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558B1 - 셔틀스캐닝방식복합기에서의기록지비뚤어짐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셔틀스캐닝방식복합기에서의기록지비뚤어짐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558B1
KR100467558B1 KR1019970023270A KR19970023270A KR100467558B1 KR 100467558 B1 KR100467558 B1 KR 100467558B1 KR 1019970023270 A KR1019970023270 A KR 1019970023270A KR 19970023270 A KR19970023270 A KR 19970023270A KR 100467558 B1 KR100467558 B1 KR 10046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paper
skew
shuttl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398A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2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5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18Ske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45Printers integrated in other types of apparatus, e.g. printers integrated i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셔틀 스캐너 모듈(Shuttle Scanner Module)을 이용하여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한 라인(Line)씩 독취하는 복합기에서 상기 원고와 동일한 경로로 이송되는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록지 선단의 모서리부분 일정 영역을 상기 셔틀 스캐너 모듈로 독취하고, 라인별로 독취된 각 화소값들을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화소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빈도수를 산출한 후 라인별 상기 빈도수를 기 설정된 기준 빈도수와 비교하여 또 다른 소정의 조건을 연속적으로 만족하는 회수를 계수하고, 상기 회수를 기 설정된 기준 회수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통해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기록지의 비뚤어짐이 감지되면 상기 기록지를 역이송시킨 후 다시 재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기록지가 복합기 내로 비뚤어지게 급지 이송됨으로 인해 그 위에 인쇄되는 상이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에서의 기록지 비뚤어짐 감지방법{Method for sensing incline of paper in multi function printer of shuttle scanning type}
본 발명은 주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셔틀 스캐너 모듈(Shuttle Scanner Module)을 이용하여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한 라인(Line)씩 독취하는 복합기에서 상기 원고와 동일한 경로로 이송되는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틀 스캐너 모듈을 이용하여 기록지 선단 모서리부분을 독취하여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및 팩시밀리(Facsimile)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Office-Automation) 기기들이 널리 보급됨과 동시에 각 기기들이 갖는 고유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더욱 고성능인 제품이 개발됨에 따라 제품의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되어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그러한 연유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각각의 기기들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적인 장치-이른바 복합기-가 등장하여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이러한 복합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원고를 독취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스캐닝(Scanning)부(20)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200)을 통해 외부의 팩시밀리(혹은 팩시밀리 기능을 갖는 복합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뎀(MODEM)부(30), 및 인쇄 및 원고 이송에 필요한 로울러 등 각종 메커니즘(Mechanism)을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Engine)부(40)로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복합기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Firmware)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 처리중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복합기의 각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0)와, 외부의 컴퓨터(300)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부(60)가 구비되어 있어, 프린터와 팩시밀리로서의 기능은 물론 스캐너와 복사기로서의 기능 등 복합적인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합기의 구성 형태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데, 그 가운데에는 셔틀방식으로 원고를 스캐닝하는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에서 셔틀 방식으로 구동되는 인쇄헤드(21)에 셔틀 스캐너 모듈(22)을 일체화하고, 원고를 기록지와 동일한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는 형태로서, 셔틀 스캐너 모듈(22)은 인쇄헤드(21)와 마찬가지로 캐리지 리턴 모터(Carriage Return Motor)(23)가 구동됨에 따라 그 구동력을 타이밍 벨트(Timing belt)(24)를 통해 전달받아 샤프트(Shaft)(25)에 의해 안내되면서 주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그와 동시에 라인 피드 모터(Line Feed Motor)(도시 안됨)가 구동됨에 따라 복합기 내로 급지되어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독취센서 폭만큼씩 라인(Line) 단위로 화상을 독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고를 독취하기 때문에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는 스캐닝 속도가 다소 느리기는 하나 구성 형태상 초박형 설계가 가능하며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는, 일반적인 인쇄장치들과 마찬가지로 기록지가 바르게 급지 이송되지 않으면, 그 위에 형성되는 상 역시 바르게 인쇄되지 않고 비뚤어진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카세트 등과 같은 기록지 적재수단에 기록지가 바르게 적재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였다.
그리고 혹 사용자가 이에 부주의하여 기록지가 바르지 못하고 비뚤어지게 급지 이송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기록지에 상이 비뚤어져 인쇄 출력되는 것을 감수하여야 하는 불합리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에서 원고와 동일한 이송경로로 이송되는 기록지의 선단 모서리부분을 셔틀 스캐너 모듈을 통해 독취하여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는 한편 비뚤어진 기록지는 역이송시킨 후 다시 재이송시켜 기록지에 상이 비뚤어지지 않고 바르게 인쇄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셔틀 스캐너 모듈을 이용하여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한 라인씩 독취하는 복합기에서 상기 원고와 동일한 경로로 이송되는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선단의 모서리 부분 일정 영역을 상기 셔틀 스캐너 모듈로 독취하고, 라인별로 독취된 각 화소값들을 실험값에 의해 설정된 기준 화소값과 비교하여 상기 실험값에 의한 조건을 만족하는 빈도수를 산출한 후 라인별 상기 빈도수를 실험값에 의해 설정된 기준 빈도수와 비교하여 또 다른 실험값에 의한 조건을 연속적으로 만족하는 회수를 계수하고, 상기 회수를 실험값에 의한 기준 회수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통해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기록지의 비뚤어짐이 감지되면 상기 기록지를 역이송시킨 후 다시 재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셔틀 스캐너 모듈을 통해 기록지의 선단 모서리부분을 독취하여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기록지의 비뚤어짐이 감지되면 이를 역이송시킨 후 다시 재이송시키므로 기록지가 바르게 급지 이송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에서의 기록지 비뚤어짐 감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기록지를 급지 이송하는 단계(S10)와, 셔틀 스캐너 모듈로 기록지 선단의 모서리부분 일정 영역을 독취한 후 각 독취 라인별 화소값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S20, S30, S40, S70)와, 라인별 상기 빈도수를 기준 빈도수와 비교하여 또 다른 소정의 조건을 연속적으로 만족하는 회수를 계수하고, 상기 회수를 기 설정된 기준 회수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통해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는 단계(S50)와, 상기 기록지가 비뚤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기록지를 역이송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빈도수를 계수하는 단계에서는, 초기화된 카운터 m을 1부터 한 라인의 총 화소수만큼 증가시키면서 카운터 m이 지시하는 화소의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므로 독취된 한 라인의 첫번째 화소부터 마지막 화소까지 각 화소의 색상을 판별하고, 상기 각 비교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마다 초기화된 또 다른 카운터 CI를 증가시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색상이 독취된 빈도수를 산출한다(S41, S42, S43, S44, S45).
예컨대 셔틀 스캐너 모듈에서 기록지의 백색이 독취되면, 이를 8비트(Bit)로 2치화한 독취 화소값은 십진수로 255의 값을 갖게 되지만 기록지의 백색이 아닌 바탕의 흑색이 독취되면 상기 독취 화소값은 0의 값을 갖게 되므로, 독취된 각 화소값과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기록지의 선단 모서리부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독취된 화소의 색상이 판별되면 임의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상이 독취된 빈도수를 산출하는데, 이를테면 상기 비교를 통해 독취된 화소가 백색으로 판별될 때마다 상기 카운터 CI를 증가시키므로 백색이 독취된 빈도수를 산출한다(S43, S44).
이러한 방식으로, 초기화된 또 다른 카운터 n을 1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설정 라인수만큼 증가시키면서 기록지 선단의 모서리부분 일정 영역에 대해 각 라인별로 상기 빈도수를 산출한다(S20, S30, S40, S70).
또한 상기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라인별 상기 빈도수를 기 설정된 기준 빈도수와 비교한 후 그 결과가 또 다른 임의의 조건을 만족하는 회수를 계수하는데, 상기 빈도수가 기준 빈도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만 초기화된 또 다른 카운터 CL을 순차 증가시키되 상기 빈도수가 상기 기준 빈도수보다 작으면 상기 카운터 CL을 초기화시키므로, 연속되는 라인들에서의 상기 빈도수(CI)가 기준 빈도수 이상인 경우에만 이 연속된 회수를 계수한다(S51, S52, S53).
그리고 상기 카운터 CL의 계수값이 나타내는 연속 회수를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회수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기록지의 비뚤어짐 여부를 판별한다(S54).
또한 기록지가 비뚤어진 것으로 판별되면 기록지를 역이송하여 올바로 다시 급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S60)
이하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컴퓨터(300)를 통해 인쇄 명령을 내려 상기 인쇄 명령이 인쇄할 데이터와 함께 복합기(100)로 전송되면, 중앙처리부(10)는 인터페이스부(60)를 통해 인쇄할 데이터를 전송받아 그에 따라 엔진부(40)를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이 때 중앙처리부(10)는 엔진부(40)의 라인 피드 모터를 구동하여 기록지를 복합기(100) 내로 급지 이송한다(S10).
그리고 상기 기록지가 셔틀 스캐너 모듈(22)에 근접한 위치까지 이송되면 엔진부의 캐리지 리턴 모터(23)를 구동하여 셔틀 스캐너 모듈(22)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고, 그와 동시에 셔틀 스캐너 모듈(22)을 통해 독취되는 화소값들을 소정 처리하여 메모리부(50)에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처리하는 과정 가운데에는 아날로그값으로 독취된 화소값을 디지털값으로 이치화 처리하거나 래스터 처리하는 등의 과정이 포함된다.
한편 중앙처리부(10)는 메모리부(50)에 임의로 설정한 카운터 n과 카운터 CL, 그리고 카운터 m과 카운터 CI를 초기화하고, 상기 카운터 n의 계수값이 1부터 설정된 라인수만큼 증가할 때까지 각 라인별로 독취된 화소의 색상을 판별하여 백색이 독취된 빈도수를 계수한다(S20, S30, S40, S70).
이 때 중앙처리부(10)는 카운터 m을 1부터 한 라인의 총 화소수만큼 순차 증가시키면서 카운터 m이 지시하는 화소의 값과 상기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독취된 화소의 색상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 독취된 화소의 색상이 백색이면 카운터 CI를 증가시키므로 백색이 독취된 빈도수를 산출한다(S41, S42, S43, S44, S45).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 설정된 라인수만큼 기록지의 선단 모서리부분의 일정 영역을 독취하여 각 라인별 상기 빈도수가 산출되면, 중앙처리부(10)는 라인별 각 빈도수를 기 설정된 기준 빈도수와 비교하고, 그 결과 상기 빈도수가 기준 빈도수보다 크거나 같으면 카운터 CL을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카운터 CL을 초기화시키므로 연속된 라인들에서의 상기 빈도수가 상기 기준 빈도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가 발생된 회수를 계수한다(S51, S52, S53).
그리고 상기 카운터 CL의 계수값을 기 설정된 기준 회수와 비교하고, 그 결과 상기 카운터 CL의 계수값이 상기 기준 회수보다 크거나 같으면, 기록지가 비뚤어진 것으로 판별하고 라인 피드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기록지를 이송되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역이송시킨다(S54, S60).
그리고 다시 라인 피드 모터를 순방향으로 구동시켜 기록지를 다시 급지 이송시키고(S10), 상기 과정을 반복하므로 재이송되는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한다(S20 내지 S70).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되는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여 올바로 이송될 때까지 역이송과 재이송을 반복함으로써, 기록지가 비뚤어짐으로 인해 그 위에 인쇄되는 상이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양질의 인쇄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셔틀스캐닝방식의 복합기에서 셔틀 스캐너 모듈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에서의 기록지 비뚤어짐 감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부 20 : 스캐닝부
21 : 인쇄헤드 22 : 셔틀 스캐너 모듈
23 : 캐리지 리턴 모터 24 : 타이밍 벨트
25 : 샤프트 30 : 모뎀부
40 : 엔진부 50 : 메모리부
100 : 복합기 본체 200 : PSTN망
300 : 컴퓨터

Claims (2)

  1. 주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셔틀 스캐너 모듈(Shuttle Scanner Module)을 이용하여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한 라인(Line)씩 독취하는 복합기에서 상기 원고와 동일한 경로로 이송되는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선단의 모서리 부분 일정 영역을 상기 셔틀 스캐너 모듈로 독취하고, 라인별로 독취된 각 화소값들을 실험값에 의해 설정된 기준 화소값과 비교하여 상기 실험값에 의한 조건을 만족하는 빈도수를 산출한 후 라인별 상기 빈도수를 실험값에 의해 설정된 기준 빈도수와 비교하여 또 다른 실험값에 의한 조건을 연속적으로 만족하는 회수를 계수하고, 상기 회수를 실험값에 의한 기준 회수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통해 기록지의 비뚤어짐을 감지하는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에서의 기록지 비뚤어짐 감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의 비뚤어짐이 감지되면 상기 기록지를 역이송시킨 후 다시 재이송시키는 셔틀스캐닝방식 복합기에서의 기록지 비뚤어짐 감지방법.
KR1019970023270A 1997-06-05 1997-06-05 셔틀스캐닝방식복합기에서의기록지비뚤어짐감지방법 KR10046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270A KR100467558B1 (ko) 1997-06-05 1997-06-05 셔틀스캐닝방식복합기에서의기록지비뚤어짐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270A KR100467558B1 (ko) 1997-06-05 1997-06-05 셔틀스캐닝방식복합기에서의기록지비뚤어짐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398A KR19990000398A (ko) 1999-01-15
KR100467558B1 true KR100467558B1 (ko) 2005-03-16

Family

ID=3722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270A KR100467558B1 (ko) 1997-06-05 1997-06-05 셔틀스캐닝방식복합기에서의기록지비뚤어짐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5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6570A (ja) * 1987-10-20 1989-04-24 Oki Electric Ind Co Ltd 原稿の載置位置及び用紙サイズの判定方式
JPH05233876A (ja) * 1992-02-25 1993-09-10 Konica Corp 帳票読取装置
JPH06255840A (ja) * 1993-03-09 1994-09-13 Hitachi Ltd スキュー補正方法
JPH08228261A (ja) * 1994-11-23 1996-09-03 Xerox Corp スキャナのための電子イメージ整合装置
JPH08252956A (ja) * 1995-03-16 1996-10-01 Fujitsu Ltd 用紙フィード評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6570A (ja) * 1987-10-20 1989-04-24 Oki Electric Ind Co Ltd 原稿の載置位置及び用紙サイズの判定方式
JPH05233876A (ja) * 1992-02-25 1993-09-10 Konica Corp 帳票読取装置
JPH06255840A (ja) * 1993-03-09 1994-09-13 Hitachi Ltd スキュー補正方法
JPH08228261A (ja) * 1994-11-23 1996-09-03 Xerox Corp スキャナのための電子イメージ整合装置
JPH08252956A (ja) * 1995-03-16 1996-10-01 Fujitsu Ltd 用紙フィード評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398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2839A (en) Simplified document handler job recovery system with reduced memory duplicate scanned image detection
US5428459A (en) Facsimile apparatus for minimizing printing of white data at end of page
US5592576A (en) Scann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side scan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canner
EP0854631B1 (en) An image reading apparatus
US6236471B1 (en) Vertical alignment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223006B1 (ko) 셔틀방식 복합기의 인쇄오차 보정방법
US5493421A (en) Facsimile apparatus
KR100467558B1 (ko) 셔틀스캐닝방식복합기에서의기록지비뚤어짐감지방법
US6313928B1 (en) Document siz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 facsimile apparatus
JP3457179B2 (ja) 画像読取方法および画像読取装置
US8498025B2 (en) Image reader and method of reading image
US20020196476A1 (en) Device for reading an image,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portion such as a black line in an image
KR100218002B1 (ko) 셔틀 스캐너 방식의 복합기에서 프린팅 영역 판별 방법
KR100234431B1 (ko) 셔틀 스캐너 방식 복합기의 스캔 영역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JP2022012616A (ja) 画像読取装置
JP2004142435A (ja) 印刷装置、印刷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H07273952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KR100312340B1 (ko) 셔틀방식스캐너를구비하는복합기의용지사이즈인식방법
JP2022063681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KR19990000354A (ko) 작은용지의 퀵(Quick)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0229509B1 (ko) 셔틀 스캐너 방식 복합기에서 용지 선단 검출 및 정렬방법
JP3347379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4359161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21125792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89100B2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