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829B1 - 무거운야채지지용백 - Google Patents

무거운야채지지용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829B1
KR100463829B1 KR1019970042053A KR19970042053A KR100463829B1 KR 100463829 B1 KR100463829 B1 KR 100463829B1 KR 1019970042053 A KR1019970042053 A KR 1019970042053A KR 19970042053 A KR19970042053 A KR 19970042053A KR 100463829 B1 KR100463829 B1 KR 10046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arvester
bag body
fork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194A (ko
Inventor
미츠노리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다나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2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 A01D45/26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of Brussels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1Blocks, stacks or like assemblies of ba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Bag Fram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무거운 야채 지지용 백은,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된 영역을 가지며 유연 직물로 이루어된 백 몸체부와, 수확기에 설치된 리프터의 포크를 수용하며 상기 개방된 영역에 부착되는 한쌍의 링 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가 작동되었을 때 상기 개방된 영역이 수확기의 야채출구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Description

무거운 야채 지지용 백{bag}
본 발명은 양배추와 같이 크고 무거운 야채들을 지지하기 위한 백(ba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거운 야채를 수확하는 수확기(harvester)에 설치된 리프터(lifter)의 포크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된 유연 직물(soft fabric)로 이루어진 백에 관한 것이다.
양배추와 같이 무거운 야채들의 기계화 수확은 요즈음 영농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거운 야채들을 수확하는 종래의 전용 수확기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다. 수확기 본체(a)는, 평형장치와 함께 드라이빙 케터필러(driving caterpillar)(b)위에 설치되며, 뿌리를 잘라 양배추를 뽑기 위한 갈퀴판(c)과 내부에 형성된 껍데기 제거부(e)로 야채들을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d)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d)의 일단부는 상기 껍데기 제거부(e)에 연결된다. 껍데기 제거부(e)내에서 잘린 껍데기는 필요할 때 껍데기 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수확기 본체(a)는 후단부에 포크(h)가 형성된 리프터(lifter)(i)를 가지는데, 상기 포크(h)는 경사기구(g)가 구비되어 수평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내에서 경사져 움직일 수 있다. 금속 또는 그 유사한 종류로 된 홀더박스(holder box)(j)는 포크(h)위에 놓여진다. 포크(h)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경사기구(g)가 작동되어 야채 출구(k)와 마주보는 상기 홀더박스(j)의 개구부는 수확기 본체(a)에서 후방측의 상방향으로 개방한다.(제 4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 홀더박스(j) 속으로 떨어지는 야채에 대한 충격이 경감된다. 홀더박스(j)의 용량은 대략 200kg이며, 완전히 채워진 홀더박스(j)는 트럭에 설치되어 목적지까지 수송된다.
수확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금속성 홀더박스(j)에 있어서, 껍데기가 제거된 수확된 양배추는 슬라이딩 판(1)을 사용하는 야채출구(k)를 통하여 홀더박스에 실린다. 양배추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야채를 싣는데 있어서 떨어짐을 감소하기 위하여, 복잡한 경사기능이 구비된 포크(h)가 요구된다 그러한 배열이 구비되어도, 홀더박스(j)의 내벽에 충돌하는 양배추들은 여전히 어떤 손상을 입게 된다.
양배추들을 약 200㎏정도 지지하는 용량을 가진 종래의 금속성 홀더는 내부가 텅 비어있을 때 조차 실질적으로 무거울 뿐만 아니라, 박스의 대체작업을 이행함에 있어 종종 여러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무거운 야채들을 담기 위해 수확기에 사용되는 홀드박스에 관련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무게가 가볍고 또한 박스속으로 야채들이 넣어질 때 야채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하는 물질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유연 직물로 제조된 용기는 우수한 충격흡수 능력을 가지며, 용기의 형상이 수확기본체상에 있는 리프터의 포크에 의해 지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의한 백은, 유연 직물로 형성된 백 몸체부와, 상기 백 몸체부의 개방된 영역의 상부 측면 모서리에 마주보며 부착되고 그 속을 통하여 포크가 수용되는 한쌍의 링 몸체부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해 백의 개방된 영역은, 포크가 상승된 위치에 놓였을 때, 수확기의 야채출구와 마주보며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백은, 백 몸체부의 저면이나 또는 백 몸체부 측면의 하부영역에 형성되어 개방할 수 있는 배출영역과, 수확기 본체의 야채출구와 마주보는 백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백의 저면까지 백 몸체부 내부로 경사져 연장된 충격완화 직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격완화 직물 외에, 충격방지 수단으로서 유연 직물로 이루어진 편평한 낙하장치가, 수확기 본체의 야채출구에 부착되며 백 몸체부의 저면 근처로 연장된 저면단부를 가진다.
다음은 무거운 야채 수확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백을 도시된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 1 도를 참조한다. 백 몸체부(1)는, 상부에 개방된 영역(1a)을 가지며, 충분한 길이와 부드러움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질은 천이나 또는 합성수지 단섬유로부터 짜여진 라스켈(raschel) 직물과 같은 통기성 직물로 구성된다(상기 물질은 유연 직물로 언급된다). 백 몸체부는, 가로길이가 약 1.5m(W), 세로길이가 약 0.8m, 높이가 약 0.6m이다. 한편, 개방된 영역(1a)의 상단 양측(세로길이측)에 제 4 도에서 도시된 수확기의 후방에 설치된 리프트(i)의 포크(h)가 내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한쌍의 튜브(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튜브 기능은 한쌍의 링 몸체부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2)는 링 몸체부와 동일한 기능으로 하므로, 백 몸체부의 재질과 동일한 형태의 직물이 상대적으로 세로측의 상단에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경금속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나 복수개의 원형형상 와이어의 후크가 백의 상단에 단단히 부착됨으로서 또한 적절한 수단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2)와 백의 외부에서 수직으로 또는 수직이나 수평의 양방향으로 규칙적인 배열로 이루어진 강화밴드(3)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백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수확기(a)에 설치된 리프트의 포크(h)는 내부가 텅 빈 백의 상단에 형성된 튜브(2)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튜브(2)를 지지한다. 상기 리프터(i)는 포크(h)를 들어올려서 백 몸체부의 개방된 영역(1a)이 수확기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야채출구(k)와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작동한다. 다음, 야채출구(k)를 통하여 운반된 양배추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백에 담겨진다.
첫째로 양배추(C)는 백 몸체부(1)의 개방된 영역(1a)으로부터 백의 저면(1b)까지의 높이(H)만큼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백 몸체부의 양측면과 저면은 유연 직물로 제조되고, 백 자체는 포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종래의 금속성 홀더박스와는 달리, 양배추가 유입되는 동안에 충격은 실질적으로 경감되며, 양배추의 손상이 명확히 줄어든다.
양배추와 같은 무거운 야채에 대한 손상의 정도는 또한 백 몸체부(1)의 크기에도 그 원인이 있는데, 즉, 백속에 담겨지는 양배추의 양에 의해서도 손상이 생기는 것이다. 양배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될 수 있는 한 경감하기 위해 백의 용량을 줄인다.
제 2 도는, 백 몸체부(1)의 높이(H)가 높을 때, 필요한 경우 야채출구(k)에 부착되는 큐션수단을 보여준다. 야채출구(k) 둘레에 부착된 깔대기 모양의 낙하장치(4)는, 백 몸체부(1)와 동일한 재질의 직물로 만들어지며, 그 출구단부는 한 개의 양배추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낙하장치(4)는, 될 수 있는 한 출구단부(4a)가 백 몸체부(1)의 저면(1b)에 밀접되도록 하고, 그 속으로 각 양배추가 움직여지도록 한다. 보다 많은 양배추들이 백 몸체부에 놓여짐에 따라, 상기 낙하장치(4)의 출구단부(4a)는 들어 올려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백(1) 속에 놓여진 양배추와 같은 내용물은 백 상부의 개방된 영역(1a)을 통하여 꺼내진다. 제 3도는 야채출구와 결합되고 백 몸체부(1)의 가로방향(w)으로부터 백 몸체부의 내부의 하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된 유연 직물로 이루어진 큐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큐션직물(5)은 백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큐션직물(5)은, 백 몸체부 내부에서 약 30 내지 40° 의 경사각도(a)를 가지고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확기 본체의 야채출구(k)와 마주보는 백 몸체부의 개방된 영역(1a)의 일측에서 가로방향(w)으로 연장되어 최소한 백 몸체부(1) 높이(H)의 1/3 내지 1/2 정도로 연장되며, 그리고 백 몸체부의 가로의 전체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다. 백의 내용물은 개방된 영역(1a)를 통하여 꺼내어진다. 상기와는 달리, 컨테이너 형태의 곡물 백에 형성된 저면배출포트와 같이 널리 알려진 꽃잎형상의 개폐 메카니즘(미도시)이 백 몸체부(1)의 저면(1b)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지퍼(5a)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어떤 다른 배출영역(5b)이 백 측면의 하부에 부착되어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제 1 도의 점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백은, 강화밴드(3) 대신에, 또는 강화밴드(3)와 함께 최소한 두개의 끈(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끈(6)은 저면(1b)을 포함하는 백 몸체부의 측면을 강화한다. 체인이나 윈치(winch)가 상기 끈(6)과 연결되어 백을 들어 올리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끈(6)은 목적지로 수송되는 짐을 싣고 목적지에서 짐을 내리는 것을 돕는다. 백 몸체부의 저면이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배출영역(5b)은 특히 목적지에서 내용물을 내리는데 유용하다.
다음, 상기 백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수확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리프터의 포크는 내부가 텅 빈 백 몸체부(1)의 튜브(2)를 통하여 삽입된다. 리프터가 작동되어 백 몸체부(1)의 개방된 영역(1a)이 수확기의 야채출구(k)와 마주보도록 백 몸체부(1)를 아래로부터 들어올린다. 수확기는 일정량의 야채를 수확하기 위해 작동되고, 껍데기가 제거된 양배추(C)는 백 몸체부(1)속으로 유입된다. 백이 가득 찼을 경우, 야채를 수확하는 작업은 일시 정지된다. 그 후, 리프터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가득찬 백은 트럭위에 실리거나 또는 지면위에 놓여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가득찬 백이 수확기에서 제거된 후, 내부가 텅 빈 들 백이 포크에 장착되고,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가득찬 백은 크레인에 의해 옮겨지고 목적지까지 운반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확기와 함께 사용되고 양배추와 같은 무거운 야채 지지용 백은 우수한 충격 흡수력을 가지는 유연 직물로 제조된다. 수확기에 설치된 리프터의 포크는 백의 튜브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백을 지지한다. 상기 백의 형상은 상술된 바와 같고 야채에 가해지는 충격이 실질적으로 경감된다. 또한 야채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감소하기 위해, 큐션 직물이 백 상단의 개방된 영역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된다. 유연 직물 낙하장치가 야채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감소하기 위해 수확기의 야채출구에 부착된다. 종래의 무거운 홀더박스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 복잡한 경사 메카니즘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종래의 금속성 박스는 내부가 텅 비어 있을 때 조차도 상당히 무겁다. 그러므로 상기 무거운 박스의 대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백은 가볍고 유연한 직물로 제조되기 때문에, 단지 한 사람이 쉽게 백의 대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백의 저면이나 측면에 부착되는 배출영역이 형성된 백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야채를 내리는 작업을 쉽게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백의 사시도,
제 2 도는 수확기 본체의 야채출구에 부착되는 유연 직물 낙하장치가 구비된 백의 측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지지용 백의 측 단면도,
제 4 도는 무거운 야채를 수확하는 수확기의 측면도.

Claims (1)

  1. 상부가 개구된 백 몸체부를 유연 직물에 의하여 형성하고, 수확기 리프터의 포크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됨과 같이, 포크의 상승위치에서 백 몸체부의 개구부가 수확기의 야채출구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중량 야채의 지지용 백으로, 백 몸체부의 저면 또는 하부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배출영역을 설치함과 같이, 백 몸체부의 내면에는 수확기의 야채 출구에 접하는 측의 개구 상단에서 하방을 향하여 경사진 규션직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운 야채 지지용 백
KR1019970042053A 1996-09-06 1997-08-28 무거운야채지지용백 KR100463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57705A JP2869928B2 (ja) 1996-09-06 1996-09-06 重量野菜の収納袋
JP257705 1996-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94A KR19980024194A (ko) 1998-07-06
KR100463829B1 true KR100463829B1 (ko) 2005-04-06

Family

ID=1730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053A KR100463829B1 (ko) 1996-09-06 1997-08-28 무거운야채지지용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869928B2 (ko)
KR (1) KR100463829B1 (ko)
CN (1) CN1076157C (ko)
ID (1) ID17833A (ko)
TW (1) TW337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5361A (zh) * 2014-12-08 2015-04-01 苏州卫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带缓冲结构集成分拣单元料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348A (ja) * 1984-06-29 1986-01-30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収納袋
KR890002027Y1 (ko) * 1986-02-26 1989-04-10 유충웅 건식 유동성 물질의 운송 및 저장용 콘테이너 백
JPH05132092A (ja) * 1990-09-11 1993-05-28 Christopher C Cuddy バルクコンテナ
KR950000585A (ko) * 1993-06-04 1995-01-03 안재학 용해로의 원료 유입량 제어장치
JPH0834485A (ja) * 1994-02-08 1996-02-06 Mulox Ibc Ltd 袋容器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4554A (en) * 1987-11-16 1989-05-30 J. C. Brock Corp. Plastic bag with integral venting structure
JPH03212353A (ja) * 1990-01-17 1991-09-17 Yoshiya Clean Syst:Kk
JP3212353B2 (ja) * 1992-03-27 2001-09-25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シリンドリカル面測定時の被検試料の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位置合わせ用スクリーン
JP3300113B2 (ja) * 1993-07-21 2002-07-08 小橋工業株式会社 結球野菜収穫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348A (ja) * 1984-06-29 1986-01-30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収納袋
KR890002027Y1 (ko) * 1986-02-26 1989-04-10 유충웅 건식 유동성 물질의 운송 및 저장용 콘테이너 백
JPH05132092A (ja) * 1990-09-11 1993-05-28 Christopher C Cuddy バルクコンテナ
KR950000585A (ko) * 1993-06-04 1995-01-03 안재학 용해로의 원료 유입량 제어장치
JPH0834485A (ja) * 1994-02-08 1996-02-06 Mulox Ibc Ltd 袋容器の製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157C (zh) 2001-12-19
CN1182528A (zh) 1998-05-27
JPH1080221A (ja) 1998-03-31
ID17833A (id) 1998-01-29
KR19980024194A (ko) 1998-07-06
JP2869928B2 (ja) 1999-03-10
TW337511B (en) 199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CA2475490C (en) Liner for a container
US4314788A (en) Crop handling apparatus
KR100463829B1 (ko) 무거운야채지지용백
PL226259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konfekcjonowania drewna opałowego, zwłaszcza kominkowego
US4119222A (en) Tree harvesting apparatus
US5176299A (en) Variable volume hopper
KR101565146B1 (ko) 전복가능한 포대
JPS5851692Y2 (ja) 馬鈴しよ収穫機
US3042238A (en) Containers for transporting and dumping materials
US3722673A (en) Structure for varying relative positions of conveyors
CN1077068C (zh) 用于根菜的挠性容器
CN218526791U (zh) 收获物用收纳容器
KR20210002645U (ko) 벼톤통
EP0024153B1 (en) Crop or product carriers
JP3163010U (ja) 排出装置
CN214690070U (zh) 一种干化淤泥收集船
US3197046A (en) Bulk materials handling plant
JP2945283B2 (ja) 根菜堀取り機の根菜収納容器
JPH065719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取出し切換え装置
JPS5831464Y2 (ja) 馬鈴しよ収穫機
JPH0742268Y2 (ja) ポテトハーベスタ
SU1493784A1 (ru) Перегрузочный пункт карьера
SU182576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к ПЕРЕДВИЖНОМУ ПОГРУЗЧИКУ
JP2022178847A (ja) 根菜類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