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384B1 -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384B1
KR100487384B1 KR10-2003-0049199A KR20030049199A KR100487384B1 KR 100487384 B1 KR100487384 B1 KR 100487384B1 KR 20030049199 A KR20030049199 A KR 20030049199A KR 100487384 B1 KR100487384 B1 KR 10048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y compressor
compressor
refrigerant
capacity
evapora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885A (ko
Inventor
송찬호
허덕
진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3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 압축기와 소용량 압축기를 가지며, 상기 대용량 압축기와 소용량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냉매를 순환시키는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소용량 압축기가 구동하고 있는 중에 대용량 압축기를 기동시켰을때, 상기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하는지를 감지하여 정상상태가 아닌 경우 평압에 필요한 시간을 부여한 후 재기동을 하는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대용량 압축기의 운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단계와, 감지단계에서 입력된 신호를 받아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의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는 휴지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ing compressor of air conditioner having two capacity}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량이 다른 두개의 압축기를 구동하는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모터로 순환시켜 각 단계마다 상기 냉매의 상변화를 유도하고, 상기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여 냉방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근래에 들어, 공기조화기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각 방마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는 업소나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개념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압축기(10)는 소용량 압축기(11)와 대용량 압축기(13)로 2개가 구성되며, 실외기(미도시)에는 응축기(4)가 설치되고,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키는 팽창밸브(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5)가 실내기 내부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저압의 포화증기상태의 냉매를 압축기(10)를 통해 고압의 과열증기로 상변화를 시키고, 상기 고압과열증기의 냉매를 실외기(미도시)에 내장되어 있는 응축기(4)를 통해 외부와 열교환을 시켜 고압의 포화액체로 상변화를 시킨후, 팽창밸브(3)를 통해 압력을 강하시켜 저압의 과냉액체상태로 만든다. 상기 저압의 과냉액체상태의 냉매는 실내기(미도시)에 내장된 증발기(5)를 통해 상기 증발기(5) 주위의 열을 빼앗아 저압의 포화증기상태가 되고, 다시 압축기(10)로 향하여 하나의 냉방사이클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증발기(5)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주위공기와 열교환 하는 과정을 통해 증발기(5) 주위공기를 냉각시키게 되고, 냉각된 공기는 실내기(미도시) 내부에 설치된 팬(미도시)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중용량 압축기 공조시스템은 냉방부하에 따라 대용량 압축기(13) 및 소용량 압축기(11)가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냉방사이클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냉방용량의 변화는 냉매의 순환량으로 조절하게 되고, 상기 냉매의 순환량 조절은 압축기(10)의 냉매압축량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기의 효율이 최적이되는 냉매압축량의 범위는 한정되어 있고, 용량이 큰 압축기 1개로 넓은 범위의 냉방용량을 감당하게 되면 압축기효율의 저하가 현저하기 때문에, 냉방용량의 변화폭이 큰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압축기를 병렬로 설치하여, 냉방용량의 가감에 대응하도록 되어있다.
즉, 냉방부하가 작을시에는 소용량 압축기(11)만 가동하여 냉방을 행하도록 하고, 냉방부하가 클 때에는 소용량 압축기(11)와 대용량 압축기(13)를 모두 가동하여 냉방을 행하게된다.
일반적으로,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에서 소용량 압축기(11)만 운전상태에 있는 경우, 정지해 있는 대용량 압축기(13)에는 냉매가 대용량 압축기(13)로 들어가는 흡입부관로(9)와 토출부관로(12)사이에 큰 압력차이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냉매가 대용량 압축기(13)로 들어가는 인입부 관로(9)에는 3~4기압의 압력이 형성되어 있고, 정지해 있는 대용량 압축기(13)의 토출부관로(12)에는 8~9기압의 압력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처럼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의 인입부관로(9)와 토출부관로(12) 사이의 압력차이가 현저할 경우, 소용량 압축기(11)를 운전하는 중에 상기 대용량 압축기(13)를 가동시키면, 평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용량 압축기(13)가 운전을 하게 되므로,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대용량 압축기(13)가 기동하지 않게 되어 공조시스템이 정상상태로 운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중용량 압축기 공조시스템에서 소용량 압축기의 운전중에, 대용량 압축기를 기동할 때,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하지 못한 경우, 압축기의 평압에 필요한 시간을 더 부여함으로써,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은 대용량 압축기와, 소용량 압축기 및, 상기 대용량 압축기와 소용량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압축기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소용량 압축기의 운전중에 대용량 압축기를 기동했을 때, 공조시스템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압축기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대용량 압축기의 운전을 소정의 평압조정시간동안 중지한 후 재기동 시키는 휴지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하의 설명에서 2중용량 압축기의 공조 시스템의 구성은 위에 도시된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대용량 압축기(13)와 소용량 압축기(11)를 포함하여 구성된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에 전류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시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압축기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단계(S1)와, 상기 감지단계(S1)에서 전류센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전류의 양이 허용전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2)와, 상기 판단단계(S2)에서 입력된 전류의 양이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대용량 압축기(13)를 정지시키고, 소정의 평압조정시간동안 대기한 후 대용량 압축기를 재기동하는 휴지단계(S3)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감지단계(S1)에서는 압축기에 부착된 전류센서(미도시)가 소용량 압축기(11)의 운전중에 대용량 압축기(13)가 기동할 때,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여 압축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상기 측정값을 전달한다.
판단단계(S2)에서는 상기 전류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허용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측정값이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대용량 압축기(13)를 계속 운전시키고, 상기 측정값이 허용치를 초과하면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의 인입부관로(9)와 토출부관로(12) 사이의 큰 압력차이로 인해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지단계(S3)로 이행시킨다.
휴지단계(S3)에서는 상기 판단단계(S2)에서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이 실패한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용량 압축기(13)를 정지시킨후 소정의 평압조정시간동안 대기시키고, 상기 평압조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대용량 압축기(13)를 기동시킨다.
상기 평압조정시간은 일반적으로 3분 이상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평압조정시간은 6분, 8분, 15분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수치는 아니다.
상기 대용량 압축기(13)가 재기동되면, 본 발명의 제어단계는 다시 감지단계(S1)로 회귀하여,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시,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에 흐르는 전류가 허용치를 나타낼 때 까지 상기 감지단계(S1)부터 휴지단계(S3)까지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 방법을 압축기(10)에 전류센서(미도시)를 부착하고,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시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하여 대용량 압축기(13)가 정상상태로 운전되는지를 판단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증발기에 온도센서를 부착하고, 대용량 압축기가 기동된 후의 냉매의 증발온도를 대용량 압축기가 기동되기 전의 냉매의 증발온도와 비교하여 대용량 압축기의 정상기동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3은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 방법을 증발기에서 냉매의 증발온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성한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증발기(5)에 온도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대용량 압축기(13)가 기동한 후의 냉매의 증발온도를 측정하여 압축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감지단계(S1a)와, 상기 감지단계(S1a)로부터 입력된 냉매의 증발온도와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전의 냉매의 증발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대용량 압축기(13)가 정상상태로 운전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2a)와, 상기 판단단계(S2a)에서 대용량 압축기(13)가 정상상태로 운전하지 않는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대용량 압축기(13)를 정지시키고, 소정의 평압조정시간동안 대기한 후 대용량 압축기를 재기동하는 휴지단계(S3a)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감지단계(S1a)에서는 소용량 압축기(11)의 운전중에 대용량 압축기(13)가 기동하면, 상기 대용량 압축기(13)가 기동한 후, 증발기(5)에 부착된 온도센서(미도시)에서 냉매의 증발온도를 측정하여 압축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상기 측정값을 알려준다.
판단단계(S2a)에서는 상기 온도센서로 부터 입력된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 후 냉매의 증발온도를 상기 대용량 압축기(13)가 기동하기 전에 측정한 냉매의 증발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대용량 압축기(13)가 정상상태로 운전한다면, 냉매의 증발온도는 낮아질 것이므로,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 후 냉매의 증발온도가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 전 냉매의 증발온도보다 낮아진다면 대용량 압축기(13)가 정상상태로 운전된다고 판단하여 계속 운전시키고, 냉매의 증발온도변화가 없다면,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이 실패한것으로 판단하여 휴지단계(S3a)로 이행시킨다.
그 후의 휴지단계(S3a)의 작동은 상기 대용량 압축기(13)의 기동전류를 측정하는 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대용량 압축기(13)가 재기동되면, 제어단계는 다시 감지단계로 회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소용량 압축기가 구동하고 있는 중에 대용량 압축기를 기동시켰을때, 상기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정상상태로 운전하지 않는 경우 평압에 필요한 시간을 부여한 후, 재기동을 하여 상기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할 수 있도록 제어하므로,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의 운전 안전성이 향상되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상기 대용량 압축기의 정상기동여부를 증발기의 증발온도의 변화를 통하여 판단하는 경우, 상기 대용량 압축기의 기동전류값을 측정하여 판단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대용량 압축기에 전류센서 부착에 따른 원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 : 응축기 5 : 증발기
9 : 흡입부관로 11 : 소용량 압축기
12 : 토출부관로 13 : 대용량 압축기
S1 : 감지단계 S2 : 판단단계
S3 : 휴지단계

Claims (7)

  1. 대용량 압축기와, 소용량 압축기 및, 상기 대용량 압축기와 소용량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압축기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2중용량 압축기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소용량 압축기의 운전중에 대용량 압축기를 기동했을 때, 공조시스템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압축기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대용량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운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대용량 압축기의 운전을 소정의 평압조정시간동안 중지한 후 재기동 시키는 휴지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압축기에 전류센서를 부착하여 대용량 압축기의 기동시 상기 대용량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압축기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입력된 전류의 양이 허용전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입력된 전류의 양이 허용전류를 초과할 경우 휴지단계로 이행하고, 입력된 전류의 양이 허용전류 이하일 경우 상기 대용량 압축기를 계속 운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압조정시간은 3분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증발기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대용량 압축기의 기동시 냉매의 증발온도를 감지하여 압축기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입력된 냉매의 증발온도를 대용량 압축기가 기동하기 전에 측정한 냉매의 증발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입력된 냉매의 증발온도가 더 낮아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증발온도가 더 낮아질 경우 상기 대용량 압축기를 계속 운전하고, 상기 냉매의 증발온도의 변화가 없을 경우 휴지단계로 이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단계후 제어의 단계는 감지단계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제어 방법
KR10-2003-0049199A 2003-07-18 2003-07-18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KR10048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199A KR100487384B1 (ko) 2003-07-18 2003-07-18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199A KR100487384B1 (ko) 2003-07-18 2003-07-18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885A KR20050009885A (ko) 2005-01-26
KR100487384B1 true KR100487384B1 (ko) 2005-05-04

Family

ID=3722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199A KR100487384B1 (ko) 2003-07-18 2003-07-18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3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885A (ko)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397A (en) Air conditioner apparatus with starting control for parallel operated compressors based on high pressure detection
JP3972860B2 (ja) 冷凍装置
KR100465723B1 (ko)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KR100484800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동작방법
CN111780362B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US5074120A (en) Multi-typ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fast hot starting for heating operation
KR100772217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2012072920A (ja) 冷凍装置
US20040107709A1 (en) Method for operating compressors of air conditioner
JP2018141599A (ja) 空気調和装置
JP2004020064A (ja) 多室形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080089967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20070793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55850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H0571822A (ja) 空気調和機
JP3290251B2 (ja) 空気調和機
KR100487384B1 (ko) 2중용량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JP2551238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H07120091A (ja) 空気調和機
JPH103085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02071228A (ja) 冷凍サイクルの制御装置
KR100565995B1 (ko) 실내기 설치 위치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운전 방법
KR20000073045A (ko) 공기조화기의 팽창기구 고장판단방법
JP6052066B2 (ja) 冷凍装置
JPH0427394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