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138B1 - 이동체 무선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체 무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138B1
KR100468138B1 KR10-2001-0072842A KR20010072842A KR100468138B1 KR 100468138 B1 KR100468138 B1 KR 100468138B1 KR 20010072842 A KR20010072842 A KR 20010072842A KR 100468138 B1 KR100468138 B1 KR 10046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ingerboard
built
mobile radio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595A (ko
Inventor
이와이히로시
야마모토아츠시
오가와고이치
가마에구치신지
다카하시츠카사
야마다겐이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42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tu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71Non-planar, stepped or wedge-shaped p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체 무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내장 안테나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체 무선장치를 제공하고, 지판(base plate)(35)을 안테나 엘리먼트(36a)의 급전부 및 단락부 등의 안테나 특성에 관여하는 부분(안테나 수납부)와, 그 이외의 부분(회로 수납부)으로 나누어 구성하며, 안테나 수납부는 내장 안테나(36)의 높이(지판(35)과 안테나 엘리먼트(36a)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회로 수납부는 디스플레이(32)와 키(key)부(33)의 수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후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체 무선장치{MOBILE RADIO}
본 발명은 이동체 무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휴대전화단말 등과 같이 전파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내장하는 이동체 무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에 관한 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다. 휴대전화 단말에 있어서 안테나는 특히 중요한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안테나도 소형화 및 내장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휴대전화단말에 사용되는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종래의 이동무선용 안테나를 내장하는 휴대전화단말(이동체 무선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서, 종래의 휴대전화단말은 단말기의 케이스(101)와, 액정화면 등의 디스플레이(102)와, 10개의 키(key) 등의 키부(103)와, 전지(104)와, 내장 안테나(106)와,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지판(base plate)(105)을 구비한다. 내장 안테나(106)는 평면형상의 안테나 엘리먼트(106a)와, 2개의 금속선(106b 및 106c)으로 구성된다. 이 내장 안테나(106)는 통상, 판형상 역 F 안테나(PIFA:Planar Inverted F Antenna)로 불리고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106a)에는 금속선(106b)을 통하여 지판(105) 상의 급전점(107)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이공급된다(이하, 급전이라고 함).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106a)는 금속선(106c)을 통하여 지판(105) 상의 그라운드(GND) 레벨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안테나 엘리먼트(106a)로부터 지판(105)에 내린 수직선의 길이(쌍방의 간격)를 안테나의 높이(h0)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내장 안테나(106)의 공진 주파수나 주파수 대역폭 등의 여러 특성은 안테나 엘리먼트(106a)의 사이즈, 금속선(106b 및 106c)의 각 위치나 쌍방의 간격, 및 높이(h0) 등으로 결정된다. 특히, 안테나 특성의 우열은 높이(h0)에 크게 관여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 무선용 안테나의 구성에 있어서,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이(h0)를 크게 하면, 휴대전화단말의 두께가 커지고 단말기의 소형화가 도모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내장 안테나(106)가 배치되어 있는 지판(105) 부분의 반대측에는 디스플레이(102)나 스피커 등의 부품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단말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내장 안테나(106)의 저배화(높이(h0)의 단축화)가 필수사항이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안테나 엘리먼트(106a)와 지판(105)의 용량성 결합이 증가하여 정합을 취하기 어려워지고 안테나 특성이 열화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내장 안테나의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체 무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에 적용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종래의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케이스 12: 디스플레이
13: 키부 14: 전지
15: 지판 16: 내장 안테나
17: 급전점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파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내장하는 이동체 무선장치에 방향이 맞추어져 있고, 접지레벨을 가진 지판과, 지판 상에 배치된 내장 안테나를 구성요소로 구비하고, 내장 안테나는 장치의 도립(倒立)자세에서, 상단부측에 급전부를 설치하고, 지판과의 간격이 하단부 보다도 상단부 쪽이 커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장 안테나를 평면 안테나로 하고, 지판과의 간격이 상단부로 갈수록 하단부보다 커지도록 구배를 설치하여 배치시킨다.
또는, 내장 안테나를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안테나로 하고, 지판과의 간격이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커지도록 복수의 평면을 계단형으로 구성한다.
또는, 내장 안테나를 안테나 엘리먼트,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는 급전핀 및 지판과 접지되는 단락핀을 구성요소로 하는 판형상 역 F 안테나로 하고, 급전핀 및 단락핀이 상단부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전부의 높이를 높게 하여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안테나 하측부와 지판의 거리를 근접시킴으로써 용량성을 증가시켜 안테나의 공진주파수를 저하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이동체 무선장치의 하측부분을 손으로 유지시켜, 손으로 안테나 부분을 덮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고, 디자인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내장 안테나와 지판 사이에 실드(shield) 케이스를 배치하거나, 내장 안테나를 실드 케이스 상에 배치된 지지대에 의해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실드 케이스의 높이 또는 실드 케이스와 내장 안테나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용량성 결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쉬워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에 의해 내장 안테나를 고정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치의 외관형상을 결정하는 케이스가 내장 안테나의 형상에 맞추어 조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이동체 무선장치의 디자인성이 향상되고, 또한 이동체 무선장치가 손으로 유지될 때, 손으로 안테나 부분이 덮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케이스를 적어도 내장 안테나를 수납하는 제 1 부분과 그 이외의 제 2 부분으로 구성하고, 내장 안테나를 제 1 부분에 미리 일체화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내장 안테나를 케이스에 정밀도 좋게 고정시켜 안테나 공진 주파수의 저하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안테나 특성을 안정시키고 대역 특성의 마진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판이 내장 안테나를 배치시키는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그 이외의 회로부용 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안테나 수납용 지판의 표면과 회로부용 지판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회로부용 지판이 측벽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판을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회로부용 지판으로 구성하고, 회로부용 지판을 다른 디바이스가 수납 가능하도록 안테나 수납용 지판 평면과 다른 평면에 배치시키면, 이동체 무선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내장 안테나의 높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회로부용 지판의 접속부 근방에 슬릿을 설치한다.
이 경우에는 슬릿의 길이가 원하는 공진 주파수의 1/4 파장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회로부용 지판을 고려한 임피던스가 최대가 된다. 따라서, 회로부용 지판과 관계없이 내장 안테나의 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범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대량 생산에 적합한 구조가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장 안테나와 지판 사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유전체 재료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유전체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안테나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또한 내장 안테나를 지판 상에 안정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무선장치에서는 내장 안테나가 적어도 2개 주파수로 공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내장 안테나에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각각 결정하는 단락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이 단락 부재의 도통을 제어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내장 안테나로 다른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내장 안테나에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락 연결 부재와,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슬롯을 구비하고, 안테나 엘리먼트부와 슬롯부의 작용에 의해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체적인 안테나 엘리먼트로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슬롯부분에 의해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안테나로 동시에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는 단말기의 케이스(11), 액정화면 등의 디스플레이(12), 10개의 키 등의 키부(13), 전지(14), 내장 안테나(16) 및 이것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지판(15)을 구비한다. 내장 안테나(16)는 평면형상의 안테나 엘리먼트(16a)와, 2개의 금속선(16b 및 16c)으로 구성된다. 안테나 엘리먼트(16a)에는 금속선(16b)을 통하여 지판(15)상의 급전점(17)으로부터 급전된다.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16a)는 금속선(16c)을 통하여 지판(15)상의 그라운드(GND) 레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로기판의 GND 패턴을 지판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체로 이루어진 케이스나 샤시를 지판으로서 사용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도체가 아닌 케이스나 샤시에 도전성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지판으로서 사용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 때, 안테나 엘리먼트(16a)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지판(15)에 내린 수직선의 길이를 안테나의 높이로 정의하고, 안테나 상단에서의 높이를 "h1"으로, 안테나 하단에서의 높이를 h2로 한다. 이 경우, h1>h2가 되도록 지판(15)에 대하여 안테나 엘리먼트(16a)가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금속선(16b 및 16c)은 그 길이가 하단 높이(h2) 보다 길어지도록 케이스(11)의 상단부인 내장 안테나(16)의 (즉, 단말기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안테나 엘리먼트(16a)와 접속하는 부분(급전부)에서 지판(15)까지의 금속선(16b) 및 안테나 엘리먼트(16a)와 접속하는 부분(단락부)에서 지판(15)까지의 금속선(16c)의 높이를 하단 높이(h2) 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안테나 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하단 높이(h2)를 낮게 하여 지판(15)에 근접시킴으로써, 안테나 엘리먼트(16a)와 지판(15)의 용량성 결합이 증가되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에 의해 안테나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내장 안테나(16)를 이와 같은 구조로 배치한 경우에는 이동체 무선장치의 케이스(11)의 배면부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테나 엘리먼트(16a)의 기울기에 맞춘 구배를 가진 형상으로 한다. 케이스(11)를 구배를 가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내장 안테나(16)(의 하단 높이(h2)부분)의 저배화(低背化)에 더하여, 또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케이스(11)의 배면부를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동체 무선장치의 디자인성이 향상되고, 또한 이동체 무선장치가 손으로 유지될 때, 손가락에 의해 안테나 부분이 덮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에 도시한 내장 안테나(16)를 지판(15)측에 고정 부착시키지 않고, 구배를 갖는 형상을 가진 케이스(11)측에 일체화시키는 구조에 의해, 상술한 이동체 무선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의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예를 도 2에 도시한다. 또한,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단말기 케이스(21) 및 내장 안테나(26)를 포함하는 내장 안테나 일체 케이스(22)로 구성된다. 내장 안테나(26)는 안테나 엘리먼트(26a)와, 금속선인 급전핀(26b) 및 단락핀(26c)으로 구성된다. 내장 안테나일체 케이스(22)의 내측에는 안테나 엘리먼트(26a)가 접착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안테나 엘리먼트(26a)에는 급전핀(26b) 및 단락핀(26c)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의 내장 안테나 일체의 케이스(22)가 케이스(21)측에 장착되면, 급전핀(26b)이 급전점(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락핀(26c)이 지판(15)상의 그라운드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내장 안테나를 케이스와 미리 일체화함으로써 안테나 엘리먼트(26a)와 내장 안테나 일체 케이스(22)의 공극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이동체 무선장치의 케이스는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테나 근방에 케이스를 접근시키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저하된다. 이 공진 주파수의 저하량은 케이스와 안테나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므로, 내장 안테나를 미리 케이스에 정밀하게 고정시켜 저하량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이 안정되고 대역 특성의 마진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내장 안테나(16)와 지판(15) 사이에 실드 케이스를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의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예를 도 3에 도시한다. 또한,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이동체 무선장치는 실드 케이스(18) 및 안테나 지지대(19)를 더욱 구비한다. 안테나 엘리먼트(16a)는 안테나 지지대(19)에 의해 지판(15)상에 배치된 실드 케이스(18)와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실드 케이스(18)의 내측에는 무선회로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종래, 실드 케이스(18)는 안테나에서의방사전파의 커버 등의 영향으로부터 무선회로부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이 경우에는 실드 케이스(18)의 높이 또는 실드 케이스(18)와 안테나 엘리먼트(16a)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용량성 결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쉬워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지지대(19)에 의해 내장 안테나(16)를 고정함으로써 내장 안테나(16)의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안테나 지지대(19)를 유전체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안테나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장 안테나(16)와 지판(15)과의 높이가 상측부(단말기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 구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디자인성 향상을 위해 단말기 상단에 둥그스름한 부분을 설치하거나, 지판(15)과의 용량성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안테나 엘리먼트(16a)에 도체벽을 설치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는 내장 안테나의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지판과 내장 안테나의 간격이 상측부로 갈수록 커지는 구배 형상을 가지게 하고, 급전부를 상측부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급전부의 높이를 높게 하여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안테나 하측부와 지판의 거리를 근접시킴으로써 용량성을 증가시키고,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이동체 무선장치의 하측 부분을 손으로 유지시켜 손이 안테나 부분을 덮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어서 디자인성도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는 단말기의 케이스(31), 액정화면 등의 디스플레이(32), 10개의 키 등의 키부(33), 전지(34), 내장 안테나(36)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지판(35)을 구비한다. 내장 안테나(36)는 평면형상의 안테나 엘리먼트(36a)와, 2개의 금속선(36b 및 36c)으로 구성된다. 안테나 엘리먼트(36a)에는 금속선(36b)을 통하여 지판(35)상의 급전점(37)으로부터 급전된다.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36a)는 금속선(36c)을 통하여 지판(35)상의 그라운드(GND) 레벨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지판(35)을, 내장 안테나(36)의 금속선(36b)이 안테나 엘리먼트(36a)와 접속하는 부분(급전부) 및 금속선(36c)이 안테나 엘리먼트(36a)와 접속하는 부분(단락부) 등을 가지며 안테나 특성에 관여하는 안테나 수납부 와 그 이외의 부분인 회로 수납부로 나누어 구성한다. 안테나 수납부는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에 따라서, 내장 안테나(36)의 높이(지판(35)과 안테나 엘리먼트(36a)의 간격)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케이스(31)의 정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회로 수납부는 디스플레이(32)나 키부(33)의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케이스(31)의 후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지판(35)을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내장 안테나(36)의 높이(h3)를 낮추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2)나 키부(33)의 수납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케이스(3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지판(35)을, 예를 들어 내장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회로수납용 지판이라는 상태로 복수의 지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의 지판의 구조예를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도 5에서 도 4와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5에서, 지판은 안테나 수납용 지판(38)과 회로부용 지판(39)으로 이루어진다. 안테나 수납용 지판(38)은 지판(38a), 측벽(38b) 및 접합부(38c)로 구성된다. 지판(38a)은 측벽(38b)을 통하여 접합부(38c)와 접속되어 있다. 내장 안테나(36)는 지판(38a)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의 지판을 조립하기 위해, 최초로 내장 안테나(36)를 안테나 수납용 지판(38) 상에 배치시킨 후, 그 안테나 수납용 지판(38)을 접합부(38c)를 통하여 회로부용 지판(39)에 접속시키는 제조수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부분(안테나 수납용 지판(38)+내장 안테나(36))를 독립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 수납용 지판(38)과 회로부용 지판(39)을, 그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따로따로 형성/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측벽(38b)과 안테나 엘리먼트(36a)의 간격을 제어하는 것으로 용량성 결합을 제어하고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합부(38c)와 회로부용 지판(39)의 접속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접촉시키기만 해도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수납용 지판(38)의 접합부(38c) 및 회로부용 지판(39) 상의 도체 패턴(39a)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안테나 수납용 지판(38)과 회로부용 지판(39)이 연결될 때 그사이에 슬릿(40)을 설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때, 슬릿(40)의 길이(w)를 1/4λ(파장)로 함으로써, 회로부용 지판(39)을 고려한 임피던스가 최대가 된다. 따라서, 회로부용 지판(39)과 관계없이 내장 안테나(36)의 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범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대량 생산에 적합한 구조가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슬릿(40)의 길이(w) 및 폭(d)의 조정을, 접합부(38c) 및 도체 패턴(39a)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실시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슬릿을 조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도 6에서는 안테나 수납용 지판(38)과 회로부용 지판(39) 사이에 슬릿(40)을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벽(38b)이 없는 상태, 즉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지판(15)의 경우에도, 슬릿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슬릿에 의한 경로길이를 조정하여 내장 안테나의 특성을 최적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릿은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지판의 크기를 등가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판 상의 전류 분포가 큰 부분에 대해서 전류의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지판의 크기를 등가적으로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구성과 제 1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구성을 조합한 구조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는 안테나의 높이를 보다 높게 하여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는 지판을 내장 안테나 수납부와 회로 수납부로 구성하고, 회로 수납부를 다른 디바이스가 수납가능하도록 내장 안테나 수납부 평면과 다른 평면에 배치시킨다. 이에 의해, 이동체 무선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내장 안테나의 높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내장 안테나가 판형상 역 F 안테나인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내장 안테나의 전류분포가 최대가 되는 부분, 즉 안테나의 높이를 결정하는 부분을 다른 부분에 비해 높아지도록 구배 형상을 설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구배 형상이 아니고 계단형상으로 함으로써 안테나의 높이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내장 안테나의 전류분포가 최대가 되는 부분, 즉 안테나의 높이를 결정하는 부분만을 다른 부분에 비해 높아지는 구조로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체 무선장치의 안테나가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내장 안테나를 수납 타입의 휩(whip)안테나와 병용하는 것이나, 내장 안테나를 복수개 병용하는 것이 생각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이동체 무선장치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복수 병용하는 경우에는 각 공진 주파수 대역이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용의 단락부(또는 급전부)와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용의 단락부(또는 급전부)의 2개를 안테나 엘리먼트 상에 설치하고, 단락부의 도통(또는 급전부의 급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 1 또는 제 2 중 어느 하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에 슬롯을 설치하여, 본래의 안테나 엘리먼트로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고, 슬롯 부분에 의해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여, 동시에 2개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내장 안테나와 지판 사이의 일부 또는 모두에 유전체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안테나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또한 내장 안테나를 지판 상에 안정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에 손가락 걸이부를 설치한 단말기 형상의 일례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의 이동체 무선장치의 단말기는 케이스(41)에 손가락 걸이부(41a)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테이퍼 형상의 손가락 걸이부(41a)는 안테나 특성에 영향을 주는 내장 안테나 수납부분과 그 다른 부분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이동체 무선장치가 손에서 유지될 때, 단말기의 하측부가 유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 상측의 가로폭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내장 안테나의 가로폭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안테나 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근방에 손가락을 거는 것에 기인하는 통화시의 안테나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체 무선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보 단말로서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손가락 걸이부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손가락의 사이즈에 맞춘 손가락 걸이부를 복수개 늘어세워 배치함으로써 쥘 때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이동체 무선장치를 유지하는 위치를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안테나 근방에 손가락이 걸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세히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이는 설명과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으로 이동체 무선장치는 내장 안테나의 높이를 확보하여 급전부의 높이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안테나 하측부와 지판의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용량성을 증가시켜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시에 이동체 무선장치의 하측 부분을 손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디자인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으로 회로 수납부를 다른 디바이스가 수납할 수 있는 내장 안테나 수납부 평면과 다른 평면에 배치함으로써 이동체 무선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내장 안테나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4)

  1. 전파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내장하는 이동체 무선장치에 있어서,
    접지 레벨을 가진 지판(base plate),
    상기 지판 상에 배치된 내장 안테나 및
    상기 내장 안테나의 형상에 맞추어 조형되며, 상기 이동체 무선장치의 외관형상을 결정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판은 상기 내장 안테나를 배치시키는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그 이외의 회로부용 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 수납용 지판의 표면과 회로부용 지판의 표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장 안테나는 장치의 도립(倒立)자세에서 상단부측에 급전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판과의 간격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배치되고,
    평면 안테나인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지판과의 간격이 상기 하단부보다 상기 상단부에서 더 커지도록 구배를 설치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2. 전파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내장하는 이동체 무선장치에 있어서,
    접지 레벨을 가진 지판,
    상기 지판 상에 배치된 내장 안테나 및
    상기 내장 안테나의 형상에 맞추어 조형되며, 상기 이동체 무선장치의 외관형상을 결정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판은 상기 내장 안테나를 배치시키는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그 이외의 회로부용 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 수납용 지판의 표면과 회로부용 지판의 표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장 안테나는 장치의 도립(倒立)자세에서 상단부측에 급전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판과의 간격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지판과의 간격이 상기 하단부보다 상기 상단부에서 더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평면이 계단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안테나 엘리먼트,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는 급전 접속부 및 상기 지판과 접지되는 단락 접속부를 포함하는 판형상 역 F 안테나이고, 상기 급전 접속부 및 단락 접속부가 상기 상단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안테나 엘리먼트,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는 급전 접속부 및 상기 지판과 접지되는 단락 접속부를 포함하는 판형상 역 F 안테나이고, 상기 급전 접속부 및 단락 접속부가 상기 상단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와 상기 지판 사이에 실드(shield)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와 상기 지판 사이에 실드(shield)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실드 상에 배치된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실드 상에 배치된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상기 내장 안테나를 수납하는 제 1 부분과 그 이외의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장 안테나는 당해 제 1 부분에 미리 일체화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상기 내장 안테나를 수납하는 제 1 부분과 그 이외의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장 안테나는 당해 제 1 부분에 일체화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상기 회로부용 지판은 측벽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상기 회로부용 지판은 측벽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상기 회로부용 지판의 접속부 근방에 슬릿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납용 지판과 상기 회로부용 지판의 접속부 근방에 슬릿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를 원하는 공진 주파수의 1/4 파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를 원하는 공진 주파수의 1/4 파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와 상기 지판 사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유전체 재료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와 상기 지판 사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유전체 재료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 및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각각 결정하고 상기 지판에 접지되는 단락 접속부를 구비하고, 이들 단락 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 및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각각 결정하고 상기 지판에 접지되는 단락 접속부를 구비하고, 이들 단락 접속부의 도통을 제어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지판에 접지되고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락 접속부와,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슬롯을 구비하고, 안테나 엘리먼트부와 슬롯부의 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공진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는 상기 지판에 접지되고 제 1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락 접속부와, 제 2 공진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슬롯을 구비하고, 안테나 엘리먼트부와 슬롯부의 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공진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무선장치.
KR10-2001-0072842A 2000-11-22 2001-11-22 이동체 무선장치 KR100468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5437 2000-11-22
JP2000355437 2000-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595A KR20020040595A (ko) 2002-05-30
KR100468138B1 true KR100468138B1 (ko) 2005-01-26

Family

ID=1882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842A KR100468138B1 (ko) 2000-11-22 2001-11-22 이동체 무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7814B2 (ko)
EP (3) EP1763106B1 (ko)
KR (1) KR100468138B1 (ko)
CN (1) CN1354534A (ko)
DE (3) DE601294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0422A (ja) 2001-08-09 2003-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アンテナ一体型構造体、通信装置
US20040203487A1 (en) * 2002-08-16 2004-10-14 Kaysen David A. Antenna integrated into chassis of portable device
FI114836B (fi) * 2002-09-19 2004-12-31 Filtronic Lk Oy Sisäinen antenni
JP2004128932A (ja) * 2002-10-03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KR100548204B1 (ko) * 2002-11-19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기기의 소형 평면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pda
EP1441412B1 (en) * 2003-01-27 2015-12-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tenna with distributed ground
US20050054399A1 (en) * 2003-09-10 2005-03-10 Buris Nicholas 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antenna bandwidth
JP2005354501A (ja) * 2004-06-11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端末
DE102004036001A1 (de) 2004-07-23 2006-03-16 Eads Deutschland Gmbh Breitbandige Antenne mit geringer Bauhöhe
CN100442597C (zh) * 2004-08-06 2008-12-10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具有辐射元件的外壳制造方法及应用该方法制造的外壳
KR100696886B1 (ko) * 2004-09-17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20060092077A1 (en) * 2004-11-03 2006-05-04 Joymax Electronics Co. , Ltd. Antenna having inclined conductive branch
KR100677428B1 (ko) * 2005-01-2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0340B1 (ko) 2005-05-3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7535426B2 (en) * 2005-06-20 2009-05-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antenna in display or lightbox
PL1988602T3 (pl) * 2006-04-18 2018-06-29 Qualcomm Incorporated Przenośny terminal z anteną podobną do monopolowej
US7876274B2 (en) 2007-06-21 2011-01-25 Apple Inc. Wireless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323853B1 (ko) * 2007-07-16 2013-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
US8174450B2 (en) * 2008-04-30 2012-05-08 Topcon Gps, Llc Broadband micropatch antenna system with reduced sensitivity to multipath reception
JP4856206B2 (ja) 2009-03-30 2012-01-18 株式会社東芝 無線装置
US20110151780A1 (en) * 2009-12-18 2011-06-23 Hood Iii Charles D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an Antenna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ousing
US8482467B2 (en) * 2010-06-25 2013-07-09 Apple Inc. Customizable antenna structures for adjusting antenna performance in electronic devices
US20120044112A1 (en) * 2010-08-18 2012-02-23 Symbol Technologies, Inc. Local area network antenna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JP2012147263A (ja) * 2011-01-12 2012-08-02 Sony Corp アンテナ・モジュール並びに無線通信装置
US9287627B2 (en) 2011-08-31 2016-03-15 Apple Inc. Customizable antenna feed structure
KR102429811B1 (ko) * 2015-08-13 202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대역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50695B1 (ko) 2015-08-13 2020-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대역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201712495A (zh) * 2015-09-23 2017-04-01 介面光電股份有限公司 具天線之觸控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6603A (ja) * 1985-02-26 198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
JP2705392B2 (ja) 1991-09-04 1998-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GB2303968B (en) * 1995-08-03 1999-11-10 Nokia Mobile Phones Ltd Antenna
US5764190A (en) * 1996-07-15 1998-06-09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Capacitively loaded PIFA
GB2320815B (en) * 1996-12-23 2001-12-12 Nokia Mobile Phones Ltd Antenna assembly
JPH10224142A (ja) * 1997-02-04 1998-08-21 Kenwood Corp 共振周波数切換え可能な逆f型アンテナ
FI112723B (fi) * 1997-03-27 2003-12-31 Nokia Corp Langattomien viestimien antenni
JPH11239020A (ja) 1997-04-18 1999-08-31 Murata Mfg Co Ltd 円偏波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DE19737544A1 (de) * 1997-08-28 1999-03-04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Flache Antenne bei der Resonator Element(e) und Grundfläche miteinander verbunden sind und nicht parallel zueinander liegen
US6040803A (en) * 1998-02-19 2000-03-21 Ericsson Inc. Dual band diversity antenna having parasitic radiating element
DE19822371B4 (de) * 1998-05-19 2018-03-08 Ipcom Gmbh & Co. Kg Antennenanordnung und Funkgerät
JP2000216630A (ja) 1999-01-20 2000-08-04 Alps Electric Co Ltd アンテナ付き送受信器
EP1026774A3 (de) 1999-01-26 2000-08-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enne für funkbetriebene Kommunikationsendgeräte
FI113588B (fi) * 1999-05-10 2004-05-14 Nokia Corp Antennirakenne
FI113585B (fi) * 1999-11-17 2004-05-14 Nokia Corp Sähkömekaaninen rakenne kannettavaa radiolaitetta varten
WO2002013307A1 (en) * 2000-08-07 2002-02-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ntenna
DE60120089T2 (de) * 2000-11-22 2007-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Antenne und drahtloses Gerät mit einer solchen Anten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9392D1 (de) 2005-04-21
DE60129475T2 (de) 2008-04-17
EP1408582A1 (en) 2004-04-14
EP1209760B1 (en) 2005-03-16
EP1209760A3 (en) 2003-02-26
US20020061775A1 (en) 2002-05-23
DE60137272D1 (de) 2009-02-12
EP1763106A1 (en) 2007-03-14
EP1209760A2 (en) 2002-05-29
DE60109392T2 (de) 2006-04-13
EP1408582B1 (en) 2007-07-18
US6897814B2 (en) 2005-05-24
EP1763106B1 (en) 2008-12-31
DE60129475D1 (de) 2007-08-30
CN1354534A (zh) 2002-06-19
KR20020040595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138B1 (ko) 이동체 무선장치
KR101186094B1 (ko) 핸드헬드 전자 장치용 안테나
US8872708B2 (en)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6856294B2 (en) Compact, low profile, single feed, multi-band, printed antenna
US7551142B1 (en) Hybrid antennas with directly fed antenna slot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864123B2 (en) Hybrid slot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080991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11145958B2 (en) 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40591A (ko)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
KR100483044B1 (ko) 신호간섭 배제특성을 개선한 표면실장형 칩 안테나 및이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장치
JP2000269718A (ja) アンテナ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830032B2 (ja) 移動体無線装置
KR20040093106A (ko) 다중 대역 마이크로파 안테나, 모바일 원격 통신 장치용인쇄 회로 기판 및 원격 통신 장치
KR100962574B1 (ko) 비아홀에 의한 주파수 가변 칩 안테나
JP2006311599A (ja) 移動体無線装置
KR100533625B1 (ko) 간접 급전 방식을 이용한 트리플 밴드 내장형 안테나
JP4400427B2 (ja) 携帯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