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357B1 - 디지털비디오판독기록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비디오판독기록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357B1
KR100465357B1 KR1019970010856A KR19970010856A KR100465357B1 KR 100465357 B1 KR100465357 B1 KR 100465357B1 KR 1019970010856 A KR1019970010856 A KR 1019970010856A KR 19970010856 A KR19970010856 A KR 19970010856A KR 100465357 B1 KR100465357 B1 KR 10046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ed
frame
new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257A (ko
Inventor
마사히코 나구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 테이프에 AVS 데이터(오디오 비디오 및 서브코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에 따라 AVS 삽입을 수행할때,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ITI(삽입 및 트랙 정보) 부분은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AVS 부분이 덮어 쓰여지게 되는 동안 보존된다. 구 ITI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새로운 AVS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헤드 스위칭 신호의 상승 에지가 모니터된다. 헤드 스위칭 신호의 상승 에지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에 새로운 AVS 데이터의 삽입을 시작하고,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프레임 변경의 발생시에 카운트를 재설정함으로써, 새로운 AVS 데이터 및 이미 기록된 ITI 데이터가 프레임 동기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판독 기록 장치 및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 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AVS(오디오 비디오 및 서브코드) 데이터가 나중에 재생하기 위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될 수 있다는 것이 오디오/비디오 기술들에 잘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기록/재생 장치는 나선형 주사 방법을 구현하는데, 이 방법에서 AVS 데이터는 회전 헤드들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트랙들에 기록된다. 도 1은 자기 테이프상의 나선형 트랙들의 형성을 예시하고 있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트랙이 이웃하는 트랙들과 겹쳐있도록 트랙들이 형성되어 있다. NTSC 호환가능 기록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이 10 트랙들에 기록된다. PAL 호환가능 기록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이 12 트랙들에 기록된다. 도 1에 도시된 기록은 NTSC 호환가능 기록이며, 개개의 프레임들을 식별하기 위해서 음영이 제공되어 있다. 각 프레임 내의 트랙들은 0에서 9까지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져있다.
도 2는 개개의 트랙의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트랙의 좌측은 헤드 입구측이며 우측은 헤드 출구측이다. 트랙은 ITI(삽입 및 트랙 정보) 영역, 오디오 데이터 영역, 비디오 데이터 영역, 및 서브코드 영역을 포함한다. 이들 영역들 사이에 점철되어 있는 것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IBG들(인터 블록 갭들)이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서브코드를 총칭하여 AVS 데이터라고 한다. ITI 영역은 트랙에 대한 관리정보로서, 예를 들면 트랙의 크기에 대한 정보, 혹은 트랙이 속해 있는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형태의 시스템에 대한 많은 응용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의 응용은 이미 기록된 테이프의 편집이다. 흔히, 이미 기록된 테이프를 편집할 때, 이미 기록된 트랙들의 ITI부분을 교란하지 않고 이들 트랙들의 AVS 부분을 덮어쓰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종류의 트랙 덮어쓰기를 이하 "AVS 삽입"라고 한다.
성공적으로 AVS 삽입을 수행하기 위해서, 원래의 AVS 데이터(이하 "배경 데이터")용 프레임의 위상(phase)과 새로운 AVS 데이터용 프레임의 위상을 정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원래의 AVS 데이터용 프레임의 위상은 데이터 자체에서 얻을 수 있으며, 그러나, 이는 원래의 데이터가 삽입동안 덮어 쓰여지기 때문에 문제가 존재한다. 종종, 이 문제는 원래의 트랙(들)을 판독하고, 덮어쓰기를 하기 전에 배경 프레임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해서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선 판독(pre-reading) 헤드들을 포함시킴으로써 어드레스된다. 선 판독 방법이 지닌 문제는 삽입동안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프레임 위상의 어긋남들에 대해 정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선 판독 방법에 따라 수행된 AVS 삽입동안 일어날 수 있는 프레임 위상 어긋남의 한 유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별표로 표시한 지점에서 불연속성을 포함하는 원래의 NTSC 기록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의 기록은 보통 10개 대신에 6개의 트랙들만을 갖는 불완전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3A의 기록에 대해 기록하기 위해 선 판독방법이 사용될 때, 도3B의 기록이 귀착된다. 도3B에서 분명한 어긋남은 선 판독 헤드들의 무능력에 의해 원래의 기록내에 있는 불연속성을 인식하게 된다. 삽입이 수행될 때 선 판독 헤드는 불완전한 원래의 프레임의 0번째 트랙에 도달하여 그 트랙 내의 정보로부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한다. 이어서 새로운 프레임의 트랙들은 불연속성에 관계없이 원래의 프레임의 트랙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이에 따라 새로운 AVS 데이터와 구 ITI 데이터의 틀린 정합으로 된다.
도4A 및 도4B는 선 판독 방법에 따라 수행된 AVS 삽입동안 일어날 수 있는 프레임 위상 어긋남의 제 2 유형을 예시하고 있다. 도3A의 트랙들과는 달리, 도4A의 트랙들은 NTSC시스템에 따라 정확하게 형성된다. 이 제 2 예시도에서, 프레임 위상 어긋남은 시스템의 서보가 AVS 삽입동안 교란된 때에 야기한다. 예를 들면, 서보는 삽입동안 기계적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이와 같은 교란은 새롭게 기록된 트랙들이 틀린 배치로 되고, 따라서 프레임 위상 어긋남으로 되고 만다.
본 발명의 목적은 AVS 삽입동안 일어날 수 있는 프레임 위상 어긋남들을 검출하고 그와 같은 어긋남들을 정정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VS 삽입을 수행할 때,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ITI 부분은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AVS 부분이 덮어쓰기 되는 동안 보존된다. 구 ITI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새로운 AVS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을 정합시키기 위해서 헤드 스위칭 신호의 상승 에지가 모니터한다.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프레임 변경들의 발생을 관측하여, 검출된 프레임 변경들에 새로운 AVS를 삽입함으로써, 새로운 AVS 데이터 및 이미 기록된 ITI 데이터가 프레임 동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상기 및 기타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에 대한 예이지만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시키려는 것은 아닌, 예로서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동일 부호에 동일 참조부호가 할당된 첨부한 도면에 따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2개의 양호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이들이 포함되게 한 것임을 알 것이다. 기술된 제 1 실시예는 NTSC 호환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제 2 실시예는 NTSC 시스템에서 사용되었을 지라도, 주로 PAL 호환 시스템들에 관련한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들의 각각에 대해 2개의 변형들이 설명된다. 각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서, 구 ITI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새로운 AVS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은 새로운 AVS 데이터가 테이프에 기록되는 시간을 조정함으로서 정합된다. 각각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 구 ITI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새로운 AVS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은 AVS 삽입동안 캡스턴 모터의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정합된다.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VCR의 기록/재생 유닛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의 유닛은 본 발명의 NTSC 및 PAL 실시예들에 모두 적합한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는 2개의 헤드들(2a, 2b)을 통해 자기 테이프(3)에 기록되는데, 이 헤드들은 회전 드럼(1)상에 서로 직경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는 약 180도의 랩(wrap)각도로 회전 드럼 주위에 경사지게 감겨진다. 테이프가 표시된 방향으로 주행할 때, 헤드들(2a, 2b)이 테이프의 경사진 트랙들을 추적할 수 있게 드럼은 소정의 속도로 회전한다. 이들 트랙들이 보통 경사 트랙들 또는 나선형 트랙들이라고 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각각의 헤드는 드럼이 360도 회전할 때마다 2개의 트랙들이 형성되도록 테이프를 횡단하는 하나의 트랙을 추적한다. 부가적으로, 헤드들(2a, 2b)의 갭들은 아지무스 기록 기술들에 따라 다른 각도들로 배치된다. 이하, 헤드(2a)에 의해 기록 또는 판독된 데이터를 채널 0(CHO) 정보라 하고, 헤드(2b)에 의해 기록 또는 판독된 데이터를 채널 1(CH1) 정보라 한다.
자기 테이프의 속도는 캡스턴 모터(4)에 의해서 제어된다. 캡스턴 모터는 캡스턴 구동기(5)에 의해서 제어되며, 이 구동기는 차례로 마이크로컴퓨터(6)에 의해서 제어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마이크로컴퓨터의 예로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는 FG 신호 형태로 캡스터 모터로부터 피드백을 받는다. FG 신호의 주파수는 모터의 회전 속도에 비례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PF 데이터 신호와 함께 FG 신호 및 다음에 설명할 ATF(자동 트랙 탐색)에러 신호를 사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기록동안 기록될 AVS 데이터는 AVS 신호 처리 유닛(16)에 의해서 공급되어 메모리(13)에 저장된다.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는 메모리로부터 채널 인코더(14)로 판독된다. 채널 인코더에서, AVS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해 포맷된다. 이 때 데이터는 RF 기록 증폭기(15) 및 스위칭 회로(8)의 단자(8a)로 전달된다.
스위칭 회로(8)는 마이크로컴퓨터(6)로부터 공급된 기록/재생 제어 신호(REC/PB)에 응답하여 헤드 신호들의 경로를 스위치한다. 스위치는 유닛이 기록중일 때 8a(또는 기록) 위치에 설정되고, 유닛이 재생중일 때에는 8b(또는 재생)위치에 설정된다. AVS 삽입동안, 스위치는 위치들을 중앙-트랙 위치로 변경한다. 따라서, AVS 삽입을 위해서, REC/PB 신호는 회전하는 헤드와 동기됨으로써, 헤드가 ITI영역을 통과할 때 스위치는 8b 위치(재생)에 있도록 하고, 헤드가 트랙의 AVS 영역을 통과할 때 스위치는 8a 위치(기록)에 있도록 한다.
스위칭 회로(8)는 스위칭 회로(7)에 결합된다. 스위칭 회로(7)는 마이크로컴퓨터(6)로부터 공급된 헤드 스위칭 신호(HEAD SW)에 따라 헤드들(2a와 2b)간을 선택한다. 헤드(2a)가 테이프에 관련할 때 스위치는 7a 위치로 설정되어, 헤드(2a)가 선택되며, 헤드(2b)가 테이프에 관련할 때 스위치는 7b 위치로 설정되어 헤드(2b)가 선택된다. 따라서, HEAD SW 신호는 회전 드럼에 동기됨으로써 스위치(7)는 드럼의 매 180도 회전마다 위치들을 바꾼다.
스위치들(8, 7)의 기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헤드(2a)를 통해 기록할 때 스위치 위치들은 각각 8a 및 7a로 된다. 헤드(2a)를 통해 재생할 때의 위치들은 8b 및 7a로 된다. 마찬가지로, 헤드(2b)를 통해 기록할 때 스위치 위치들은 각각 8a 및 7b로 되고, 헤드(2b)를 통해 재생할 때의 위치들은 8b 및 7b로 된다.
단자(8b)를 통과하는 재생 데이터는 RF 재생 증폭기(9)로 보내진다. AVS 삽입동안 재생 데이터는 ITI 데이터이며, 따라서 이 설명의 목적상 ITI 데이터 및 재생 데이터라고 하는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ITI 데이터는 증폭기(9)에 의해서 증폭되어 RF 검출 회로(10) 및 ATF 검출 회로(11)로 전달된다. RF 검출 회로에서 데이터는 등화 및 검출 처리된다. 등화 및 검출된 ITI 데이터는 이어서 채널 디코더(12)로 전달되어, 여기서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ITI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전달된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디지털 ITI 데이터는 파일럿 프레임(PF)을 포함한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이 파일럿 프레임을 사용하여 AVS 삽입에서 덮어쓰기 되는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을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폭기(9)의 출력은 또한 ATF 검출 회로로 전달된다. ATF 검출 회로에서는 공급된 ITI 데이터 신호로부터 ATF 에러를 검출한다. ATF 에러는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로 전달되어, 이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PF 신호 및 FG 신호와 더불어 전달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속도 명령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 속도 명령 제어 신호는 차례로 캡스턴 구동기를 통해 캡스턴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소개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캡스턴 모터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3 부분의 절차, 즉 ATF 절차, FG 절차, 및 프레임 위상 절차로 볼 수 있다. ATF 절차는 다음과 같다. FG 및 프레임 위상 절차들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ATF 절차에 따라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각각의 트랙마다 ATF 파일럿 신호가 ITI영역내에 포함된다. 도 6은 트랙들과 ATF 파일럿 신호들간의 양호한 관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F0, F1 및 F2의 세 유형의 ATF 파일럿 신호들이 사용된다. 이들 신호들은 다음의 패턴: ...F0, F1, F0, F2, F0, F1, F0, F2...에 따라 연속하는 트랙들에 할당된다. 따라서, 트랙들이 테이프에 기록될 때 파일럿 신호 패턴은 4개의 트랙들마다 반복한다. 편의상, 파일럿 신호들은 이들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식별된다.
도7A 내지 도7C는 3가지 유형들의 ATF 파일럿 신호들의 주파수 성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0는 주파수 f1을 중심으로 한 노치와 주파수 f2를 중심으로 한 노치를 갖는 비교적 평탄한 스펙트럼을 갖는 파일럿 신호를 나타낸다(F0는 파일럿 신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도7B는 F1 파일럿 신호 스펙트럼이 주파수 f1에서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7C는 F2 파일럿 신호 스펙트럼이 주파수 f2에서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F1 및 F2 파일럿 신호들은 24-25 변환을 통해서 발생될 수도 있다. 이 변환은 IBG 및 ATF 파일럿 신호들이 기록 데이터열 자체에 의해서 발생되도록, AVS 및 ITI 데이터(AVS 및 ITI 데이터는 에러 보정 코드를 포함함)에 1 비트를 부가함으로써 수행된다. 1 비트를 데이터에 부가함으로써, 2개의 별개의 ATF 파일럿 신호들이 발생된다.
트랙 재생동안, 트랙들을 판독하는 헤드는 ITI 데이터의 나머지와 함께 ATF 파일럿 신호를 판독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헤드들은 개개의 트랙들보다 넓게 경로를 추적하고, 따라서, 특정 트랙을 추적할 때 헤드는 인접 트랙들에도 놓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는 인접 트랙들로부터 취해진 파일럿 신호들(크로스토크 파일럿 신호들)뿐만 아니라, 판독하고자 하는 트랙의 파일의 신호를 픽업한다. 헤드가 판독하고자 하는 트랙에 대해 중심위치에 있을 때, 그 트랙에서 검출된 파일럿 신호와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검출된 크로스토크 파일럿 신호간 차의 크기는 소정치(혹은 "목표치")와 같게 될 것이다. 판독하고자 하는 트랙에서 검출된 파일럿 신호와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검출된 크로스토크 파일럿 신호간 차의 크기와 ATF 에러를 서로 같도록 설정하고, 이어서 ATF 에러와 목표치를 서로 비교하여 불일치 값을 구한다. 불일치 값이 제로이면, 헤드는 의도된 트랙과 일치된다. 캡스턴 모터 제어를 위한 3부분으로 된 절차의 한 부분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위상 서보 동작에서 불일치 값이 사용된다. 위상 서보 동작의 결과는 헤드가 의도된 트랙과 일치되도록 불일치 값을 제로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도 5의 VCR의 일반적인 동작을 기술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제 1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유용한 타이밍도이다. 도 8A는 각 헤드 당 하나씩, 2개의 트랙들의 트레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트레이스에 중첩되는 것은 헤드 스위칭 신호이며, 이 신호는 헤드(2a)가 트랙을 추적할 때 '하이'로 설정되며, 헤드(2b)가 트랙을 추적할 때는 '로우'로 설정된다.
도 8B는 헤드들(2a, 2b)에 의해서 만들어진 일련의 트레이스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는 NTSC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10개의 연속하는 트랙들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새로운 프레임들의 발생은 문자들 "g"와 "h"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도면에는 2개의 불완전한 프레임들과 하나의 완전한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완전한 프레임은 "g"와 "h" 심볼들 사이에 놓여있다. 다시, 헤드 스위칭 신호는 트레이스들 상에 중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트랙의 ITI 부분은 트랙용 PF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정 트랙의 PF 데이터는 "1" 또는 "0"이다. 프레임에 속하는 모든 트랙들에는 동일한 PF값이 할당되며, PF값은 2개의 연속하는 프레임들이 동일한 PF 값을 갖지 않도록 한 프레임씩 교번한다. PF값들의 할당이 도 8C에 예시되어 있다. 도 8B와 함께 도 8C에서 알 수 있듯이, 주사된 트랙들의 PF값들은 한번에 하나씩 판독되지만, 이들은 한번에 두 개씩 마이크로컴퓨터에 보고된다. 더욱이, 이 보고들은 한 트랙 시간만큼 지연된다. 도 8D는 PF 데이터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한 PF 방식에 따라, PF 데이터 신호는 "i" 점에 도달할 때까지는 하이에 있을 것이며, "i"와 "j' 점 사이에서는 로우, "j" 점 이후에는 하이가 될 것이다.
PF값의 트랙을 유지하는 것 외에도, 마이크로컴퓨터는 헤드 스위칭 신호의 상승 에지 발생 횟수들을 카운트한다. PF값이 변경된 것이 검출된 때에는(새로운 프레임이 읽혀질 때) 카운트를 리셋시킨다. 도 8D를 참조하면, 새로운 프레임이 검출된 때 상승 에지 카운트는 제로로 리셋되고, 1, 2, 3으로 증가된 후 프레임의 마지막 2개의 트랙들이 판독될 때 최종적으로 4까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카운터가 4에 도달한 후, 다음 프레임이 검출되고 카운터는 0으로 리셋된다. 이 방식에서 프레임의 제1 트랙이 판독되는 시간은 카운터가 3으로 증가되는 시간과 동일하다. 따라서, AVS 삽입을 수행할 때, 시스템은 원래 기록된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을 검출할 수 있으며,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은 카운트가 3까지 증가된 때마다 시작한다.
원래의 기록된 데이터와 AVS 데이터의 삽입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삽입 데이터는 메모리(13)에 저장되며, 마이크로컴퓨터는 메모리 포인터를 제1 삽입 프레임의 0번째 트랙의 어드레스로 설정한다. 카운터가 3으로 증가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를 메모리로 보내어 자기 테이프에 삽입 데이터를 기입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식으로 삽입의 0번째 트랙은 원래의 데이터의 0번째 트랙이 점유하고 있는 장소에 기입된다(도 8E는 삽입 기입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즉, 카운트가 3으로 증가할 때 테이프에 삽입 데이터를 기입하기 시작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은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동일하게 된다. AVS 삽입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을 기록하는 것은 원래의 데이터의 PF 값 변경들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프레임 위상들은 어긋남이 있어도 동기된 상태에 있게 된다.
AVS 삽입 후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은 새롭게 삽입된 AVS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프레임 위상 역할을 한다. 이것은 삽입 동작의 본질에서 오는 것이며, 여기서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ITI 부분은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AVS 부분이 덮어쓰기 되어질 동안 보존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프레임 위상을 정합시키는 것은 적합한 프레임 위상이 삽입된 데이터에 할당되고 있음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삽입된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이 적합하게 정합되지 않으면, 편집이 테이프의 올바른 위치에서 분명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편집자가 이미 기록된 데이터에 특수효과를 부가하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부가된 효과의 프레임 위상과 이미 기록된 것의 프레임 위상이 정합하지 않으면, 테이프상의 소망의 위치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될 것이다.
변형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9A-도 9E,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변형 제 1 실시예는 NTSC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NTSC 맥락에서 설명한다. 도 9A-도 9D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변형 제 1 실시예에서 원래의 데이터의 PF 데이터를 판독하고, 헤드 스위칭 신호 카운트를 유지하고, PF 데이터가 바뀌었을 때 카운트를 리셋시키는 방법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변형 실시예는 기록된 데이터에서 프레임 변경 발생에 따르도록 삽입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조정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기록된 데이터에서 프레임 변경들의 발생에 따르도록 테이프 속도가 조정된다.
도 9E는 테이프에 기록되고 있는 삽입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 도 9E에 도시한 예에서, 삽입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은 원래의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에 대해 2개의 트랙들만큼 앞선다. 즉, 원래의 데이터에서 프레임의 변경은 항상 카운트 3에서 발생하는 반면 삽입 데이터의 프레임이 바뀌는 지점에서 헤드 스위칭 카운트는 2와 같게 된다.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이전 데이터 프레임 위상간의 어긋남은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된다. 삽입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은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메모리로 신호가 보내질 때 시작하고, 헤드 스위칭 카운트는 이때에 값을 취한다. 취해진 카운트가 3이 아닐 때는 프레임 위상의 어긋남이 있는 것이다. 어긋남의 양은 취해진 카운트와 소정의 3이라는 카운트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때 테이프 속도는 헤드 스위칭 카운트가 3과 같게 될 때 판독 어드레스 신호가 발생하도록 벗어난 양에 따라 조정된다. 프레임 위상 어긋남을 바로잡도록 모터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정합된다. 일단 정정이 완료되면 테이프는 정상동작 속도로 복귀된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AVS 삽입 완료시, 이미 기록된 프레임 위상은 새롭게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프레임 위상 역할을 한다.
검출된 어긋남에 따라 테이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은 캡스턴 모터 제어 절차의 프레임 위상 부분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캡스턴 모터 속도는 3부분의 절차, 즉 ATF 절차, FG 절차, 및 프레임 위상 절차에 따라 제어된다. ATF 및 프레임 위상 처리과정에 대해선 이미 설명하였다. FG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고, 3가지 절차들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마이크로컴퓨터가 어떻게 캡스턴 모터 속도를 제어하는 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모터 제어는 2개의 주요 동작으로서, 캡스턴 속도 서보 동작(21) 및 캡스턴 위상 서보 동작(24)을 포함한다. 속도 서보 동작은 제어 절차의 FG부분을 구현한다. FG 신호의 주기는 모터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 신호는 모터의 정상동작 속도(0 AFT 에러, 0 프레임 위상 어긋남)가 원하는 대로 될 수 있게 목표 주기에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ATF 에러도 없고 프레임 위상 어긋남도 없다고 할 때, 목표 주기는 소망의 모터 속도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목표 주기는 감산기(20)로 전달된다. FG 신호의 주기-모터로부터 FG 신호를 검사함으로써 결정됨- 감산기(20)에도 전달된다. 목표 주기와 FG 주기간의 차이는 모터 속도 에러이다. 모터 속도 에러는 속도 서보 동작에서, 원하는 속도로 모터를 구동하는데 충분한 속도 정정 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FG 피드백 루프를 완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제, FG 절차와 ATF 및 프레임 위상 절차들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ATF 에러와 (상기 기술된)목표 전압간의 비교는 감산기(23)에 의해서 수행되어, 결과로 나타난 불일치 값(또는 "위상 에러")은 위상 서보 동작에 전달된다. 위상 서보 동작의 출력은 헤드와 추적하고자 하는 트랙간 불일치를 정정하는데 충분한 위상 정정 신호이다. 그러나, 변형된 제 1 실시예의 경우, 어떤 검출된 프레임 위상 어긋남들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위상 정정은 가산기(25)에 전달되어 여기서 이 정정은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에 가산된다.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는 검출된 프레임 위상 어긋남으로부터 도출되며 검출된 어긋남을 정정하도록 캡스턴 모터 속도를 조정하는데 충분할 뿐이다. 가산기(25)의 출력은 위상과, 가산기(22)에 의해서 속도 정정 신호에 가산되는 프레임 정정 신호이다. 가산기(22)의 출력은 모터 속도를 설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캡스턴 구동기에 전달된 속도 명령이다.
도 11은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를 산출하는데 취해진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 1 단계는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의 발생을 체크하는 것이다(질의 S10).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기록되고 있는 트랙은 0번째 트랙이 아니며, 프레임 위상 정정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취해진다(명령 S11에서 프레임 위상 정정은 0으로 설정됨).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가 검출된 때 헤드 스위칭 카운트가 체크된다. 질의 S12는 카운트가 "1" 또는 "2"인지를 판정한다. 카운트가 1 또는 2이면,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이전 데이터 프레임 위상에 대해 앞서 있어 테이프는 어긋남을 정정하기 위해서 느리게 주행될 것으로 취해진다. 따라서, 명령 S13에서,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는 테이프의 속도를 늦추어 새로운 데이터 및 구 데이터의 위상들을 서로 일치시키는데 충분한 포지티브 고정 값으로 설정된다.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가 검출된 때 카운트가 1 또는 2가 아니면, 카운트가 "0"인지 "4"인지 S14에서 묻기 위해 진행한다. 카운트가 0 또는 4이면, 구 데이터 프레임 위상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지연되며,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는 테이프를 전진시켜 새로운 데이터와 구 데이터의 위상들을 일치시키는데 충분한 네가티브 고정 값으로 명령 S15에 의해서 설정된다. 질의 S14에서 카운트가 0 또는 4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프레임 위상 어긋남은 없어 프레임 위상 정정은 명령 S16에서 0으로 설정됨이 취해진다.
이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는 PAL 표준에 호환된다. PAL 시스템들은 기록된 트랙들의 ITI 영역 내의 PF 데이터에 대해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PAL 시스템들에서는 단순히 PF 데이터 변화를 관측함으로써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결정할 수 없다. 그러나, PAL 프레임들은 고정된 수의 트랙들(12)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트랙들에 할당된 ATF 파일럿 주파수들의 시퀀스는 주기적이다(주기 = 4트랙들). 제2 실시예에서는 원래의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이 판독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AFT 파일럿 신호들이 모니터된다.
도 12A - 도 12E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타이밍도이다. 도 12A는 도 8A 및 도 9A와 유사하다. 도 12B는 PAL 프레임들이 어떻게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PAL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트랙들은 0번째 트랙부터 11번째 트랙까지 순차적으로 테이프에 기록된다. 도 12B의 예에서 점 "1"에서 불연속성이며, 즉, 점 "k"와 "l" 사이에 놓인 프레임은 불완전한 것으로 12개 대신 10개의 트랙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C는 도 12B의 트랙들 각각에 할당된 파일럿 신호 주파수들을 도시한 것이다. 앞에서 기술한 ATF 방식에 따라서, 3 유형들의 파일럿 신호들, 즉 주파수 f1의 F1 신호, 주파수 f2의 F2 신호, 및 구별할 수 있는 주파수 성분이 없는 F0 신호가 있다. 이들 파일럿 신호들은 ...F0, F1, F0, F2...의 반복되는 시퀀스로 PAL 트랙들에 할당된다. 단일 PAL 프레임의 경우 파일럿 시퀀스는 F0, F1, F0, F2, F0, F1, F0, F2, F0, F1, F0, F2이다.
도 12C에 도시한 것은 도 12B의 각 트랙에 의해 발생되는 ATF 에러 신호들의 극성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F0 트랙, F1 트랙, F2 트랙에 대한 ATF 에러 극성 신호들은 각각, 없음, -극, +극이다. 따라서, ATF 에러 신호의 극성을 관찰함으로써 주사된 트랙이 F0, F1, 또는 F2 트랙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더욱이, ATF 에러 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와 통신되어 마이크로컴퓨터는 F0, F1, 및 F2 트랙들을 서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내부 헤드 스위칭 카운터와 더불어 ATF 에러 신호 정보를 사용한다. 도 12D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유지되는 내부 헤드 스위칭 카운터를 나타낸 것이다. 카운트는 헤드 스위칭 신호의 상승 에지가 발생할 때마다 1씩 증가하며, 따라서 12 트랙을 갖는 한 프레임은 "0", "1", "2", "3", "4", "5"의 카운트 시퀀스로 표현된다. AVS 삽입동안 "0"의 카운트에 의해서 마이크로컴퓨터는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를 메모리로 보내도록 한다. "0"의 카운트는 마이크로컴퓨터로 하여금 가장 최근에 판독한 ATF 에러 극성을 체크하게 한다. "0" 카운트의 시간에서 가장 최근에 판독한 파일럿 신호가 F2 신호일 경우, 프레임 위상 어긋남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PAL 프레임에 대해 파일럿 신호 시퀀스가 주어짐), 카운트는 계속하여 인터럽트를 발생하지 않는다고 간주된다. 한편, "0" 카운트의 시간에서, 가장 최근에 판독된 파일럿 신호가 F2 신호가 아니면, 프레임 위상 어긋남이 발생되었으며 카운트는 그 다음 F2 파일럿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0"으로 유지된다고 간주된다.
도 12E는 원래의 데이터에 불연속성이 존재할 때 삽입 기록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m"으로 표시된 점에서 새로운 데이터의 프레임의 삽입이 시작된다. 프레임의 삽입은 "n"에서 완료되며, 이때에 카운트는 "0" 으로 리셋되고 새로운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의 삽입이 시작된다. 그러나, "n" 점에서 ATF 극성의 체크는 가장 최근에 판독된 파일럿 신호가 F2 신호가 아님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0" 카운트는 F2 파일럿 신호의 다음 발생이 검출될 때까지 유지되며, 그때에 새로운 데이터의 다음 프레임의 시간 삽입이 새로이 시작된다. 이러한 식으로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은 이미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정합된다. 앞에서 서술한 실시예와 같이, AVS 삽입 후 이미 기록된 프레임 위상은 새롭게 기입된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프레임 위상 역할을 한다.
변형된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 13A - 13D 및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변형되지 않은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형된 제 2 실시예는 PAL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고, 그러므로, PAL 맥락에서 설명한다. 도 13A - 13C는 원래의 데이터의 ATF 파일럿 신호가 주기적인 형태로 할당됨으로서 주기적인 ATF 파일럿 극성으로 된다는, 변형된 제 2 실시예가 변형되지 않은 제 2 실시예와 어떻게 유사한지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 제 2 실시예에서, ATF 신호 주기에 따르도록 삽입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조정하기보다는 테이프 속도를 조정하여, 원래의 데이터의 ATF 신호 주기가 삽입 데이터의 기록 시간에 따르도록 한다.
변형된 제 2 실시예에서, ATF 극성 신호를 체크하기 위한 단서는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이다. 삽입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 기록이 개시될 때마다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가 발생되며, 가장 최근에 판독된 ATF 신호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서 ATF 극성 신호가 체크된다. 검출된 ATF 신호가 F2 신호이며, 삽입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원래의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이 정합한다고 간주된다. 검출된 ATF 신호가 F2 신호가 아니면 삽입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원래의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이 정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프레임 위상 정정이 행해진다.
도 13C과 관련하여 도 13D는 프레임 위상 부정합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는 삽입 데이터 기록동안 "r" 점에서 발생한다. 이 리셋 신호의 발생시 가장 최근에 판독한 ATF 파일럿 에러 신호의 극성이 체크되며, ATF 신호는 F2가 아닌 것임을 알 수 있어, 프레임 위상 정정이 필요하게 된다. 프레임 위상 정정 과정은 변형된 제 1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에 대해 도 10에서 대치할 수 있는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결과적인 제어 알고리즘은 제 2 실시예에 따라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를 산출하는데 취해지는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처음에, 질의 S20에서는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메모리로 보내어졌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가 검출되어졌다면 기록되고 있는 트랙은 0번째 트랙이 아니며, 프레임 위상 정정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명령 S21에서 프레임 위상 정정은 0으로 설정된다.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가 검출된 때 가장 최근에 판독한 ATF 파일럿 에러 신호가 체크되어, 질의 S22에서 가장 최근에 판독한 ATF 신호가 F2 신호인지 여부에 관해서 결정이 행해진다. 검출된 ATF 신호가 F2 신호이면 새로운 데이터와 구 데이터간에 프레임 위상 어긋남은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명령 S24는 프레임 위상 정정을 0으로 설정한다. 검출된 ATF 신호가 F2 신호가 아니면, 삽입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과 원래 데이터의 프레임 위상이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프레임 위상 정정은 명령 S23에 의해서 소정의 포지티브(positive)의 고정 값으로 설정된다. 이 포지티브 고정 값이 도 10의 제어 알고리즘에 적용될 때, 새로운 데이터와 구 데이터간의 상대 프레임 위상 관계를 변경하기 위해서 테이프 속도를 조정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될 것이다. 이런 유형의 연속적인 정정들은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동기되기 전에 요구될 수도 있다. 앞서 서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AVS 삽입 후에, 이미 기록된 프레임 위상은 새롭게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프레임 위상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이 본원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특정하게 도시되고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양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프레임 위상 어긋남이 검출될 때 프레임 위상 정정을 수행하기보다는 AVS 삽입이 강제적으로 정지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AVS 삽입은 검출된 ITI 배경 신호 및/또는 ATF 에러 신호가 없을 때 강제적으로 정지될 수도 있다.
더구나, 특정 회로들 및 알고리즘들이 여러 가지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형들의 회로들, 알고리즘들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신호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첨부한 청구범위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 상기 언급한 대체예들, 및 이의 모든 등가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려는 것이 의도되어 있다.
도 1 은 자기 테이프의 나선형 트랙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개개의 나선형 트랙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 는 선판독(pre-reading) 방법에 따라 수행된 AVS 삽입동안 일어날 수 있는 프레임 위상 어긋남의 한 유형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 는 선판독 방법에 따라 수행된 AVS 삽입동안 일어날 수 있는 프레임 위상 벗어남의 제2 유형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VCR의 기록/재생 유닛에 대한 개략도.
도 6 은 나선형 트랙들과 ATF 파일럿 신호들간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 는 ATF 파일럿 신호들의 3 유형들의 주파수 성분을 도시한 도면.
도 8A 는 VCR의 각 헤드의 하나씩, 2개의 나선형 트랙들의 트레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8B 는 NTSC 표준에 따라 VCR의 2개의 헤드들로 구성된 일련의 트레이스들을 도시한 도면.
도 8C 는 도 8B의 트레이스들에 PF값들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8D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유지된 내부 헤드 스위칭 카운트와 함께, 도 8C의 PF 할당들에 따라 발생된 PF 데이터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8E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삽입 기록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 는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한 것을 반복하여 도시한 도면.
도 9E 는 본 발명의 변형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기록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가 VCR의 캡스턴 모터의 속도를 어떻게 제어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를 산출하는데 취해진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A 는 VCR의 각 헤드에 하나씩, 2개의 나선형 트랙들의 트레이스들을 도시한 도면.
도 12B 는 PAL 표준에 따라 VCR의 2개의 헤드들로 구성된 일련의 트레이스들을 도시한 도면.
도 12C 는 도12B의 트랙들에 파일럿 신호 주파수들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2D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유지된 내부 헤드 스위칭 카운트를 나타낸 도면.
도 12E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 기록 동작의 타이밍도.
도 13A 내지 도 13C 는 도12A-12C에 도시한 것을 반복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D 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 기록 동작의 타이밍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위상 정정 신호를 산출하는데 취해진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드럼 2a, 2b : 헤드
3 : 자기 테이프 4 : 캡스턴 모터
5 : 캡스턴 구동기 6 : 마이크로컴퓨터
7, 8 : 스위칭 회로 9 : RF 재생 증폭기
13 : 메모리 14 : 채널 인코더
15 : RF 기록 증폭기 16 : AVS 신호 처리 유닛
20 : 감산기 25 : 가산기

Claims (26)

  1. 테이프의 복수의 경사 트랙들로부터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판독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 트랙들에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 기록된 프레임이 복수의 기록된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고,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들을 상기 테이프상에 선택적으로 기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각의 새로운 프레임이 복수의 새로운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판독 기입 수단과;
    상기 테이프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갖는 위치에서, 상기 테이프상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기록된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테이프상의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수단;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기록시에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되는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수단;
    상기 기록된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점에서 상기 테이프에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기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입은 상기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점에서 시작되는, 상기 새로운 프레임 기입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테이프상에 기록되어진 후에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상기 테이프상에 남아있도록 하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으로서 역할하도록 하는, 판독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각각에 대해 파일럿 프레임(PF)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이미 기록된 데이터내에 포함되고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상기 PF 데이터 신호 판독 수단과;
    연속적으로 판독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을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비교된 PF 데이터 신호들의 값들의 변경은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판독에 응답하여 증가되는 카운트를 갖는 카운터 수단;
    상기 카운터 수단의 카운트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상기 테이프에 기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비교된 PF 데이터 신호들의 상기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 수단을 리셋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판독에 응답하여 증가되는 카운트를 갖는 카운터 수단;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자동 트랙 탐색(Automatic Track Finding; ATF) 에러 극성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들 각각은 복수의 소정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ATF 극성 신호값들이 트랙단위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 결정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의 카운트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를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와 상기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간의 정합(match)이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5. 테이프의 복수의 경사 트랙들로부터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판독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 트랙들에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 기록된 프레임이 복수의 기록된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고,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들을 상기 테이프상에 선택적으로 기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각의 새로운 프레임이 복수의 새로운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판독 기입 수단과,
    상기 테이프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갖는 위치에서, 상기 테이프상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테이프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기록된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테이프상의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수단;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기록시에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되는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수단;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간의 프레임 위상 차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정합하도록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의 기록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테이프상에 기록되어진 후에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상기 테이프상에 남아있도록 하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으로서 역할하도록 하는, 판독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각각에 대해 파일럿 프레임(PF)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이미 기록된 데이터내에 포함되고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상기 PF 데이터 신호 판독 수단과;
    연속적으로 판독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을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비교된 PF 데이터 신호들의 값들의 변화는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하는, 상기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판독에 응답하여 증가되는 카운트를 갖는 카운터 수단;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자동 트랙 탐색(Automatic Track Finding; ATF) 에러 극성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들 각각은 복수의 소정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ATF 극성 신호값들이 트랙단위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 결정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의 카운트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를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와 상기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간의 정합(match)이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의 제 1 트랙이 상기 테이프에 기록되어질 때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각각에 대해 파일럿 프레임(PF)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이미 기록된 데이터내에 포함되고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상기 PF 데이터 신호 판독 수단과;
    연속적으로 판독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을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비교된 PF 데이터 신호들의 값들의 변화는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하는, 상기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의 상기 발생과 상기 PF 데이터 신호 값들의 상기 변화가 일치하도록 상기 테이프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자동 트랙 탐색(Automatic Track Finding; ATF) 에러 극성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들 각각은 복수의 소정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ATF 극성 신호값들이 트랙단위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 결정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의 카운트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를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와 상기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간의 정합(match)이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의 상기 발생과 상기 정합이 일치하도록 상기 테이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판독 기록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상 차가 검출될 때 상기 테이프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의 상기 기록은 중지되는, 판독 기록 장치.
  14. 테이프의 복수의 경사 트랙들로부터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판독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 트랙들에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기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 기록된 프레임이 복수의 기록된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고,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들을 상기 테이프상에 선택적으로 기입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새로운 프레임이 복수의 새로운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판독 기입 단계와;
    상기 테이프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갖는 위치에서, 상기 테이프상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단계는,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기록된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테이프상의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단계;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기록시에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되는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단계;
    상기 기록된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점에서 상기 테이프에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기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입은 상기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점에서 시작되는 상기 새로운 프레임 기입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테이프상에 기록되어진 후에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상기 테이프상에 남아있도록 하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으로서 서브하도록 하는, 판독 기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각각에 대해 파일럿 프레임(PF)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로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이미 기록된 데이터내에 포함되고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상기 PF 데이터 신호 판독 단계와;
    연속적으로 판독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을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교된 PF 데이터 신호들의 값들의 변화는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판독에 응답하여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카운터가 소정 값에 도달할 때 상기 테이프에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기입하는 단계와;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의 상기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리셋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테이프부터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판독에 응답하여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자동 트랙 탐색(Automatic Track Finding; ATF) 에러 극성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들 각각은 복수의 소정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ATF 극성 신호 값들이 트랙단위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 결정 단계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카운트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를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와 상기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간의 정합(match)이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18. 테이프의 복수의 경사 트랙들로부터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판독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 트랙들에 데이터의 프레임들을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각각 기록된 프레임이 복수의 기록된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고,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들을 상기 테이프상에 선택적으로 기입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새로운 프레임이 복수의 새로운 트랙들을 포함하는, 상기 판독 기입 단계와;
    상기 테이프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갖는 위치에서, 상기 테이프상에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단계는,
    상기 테이프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기록된 프레임이 시작되는 상기 테이프상의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단계;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테이프상의 기록시에 상기 새로운 트랙들의 세로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되는 점을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 결정 단계;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간의 프레임 위상 차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이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과 정합하도록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의 기록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테이프상에 기록되어진 후에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상기 테이프상에 남아있도록 하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으로서 서브하도록 하는, 판독 기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각각에 대해 파일럿 프레임(PF)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로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이미 기록된 데이터내에 포함되고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상기 PF 데이터 신호 판독 단계와;
    연속적으로 판독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을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교된 PF 데이터 신호들의 값들의 변화는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테이프부터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판독에 응답하여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자동 트랙 탐색(Automatic Track Finding; ATF) 에러 극성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들 각각은 복수의 소정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ATF 극성 신호 값들이 트랙단위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 결정 단계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카운트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를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와 상기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간의 정합(match)이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의 제 1 트랙이 상기 테이프에 기록되어질 때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각각에 대해 파일럿 프레임(PF)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로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이미 기록된 데이터내에 포함되고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상기 PF 데이터 신호 판독 단계와;
    연속적으로 판독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PF 데이터 신호들을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교된 PF 데이터 신호들의 값들의 변화는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의 상기 발생과 상기 PF 데이터 신호 값들의 상기 변화가 일치하도록 상기 테이프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기록된 데이터 프레임 위상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록된 트랙들의 각각에 대해 자동 트랙 탐색(Automatic Track Finding; ATF) 에러 극성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들 각각은 복수의 소정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ATF 극성 신호 값들이 트랙단위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 결정 단계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카운트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를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ATF 에러 극성 신호와 상기 소정의 소망된 극성 신호간의 정합(match)이 기록된 데이터의 새로운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판독 어드레스 리셋 신호의 상기 발생과 상기 정합이 일치하도록 상기 테이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독 기록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위상 차가 검출될 때 상기 테이프상에서 상기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들의 상기 기록을 중지하는 단계가 상기 조정하는 단계에 대용되는 판독 기록 방법.
KR1019970010856A 1996-03-27 1997-03-27 디지털비디오판독기록장치및방법 KR100465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97679 1996-03-27
JP09767996A JP3433609B2 (ja) 1996-03-27 1996-03-27 ディジタルビデオ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257A KR970067257A (ko) 1997-10-13
KR100465357B1 true KR100465357B1 (ko) 2005-05-17

Family

ID=1419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856A KR100465357B1 (ko) 1996-03-27 1997-03-27 디지털비디오판독기록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26214A (ko)
EP (1) EP0798721A3 (ko)
JP (1) JP3433609B2 (ko)
KR (1) KR100465357B1 (ko)
CN (1) CN1112693C (ko)
ID (1) ID16648A (ko)
MY (1) MY1161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9455A (en) * 1997-03-11 1999-08-17 Beacon Laboratories, Inc. Therapeutic augmentation of oxyalkylene diesters and butyric acid derivatives
JP2000182360A (ja) * 1998-12-15 2000-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編集装置及び映像編集方法
US6636467B1 (en) * 2000-06-30 2003-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calibrating the timing of a write onto storage media
JP3731589B2 (ja) * 2003-07-18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と同期信号発生装置
WO2019114961A1 (en) * 2017-12-13 2019-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estimating a propagation delay difference of an optical link and apparatus for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365A (ja) * 1993-03-29 199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7130143A (ja) * 1993-11-09 199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170989A (ja) * 1992-10-07 1995-07-1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微生物を用いるポリ−β−ヒドロキシ酪酸の製造方法
JPH0850713A (ja) * 1994-06-01 1996-02-20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8203250A (ja) * 1995-01-21 1996-08-09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30809B1 (ko) * 1995-06-08 1999-04-15 김광호 디지탈 브이씨알의 인서트 편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1524B (en) * 1979-10-23 1984-05-23 Muddle J R Livestock weighing apparatus
IT1136812B (it) * 1981-03-13 1986-09-03 Elsag Dispositivo per singolarizzare e distanziare con intervalli reciproci costanti oggetti piatti,particolarmente corrispondenza postale e simili
JPS58194162A (ja) * 1982-05-07 1983-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US5088077A (en) * 1988-11-10 1992-02-11 Ampex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record media transports and tracking adjustment
JP2961939B2 (ja) * 1991-04-12 1999-10-12 ソニー株式会社 編集機能付記録再生装置
JP2753173B2 (ja) * 1992-03-10 1998-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複数セグメント記録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3287875B2 (ja) * 1992-05-20 2002-06-04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3312433B2 (ja) * 1993-08-02 2002-08-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US5724475A (en) * 1995-05-18 1998-03-03 Kirsten; Jeff P. Compressed digital video reload and playback system
US5892982A (en) * 1995-11-29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xternal expansion bus interface circuit for connecting a micro control unit, and a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id interface circu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989A (ja) * 1992-10-07 1995-07-1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微生物を用いるポリ−β−ヒドロキシ酪酸の製造方法
JPH06284365A (ja) * 1993-03-29 199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7130143A (ja) * 1993-11-09 199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50713A (ja) * 1994-06-01 1996-02-20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8203250A (ja) * 1995-01-21 1996-08-09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30809B1 (ko) * 1995-06-08 1999-04-15 김광호 디지탈 브이씨알의 인서트 편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33609B2 (ja) 2003-08-04
US6026214A (en) 2000-02-15
CN1112693C (zh) 2003-06-25
EP0798721A3 (en) 2000-07-26
MY116102A (en) 2003-11-28
JPH09265693A (ja) 1997-10-07
ID16648A (id) 1997-10-30
CN1166030A (zh) 1997-11-26
KR970067257A (ko) 1997-10-13
EP0798721A2 (en) 199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8536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EP0526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375953B2 (ko)
US4282552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video signal including an address signal when the video tape moves at various speeds
EP0278702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igital signal
US4920435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with improved track servo
KR100465357B1 (ko) 디지털비디오판독기록장치및방법
EP0524007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276990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igital signal
KR930001795B1 (ko) 위상차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록재생장치
KR100361719B1 (ko) 디지탈정보재생장치및그방법
JP3624846B2 (ja) 記録再生装置
JPH033308B2 (ko)
EP0655735A1 (e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3884831B2 (ja) 再生装置
JP2581032B2 (ja) 信号検出装置
JP3211249B2 (ja) 情報記録装置
JPS63263656A (ja) Pcm信号再生装置のトラツキングサ−ボ回路
JPH0619581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トラッキング制御方式
JPH0652604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11339448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H07244934A (ja) ディジタル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9736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方法
JPS6217310B2 (ko)
JPH11316990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