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138B1 - 연마포용 직물 - Google Patents

연마포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138B1
KR100465138B1 KR10-2002-0031161A KR20020031161A KR100465138B1 KR 100465138 B1 KR100465138 B1 KR 100465138B1 KR 20020031161 A KR20020031161 A KR 20020031161A KR 100465138 B1 KR100465138 B1 KR 10046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e
fabric
warp
yarn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576A (ko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1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24D11/02Backings, e.g. foils, webs, mesh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24D11/001Manufacture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조후에 직물이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연마포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 이 직물은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지고, 기재부와 변사부로 구성된 연마포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와 변사부 사이에 위치하고, 직조 후 공정으로 인한 직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부의 경사의 두께에 비해서 적어도 두배 이상 굵은 변형방지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직조하고; 상기 기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에 비해서 상기 변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가 10~30% 더 낮도록 직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포용 직물{Textile for Baking Material}
본 발명은 연마포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마포용 직물의 직조후에 직물이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연마포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복수개의 실로 짜여지는데, 가로실을 위사라 하고, 세로실을 경사라(이후, 편의상 가로실을 위사라 하고, 세로실을 경사라 칭함)는 현장용어로 쓰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직물의 종류에는 직조된 실의 성분에 따라서 면섬유, 화학섬유, 혼방섬유 등으로 구분되며, 실의 교차점에 따라서 직물을 평직, 주자직, 능직 등으로 직물을 직조하게 되는데 직물의 양측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으로 변사부가 삽입되는데, 이 변사부는 직물의 권취후에 직물의 변형을 방지할 목적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마포용 직물을 기재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직조시 호부제를 첨가하고 있으며, 정련공정에서 정련, 표백 등의 공정을 거쳐 직조시 포함된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Vinyl Alcohol), 전분, 아크릴, 윤활제, 대전방지제 등의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정련, 표백공정에서는 가열단계에서 장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처럼 장력이 가해질 경우에 보우(Bow)현상이나 스큐(Skew)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들이 발생되는 것이 직물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것이라는데 본 발명의 착상의 토대가 있다.
상술한 연마포용직물은 먼저 직조한 후에 각종 접착성 화학물질을 처리한 다음, 수백미터에서 수천미터로 완성된 직물을 보관하고 이동하며 판매하기에 편리하도록 권취 즉, 둘둘말아서 마무리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중에서 문제가 되는 보우현상과 스큐현상은 상기 화학물질처리단계에서 발생되며, 상기 보우현상과 스큐현상으로 인한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1)와 위사(2)가 직각을 이루어 교차되면서 직조되고, 이때에는 보우현상이나 스큐현상이 전혀 보여지지 않지만, 상술한 정련과 표백공정을 거치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1)와 위사(2)가 서로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위사(2)가 활처럼 휘어지는 보우현상이 발생되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물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정하게 작용하지 않거나 경사(1)와 위사(2)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스큐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때, 직물의 조직형성중에 상기 스큐현상이 발생되었다면 조직의 연결시에 경사(1)와 위사(2)를 바르게 연결하는 방법을 선택하거나 정련, 표백공정 후의 건조공정에서 스큐현상을 바로잡게 된다.
또한, 직물의 직조방식에는 레노(Leno)방식과 터킨(Tuckin)방식이 사용되고 있고, 연마포용 직물은 상기 레노방식으로만 직조되고 있으며, 레노방식에 따라 직조된 직물의 가장자리는 레노를 남기면서 말끔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마무리해서 매듭을 짓기 위한 마무리용 실이 이용되고, 이를 레노사라 칭한다. 즉, 레노방식으로 직조되어 직물중 말끔하지 않은 가장자리부분을 레노라고 한다.
한편, 직물의 기재부와 변사부를 나타낸 도 4에서와 같이, 직물의 기재부(A)는 직물을 구성한 경사(1)와 위사(2)가 일정하게 교차되는데, 레노(3)가 위치한 변사부(B)는 경사(1)의 직조밀도가 기재부(A)의 그것에 비해서 높게 된다.
이처럼, 변사부(B)가 기재부(A)보다 직조밀도면에서 10~30% 가량 높게 되는 것은 정련, 표백공정 또는 직조공정에서 양측에 장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물론, 정련, 표백공정 후의 건조시 텐터(Tenter)에서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텐터시에 직물의 폭이 줄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크립이나 핀으로 양측을 잡아줌으로써 해결된다.
즉, 종래의 연마포용 직물에 있어서는 변사부의 변형방지사와 레노가 직물의 기재부보다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직물의 권취후에 직물의 기재부보다 직물의 변사부가 튀어 올라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직물의 권취시 변사부의 변형방지사와 레노부분이 두꺼워지면 직물의 양측이 튀어올라서 직물이 접히거나 웨이브(wave)가 발생하고, 보우현상과 스큐현상으로 인한 후공정에서 보정시간과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마포용 직물의 직조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보우현상과 스큐현상을 직조단계에서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마포용 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연마포용 직물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연마포용 직물에서 발생되는 보우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연마포용 직물에서 발생되는 스큐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변형방지사가 포함된 연마포용직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용 직물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사 2: 위사
3: 레노 4: 변사테일
10: 변형방지사 A: 기재부
B: 변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지고, 기재부와 변사부로 구성된 연마포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와 변사부 사이에 위치하고, 직조 후 공정으로 인한 직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부의 경사의 두께에 비해서 적어도 두배 이상 굵은 변형방지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직조하고; 상기 기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에 비해서 상기 변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가 10~30% 더 낮도록 직조한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을 방지한 연마포용 직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포용 직물은 본 직물인 기재부(A)와 가장자리 직물인 변사부(B)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직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사(10)가 삽입되며, 이때 변사부에는 레노방식으로 직조된 직물에는 항상 생겨나는 레노(3)가 위치하고, 레노(3)를 마무리하여 매듭짓기 위한 변사테일(4; 혹은 레노테일이라고도 칭함)이 위치한다.
또한, 기재부(A)는 경사와 위사의 직조밀도가 동일하게 직조되는데 반해서, 변사부(B)는 경사의 직조밀도가 기재부의 그것에 비해서 10~30% 낮게 직조되도록 하고, 위사밀도는 기재부의 그것에 비해서 동일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조밀도라 함은 단위 간격당 직조된 실의 개수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서 1㎜당 경사가 10개인 것이 1㎜당 경사가 5개인 것보다 직조밀도면에서 두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가 기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보다 10~30% 낮다는 것은 변사부에는 단위간격당 경사가 10~30% 덜 직조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결과적으로 기재부는 촘촘한데 반해서 변사부는 덜 촘촘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사부와 기재부의 경계가 되는 위치는 변형방지사(10)가 삽입된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지게 된다.
도 5에서도 변형방지사의 좌측인 기재부는 변형방지사의 우측인 변사부에 비해서 경사의 직조밀도가 높아서 더 촘촘하게 보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사(10)는 기재부(A)의 경사에 비해서 적어도 2배 이상의 굵기를 가진 실로서, 굵기만을 제외하면 다른 실들과 재질상의 차이는 없는 것이다.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절대적 기준으로 변사부의 경사 직조밀도를 단위 간격당 설정하지 않고, 상대적 기준으로 기재부보다 변사부의 경사밀도가 덜 촘촘하도록 할 수가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변사부의 2올의 경사가 1올의 위사를 끼도록 직조되는 2/1직조(이러한 직조방법을 당업계의 제조현장에서 2/1직조라 부름)와,2)변사부의 3올의 경사가 1올의 위사를 끼도록 직조되는 3/1직조와,3)변사부의 4올의 경사가 1올의 위사를 끼도록 직조되는 4/1직조와,마찬가지로, 변사부에서 2/1, 3/1, 3/2, 4/1, 4/2, 4/3직조 등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도록 하면, 결과적으로 변사부의 직조상태를 기재부에 비해서 덜 촘촘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또한, 기재부 및 변사부의 1올의 경사가 1올의 위사를 끼도록 직조되는 1/1직조, 마찬가지로 2/2직조, 3/3직조, 4/4직조인 경우에도 변사부의 경사가 기재부의 경사에 비해서 10%~30% 낮게 직조 즉, 변사부의 경사가 기재부의 경사에 비해 간격이 덜 촘촘하도록 할 수가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방지사를 삽입하고, 변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를 설정하게 되면, 이후의 공정을 진행하여도 직물의 두께가 높아지거나 직물의 양쪽 끝이 튀어올라오는 등의 문제점이 사라지게 된다.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중심사상은 실의 성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면섬유사, 화학섬유, 혼방섬유 등에 적용되고, 실의 종류가 무엇이든 관계없이 링사, 오픈엔드사, MJS사, 수평사 등에 적용되며, 본 발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하게 변형된 실시예들이 많을 것이나 이 또한 다음에 기술될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첫째, 변형방지사가 삽입되고, 10~30% 가량 낮은 직조밀도로 직조된 변사부로 인해서 직물을 완성하여 권취하게 되면 직물양측 끝이 튀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둘째, 정련이나 표백공정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직물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예방함으로써 직물생산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지고, 기재부와 변사부로 구성된 연마포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와 변사부 사이에 위치하고, 직조 후 공정으로 인한 직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부의 경사의 두께에 비해서 적어도 두배 이상 굵은 변형방지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직조하고,
    상기 기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에 비해서 상기 변사부의 경사의 직조밀도가 10~30% 더 낮도록 직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용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 및 변사부가 1/1직조, 2/2직조, 3/3직조, 4/4직조인 경우에는 기재부의 경사간격에 비해서 변사부의 직조간격을 10%~30% 낮도록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용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사부를 2/1직조, 3/1직조, 3/2직조, 4/1직조, 4/2직조, 4/3직조로 직조함으로써 기재부에 비해서 변사부가 덜 촘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용직물.
  4. 삭제
KR10-2002-0031161A 2002-06-03 2002-06-03 연마포용 직물 KR10046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161A KR100465138B1 (ko) 2002-06-03 2002-06-03 연마포용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161A KR100465138B1 (ko) 2002-06-03 2002-06-03 연마포용 직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042U Division KR200288615Y1 (ko) 2002-06-03 2002-06-03 연마포용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576A KR20030093576A (ko) 2003-12-11
KR100465138B1 true KR100465138B1 (ko) 2005-01-13

Family

ID=3238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161A KR100465138B1 (ko) 2002-06-03 2002-06-03 연마포용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1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679A (en) * 1975-08-07 1979-03-13 Sulzer Brothers Ltd. Fabric having a reinforced warp strip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565225A (en) * 1983-09-01 1986-01-21 Maschinenfabrik Sulzer-Ruti Ag Weaving machine
JPH10180637A (ja) * 1996-12-26 1998-07-07 Jiibetsuku Technol:Kk 回転工具
KR19980087347A (ko) * 1997-05-26 1998-12-05 베르나르 보싸르 높은 번수의 실을 포함하는 심지 직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679A (en) * 1975-08-07 1979-03-13 Sulzer Brothers Ltd. Fabric having a reinforced warp strip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565225A (en) * 1983-09-01 1986-01-21 Maschinenfabrik Sulzer-Ruti Ag Weaving machine
JPH10180637A (ja) * 1996-12-26 1998-07-07 Jiibetsuku Technol:Kk 回転工具
KR19980087347A (ko) * 1997-05-26 1998-12-05 베르나르 보싸르 높은 번수의 실을 포함하는 심지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576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536B1 (ko) 별개의 탄성사 시스템을 갖는 신장성 직조물
US8596305B2 (en) Method of weaving, processing and finishing a pile fabric
CN109537137B (zh) 一种2.5d仿形机织套及其织造方法
JP4452289B2 (ja) タオル地の製造法
KR100465138B1 (ko) 연마포용 직물
CN105063846B (zh) 防止卷边的织物构造
US10815591B2 (en) High thread/ 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US3377678A (en) Half-soluble special fabric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embroidery lace thereon
KR200288615Y1 (ko) 연마포용 직물
CN111041646A (zh) 一种防钻绒织物及其生产方法
Lord et al. Twistless Yarns and Woven Fabrics1
US2492670A (en) Pile fabric
US11613831B2 (en) High thread/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WO2010027341A2 (en) A textile method which provides special effects by means of a weaving loom
JP4251994B2 (ja) 畳縁
JP6006616B2 (ja) 畳表及びその製造方法
US791952A (en) Woven pile fabric.
JPH09310249A (ja) 交織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Islam et al. Features identification of set marks in weaving
JPH0433898B2 (ko)
JPH0949142A (ja) 芯地用織物
JPH0772380B2 (ja) パイル織の製織方法
JP3211899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用耐洗濯しわ性織布
JPS60155747A (ja) 織物の製造方法
JPH05247856A (ja) ピッケ調織物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