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112B1 -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112B1
KR100465112B1 KR10-2002-0064395A KR20020064395A KR100465112B1 KR 100465112 B1 KR100465112 B1 KR 100465112B1 KR 20020064395 A KR20020064395 A KR 20020064395A KR 100465112 B1 KR100465112 B1 KR 10046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inish material
automatic fire
ceiling finish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287A (ko
Inventor
장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본판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본판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본판넬
Priority to KR10-2002-006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1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 등록발명을 개량하여 고층의 건물에 적합하도록 천정마감재의 내부에 소방설비를 설치시킬 수 있게 한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 등록 발명은 천정면 전체에 걸쳐 천정마감재가 설치됨으로써, 천정의 내부에 스프링클러와 같은 자동소화설비를 설치시키지 안아도 되는 저층의 건물에서는 실시될 수 있으나, 법 규제에 의해 천정마감재의 내부에 자동소화설비를 설치시켜야만 되는 고층의 건물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자동소화설비가 설치될 부위를 제외한 천정부위를 실측하는 실측공정(1)과; 실측된 칫수로 천정마감재의 배열도면을 작성하는 도면 작성공정(2)과: 배열도면에 따라 온장과, 반절, 및 기타 형상의 천정마감재(30)를 제작하되, 상기 천정마감재의 높이(h)가 자동소화설비가 점유하는 높이 보다 높게 천정마감재(30)를 제작하는 천정마감재 제작공정(3)과; 제작된 각각의 천정마감재(30)에 배열도면의 번호와 일치하는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번호부여공정(4)과; 천정마감재(30)를 지지하는 비계설치공정(5)과; 설치된 비계(50)의 상부에 천정마감재(30)를 설치시키는 마감재 설치공정(6)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 즉, 자동소화설치비가 설치되는 공간(71)의 상부를 막음판(72)으로 폐쇄시키는 제 1폐쇄공정(7)과; 설치된 천정마감재(30)의 상면에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8)과; 타설된 콘크리트(80)의 양생완료 후 천정마감재(30)를 지지하는 비계(50)를 제거하는 비계제거 공정(9)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의 공간(71)내에 자동소화설비(70)를 설치시키는 자동소화설비 설치공정(10)과; 상기 공간(71)의 하부에 막음판(73)을 설치시켜 공간(71)을 폐쇄시키는 제 2폐쇄공정(11)으로 시공됨으로써, 고층의 건물에 적용실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Executing method of ceiling with the ceiling pa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에 있어서 천정의 마감 처리를 위하여 설치되는천정마감재가 콘크리트의 타설을 받쳐주는 거푸집을 역할을 겸하게 하여 공기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천정마감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선 등록발명을 개량하여 고층의 건물에 적합하도록 천정마감재의 내부에 소방설비를 설치시킬 수 있게 한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천정마감재를 이용하여 천정면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 선 등록 발명은 건축될 각각의 평형별로 천정마감재가 설치될 부위를 실측하고, 실측된 칫수로 천정마감재의 배열도면을 작성한 다음 배열도면에 따라 온장과, 반절, 및 기타 형상의 천정마감재를 제작하되, 상기 천정마감재는 상하 판재와 그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보강재로 구성시키고, 상하판재는 석고보드로 형성시키며, 보강재의 사이사이에 단열과 방음을 위한 인슐레이션층을 형성시키고, 상하판재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마감재를 설치시키며, 상기 상하판재와 테두리마감재의 외측면에 방수층을 형성시켜 구성하고, 제작된 각각의 천정마감재에 배열도면의 번호와 일치하는 고유번호를 부여하며, 이와 같은 마감재를 건축현장으로 이동시켜 천정면을 시공하되, 천정면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다수의 비계에 의하여 지지되고, 격자형상으로 배열되는 멍에의 상면에 다수의 천정마감재를 배열시키고, 천정마감재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정면을 형성시키고,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 천정마감재가 천정면에 부착된 상태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이와 같은 선 등록발명은 천정마감재가 거푸집의 역할을 하게 하여 거푸집으로 인한 산업폐기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천정 콘크리트 양생 후에 별도의 천정마감작업을 배제하여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며, 공사기간과 노동력을 단축시키고 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 발명은 천정면 전체에 걸쳐 천정마감재가 설치됨으로써, 천정의 내부에 스프링클러와 같은 자동소화설비를 설치시키지 안아도 되는 저층의 건물에서는 실시될 수 있으나, 법 규제에 의해 천정마감재의 내부에 자동소화설비를 설치시켜야만 되는 고층의 건물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 등록 발명을 개량하여 거푸집을 대신하는 천정마감재의 내부에 자동소화설치를 설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고층건물에 실시 가능한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자동소화설비가 설치될 부위를 제외한 천정부위를 실측하는 실측공정과; 실측된 칫수로 천정마감재의 배열도면을 작성하는 도면 작성공정과; 배열도면에 따라 온장과, 반절, 및 기타 형상의 천정마감재를 제작하되, 상기 천정마감재의 높이가 자동소화설비가 점유하는 높이 보다 높게 천정마감재를 제작하는 천정마감재 제작공정과; 제작된 각각의 천정마감재에 배열도면의 번호와 일치하는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번호부여공정과: 천정마감재를 지지하는 비계설치공정과; 설치된 비계의 상부에 천정마감재를 설치시키는 마감재 설치공정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즉, 자동소화설치비가 설치되는 공간의 상부를 막음판으로 폐쇄시키는 폐쇄공정과; 설치된 천정마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과;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완료 후 천정마감재를 지지하는 비계를 제거하는 비계제거 공정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의 공간내에 자동소화설비를 설치시키는 자동소화설비 설치공정과; 상기 공간의 하부에 막음판을 설치시켜 공간을 폐쇄시키는 폐쇄공정으로 시공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한 천정마감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측공정 2. 도면작성공정
3. 천정마감재제작공정 4. 번호부여공정
5. 비계설치공정 6. 마감재설치공정
7. 제 1폐쇄공정 8. 콘크리트타설공정
9. 비계제거공정 10. 자동소화설비설치공정
11. 제 2폐쇄공정 30. 천정마감재
70. 자동소화설비 71. 공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한 천정마감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소화설비가 설치될 부위를 제외한 천정부위를 실측하는 실측공정(1)과;
실측된 칫수로 천정마감재의 배열도면을 작성하는 도면 작성공정(2)과;
배열도면에 따라 온장과, 반절, 및 기타 형상의 천정마감재(30)를 제작하되, 상기 천정마감재의 높이(h)가 자동소화설비가 점유하는 높이 보다 높게 천정마감재(30)를 제작하는 천정마감재 제작공정(3)과;
제작된 각각의 천정마감재(30)에 배열도면의 번호와 일치하는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번호부여공정(4)과;
천정마감재(30)를 지지하는 비계설치공정(5)과;
설치된 비계(50)의 상부에 천정마감재(30)를 설치시키는 마감재 설치공정(6)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 즉, 자동소화설치비가 설치되는 공간(71)의 상부를 막음판(72)으로 폐쇄시키는 제 1폐쇄공정(7)과;
설치된 천정마감재(30)의 상면에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8)과;
타설된 콘크리트(80)의 양생완료 후 천정마감재(30)를 지지하는 비계(50)를 제거하는 비계제거 공정(9)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의 공간(71)내에 자동소화설비(70)를 설치시키는 자동소화설비 설치공정(10)과;
상기 공간(71)의 하부에 막음판(73)을 설치시켜 공간(71)을 폐쇄시키는 제 2 폐쇄공정(11)으로 천정면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정마감재(30)는 마감재가 설치되는 건설 현장이 아닌 천정마감재(30) 생산 공장에서 제작하고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는 시공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는 먼저 건설 현장을 답사하여 각각의 평형별로 천정마감재(30)가 설치되는 부위를 실측하고, 실측된 칫수로 천정마감재의 배열 도면을 작성한 다음 온장과 반절 및 기타 조각의 천장마감재(30)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제조되는 천장마감재(30)에 번호를 부여하고 배열 도면에 마감재의 설치 위치에 따른 번호를 표시하면 시공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천정마감재(30)를 이용한 천정면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계(50)에 의해 지지되며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멍에의 상면에 본 발명의 천정마감재(30)를 배열 도면에 따라 배열 설치시키고,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71)의 상부에 막음판(72)을 설치시키고, 이의 상면에 철근을 배근 시킨 다음 콘크리트(80)를 타설시킨다.
이때 콘크리트(80)의 수분과 직접적으로 접하여지는 천정마감재(30)의 상판과 테두리마감재의 표면에는 방수층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분에 의해 천정마감재가 변형되는 문제점을 발생되지 않으면서 콘크리트(80)와 천정마감재(30)가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어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후 비계(50)와 멍에를 제거하게 되면 천정면에 천정마감재(30)가 부착 설치되어 마감 작업이 완료된다.
이어 천정마감재(30)와 천정마감재(30) 사이에 형성된 공간(71)의 내부에 자동소화설비(70)를 설치시키고, 공간(71)의 하부를 막음판(73)으로 폐쇄시키는 것으로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천정면에 부착된 천정마감재(30)의 하판은 깨끗하고 평활한 면을 이룸에 따라 다른 별도의 작업 없이 곧바로 도배지를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효과는 물론 방음의 효과가 월등하게 향상되고, 시공 후에 변형의 발생이 억제되고, 부착되는 도배지에 오염원을 제공하지 않음에 따라 향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건축 폐기물의 주체인 거푸집의 사용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며, 다수의 전문 인력과 자재의 낭비를 억제시켜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천정마감재의 내부에 자동소화설비를 설치시킬 수 있어 고층의 건물에 적용실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소화설비가 설치될 부위를 제외한 천정부위를 실측하는 실측공정(1)과;
    실측된 칫수로 천정마감재의 배열도면을 작성하는 도면 작성공정(2)과;
    배열도면에 따라 온장과, 반절, 및 기타 형상의 천정마감재(30)를 제작하되, 상기 천정마감재의 높이(h)를 자동소화설비가 점유하는 높이의 90∼100%의 범위 내에서 제작하는 천정마감재 제작공정(3)과;
    제작된 각각의 천정마감재(30)에 배열도면의 번호와 일치하는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번호부여공정(4)과;
    천정마감재(30)를 지지하는 비계설치공정(5)과;
    설치된 비계(50)의 상부에 천정마감재(30)를 설치시키는 마감재 설치공정(6)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 즉, 자동소화설치비가 설치되는 공간(71)의 상부를 막음판(72)으로 폐쇄시키는 제 1폐쇄공정(7)과;
    설치된 천정마감재(30)의 상면에 콘크리트(8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8)과;
    타설된 콘크리트(80)의 양생완료 후 천정마감재(30)를 지지하는 비계(50)를 제거하는 비계제거 공정(9)과;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 사이의 공간(71)내에 자동소화설비(70)를 설치시키는 자동소화설비 설치공정(10)과;
    상기 공간(71)의 하부에 막음판(73)을 설치시켜 공간(71)을 폐쇄시키는 제 2 폐쇄공정(11)으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
KR10-2002-0064395A 2002-10-21 2002-10-21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KR10046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395A KR100465112B1 (ko) 2002-10-21 2002-10-21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395A KR100465112B1 (ko) 2002-10-21 2002-10-21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287A KR20040034287A (ko) 2004-04-28
KR100465112B1 true KR100465112B1 (ko) 2005-01-05

Family

ID=3733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395A KR100465112B1 (ko) 2002-10-21 2002-10-21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4926B (zh) * 2011-08-24 2016-01-20 苏州苏明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钢结构转换层吊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0942A (ja) * 1991-06-05 1992-12-14 Naka Tech Lab システム天井
JPH05118095A (ja) * 1991-10-25 199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ステム天井
KR0145358B1 (ko) * 1994-11-17 1998-09-15 박건석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100245785B1 (ko) * 1997-02-10 2000-03-02 장찬희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0942A (ja) * 1991-06-05 1992-12-14 Naka Tech Lab システム天井
JPH05118095A (ja) * 1991-10-25 199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ステム天井
KR0145358B1 (ko) * 1994-11-17 1998-09-15 박건석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100245785B1 (ko) * 1997-02-10 2000-03-02 장찬희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287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785B1 (ko)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
KR20100062393A (ko) 지붕층 구조시스템
KR100465112B1 (ko)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 방법
EP251676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rick wall and a brick wall structure
KR100693244B1 (ko) 천장의 슬라브 시공에 이용되는 거푸집 대체용마감단열보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의 슬라브 구조 및 그시공 방법
RU238776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стен жилых домов,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в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опалубке
RU124913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WO2007039887A3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roof or floor slab
ATE410565T1 (de)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gebäudes, gebäude, und wandelement hierfür
CN203080767U (zh) 一种现浇密肋梁组合箱空心楼板
KR100654822B1 (ko) 바닥과 벽면을 동시에 양생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시공방법및 시공시스템
KR100468523B1 (ko)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JP2002250130A (ja) 多層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ES2134172A1 (es) Sistema constructivo para viviendas y similares.
KR20060079489A (ko) 공동주택의 단열벽체 시공방법 및 단열벽체용 마감재
KR200205908Y1 (ko)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
RU94998U1 (ru) Безбалочный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RU263415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онолит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часторебристого перекрыт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для монолитного домостроения
KR101197128B1 (ko) 발코니 마감재
ES2245841B1 (es) Sistema de construccion de edificios.
RU146970U1 (ru) Каркас для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JPS585763Y2 (ja) 複合耐火被覆構造物
SU1675520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зданий из монолит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а
KR20060105709A (ko) 천정마감재를 겸한 콘크리트 슬래브 거푸집 공법
CN110424602A (zh) 一种叠合板的现场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