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723B1 -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723B1
KR100465723B1 KR10-2002-0081723A KR20020081723A KR100465723B1 KR 100465723 B1 KR100465723 B1 KR 100465723B1 KR 20020081723 A KR20020081723 A KR 20020081723A KR 100465723 B1 KR100465723 B1 KR 10046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y compressor
temperature
compressor
small capacity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113A (ko
Inventor
이원희
김철민
황윤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723B1/ko
Priority to US10/638,316 priority patent/US6829903B2/en
Priority to CNB03158859XA priority patent/CN1224809C/zh
Publication of KR2004005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2Control issues related to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25B2400/0751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the compressor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방 부하에 따라 소용량 압축기 및 대용량 압축기를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용량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소용량 압축기가 구동된 후 제 1 설정시간이 경과되고 실내 온도가 제 1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소용량 압축기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대용량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대용량 압축기가 구동된 후 제 2 설정시간이 경과되고 실내 온도가 제 2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소용량 압축기를 대용량 압축기와 함께 구동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방 과부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A cooling drive method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방 과부하시 운전모드를 변경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실내 열교환기(2)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가 냉방기로 작용하는 경우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로 작용하고 실내 열교환기(2)가 난방기로 작용하는 경우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실외 열교환기(4)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 또는 실외 열교환기(4)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와 실외 열교환기(4)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팽창기구(8)와, 사용자가 운전 조작하는 운전 조작부(12)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센서(14)와, 사용자의 운전 조작과 실내 부하에 따라 상기 압축기(6)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와 실외 열교환기(4)와 압축기(6)와 팽창기구(8)가 냉매관(9)으로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24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 또는 실외 열교환기(4)에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 냉매가 압축기(6)로 유입될 경우 상기 압축기(6)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액 냉매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6)의 흡입배관(6a)이 연결된 공용 어큐뮬레이터이다.
미설명부호 26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냉매의 흐름을 절환하는 유로 절환 밸브(4-way valve)로서, 상기 공용 어큐뮬레이터(24) 및 상기 압축기(6)의 토출 배관(6b)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냉방시 상기 압축기(6)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4)로 안내하고, 난방시 상기 제 1 압축기(6)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2)로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 냉방운전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 조작되고 희망온도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 절환 밸브(26)를 냉방 모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는 실내 온도센서(14)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와 운전 조작부(12)에 의해 설정된 희망온도를 비교하여,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압축기(6)를 구동시키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6)를 정지시킨다.
상기 압축기(6)의 구동시 압축기(6)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4)로 보내지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냉매는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응축되면서 방열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 냉매는 상기 팽창기구(8)를 지나면서 증발이 쉬운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2)로 보내진다. 이러한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를 통과하는 동안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에서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증발되면서 흡열되고, 상기 제 1 압축기(6) 측으로 재유입되면서 냉방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공기조화기가 대용량화 또는 멀티화되면서 2개 이상의 압축기가 장착되고 실내 부하에 따라 복수개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기 구동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소용량(예를 들면 40%) 압축기(미도시)와 대용량(예를 들면 60%) 압축기(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소용량 압축기 및 대용량 압축기가 실내 부하에 따른 상기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부 혹은 전부가 구동하면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면서 실내 부하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은 하나의 압축기(6)를 희망온도와 실내온도의 비교에 의해 구동/정지시키므로, 복수개의 압축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을 적용할 경우 복수개의 압축기가 함께 구동/정지되기 때문에 실내 부하가 적은 경우에도 복수개의 압축기가 구동되게 되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시 실내온도 변화에 따른 압축기 동작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실내 열교환기 54: 실외 열교환기
56: 소용량 압축기 58: 팽창기구
66: 대용량 압축기 92: 온도 센서
94: 운전 조작부 96: 제어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방 부하에 따라 소용량 압축기 및 대용량 압축기를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용량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소용량 압축기가 구동된 후 제 1 설정시간이 경과되고 실내 온도가 제 1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소용량 압축기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대용량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대용량 압축기가 구동된 후 제 2 설정시간이 경과되고 실내 온도가 제 2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소용량 압축기를 대용량 압축기와 함께 구동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실내 열교환기(52)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52)가 냉방기로 작용하는 경우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로 작용하고 실내 열교환기(52)가 난방기로 작용하는 경우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실외 열교환기(54)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52) 또는 실외 열교환기(54)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소용량(예를 들면 40% 용량)압축기(56) 및 대용량(예를 들면 60% 용량) 압축기(66)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52)와 실외 열교환기(54)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팽창기구(5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52)와 실외 열교환기(54)와 소용량 압축기(56) 및 대용량 압축기(66)와 팽창기구(58)는 냉매관(59)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흡입배관(56a)과 대용량 압축기(66)의 흡입배관(66a)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52) 또는 실외 열교환기(54)에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 냉매가 소용량 압축기(56) 및 대용량 압축기(66)로 유입되지 않도록 액 냉매가 저장되는 공용 어큐뮬레이터(74)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토출배관(56b)과 대용량 압축기(66)의 토출배관(66b)에는 구동 중인 압축기(예를 들면 소용량 압축기(56))에서 토출된 냉매가 정지 중인 압축기(예를 들면 대용량 압축기(66))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토록 역지변(82,84; check valve)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92)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운전 조작부(94)와, 상기 온도 센서(92)와 운전 조작부(94)의 신호에 따라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및 대용량 압축기(66)의 구동/정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용량 압축기(56) 및 대용량 압축기(66)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98은 상기 운전 조작부(94)의 조작에 따른 제어부(96)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냉매의 흐름을 절환하는 유로 절환 밸브(4-way valve)로서,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토출배관(56b) 및 대용량 압축기(66)의 토출배관(66b)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공용 어큐뮬레이터(74)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냉방시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또는 대용량 압축기(66)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54)로 안내하고, 난방시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또는 대용량 압축기(66)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52)로 안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시 실내온도 변화에 따른 압축기 동작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운전조작부(94)의 조작에 의해 희망온도()가 설정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96)는 상기 유로 절환 밸브(98)를 냉방 모드로 함과 아울러 실내 온도(T)와 제 1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실내 온도(T)가 제 1 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소용량의 압축기(56)를 단독 구동시킨다.(S1,S2,S3)
여기서, 상기 제 1 설정온도()는 희망온도()의 오차범위인 희망온도()+(예를 들면 1°)로서,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구동/정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온도이다.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단독 구동으로 소용량 압축기(56)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54)로 보내지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54)를 통과하는 냉매는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응축되면서 방열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54)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 냉매는 상기 팽창기구(58)를 지나면서 증발이 쉬운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52)로 보내진다.
이러한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52)를 통과하는 동안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에서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증발되면서 흡열되고,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측으로 재유입되면서 냉방 사이클을 형성하게 되며, 실내 온도(T)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54)의 흡열작용으로 낮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6)는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단독 구동 개시부터 제 1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실내 온도(T)와 제 1 설정온도()를 비교 판단한다.(S4,S5)
여기서, 상기 제 1 설정시간()은 소용량 압축기(56)의 단독 구동시 실내 온도 변화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시간(예를 들면 1분)이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96)는 실내 온도(T)가 제 1 설정온도()인 희망온도()+에 이르지 못한 경우, 즉, 실내온도(T)가 희망온도()+보다 높으면, 소용량의 압축기(56) 단독 구동으로는 실내 냉방 부하에 해소할 수 없는 과부하로 판단하여 소용량의 압축기(56)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대용량 압축기(66)를 단독 구동시킨다.(S6)
상기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시 대용량 압축기(66)에서는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구동시보다 보다 많은 양의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54)로 보내지고,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구동시와 동일한 냉방 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52)의 흡열작용으로 실내 온도(T)를 낮춘다.
이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52)는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구동시보다 보다 많은 양의 냉매가 통과하게 되므로, 실내 온도를 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6)는 제 1 설정시간() 경과시 실내온도(T)가 제 1 설정온도()에 이르는 경우, 즉, 실내온도(T)가 희망온도()+이하이면, 소용량 압축기(56)의 단독 구동만으로 실내 부하를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소용량 압축기(56)를 계속 구동시키고, 이후에 실내온도(T)가 제 2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소용량 압축기(56)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7,S8)
여기서, 상기 제 2 설정온도()는 희망온도()의 오차범위인 희망온도()-로서, 상기 제 1 설정온도()와 같이 소용량 압축기(56)의 정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온도이다.
물론, 상기 소용량 압축기(56)를 정지 여부를 상기 제 2 설정온도()에 의하지 않고 실내온도(T)가 희망온도()에 이르게 될 때 소용량 압축기(56)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96)는 상기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 개시부터 제2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실내 온도(T)와 제 2 설정온도()를 비교 판단한다.(S9,S10)
여기서, 상기 제 2 설정시간()은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시 실내 온도 변화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시간(예를 들면 1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설정온도()는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외에 대용량 압축기(56)의 구동/ 정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온도이다.
상기 제어부(96)는 실내 온도(T)가 제 2 설정온도()인 희망온도()-에 이르지 못한 경우, 즉, 실내온도(T)가 희망온도()-보다 높으면, 대용량의 대용량 압축기(56) 단독 구동으로 실내 냉방 부하에 해소할 수 없는 과부하로 판단하여 소용량 압축기(56)를 대용량 압축기(66)를 함께 구동시킨다.(S11)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및 상기 대용량 압축기(66)의 구동시 소용량 압축기(56) 및 대용량 압축기(66)에서는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와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시보다 보다 많은 양의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54)로 보내지고,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와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시와 동일한 냉방 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52)의 흡열작용으로 실내 온도(T)를 낮춘다.
이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52)는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와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시보다 보다 많은 양의 냉매가 통과하게 되므로, 실내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와 대용량 압축기(66)의 구동으로 실내 온도(T)가 제 2 설정온도()인 희망온도()-에 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96)는 실내 부하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소용량 압축기(56) 및 대용량 압축기(66)를 정지시킨다.(S12,S13)
한편, 상기 제어부(96)는 제 2 설정시간() 경과시 실내온도(T)가 제 2 설정온도()에 이르는 경우, 즉, 실내온도(T)가 희망온도()-이하이면,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만으로 실내 부하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용량 압축기(66)를 정지시킨다.(S14)
그리고, 상기 제어부(96)는 상기 소용량 압축기(56)의 단독 구동/정지와, 상기 대용량 압축기(66)의 단독 구동/정지와, 상기 소용량 압축기(56) 및 대용량 압축기(66)의 구동/정지 이후에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설정시간을 대용량 압축기(66)의 구동 이후의 기준시간으로 하지 않고, 소용량 압축기(56)의 구동 이후의 기준시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은 소용량 압축기를 단독으로 먼저 구동시키고, 소용량 압축기의 단독 구동 이후 제 1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과부하를 판단하여 과부하인 경우 상기 소용량 압축기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대용량의 대용량 압축기를 단독 구동시키며, 상기 소용량 압축기의 구동 이후 제 2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과부하를 재차 판단하여 과부하인 경우 소용량 압축기를 대용량 압축기와 함께 구동시키므로, 냉방 과부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제 1 설정온도는 희망온도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제 2 설정온도는 희망온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희망온도 오차 범위 내에서 소용량 압축기와 대용량 압축기를 부하에 대응하여 구동/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방 부하에 따라 소용량 압축기 및 대용량 압축기를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용량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소용량 압축기가 구동된 후 제 1 설정시간이 경과되고 실내 온도가 제 1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소용량 압축기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대용량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대용량 압축기가 구동된 후 제 2 설정시간이 경과되고 실내 온도가 제 2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소용량 압축기를 대용량 압축기와 함께 구동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설정온도가 희망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설정온도가 희망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실내온도가 제 2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소용량 압축기 및 대용량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KR10-2002-0081723A 2002-12-20 2002-12-20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KR10046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723A KR100465723B1 (ko) 2002-12-20 2002-12-20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US10/638,316 US6829903B2 (en) 2002-12-20 2003-08-12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air conditioner in cooling mode
CNB03158859XA CN1224809C (zh) 2002-12-20 2003-09-15 空调器及使其按冷却模式运行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723A KR100465723B1 (ko) 2002-12-20 2002-12-20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113A KR20040055113A (ko) 2004-06-26
KR100465723B1 true KR100465723B1 (ko) 2005-01-13

Family

ID=3258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723A KR100465723B1 (ko) 2002-12-20 2002-12-20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29903B2 (ko)
KR (1) KR100465723B1 (ko)
CN (1) CN12248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771B1 (ko) * 2003-11-04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조시스템의 실온제어방법
KR100556772B1 (ko) * 2003-11-04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조시스템의 실온제어방법
JP2005225438A (ja) * 2004-02-16 2005-08-25 Sanden Corp 空調装置
KR100619733B1 (ko) * 2004-08-14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니터리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661919B1 (ko) * 2004-08-14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니터리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608683B1 (ko) * 2004-08-20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절전운전방법
KR100608685B1 (ko) * 2004-08-20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니터리 공기조화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20060039308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802016B1 (ko) * 2005-02-25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압축기 및 그 기동운전방법
EP1703235B1 (en) * 2005-03-02 2011-1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having several compressors
EP1813892A1 (en) * 2005-03-16 2007-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having multi-compressor
US8156751B2 (en) * 2005-05-24 2012-04-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 for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KR100685754B1 (ko) * 2005-06-02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두 개의 압축기를 갖는 에어컨 시스템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US20100313586A1 (en) * 2008-02-15 2010-12-16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2010078191A (ja) * 2008-09-24 2010-04-08 Toshiba Carrier Corp 空気調和機
CN102388223B (zh) * 2009-04-09 2017-06-30 开利公司 双任务压缩机器
US9297569B2 (en) * 2010-07-27 2016-03-29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fficient cooling within a test environment
KR101212698B1 (ko) 2010-11-01 2013-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KR101203579B1 (ko) 2010-11-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 겸용 급탕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1212681B1 (ko) * 2010-11-08 2012-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8468843B2 (en) * 2011-08-29 2013-06-25 Vladlen Futernik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a parked vehicle
JP2014040969A (ja) * 2012-08-23 2014-03-06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BR102012032976A2 (pt) * 2012-12-21 2014-11-25 Whirlpool Sa Processo de controle de temperatura e umidade para aparelhos eletrdomésticos
CN104848489B (zh) * 2015-05-15 2018-02-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
DE102015107719A1 (de) * 2015-05-18 2016-11-24 Denso Automotive Deutschland Gmbh Kältemittel-Akkumulator für einen Kältemittelkreislauf und Kältemittelkreislauf mit einem solchen Kältemittel-Akkumulator
CN108332394A (zh) * 2018-01-08 2018-07-27 江苏万全智能环境设备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室内电器联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800425B (zh) * 2018-06-19 2021-01-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防止空调频繁启停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
FR3091336B1 (fr) * 2018-12-31 2021-01-29 Faiveley Transp Tours Méthode de détermination du niveau de charge en fluide réfrigérant dans un circuit de refroidissement pour un système de climatisation
CN109631387A (zh) * 2019-01-07 2019-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902511A (zh) * 2021-02-07 2021-06-04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浴液循环低温恒温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486A (en) * 1987-03-18 1991-10-29 Whirlpool Corporation Thermostat control for providing multiple temperature ranges in a single refrigeration compartment
JPH0359350A (ja) * 1989-07-28 1991-03-14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US5927088A (en) * 1996-02-27 1999-07-27 Shaw; David N. Boosted air source heat pump
KR100487150B1 (ko) * 2002-06-14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71442B1 (ko) * 2002-07-03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113A (ko) 2004-06-26
US6829903B2 (en) 2004-12-14
CN1510356A (zh) 2004-07-07
CN1224809C (zh) 2005-10-26
US20040118135A1 (en)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723B1 (ko)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KR100772217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4779791B2 (ja) 空気調和装置
JP3984027B2 (ja) 2つの圧縮機を有する空調装置の電子膨張弁の制御方法
US6807817B2 (en) Method for operating compressors of air conditioner
JP2010506132A (ja) 空気調和機の停止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7120937A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3983520B2 (ja) 超臨界蒸気圧縮システムおよび超臨界蒸気圧縮システムを循環する冷媒の高圧成分の圧力を調整する吸入ライン熱交換器
KR10155850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3334601B2 (ja) 自然循環併用式空気調和機
JP3668750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51760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방법
JP4063041B2 (ja) 多室形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45759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방법
KR20100002771A (ko)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4116978A (ja) 多室形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1513305B1 (ko) 냉난방 겸용 인젝션 타입 공기조화기 및 그 공기조화기의 인젝션 모드 절환방법
JP2007120938A (ja) 空気調和機の部分過負荷解消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277099A (ja) 冷凍装置
KR101152527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KR200304217Y1 (ko) 매개 열교환기를 갖는 열펌프식 공기조화 장치
KR20060124959A (ko) 공기조화기의 시운전 제어 방법
KR20040052049A (ko)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과부하 운전방법
JPH07158981A (ja) 空気調和装置
KR100487384B1 (ko)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