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509B1 -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 Google Patents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509B1
KR100464509B1 KR10-2002-0041263A KR20020041263A KR100464509B1 KR 100464509 B1 KR100464509 B1 KR 100464509B1 KR 20020041263 A KR20020041263 A KR 20020041263A KR 100464509 B1 KR100464509 B1 KR 100464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winding
induction motor
phase induction
wind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974A (ko
Inventor
고권민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5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04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single phase current
    • H02K17/06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single phase current having windings arranged for permitting pole-cha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02K3/16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for auxiliary purposes, e.g. damping or commut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조권선 및 주권선을 2극 및 4극 운전 시에도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서 운전 효율 및 역률이 양호하고, 철심의 슬롯을 최적화하여 고정자 외경의 증대 없이 철손을 최소화 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는 2극 및 4극 운전시에 보조권선을 전부를 공통으로 사용하며, 주권선 중의 일부 또한 상호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그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고정자 철심에 형성되는 슬롯의 면적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또 하나의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극 및 4극 운전 시에 주권선에 흐르는 전류밀도의 증가를 억제하고, 주 자속의 증대, 모터 운전 효율 및 역률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자 철심부 슬롯의 면적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서 권장된 유효 도체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주 자속의 증대 및 철손의 저감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Pole-change typ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본 발명은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권선 및 보조권선을 2극 및 4극 운전 시에 공통으로 사용하고 고정자 철심에 형성되는 슬롯의 면적을 권장되는 권선수에 맞추어 적정하게 형성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란 권선이 권장된 고정자와 영구자석이 부착된 회전자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에 권장된 권선에 주기적인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켜 전류변화에 따른 자계의 일정한 변화에 의해 상기 회전자에 자기력에 의한 토크를 가해 회전동력을 얻어내는 장치로서, 보통 각종 전동기가 필요한 각종 장치에 사용되어 전기적 에너지를 회전역학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인 에너지를 회전 또는 직선 역학적 에너지로 변환시킬 필요성이 있는 장치에는 통상 전동기가 사용되어 진다. 보통 냉장고나 에어컨 등의 압축기에 사용되는 전동기는 계절 및 하루의 주기 또는 사용의 빈도 등의 필요에 따라서 압축기의 가동 RPM을 조정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이러한 경우 전동기의 RPM을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보터 3상 전동기나 BLDC전동기에 인버터 회로를 부가하여 RPM을 조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지는데 이러한 경우 인버터 회로의 생산단가가 높아 전체적으로 전동기의 제조단가가 상승함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생산단가가 낮은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고전적인 단상유도전동기는 극수가 고정되어 있는 극수 고정형 전동기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하여 소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필요성에 따라 RPM이 높은 2극 또는 RPM이 낮은 4극 운전으로 상호 전환 가능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가 있는데 이 중 본 발명은 RPM 변환이 가능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두가지 실시례에 관해 살펴보겠다.
도1은 가장 고전적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에 관한 구조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는 고정자의 슬롯에 권장된 1세트의 2극 주권선(11A, 11B), 1세트의 2극 보조권선(13A, 13B), 2세트의 4극 주권선(12A, 12B와 12C, 12D) 및 2세트의 4극 보조권선(14A, 14B와 14C, 14D)을 구비하고 있다.
도2a, 도2b, 도2c, 도2d는 상기의 고전적인 종래 기술을 개선한 또 다른 종래기술에 대한 실시례로서 도2a 및 도2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1세트의 2극 운전용 주권선(21M1, 21M2), 2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22A, 22B와 22C, 22D) 및 1세트의 2극 보조권선(23A, 23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2극 보조권선은 일반적으로 2극 운전 시 상기 2극/4극 공통 주권선과 커패시터(C)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90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2b 및 도2c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2극 및 4극 운전 시의 각 권선의 해당 접점을 전환하는 스위칭소자인 릴레이(S1, S2, S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2극 및 4극 운전 시의 스위치 전환에 따른 극수의 전환을 살펴보면, 먼저 2극 운전 시에는 도2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1은 연결, S2는 접점 ⓙ를 연결시키고, S3은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스위치의 연결 상태에 따른 각 권선의 순간 전류의 이동은 도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21M1, 22A, 22C 및 23B는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22M2, 22B, 22D 및 23A는 지면으로 나오는 방향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는 전체적으로 2극 체제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4극 운전 시에는 도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S1은 개방 S2는 접점 ⓘ에 연결, S3는 개방이 되어 순간전류의 이동 방향이 도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2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22A, 22B와 22C, 22D) 중 1세트(22C, 22D)는 상기 2극 운전 시와 달리 전류의 위상이 180도 바뀌는 결과를 가지게 되며, 또한 2극 운전용 주권선(21M1, 21M2) 및 2극 보조권선(23A, 23B)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는 도 2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4극운전이 행하여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일반적인 경우에 보조권선은 초기 전동기의 가동을 위한 가동권선으로 사용되어지며 이후 상기의 2번째 종래기술의 실시례에서 보아온 바와 같이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실제적인 운전용 권선으로 사용되지 않음으로 하여 운전용 주권선보다 고정자에 권장되는 권선수가 상대적으로 적은데 종래기술에 의한 고정자의 단면도인 도3을 참조하여 보면 고정자(31) 철심에 형성된 슬롯(32)의 면적은 감기는 권선수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하여 각각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보면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기술은 특히 소형 전동기의 경우 고정자 철심에 형성되는 슬롯의 면적이 충분히 크기 않기 때문에 4개의 권선을 권장하기가 사실상 곤란하고, 4개의 권선을 사용하는 경우 슬롯의 면적 증가에 따른 고정자의 철손 증가에 의한 전동기의 효율저하 및 작업공정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2a, 도2b, 도2c 및 도2d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기술의 경우 2극 운전 시에는 2극 운전용 주권선, 2극/4극 공통 주권선 및 2극 보조권선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운전시의 효율 및 역률의 개선 효과는 있으나, 4극 운전 시에는 공용화된 2극/4극 공통 주권선만을 사용함에 의해 권선의 이용율이 떨어지고, 상기 2극/4극 공통 주권선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증가하여 운전효율 및 역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자 철심에 형성되는 슬롯의 면적이 서로 동일함에 의하여 각 슬롯 당 권선 점적율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유효 도체수의 감소를 가져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극/4극 공통 보조권선을 사용하고, 이에 따른 스위칭소자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각 권선의 해당 접점을 전환 시켜 2극 및 4극 운전에 따른 권선의 이용도를 최대화 하고 운전 효율 및 역률이 양호한 극수변환형 전동기를 제공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자 철심의 슬롯을 최적화 하여 고정자 외경의 증대 없이 철손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구조도이다.
도2a, 도2b는 각각 종래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2극 운전시의 구조도 및 등가회로도이다.
도2c, 도2d는 각각 상기 도2a, 도2b에 의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4극 운전시의 구조도 및 등가회로도이다.
도3은 종래의 일반적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고정자 철심의 단면도이다.
도4a, 도4b, 도4c, 4d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2극 운전시의 구조도, 등가회로도, 주권선의 내부 구조 결선도 및 보조권선의 내부 구조 결선도이다.
도4e, 도4f, 도4g, 도4h는 각각 상기 도4a, 도4b, 도4c, 4d의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4극 운전시의 구조도, 등가회로도, 주권선의 내부 구조 결선도 및 보조권선의 내부 구조 결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고정자 철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M1, 41M2: 2극 운전용 주권선
42A, 42B 및 42C, 42D: 2극/4극 공통 주권선
46A, 46B 및 46C, 46D: 2극/4극 공통 보조권선
SA, SB, SC, SD: 릴레이(Relay)
㉮, ㉯, ㉰, ㉱, ㉲, ㉳: 접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권선 및 보조권선, 상기 주권선 및 보조권선의 해당 접점을 전환시켜 극 전환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여 2극 운전과 4극 운전이 상호 전환 가능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권선 전부는 2극 운전 및 4극 운전 시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불어 상기의 주권선의 일부 또한 2극 운전 및 4극 운전 시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에서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는 고정자의 슬롯에 권장되는 권선수를 고려하여 고정자 철심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제1슬롯부, 제2슬롯부, 제3슬롯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에대한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2극 운전시의 구조도, 등가회로도, 주권선의 내부 결선도 및 보조권선의 내부 결선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4e 내지 도4h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4극 운전시의 구조도, 등가회로도, 주권선의 내부 결선도 및 보조권선의 내부 결선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4a와 도4b 및 도4e와 도4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3세트의 주권선, 즉, 1세트의 2극 운전용 주권선(41M1, 41M2), 2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42A, 42B 및 42C, 42D) 및 2세트의 2극/4극 공통 보조권선(46A, 46B 및 46C, 46D)을 구비하고 이에 따른 각 권선 간의 해당 접점(㉮, ㉯, ㉰, ㉱, ㉲, ㉳)을 전환하여 2극 및 4극 운전으로 상호 전환시키기 위한 스위칭소자인 릴레이(Sa, Sb, Sc, Sd)를 구비하며, 보조권선을 운전용 권선으로도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주권선과 상기 보조권선 간에 소정의 전기적 위상차(약 90도까지)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커패시터(C)가 구비되는 구성을 가진다.
먼저 2극 운전 시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Sa는 연결, Sb는 접점 ㉯를 연결, Sc는 접점 ㉲를 연결, Sd는 접점 ㉱를 연결시키고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주권선 및 보조권선의 순간 전류의 이동 방향은 도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41M1, 42A, 42C, 46A 및 46C 에는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가지고 41M2, 42B, 42D, 46B, 46D에는 지면으로 나오는 방향을 가지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는 도4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2극 운전을 행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른 주권선(41M1, 41M2와 42A, 42B 및 42C, 42D)의 내부결선도는 도4c에 나타난 바와 지그재그 화살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보조권선(46A, 46B와 46C, 46D)의 내부 결선도 역시 도4d에 나타나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례에 의한 4극 운전 시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4f에 나타난 바와 같이 Sa는 개방, Sb는 접점(가)를 연결, Sc는 접점(바)를 연결, Sd는 접점(다)를 연결시키고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주권선 및 보조권선의 순간 전류의 이동 방향은 도4e에 나타난 바와 같이 42A, 42D, 46B 및 46C에서는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42B, 42C, 46A, 46D에서는 지면으로 나오는 방향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2극 운전시와 달리 1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42C, 42D) 및 1세트의 2극/4극 공통 보조권선(46A, 46B)의 전기적 위상이 180도 바뀌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1세트 2극 운전용 주권선(41M1, 41M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을 도4g를 통하여 인지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례에 따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는 도 4e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극 운전을 행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른 주권선(41M1, 41M2와 42A, 42B 및 42C, 42D)의 내부결선도는 도4g에 나타난 바와 지그재그 화살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보조권선(46A, 46B와 46C, 46D)의 내부 결선도 역시 도4h에 나타나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바와 같은 회로의 구성 및 권선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에는 기동권선으로만 사용되어져 오던 보조권선이 운전용 권선으로도 사용가능하게 되어질 수 있게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51) 철심의 구조는 도5에 도시되어져 있는바와 같이 각각 면적의 크기가 다른 슬롯(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동일 크기별로 구분하여 제1슬롯부(53a), 제2슬롯부(53b), 제3슬롯부(53c)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고정자의 외경을 확장하지 아니하면서도 각 슬롯 당 권장되는 권선수에 따른 권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기 위한 배려이다. 즉, 상기 도4a 내지 도4h를 통하여 살펴본 실시례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해당 권선을 적절하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2극 운전용 주권선(41M1, 41M2)과 1세트의 보조권선(46A, 46D)은 동일 슬롯에 감기므로 슬롯의 면적이 가장 큰 상기 제1슬롯부(53a)에 권장되고, 상대적으로 권선수가 가장 적은 46B 및 46C는 상기 제3슬롯부(53c)에 권장되어짐이 바람직하며 나머지 제2슬롯부에는 2극/4극 공통 주권선(22A, 22B, 22C, 22D)이 권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단순히 고정자 철심의 슬롯에 권장되는 각 권선 간의 위치변경 등과 같은 단순한 설계 변경에 의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와 동일 범주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극 및 4극 운전 시에도 공통된 보조권선 및 주권선을 사용함으로써, 권선의 이용율을 상승시키고 2극 및 4극 운전의 선택에 따라 불필요해 질 수 있는 권선을 최소화 시키는 한편 2극 및 4극 운전 시에 주권선에 흐르는 전류밀도의 증가를 억제하여 전동기의 주권선에 과도한 열발생을 방지하며, 권선의 증대로 인하 주 자속의 증대, 모터의 운전효율 및 역률 개선의 효과가 뚜렷하고, 또한, 고정자 철심의 슬롯 면적을 달리 함으로써 슬롯부에 권장된 유효 도체수를 상이하게 형성함에 의해 주 자속의 증대 및 철손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6)

  1. 주권선 및 보조권선, 상기 주권선 및 보조권선의 해당 접점을 전환시켜 극 전환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여 2극 운전과 4극 운전이 상호 전환 가능한 극수변환형 단상유도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주권선은 2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 및 상기 2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 세트 사이에 마련되는 1세트의 2극 운전용 주권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권선은 2세트로 구비되며,
    상기 보조권선 전부는 2극 운전 및 4극 운전 시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권선은 상기 주권선과 소정의 전기적 위상차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권선 2세트 중 1세트는 4극 운전 시 전기적 위상이 180도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 중 1세트는 4극 운전 시 전기적 위상이 180도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극수변환형 단상유도 전동기에 있어서,
    고정자 철심은 서로 상이한 면적의 2극/4극 공통 보조권선 및 2극 운전용 주권선이 권장되는 제1슬롯부와, 2세트의 2극/4극 공통 주권선이 권장되는 제2슬롯부와, 상기 제1슬롯부에 권장되는 2극/4극 공통 보조권선 이외의 2극/4극 보조권선이 권장되는 제3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수변환형 단상유도 전동기.
  16. 삭제
KR10-2002-0041263A 2002-07-15 2002-07-15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100464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63A KR100464509B1 (ko) 2002-07-15 2002-07-15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63A KR100464509B1 (ko) 2002-07-15 2002-07-15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974A KR20040007974A (ko) 2004-01-28
KR100464509B1 true KR100464509B1 (ko) 2005-01-03

Family

ID=3731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263A KR100464509B1 (ko) 2002-07-15 2002-07-15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779B1 (ko) * 2006-07-18 2007-01-30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원격지에서의 재부팅이 가능한 데이터처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91A (ja) * 1982-07-15 1984-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相誘導電動機の極数変換装置
JPH05184110A (ja) * 1991-12-27 1993-07-23 Fujitsu General Ltd 極数変換型コンデンサ誘導電動機
KR970008793A (ko) * 1995-07-27 1997-02-24 김광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970013587A (ko) * 1995-08-30 1997-03-29 김광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970055126A (ko) * 1995-12-30 1997-07-31 김광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20010075975A (ko) * 2000-01-21 2001-08-11 구자홍 극 변환 유도전동기의 고정자 철심
KR20020022278A (ko) * 2000-09-19 2002-03-27 구자홍 극변환 모터의 고정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91A (ja) * 1982-07-15 1984-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相誘導電動機の極数変換装置
JPH05184110A (ja) * 1991-12-27 1993-07-23 Fujitsu General Ltd 極数変換型コンデンサ誘導電動機
KR970008793A (ko) * 1995-07-27 1997-02-24 김광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970013587A (ko) * 1995-08-30 1997-03-29 김광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970055126A (ko) * 1995-12-30 1997-07-31 김광호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20010075975A (ko) * 2000-01-21 2001-08-11 구자홍 극 변환 유도전동기의 고정자 철심
KR20020022278A (ko) * 2000-09-19 2002-03-27 구자홍 극변환 모터의 고정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974A (ko)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8760B2 (en) Electrical machine
Osama et al. A new inverter control scheme for induction motor drives requiring wide speed range
JPH08205441A (ja) 3相電動機
KR100697075B1 (ko) 속도가변형 모터
JP2788038B2 (ja) 低・高速出力切り換え形交流スピンドルモータとその低・高速出力切り換え方法
WO1997012438A1 (en) Inverter-controlled induction machine with an extended speed range
JP2003504996A (ja) 電気機器
EP0735652B1 (en) Improvements in switched reluctance machines
MXPA06014068A (es) Motor de induccion de una sola fase de 2/6 polos que tiene devanados compartidos.
JP2005537777A (ja) 4/6極共通巻線を有し且つ付加4極巻線を有するpscモータ
JP2004328900A (ja) 回転電機
CN108306473B (zh) 一种异步起动永磁同步电机绕组的设置方法
WO2001059916A1 (en) Capacitor start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with partial winding starting
KR100464509B1 (ko)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JP2001169517A (ja) コンデンサ電動機
US20100123427A1 (en) PSC Motor with 4/6 Pole Common Windings
KR0182647B1 (ko)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0169433B1 (ko)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0182646B1 (ko) 극수변환형 단상유도전동기
KR20060022376A (ko) 이중회전자 전동기
JP7341136B2 (ja) 圧縮機及び冷却装置
AU766315B2 (en) Electrical machine with large number of poles
JP2001169576A (ja) 自己起動型同期モータ装置
KR102652170B1 (ko) 듀얼 모드 전동기
Umredkar et al. Dynamic Configuration of slot per pole per phase of an Inductio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