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379B1 -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379B1
KR100464379B1 KR1019980006113A KR19980006113A KR100464379B1 KR 100464379 B1 KR100464379 B1 KR 100464379B1 KR 1019980006113 A KR1019980006113 A KR 1019980006113A KR 19980006113 A KR19980006113 A KR 19980006113A KR 100464379 B1 KR100464379 B1 KR 10046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rift region
conductivity type
mos transistor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937A (ko
Inventor
심상남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0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3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325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 상에 성장되고 제1 도전형의 에피층으로 이루어진 드리프트 영역의 소정영역에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필드산화막을 패터닝하여 활성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드리프트 영역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홀에 의해 노출된 드리프트 영역을 특정 화학용액으로 식각하여 각 홀의 폭에 비례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홈 표면에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우핑된 가드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중에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는 고전압에 견디는 특성을 갖고 구동전류가 큰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력 반도체소자는 주로 동작전압이 수십 볼트인 액정 표시기 등을 구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지금까지 고전압에 견디는 전력 반도체소자의 구성요소인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반도체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a 및 b로 표시한 부분은 각각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활성영역 및 가드링이 형성되는 전력 반도체소자의 칩 가장자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에 해당하는 n+형 반도체기판(1) 상에 상기 반도체기판(1)의 불순물 농도보다 낮은 농도를 갖고 n-형의 에피층으로 이루어진 드리프트 영역(3)이 존재한다. 상기 활성영역(a)의 소정영역에는 드리프트 영역(3)에 의해 둘러싸여진 p형 베이스 영역(7a)이 형성되고, 상기 칩 가장자리 영역(b)에는 드리프트 영역(3)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서로 동일한 접합깊이를 갖는 복수의 p형 가드링(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칩 가장자리 영역(b)의 드리프트 영역(3) 표면에는 상기 각 가드링(7b)을 노출시키는 필드산화막(5)이 존재하고, 상기 베이스 영역(7a)의 표면 및 이와 인접한 드리프트 영역(3) 상부에는 게이트 산화막에 의해 이격된 게이트 전극(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영역(7a) 내에는 게이트 전극(9)의 가장자리와 겹치는 n+형의 소오스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오스 영역(11), 상기 게이트 전극(9) 및 상기 드레인 영역에 해당하는 반도체기판(1)은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상기한 종래의 전력 반도체소자를 구성하는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영역(11) 및 베이스 영역(7a)을 접지시키고 드레인 영역(1)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베이스 영역(7a)과 드리프트 영역(3) 사이의 접합에 역 바이어스가 인가된 상태이므로 드리프트 영역(3) 내에 공핍층(d)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핍층(d)은 가드링(7b)에 의해 칩 가장자리 영역(b)의 드리프트 영역(3) 까지 확장되며, 상기 베이스 영역(7a)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형성된 가드링(7b)을 둘러싼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공핍층(d)의 끝 부분(C1)의 곡률이 크므로 공핍층(d)의 표면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드레인 내압 특성이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칩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드링의 접합깊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드레인 내압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 상에 성장되고 제1 도전형의 에피층으로 이루어진 드리프트 영역의 소정영역에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필드산화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활성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상기 드리프트 영역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홀에 의해 노출된 드리프트 영역을 특정 화학용액으로 식각하여 상기 각 홀의 폭에 비례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홈 표면에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우핑된 가드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a 및 b 부분은 각각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활성영역 및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전력 반도체소자의 칩 가장자리 영역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도전형, 즉 n형의 반도체기판(51) 상에 제1 도전형의 에피층으로 이루어진 드리프트 영역(53)을 형성하고, 상기 드리프트 영역(53)의 소정영역에 활성영역(a)을 한정하는 필드산화막(5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필드산화막(55)을 형성하면, 상기 활성영역(a) 상에 패드산화막(57)이 잔존한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기판(51)은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 역할을 하고, 상기 필드산화막(55)은 칩 가장자리 영역(b)에 형성된다. 상기 드리프트 영역(53)의 농도는 상기 반도체기판(51)의 농도보다 낮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드리프트 영역(53)은 <100> 방향의 결정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도체기판(51) 및 상기 드리프트 영역(53)은 모두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드산화막(55)을 패터닝하여 드리프트 영역(53)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홀중 활성영역(a)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홀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홀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즉, 활성영역(a)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형성된 제1 홀의 폭(S1)은 상기 제1 홀과 이웃한 제2 홀의 폭(S2)보다 작아야 하고, 활성영역(a)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형성된 n번째 홀의 폭(Sn)은 다른 어느 홀의 폭보다 넓어야 한다. 상기 복수의 홀에 의해 노출된 드리프트 영역(53)을 특정 화학용액, 예컨대 KOH 용액으로 식각하여 상기 각 홀의 폭에 비례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G1, G2, ... , Gn)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100> 방향의 결정구조를 갖는 실리콘 에피층, 즉 드리프트 영역(53)의 노출된 부분을 KOH 용액으로 식각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G1, G2, ... , Gn)이 형성된다. 여기서, 모든 홈(G1, G2, ... , Gn)들은 KOH 용액의 특성으로 인하여 V자 형태의 단면이 형성되도록 식각된다. 따라서, 식각공정을 일정 시간 이상 실시할지라도 V자 형태의 단면이 완전히 형성되면, 더 이상 식각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각 홀의 폭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 홈의 깊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넓은 폭(Sn)을 갖는 홀 아래에 가장 깊은 깊이를 갖는 홈(Gn)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n번째 홈(Gn)이 완전한 V자 형태로 형성되기 전에 식각공정을 중단한 결과를 보였으나, 필요에 따라 충분한 시간동안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모든 홈들이 완전한 V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홈(G1, G2, ... , Gn)의 표면 및 상기 활성영역(a)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2 도전형, 즉 P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각각 복수의 가드링(R1, R2, ... , Rn) 및 베이스 영역(59)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드링(R1, R2, ... , Rn) 및 상기 베이스 영역(59)은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공정단계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활성영역(a)의 표면에 잔존하는 패드산화막(57)을 제거하여 활성영역(a)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노출된 활성영역 상에 게이트 산화막(61)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막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도전체막, 예컨대 도우핑된 폴리실리콘막 등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체막을 패터닝하여 베이스 영역(59)의 가장자리 상부 및 이와 인접한 드리프트 영역(53)의 일 부분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61)이 개재된 게이트 전극(63)을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63)이 형성된 결과물의 베이스 영역(59)에 상기 게이트 전극(63)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1 도전형, 즉 n형의 불순물을 주입한 후에 열처리함으로써, 제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65)을 형성한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63), 소오스 영역(65) 및 드레인 영역 역할을 하는 반도체기판(51)은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상기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소오스 영역(65) 및 베이스 영역(59)을 접지시키고, 드레인 영역인 반도체기판(51)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드리프트 영역(53) 및 베이스 영역(59) 사이에 역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베이스 영역(59)보다 낮은 농도를 갖는 드리프트 영역(53)에 공핍층(d')이 형성된다. 이 공핍층(d')은 상기 복수의 가드링(R1, R2, ... , Rn)에 의해 칩 가장자리 영역(b)까지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반도체소자의 공핍층(d')은 활성영역(a)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가드링(Rn)의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되어 상기 공핍층(d')의 끝 부분(C2)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공핍층(d)보다 둥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핍층 가장자리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내압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반도체소자의 칩 가장자리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의 가드링을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드레인 내압 특성을 갖는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 반도체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Claims (4)

  1. 제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 상에 성장되고 제1 도전형의 에피층으로 이루어진 드리프트 영역의 소정영역에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드산화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활성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상기 드리프트 영역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홀에 의해 노출된 드리프트 영역을 특정 화학용액으로 식각하여 상기 각 홀의 폭에 비례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홈 표면에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우핑된 가드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및 상기 제2 도전형은 각각 N형 및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영역의 결정방향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학용액은 KOH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80006113A 1998-02-26 1998-02-26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46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113A KR100464379B1 (ko) 1998-02-26 1998-02-26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113A KR100464379B1 (ko) 1998-02-26 1998-02-26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937A KR19990070937A (ko) 1999-09-15
KR100464379B1 true KR100464379B1 (ko) 2005-04-06

Family

ID=3730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113A KR100464379B1 (ko) 1998-02-26 1998-02-26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1433A (zh) * 2010-03-26 2011-09-28 三菱电机株式会社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377A (ja) 2008-09-04 2010-03-18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29328B1 (ko) * 2008-09-22 2011-04-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전압 반도체 소자의 필드 리미팅 링 및 이의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1433A (zh) * 2010-03-26 2011-09-28 三菱电机株式会社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937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5352B2 (en) Trench-type MOSFET having a reduced device pitch and on-resistance
US7361953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having a column region with differing impurity concentrations
US6448611B1 (en) High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76429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050085383A (ko) 개선된 ldmos 설계에 의한 집적회로 구조
KR100432887B1 (ko) 다중격리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14408B1 (ko) 반도체 소자의 터미네이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6060362A (en) Methods of fabricating field effect transistors including side branch grooves
KR100232383B1 (ko)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759858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6526287A (ja) 半導体装置のための終端構造及びこの構造の製造方法
US20010023957A1 (en) Trench-gate semiconductor devices
KR100464379B1 (ko)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EP1126527A1 (en) High-voltage semiconductor device
KR100582374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EP169908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547400B1 (ko) 4개이상의트랜지스터를가진회로장치및그제조방법
US6878998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region that changes depth across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
KR100947567B1 (ko) 고전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H036060A (ja) Mis型半導体装置
JP3768198B2 (ja) 半導体装置
KR19980079068A (ko) 고전압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5971B1 (ko) 고전압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104163A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35249B1 (ko) 고전압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