에 고정지그로서 박판(2)과 파이프(4)의 브레이징부(3)에 30 - 60°의 각도(θ)와 5-10mm의 간격(D)과 1-10mm의 간격(E)을 갖도록 아크토치(40)를 고정한후,
    상기 아크토치(40)를 통하여 송급기(52)로서 0.8-1.2t 의 직경인 와이어(50)를 공급하고, 10-25 l/min의 유량으로 아르곤가스(G)를 토치를 통하여 분출시키어 브레이징부(3)를 포위시키면서,
    상기 아크토치(40)에 14-20V의 전압(V)과 40-120A의 전류(A)를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블록(22)의 공급 및 배출관(23a)(23b)을 통하여 냉각수를 흐르게 하고, 모터 구동되는 구동축(32)에 의해 18-60 cm/min 의 속도(S)로 브레이징부(3)를 따라 아크토치(40)를 회전시키어 박판(2)과 파이프(4)의 브레이징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방법
KR10-2000-0049095A 2000-08-24 2000-08-24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 KR10046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095A KR100468454B1 (ko) 2000-08-24 2000-08-24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095A KR100468454B1 (ko) 2000-08-24 2000-08-24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11A KR20020016011A (ko) 2002-03-04
KR100468454B1 true KR100468454B1 (ko) 2005-01-29

Family

ID=1968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095A KR100468454B1 (ko) 2000-08-24 2000-08-24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436B1 (ko) 2008-08-26 2010-04-07 (주)하나금속 동 전해정련용 음극판
KR100979270B1 (ko) 2008-05-14 2010-08-3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입향 상진 방식의 전기가스 용접방법
KR101126157B1 (ko) * 2010-01-15 2012-03-22 (주)하나금속 동 전해정련용 음극판의 용접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860A (ko) 2017-10-11 2019-04-19 이봉재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 파이프의 브레이징 용접 연결 방법
CN113102852B (zh) * 2021-03-16 2022-11-29 广东中创智家科学研究有限公司 一种多方位可调节的钎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063A (ja) * 1985-07-26 1987-02-06 Tanaka Kikinzoku Kogyo Kk スパツタリング用タ−ゲツトの製造方法
KR910019719A (ko) * 1990-05-30 1991-12-19 아베 후사코 공작물 상호간의 접합을 위한 공작물 가열장치
JPH0890218A (ja) * 1994-09-27 1996-04-09 Miyaden:Kk 熱交換器用ベント管のロウ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及びそのロウ付け用加熱コイ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063A (ja) * 1985-07-26 1987-02-06 Tanaka Kikinzoku Kogyo Kk スパツタリング用タ−ゲツトの製造方法
KR910019719A (ko) * 1990-05-30 1991-12-19 아베 후사코 공작물 상호간의 접합을 위한 공작물 가열장치
JPH0890218A (ja) * 1994-09-27 1996-04-09 Miyaden:Kk 熱交換器用ベント管のロウ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及びそのロウ付け用加熱コイ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70B1 (ko) 2008-05-14 2010-08-3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입향 상진 방식의 전기가스 용접방법
KR100951436B1 (ko) 2008-08-26 2010-04-07 (주)하나금속 동 전해정련용 음극판
KR101126157B1 (ko) * 2010-01-15 2012-03-22 (주)하나금속 동 전해정련용 음극판의 용접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11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4538B (zh) 高生产率的混合式感应加热/焊接组件
US200301115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friction stir welding with simultaneous cooling
JP2010201507A (ja) タングステン−不活性ガス溶接法によって2つの金属部分を結合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CN112719515A (zh) 一种黑白管的轨道tig焊焊接方法
CN109396612A (zh) 一种uns n08825镍基材料管道实芯焊丝熔化极脉冲mig焊接工艺
KR100468454B1 (ko) 박판과 파이프의 아크 브레이징장치 및 그 방법
JP3361239B2 (ja) 溶接アークによる開先内溶接方法および装置
US4211278A (en) Header structure for a panel-type radiator and method of making said structure
CN102528248A (zh) 窄间隙tig焊枪
JP4854986B2 (ja) Tig溶接方法
JPH08243739A (ja) ボイラーチューブの連続溶接法
US4739150A (en) Lead welding process
CN113070553B (zh) 碳钢管道药芯焊丝全位置机动焊mag打底焊接工艺
CN100460120C (zh) 空内冷汽轮发电机连接环焊接工艺
CN111673240A (zh) 一种管道固定口全位置mag机动焊焊接工艺及应用
KR101789918B1 (ko) 회동형 용접장치
KR102594283B1 (ko) 규소 강판의 레이저 용접 장치
KR20170118020A (ko) 회동형 용접장치
KR840001978Y1 (ko) 개스 텅스텐 아아크 용접 토오치
JPH11138269A (ja) ティグ溶接装置
JPH073881U (ja) 非消耗ノズル式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用ノズル
JP5825997B2 (ja) 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の補修溶接方法
JPH11320104A (ja) フラッシュバット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JPH09234559A (ja) ロウ付け方法およびロウ付け装置
JPH0732149A (ja) 溶加棒用連続溶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