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872B1 - 다중 구조의 방화문 - Google Patents

다중 구조의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872B1
KR100466872B1 KR10-2001-0051051A KR20010051051A KR100466872B1 KR 100466872 B1 KR100466872 B1 KR 100466872B1 KR 20010051051 A KR20010051051 A KR 20010051051A KR 100466872 B1 KR100466872 B1 KR 10046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fire
reinforcing
ribs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966A (ko
Inventor
김찬근
Original Assignee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filed Critical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Priority to KR10-2001-005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8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3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non-vegetal fibrous material, e.g. glass or rock wo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재(20)의 외면에 목판재(40)를 구비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철판재(20) 사이에 배치되고, 내화기능을 증진하는 보강수단; 및 상기 각각의 철판재(20)의 내부공간에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결합하는 골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보강수단은 골구(30)를 이용하여 외측의 철판재(20) 내측으로 복수의 철판재(20)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사용하거나, 외측의 철판재(20)에 고정되는 골구(30)를 이용하여 내화패널(50)을 지지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외면에 목재를 사용하는 건축용 고급 문의 내부를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고 보강하여 내화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구조의 방화문 {Fireproof door of multiplex structure}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면에 목재를 사용하는 건축용 고급 문의 내부를 보강하여 내화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중 구조의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화문은 두 장의 철판을 문짝 형상으로 절단하고,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필요한 구멍을 형성하고, 철판의 가장자리를 소요 치수로 절곡하고, 도어록 등의 기능부재를 부착하고, 단열 기능을 지니는 종이 재질의 하니컴을 철판에 부착하고, 두 장의 철판을 맞대어 압착 및 용접하여 도어를 생성한 다음 소정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수차례 도장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방화문의 기능성에 더하여 장식성도 강조되면서 도장 외에 엠보싱 등의 소성가공, 에칭 등의 화학적 가공, 또는 아예 별도의 가공 없이 목재(MDF 등)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한다. 그러나 이 경우 관련법에 의한 방화 규정에 부합되어야 하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일예로, KS.F 2268의 방화시험방법에 따라 일면에서 방화표준 가열온도인 925℃의 열원을 작용하면 타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260℃로 유지되어야 하는 바, 타면에서의 실제 표면온도는 이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목재판을 사용하는 경우 방화기능을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면에 목재를 사용하는 건축용 고급 문의 내부를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고 보강하여 내화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중 구조의 방화문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수평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방화문을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방화문을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12, 13: 프레임 20: 철판재
30: 골구 30a: 보강턱
30b: 통기공 40: 목판재
50: 내화패널 55: 보강구
60: 내화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판재(20)의 외면에 목판재(40)를 구비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철판재(20) 사이에 배치되고, 내화기능을 증진하는 보강수단; 및 상기 각각의 철판재(20)의 내부공간에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결합하는 골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수단은 골구(30)를 이용하여 외측의 철판재(20) 내측으로 복수의 철판재(20)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보강수단은 외측의 철판재(20)에 고정되는 골구(30)를 이용하여 내화패널(50)을 지지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골구(30) 사이의 공간에 충진하기 위한 내화재(60)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수평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철판재(20)의 외면에 목판재(40)를 구비하는 방화문에 관련된다. 방화문은 프레임(11)(12)(13) 상에 부호 25의 힌지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11)(12)(13)은 그라스울(glasswool)을 주재로 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금속제나 무늬목을 구비한다. 하단의 부호 13은 강도와 내마모성을 높이도록 전체적으로 금속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화재 발생에 따른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가표준 제정 작업의 하나로 건축물 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대해 국제규격에 맞춰 KS규격이 제정(기술표준원고시 제2001-386호, 2001.7.4)되었다. 기존의 KS F 2268 외에도 KS F 3109에서 방화성 시험방법이 추가되는 등 방화기능이 강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방화문의 구조도 이에 부합되도록 개선되는 것이 시급하다.
참고로, 영 제64조의 규정에 의하면 갑종방화문은 골구를 철재로 하고 그 양면에 각각 두께 0.5㎜ 이상의 철판을 붙이고, 철재로서 철판의 두께가 1.5㎜ 이상으로 해야한다. 을종방화문은 철재로서 철판의 두께가 0.8㎜ 이상 1.5㎜ 미만인 것, 철재 및 망이 들어있는 유리로 된 것, 골구를 방화목재로 하고 옥내면에는 두께 1.2㎝ 이상의 석고판을 옥외면에는 철판을 붙인 것이 해당된다. 이는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자 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실시하는 품질시험에서 그 성능이 확인되어야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철판재(20)의 내부공간에 골구(30)가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각각을 결합한다. 골구(30)는 평판소재인 철판재(20)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철구조물로서 종래에는 통상 단층(單層)이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층(複層)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의 보강수단은 골구(30)를 이용하여 외측의 철판재(20) 내측으로 복수의 철판재(20)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도시에서 2개의 철판재(20)를 내부에 배치하여 총 4개의 철판재(20)가 사용된다. 4개의 철판재(20)에 의해 형성되는 3개의 독립 공간에는 골구(30)가 배치된다. 도 3처럼 상하단에 각각 방화문의 폭에 걸쳐 수평으로 골구(34)(35)(36)가 배치되고, 도 2처럼 상하의 골구(30) 사이에 각각 수직으로 골구(31)(32)(33)가 배치된다. 수직의 골구(30)는 복수로 열로 배치한다.
이때 골구(30)의 폭은 같게 하거나 달리할 수 있는 바, 도시에서 수직의 골구(30) 중 부호 33의 것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수평의 골구(30) 중 부호 35의 것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다. 골구(30)의 폭을 달리하는 것은 기계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단지 골구(30)를 부착하기 위한 작업성의 편의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방화문을 확대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보강수단은 외측의 철판재(20)에 고정되는 골구(30)를 이용하여 내화패널(50)을 지지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과 비교하면 중앙에 있는 2개의 철판재(20)와 그 사이의 골구(30)가 내화패널(50)로 대치되는 형태이다. 내화패널(50)은 그라스울, 암면 등의 내화재를 패널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현재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다. 내화패널(50)의 두께는 문의 두께에 따라 15, 20, 30㎜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내화패널(50)은 복층으로 구성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내화패널(50)은 중간에 보강구(55)를 삽입하여 간격을 유지한다. 보강구(55)로는 내화패널(50)을 봉형태로 절단한 것, 전술한 골구(30)를 작은 치수로 형성한 것, 또는 기타의 내화성 봉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보강구(55)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5의 구성에서 골구(30) 사이에 복수로 구획된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열전도성이 감소되면서 내화기능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방화문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는 골구(30) 사이의 공간에 충진하기 위한 내화재(60)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다. 내화재(60)는 그라스울이나 암면을 사용하고, 골구(30) 간의 공간상에 빈틈없이 충진한다. 내화재(60)를 충진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되지만, 내화기능이 더욱 강화된다.
이때, 본 발명의 골구(30)는 양측단을 절곡한 보강턱(30a)과, 양측면에 복수의 통기공(30b)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턱(30a)은 골구(30)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굽힘이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응력을 감소시킨다. 이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6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화문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보강턱(30a)은 골구(30)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골구(30)와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는 절곡에 따른 작업이 간편한 반면 후자의 경우는 강도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후자에서 보강턱(30a)은 다시 한번 내측으로 절곡할 수도 있다.
통기공(30b)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골구(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연통시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방화문 전체로 열전달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보강턱(30a)이 골구(30)와 동일한 높이로 성형되는 경우 보강턱(30a) 상에 통기공(30a)을 추가해야 이웃하는 공간이 일체로 연통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목재를 사용하는 건축용 고급 문의 내부를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고 보강하여 내화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철판재(20) 사이에 배치되고, 내화기능을 증진하게 골구(30)를 이용하여 외측의 철판재(20) 내측으로 복수의 철판재(20)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보강수단; 및
    상기 각각의 철판재(20)의 내부공간에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결합하는 골구(30)인 보강구(50)의 양측에 복층을 형성하게 내화패널(50)두고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게 철판재(20)의 외면에 목판재(40)를 구비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철판재(20)의 내측에 마주보게 부착된 골구(30)사이의 공간에 내화재(60)를 충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골구(30)는 양측단을 절곡한 보강턱(30a)과, 양측면에 복수의 통기공(30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의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1-0051051A 2001-08-23 2001-08-23 다중 구조의 방화문 KR10046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51A KR100466872B1 (ko) 2001-08-23 2001-08-23 다중 구조의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51A KR100466872B1 (ko) 2001-08-23 2001-08-23 다중 구조의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966A KR20030016966A (ko) 2003-03-03
KR100466872B1 true KR100466872B1 (ko) 2005-01-24

Family

ID=2772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051A KR100466872B1 (ko) 2001-08-23 2001-08-23 다중 구조의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098B1 (ko) 2011-04-22 2011-08-03 (주)거산토탈시스템 패널조립체가 구비된 단열문
KR101607895B1 (ko) * 2015-05-20 2016-04-01 (주)이엔에프테크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의 차연 및 차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31640B (en) 2003-05-26 2010-10-11 Sekisui Chemical Co Ltd Fire retardant resin sash
CN103510816B (zh) * 2013-10-11 2015-08-26 宜兴市万向防火门有限公司 一种核电门
KR102035936B1 (ko) * 2018-07-09 2019-10-23 윤영석 개선된 단열 및 방풍 구조를 갖는 현관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403U (ko) * 1998-01-15 1998-03-30 김찬근 방화문의 골구결합 구조
KR980003400U (ko) * 1997-12-16 1998-03-30 김찬근 출입용 도어의 내부결합구조
KR19980082594A (ko) * 1997-05-08 1998-12-05 박춘근 방화문
KR200215041Y1 (ko) * 2000-09-22 2001-02-15 한샘건영주식회사 건축골조용 형강
KR20010068484A (ko) * 2000-01-06 2001-07-23 조용선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KR200240712Y1 (ko) * 1998-09-18 2001-11-22 김찬근 문의원판절단부에입체성형판을결착한문
KR20010113997A (ko) * 2000-06-20 2001-12-29 김찬근 문틀과 문짝의 결합시 평면을 갖는 방음 및 방화문과문틀의 결합구조
KR20020030423A (ko) * 2000-10-17 2002-04-25 김찬근 편개문 또는 양개문으로 사용되는 입체화된 방음 방화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594A (ko) * 1997-05-08 1998-12-05 박춘근 방화문
KR980003400U (ko) * 1997-12-16 1998-03-30 김찬근 출입용 도어의 내부결합구조
KR980003403U (ko) * 1998-01-15 1998-03-30 김찬근 방화문의 골구결합 구조
KR200240712Y1 (ko) * 1998-09-18 2001-11-22 김찬근 문의원판절단부에입체성형판을결착한문
KR20010068484A (ko) * 2000-01-06 2001-07-23 조용선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KR20010113997A (ko) * 2000-06-20 2001-12-29 김찬근 문틀과 문짝의 결합시 평면을 갖는 방음 및 방화문과문틀의 결합구조
KR200215041Y1 (ko) * 2000-09-22 2001-02-15 한샘건영주식회사 건축골조용 형강
KR20020030423A (ko) * 2000-10-17 2002-04-25 김찬근 편개문 또는 양개문으로 사용되는 입체화된 방음 방화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098B1 (ko) 2011-04-22 2011-08-03 (주)거산토탈시스템 패널조립체가 구비된 단열문
KR101607895B1 (ko) * 2015-05-20 2016-04-01 (주)이엔에프테크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의 차연 및 차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966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5980B1 (en) Insulated structural wall panel
JP5118111B2 (ja) 防火性樹脂サッシ
US20110173925A1 (en) Structural insulated panel system
CA2897558C (en) Composite building panel
KR100466872B1 (ko) 다중 구조의 방화문
KR100777422B1 (ko) 목질계 방화도어
EP2141303A2 (en) Load-bearing structural building panel
JP4582580B2 (ja) 低熱伝導性フレーム材
KR100797761B1 (ko) 목질계 방화도어
KR20210115385A (ko) 복합성능 방화문
KR101160983B1 (ko) 목조 건물용 벽체 및 목조 건물용 벽체의 조립체
CN101781964B (zh) 防火门
CN113323232A (zh) 一种抗变形的装配式吊顶饰面板及组装方法
ITTO940583A1 (it) Pannello isolante per edilizia
KR100348534B1 (ko) 건축용 복합판넬
NL2022450B1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wandpaneel voor houtskeletbouw.
KR102036133B1 (ko) 복합성능 방화문
KR200215057Y1 (ko) 보강용 세로골을 가지는 샌드위치 패널
JP7064553B1 (ja) 壁構造体
KR200461805Y1 (ko) 슬라브 패널
JP3975608B2 (ja) 耐火壁
JPH094088A (ja) 建物用壁パネル
KR20120009744A (ko) 건축용 그린팀버웰 내력벽 구조
JP2021173060A (ja) パネルユニット
JP2023021600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