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093B1 -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093B1
KR100463093B1 KR10-2001-0070659A KR20010070659A KR100463093B1 KR 100463093 B1 KR100463093 B1 KR 100463093B1 KR 20010070659 A KR20010070659 A KR 20010070659A KR 100463093 B1 KR100463093 B1 KR 10046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scharge tube
cathode discharge
driving
piezoelectric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556A (ko
Inventor
나카츠카히로시
야마구치다케시
다케다가츠
모리토키가츠노리
오쿠야마고지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7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5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fluorescen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음극 방전관의 점등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방전 개시 전압의 저 전압화를 가능하게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 시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의 음극으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시정수보다도 느린 시정수가 되도록 음극 방전관의 인가(印加) 전압을 증가시켜 감으로써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서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CATHODE DISCHARGE TUB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표시 패널 등의 광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는 백라이트(backlight) 장치로서 비교적 전력이 작고, 발광 효율이 좋은 냉 음극형 형광 방전관이나 열 음극형 형광 방전관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들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는 음극 방전 점등 장치에 있어서는 DC/AC 인버터 회로에 의해 직류 전압이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교류 전압을 사용하여 냉 음극 방전관 또는 열 음극 방전관이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방전 개시전압은 냉 음극 방전관 쪽이 높고, 또한 냉 음극 방전관의 길이가 길 수록 방전 개시 전압은 고 전압화된다.
냉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는 냉 음극 방전장치의 종래 회로 구성을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 음극 방전 장치는 인버터 회로(311)를 구비한다. 인버터 회로(311)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304a, 304b)와, 입력 전압을 고 전압으로 변환하는 승압 트랜스(302)로 구성된다. 스위칭 소자(304a, 304b)를 교대로 스위칭함으로써 직류 전원(307)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에서 교류 전압을 생성한다. 이 교류 전압은 승압 트랜스(302)에 의해 고압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냉 음극 방전관(210)에 공급된다.
이 때의 점등 개시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a)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 전압(관 전압)의 포락선을, 도 17의 (b)는 냉 음극 방전관(210)에 흐르는 전류(관 전류)의 포락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냉 음극 방전관(210)을 점등할 때에는 냉 음극 방전관(210)에 승압 트랜스(302)의 2차 쪽에 발생하는 고압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 전에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 전압은 상승하지만[도 17의 (a)참조] 무부하에 근접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도 17의 (b)참조]. 그후, 더욱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 전압이 상승하고, 점등 개시 전압에 도달하면 일시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반면에, 전압은 저하하기 시작한다. 이후, 냉 음극 방전관(210)은 부성 저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관 전압은 저하하고, 관 전류는 상승하며, 설정 전류(점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전류)로 된다. 음극 방전관(210)의 경우 유입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콘덴서와 같은 전류 제어 소자(301)가 냉 음극 방전관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결국,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 개시에는 점등 유지에 필요한 전압보다도 대폭적으로 높은 인가 전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점등 유지 전압 및 점등 개시 전압은 냉 음극 방전관(210)이 길게 될 수록 높게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방전 개시 전압을 낮게 하는 방법으로서 음극 방전 장치에 있어서 냉 음극 방전관(또는 열 음극 방전관)의 주변에 근접 도체를 접지하는 방법이 있다.
방전 개시 전압을 저하시키기 위해 음극 방전관의 주위에 근접 도체를 접지하는 방법에서는 고압 전압이 입력되는 전극과 근접 도체의 사이에 전위 차를 발생하기 때문에 방전 촉진 효과에 의해 방전 개시 전압의 저 전압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음극 방전 점등 장치에서는 다른 쪽의 음극과 근접 도체는 접지되어 있어 그것들 사이에는 전위 차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종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방전 촉진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예로서 나타낸 방전장치에서는 타운전트 방전으로부터 시작되는 글로우 방전은 음극 방전관의 고압 쪽 전극으로부터 GND 쪽 전극으로 향하고 전관 방전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전장치에서는 고압 쪽 전극에만 방전 촉진 효과를 발생시키고, 다른 쪽 전극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방전 개시 전압을 낮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아직 불충분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일본 특개 평8-31588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이 있다. 일본 특개 평8-31588호 공보에서는 근접 도체를 고압 교류 전압의 중점 전위(中点 電位)에 접속하여 근접 도체의 전위를 중점 전위로 함으로써 양쪽의 전극으로부터 타운전트 방전을 유발하고, 방전 개시 전압의 저 전압화를 이루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이용하였을 경우는 냉 음극 방전관이 길게 됨에 따라 점등 유지 전압도 고 전압화하여 버리고, 근접 도체와 냉 음극 방전관 사이의 부유 용량(浮遊 容量)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해 버린다. 그 결과, 휘도의 저하 및 무효 전력에 의한 방전 장치의 대형화 등의 문제도 발생된다. 또한, 방전관을 흐르는 전류의 검출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음극 방전관이 길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음극 방전관의 점등 장치의 특성을 저하시킴이 없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방전 개시 전압을 저 전압화할 수 있는 음극관 방전 점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는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그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전압 제어 수단은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는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그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전압 제어 수단은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교류 전압에 의해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후에 음극 방전관의 개시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기 교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3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는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그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전압 제어 수단은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교류 전압에 의해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상태를 일정 기간 유지한 후에 음극 방전관이 방전을 개시하는 전압까지 상기 교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전압 제어 수단은 반점등 상태에서 상기 교류 전압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조광(調光)을 점등·소등을 반복하여 제어할 경우 전압 제어 수단은 조광시의 점등 시간을 최초의 점등 개시시의 점등 시간보다도 짧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은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지연된 속도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은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교류 전압에 의해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후에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교류 전압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제3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은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교류 전압에 의해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상태를 일정 기간 유지한 후에 음극 방전관이 방전을 개시하는 전압까지 교류 전압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제4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는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그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전압 제어 수단은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음극 방전관의 점등 순간에 있어서 전압 변화의 돌출부가 나타나지 않도록 느리게 상승시키도록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5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는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그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전압 제어 수단은 음극 방전관의 점등 시에 있어서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상승 속도를 늦게 함으로써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 전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1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2는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사용하는 압전 트랜스의 구성도,
도 3은 압전 트랜스의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일반적인 압전 트랜스의 부하 변화에 의한 승압비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구동 방법에 의한 부하의 변화에 대한 압전 트랜스의 승압비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에 있어서, (a)는 제1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에서 냉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였을 경우의 관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관 전류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에 있어서, (a)는 점등 개시까지의 관 전압을 단계적(1단계)으로 변화시켜서 제어할 때의 관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관 전류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에 있어서, (a)는 점등 개시까지의 관 전압을 단계적(2단계)으로 변화시켜서 제어할 때의 관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관 전류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2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3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11에 있어서, (a)는 방전 개시전의 압전 트랜스의 주파수 특성, (b)는 타운전트(townsend) 방전시의 압전 트랜스의 주파수 특성, (c)는 냉 음극 점등시의 압전 트랜스의 주파수 특성, (d)는 제3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에서 냉 음극 방전관을 구동한 경우의 관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전압의 변화를 종래 예와 비교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4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5실시형태의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종래의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17에 있어서, (a)는 종래의 구동 장치에서 냉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였을 경우의 관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관 전류의 시간적 변화를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압전 트랜스 202 : 드라이브 회로
203 : 파형 정형 회로 204 : 가변 발진 회로
205 : 발진 제어 회로 206 : 기동 제어 회로
207 : 비교 회로 208 : 전류 검출 회로
209 : 귀환 저항 210 : 냉 음극 방전관
211 : 비교 회로 215a, 215b : 분압 저항
212 : 전압 제어 회로 213 : 발진 회로
다음에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극 방전관 구동 장치 및 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 구동 장치의 제1실시형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이하, 구동 장치라 함)는 냉 음극 방전관(210)에 소망의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 트랜스(20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전 트랜스(201)는 로젠(Rosen)형 압전 트랜스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압전 트랜스(201)는 저 임피이던스부(101)와 고 임피이던스부 (102)로 이루어진다. 저 임피이던스부(101)는 승압용으로서 이용할 경우의 입력부가 된다. 저 임피이던스부(101)의 압전체(105)는 두께 방향으로 분극이 주어져 있고, 두께 방향의 주면(主面)에 전극(103U, 103D)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고 임피이던스부(102)는 승압용으로서 사용할 경우의 출력부가 된다. 고 임피이던스부 (102)의 압전체(108)는 길이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의 단면에 전극(10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압전 트랜스(201)에 있어서, 입력부(101)의 전극(103U, 103D)에 출력쪽 기계적 진동의 공진 주파수에 맞추어진 전압이 인가되면 (역)압전 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기계 에너지로 변환되고, 길이 방향의 세로 진동이 여진(勵振)된다. 출력부(102)에서는 압전 효과에 의해 기계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고, 전압이 발생한다. 출력부(102)에서는 분극 방향이 길이 방향이며, 그 길이는 두께에 비해 크므로 전극(104)으로부터 고 전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3은 압전 트랜스의 공진 주파수 근방의 집중정수 근사 등가회로(集中定數 近似 等價回路)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 트랜스의 등가 회로는 입력쪽, 출력쪽의 속박 용량(Cd1, Cd2), 입력쪽의 힘계수(力係數)(A1), 출력쪽의 힘계수(A2), 등가 질량(m), 등가 컴플라이언스(compliance)(C), 등가 기계 저항(Rm)으로 표현된다. 본 실시형태의 압전 트랜스에서는 힘계수(A1)가 힘계수(A2)보다도 크고, 도 3중의 2개의 등가 이상 변성기(等價 理想 變成器)에서 승압된다. 더욱이, 압전 트랜스는 등가 질량(m)과 등가 컴플라이언스(C)로 되는 직렬 공진 회로를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부하 저항의 값이 큰 경우에 출력 전압은 변성기의 변성비 이상으로 큰 값이 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는 압전 트랜스(201) 이외에 드라이브 회로(202), 파형 정형 회로(203), 가변 발진 회로(204), 발진 제어 회로(205), 기동 제어 회로(206), 비교 회로(207), 전류 검출 회로(208) 및 귀환 저항(209)을 구비하고 있다.
가변 발진 회로(204)는 압전 트랜스(201)를 구동하는 교류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가변 발진 회로(204)의 출력은 파형 정형 회로(203)에 입력된다. 파형 정형 회로(203)는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 주파수 이외의 성분을 저감하고, 드라이브회로(202)에 소망의 교류 신호를 입력한다. 파형 정형 회로(203)의 출력은 드라이브 회로(202)에서 압전 트랜스(201)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레벨로 전압 증폭되고, 압전 트랜스(201)의 1차쪽 전극에 입력된다. 압전 트랜스(201)의 전압 효과에 의해 승압된 출력 전압은 압전 트랜스(201)의 2차쪽 전극으로부터 인출된다.
압전 트랜스(201)의 2차쪽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고압 전압은 냉 음극 방전관(210)과 귀환 저항(209)의 직렬 회로에 인가된다. 귀환 저항(209)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은 전류 검출 회로(208)에 입력되고, 냉 음극 방전관(210)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 값에 의해 검출하며, 비교 회로(207)에 직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 회로(207)는 전류 검출 회로(208)의 출력 전압과, 소정의 설정 전압(Vref)을 비교한다. 설정 전압(Vref)은 전류 검출 회로(208)로부터의 출력 전압 값을 설정하는 것이며, 이 전류 검출 회로(208)의 출력 전압 값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관 전류를 일정(휘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전류 검출 회로(208)의 출력 전압이 설정 전압(Vref)보다도 작을 때(즉, 관 전류가 설정 값보다도 작을 때)는 구동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에 근접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발진 제어 회로(205)에 송신한다. 전류 검출 회로(208)의 출력 전압이 설정 전압(Vref)보다도 클 때(관 전류가 설정 값보다도 클 때)는 구동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부터 벗어나도록 발진 제어 회로(20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발진 제어 회로(205)는 비교 회로(207)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가변 발진 회로(204)를 제어한다.
또한, 기동 제어 회로(206)는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할 때까지의 시간동안 발진 제어 회로(20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기동 제어 회로(206)는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동작하고,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 주파수를 제어하는 발진 제어 회로(20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비교 회로(207)는 동작을 정지하고 있다. 또한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하면 기동 제어 회로(206)의 동작은 정지하고, 비교 회로(207)의 출력 신호에 의해 발진 제어 회로(205)는 동작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구동 장치는 냉 음극 방전관(210)을 점등시킬 때에 냉 음극 방전관(210)에 대한 인가 전압을 그 인가 전압의 상승 시정수가 음극 방전관(210)의 개시 시정수보다도 크게 되도록 느리게 상승시킨다. 즉, 냉 음극 방전관(210)에 대한 인가 전압의 상승 속도를 음극 방전관(210)의 개시 속도보다도 느리도록 인가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음극 방전관의 점등 전압을 종래의 것보다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어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점등 개시 시 전압(V1)은 존재하는 냉 음극관에 대해서 점등을 개시하는 전압 레벨 이상의 전압을 비교적 급격히 상승시키면서 인가하였을 때에, 음극관의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전압이다. 점등 개시 전압(V2)은 같은 냉 음극 전극을 점등시키기 위해 최저로 필요한 전압 레벨이다. 압전 트랜스의 경우, 실제로 점등 개시 시 전압(V1)에 도달할 때까지 진동의 진폭이 서서히 커지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V1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다(전자 트랜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여기에서는, 전압 인가 개시로부터 점등 개시 시 전압(V1)에 도달하고, 전압이 저하하며, 정전류 제어될 때까지의 동작을 냉 음극관의 개시로 한다. 그 때의 경과 시간을 개시 시간(시정수)이라 한다. 따라서, 냉 음극관의 개시 속도는 전압 인가 개시로부터 점등 개시 전압(V2)보다 큰 전압을 냉 음극관에 인가함으로써 점등할 때까지의 시간(Ton1)까지의 전압 변화의 경사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개시 속도를 종래에 비해 느리게 한다.
도 15의 곡선(B)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인가 전압을 상승시켰을 때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고, 곡선(A)은 점등 개시 전압이 전압(V2)이 되도록 비교적 늦은 속도로 인가 전압을 상승시켰을 때의 전압 변화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늦은 속도로 인가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점등 개시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전압을 비교적 급속도로 상승시켰을 경우, 곡선(B)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가 전압은 점등 개시 전압(V1)에 도달 후 급격하게 저하하고, 그 후 느리게 변화한다. 즉, 전압 변화에 있어서 돌출부(X)가 보인다. 이 돌출부(X)는 음극관이 점등한 순간에 큰 전력이 음극관에 대하여 공급되어 있을 경우에 나타나는 것이며, 곡선(A)과 같이 비교적 급격하게 전압을 인가하고, 점등 개시 전압이 높아질 경우는 점등한 순간에 있어서 큰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돌출부(X)가 나타난다. 비교적 급격하게 전압을 변화시킨다는 것은 그와 같은 돌출부(X)가 나타나도록 전압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며, 이 때의 점등 개시 전압을 V1이라 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느리게 인가 전압을 상승시킨다. 결국, 점등 개시 전압(V2)에 도달한 후 돌출부(X)가 나타나지 않고 느리게 하강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한다. 즉, 전압 상승의 개시 속도를 충분히 작게 한다. 이와같이 제어함으로써 점등 개시 전압을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음극관이 점등한 순간에 공급되는 전력이 작아지므로 곡선(A)과 같이 돌출부(X)는 나타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부(X)가 나타나지 않도록 느리게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점등 개시 전압의 저하를 도모하고 있다.
구체예로서 길이 400mm, 직경 3.0mm의 냉 음극관을 이용하여 구동한 결과 종래의 점등 방법(즉, 곡선 B, Ton1은 0.1ms)에서는 점등 개시 전압이 1600Vrms이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방법[곡선 A, Ton2는 1ms(종래의 약 10배)]에서는 점등 개시 전압이 1250Vrms이며, 점등 개시 전압이 대폭적으로 저감되었다.
아래에는 이와 같은 관 전압의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압전 트랜스의 일반적인 승압비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곡선(P1)은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전 승압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며, 곡선(P2)은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시 승압비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이와 같이, 압전 트랜스(201)의 승압비는 부하 및 주파수에 의해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압전 트랜스의 특성 즉, 압전 트랜스(201)의 부하가 변화하였을 때에 승압비의 주파수 특성이 변화한다는 특성을 이용한다. 도 5에 본 실시형태에서의 압전 트랜스(201)의 승압비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곡선(PT1)은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전 승압비, 곡선(PT2)은 타운전트 방전시의 승압비, 곡선(PT3)은 글로우 방전시(점등시)의 승압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에서는 음극 방전관(210)을 점등할 때에는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부터 낮은 주파수로 공진 주파수에 근접하도록 변화시키고 있다. 도 6의 (a)는 구동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에 근접하도록 변화시켯을 때의 관 전압의 변화를 포락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b)는 이 때의 관 전류의 변화를 포락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구동 장치의 점등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먼저, 압전 트랜스(201)에 대해서 기동 제어 회로(206)에 의해 공진 주파수보다 높은 소정의 주파수를 스타트 주파수(f0)로 하고, 이 주파수(f0)로부터 공진 주파수로 되돌린 압전 트랜스(201)에 있어서의 구동 주파수의 변화를 개시한다. 그 결과,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 전극으로부터는 곡선(PT1)의 승압비에 대응한 고압 전압(V0)이 출력된다. 구동 주파수를 f0으로부터 저주파수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해나가고, 구동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fa)에 도달하면 곡선(PT1)의 승압비에 대응한 전압(Va)이 압전 트랜스의 2차쪽으로부터 출력되며, 냉 음극 방전관(210)은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한다.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글로우 방전)이 개시하기까지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등가 회로는 가변 용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전 트랜스(201)로부터는 곡선(PT2)에 대응하는 전압이 출력된다(실제로는 전압의 증가에 따라 부하가 변화하기 때문에, 승압비 곡선은 순차적으로 변화하여 간다). 이 때 귀환 저항(209)에는 미량의 전류밖에 흐르고 있지 않으며, 냉 음극 방전관(210)은 반점등 상태가 된다.
더욱이, 구동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에 근접해 나가고, 구동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fb)에 도달하면,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 출력이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 개시 전압(Vb)으로 되며, 냉 음극 방전관(210)은 점등한다. 그리고, 귀환 저항(209)에 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기동 제어 회로(206)의 동작은 정지하며, 비교 회로(207)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관 전류가 설정 값이 되도록 발진 제어 회로(205)가 동작을 한다.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상태에 있을 때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등가 회로가 저항과 용량의 병렬 회로로 표현되고, 전류의 증가와 함께 전압이 감소하는 부성 저항 특성을 나타낸다.
냉 음극 방전관(210)은 부성 저항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압전 트랜스(201)의 2차쪽 출력 전력이 크게 됨에 따라서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 전압은 낮아져 간다. 그리고, 설정 전류가 될 때까지 전류가 증가하고, 구동 주파수가 fc, 관 전압이 Vc가 된다.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 결과, 압전 트랜스(201)의 승압비는 곡선(PT2)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보이고, 압전 트랜스의 2차 쪽 출력 전압도 그것에 대응하여 Vc로 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관 전압)을 낮은 레벨로부터 시간적으로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감으로써 방전관의 저 전압 점등을 수행하였으나, 관 전압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증가시켜도 좋다. 즉, 관 전압을 점등 개시 전압(Vb) 이하의 소정 레벨까지 직선적으로 증가시키고, 일단 그 전압 레벨을 소정기간 유지한 후, 재차 직선적으로 전압 레벨을 상승시켜 가는 방법으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 레벨은 타운전트 방전이 발생하고, 또한 글로우 방전으로 변화하지 않은 범위의 전압 레벨이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욱이 점등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 트랜스의 승압비 주파수 특성은 냉 음극 방전관 점등 개시 전에는 주파수에 대해서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공진 주파수에 가까울 수록 주파수의 변화 속도를 저하시켜서 전압 변화의 비율을 거의 일정하게 함으로써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 지연에 의한 과전압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냉 음극 방전관의 조광을 위한 제어에 있어서, 조광을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 소등을 반복함으로써 수행할 경우, 최초의 점등 개시시의 점등시간보다도 2번 째 이후의 점등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소등에 의해 조광을 할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구동시의 휘도 분균일이나 점등 지연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고, 냉 음극 방전관의 폭넓은 제어를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 음극 방전관용 구동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열 음극 방전관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구동을 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압전 트랜스는 강압(降壓) 타입의 압전 트랜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낮은 레벨로부터 직선적으로 증가해 감으로써 방전관의 저 전압 점등을 실현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등 개시전의 관 전압을 스텝(step) 형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즉, 점등 개시전에 있어서 관 전압을 유지하는 기간을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등 개시전압(Vb) 이하의 소정 전압(Vs)까지 전압을 증가한 후 소정의 기간 사이에 그 전압(Vb)을 유지한 다음 전압 레벨을 상승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 레벨(Vb)은 타운전트 방전이 발생하나, 글로우 방전으로는 도달하지 않는 전압 레벨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점등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관 전압을 유지하는 기간을 2개 이상 마련하여 즉, 복수단의 스텝 형상으로 관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계로 관 전압을 변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 스텝형상으로 관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점등 순간에 있어서의 돌출부는 발생하지만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점등 개시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2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와 다른 점은 압전 트랜스(201)에 대한 과전압 보호 회로를 마련한 점이다. 과전압 보호 회로는 비교 회로(211)와 분압 저항(215a, 215b)으로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를 하기 위해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에 냉 음극 방전관(210)과 병렬로 분압 저항(215a, 215b)이 접속되어 있다. 분압 저항(215b)의 양단에는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비례한 전압이 발생한다. 분압 저항(215b)의 양단 전압은 비교 회로(211)에 입력된다. 비교 회로(211)는 설정 전압(Vref1)과, 분압 저항(215b)으로 부터의 입력 전압을 비교한다. 설정 전압(Vref1)은 압전 트랜스(201)에 대하여 과전압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 전압 값으로 설정된다. 설정 전압(Vref1)보다도 큰 전압이 입력되면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 주파수의 변화를 정지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진 제어 회로(205)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압전 트랜스(201)에 대한 과전압 보호 회로를 마련함으로써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되지 않을 경우에 압전 트랜스(201)가 공진 주파수 근방에서의 구동으로 큰 진폭 동작을 할때의 일그러짐에 의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제어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냉 음극 방전관(210)의 구동 방법과 마찬가지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압전 트랜스의 구동을 함으로써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시에 있어서의 압전 트랜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압전 트랜스식 인버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3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파형 정형 회로(203), 가변 발진 회로(204) 및 발진 제어 회로(205) 대신에 압전 트랜스(201)를 고정 주파수로 구동하기 위해 발진 회로(213)와, 압전 트랜스(201)의 입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회로(212)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에서는 발진 회로(213)와 전압 제어 회로(212)에 의해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을 공진 주파수 근방의 주파수(fdrive)로 고정하여 전압 제어를 함으로써, 압전 트랜스(201)의 효율이 좋은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방전 개시전 압전 트랜스(201)의 승압비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 11의 (b)는 냉 음극 방전관(210)이 타운전트 방전을 하고 있을 때의 압전 트랜스(201)의 승압비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 11의 (c)는 냉 음극 방전관(210) 점등시의 압전 트랜스(201)의 승압비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d)는 본 실시형태의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에 의한 관 전압의 시간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에서는 구동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 근방의 주파수(fdrive)로 고정하고, 압전 트랜스(201)의 입력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켜 감으로써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 출력 전압을 도 1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가시켜 간다. 이 때,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 출력전압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 음극 방전관(210)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증가시켜 감으로써 낮은 점등 개시 전압으로 냉 음극 방전관(210)을 점등시킬 수 있다.
아래에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점등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냉 음극 방전관(210)을 점등할 때에, 기동 제어 회로(206)는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 전압이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 개시에 필요한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V0)으로부터 방전 개시 전압(Vb)까지 서서히 상승하도록 전압 제어 회로(212)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 전극으로부터는 압전 트랜스(201)의 1차 쪽 전극에 입력된 전압에 고정의 구동 주파수(fdrive)에 대응한 승압비를 승산하여 얻어지는 고 전압이 출력된다. 더욱이, 주파수를 고정한 대로 구동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켜 가고, 2차 쪽 출력전압이 Va에 도달하면 냉 음극 방전관(210)은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한다.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글로우 방전)이 개시할 때까지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등가 회로는 가변 용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전 트랜스(201)로부터는 곡선(PT2)(도 5참조)에 따라서 전압이 출력된다(실제로는 전압의 증가에 따라서 부하가 변화하기 때문에 승합비 곡선은 순차적으로 변화해 간다). 이 때 귀환 저항(209)에는 미량의 전류밖에 흐르고 있지 않고, 냉 음극 방전관(210)은 반점등의 상태이다. 더욱이 구동 전압을 증가시켜 가고,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 출력이 냉 음극 방전관(210)의 점등 개시 전압(Vb)이 되면 냉 음극 방전관(210)은 점등한다. 그리고, 귀환 저항(209)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기동 제어 회로(206)의 동작은 정지하고, 비교 회로(207)로부터의 출력에 의한 관 전류가 설정 값이 되도록 전압 제어 회로(212)가 제어된다.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 상태에 있을 때에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등가 회로는 저항과 용량의 병렬회로로 표현되고, 전류의 증가와 함께 전압이 감소하는 부성 저항 특성을 나타낸다. 냉 음극 방전관은 부성 저항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압전 트랜스의 2차 쪽 출력 전력이 커짐에 따라서 냉 음극 방전관의 양단 전압이 저하해 간다. 그리고, 설정 전류로 될 때까지 전류가 증가하고, 관 전압이 Vc가 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구동 방법에 의한 관 전압의 시간적 변화(곡선 A)와, 종래의 구동 방법에 의한 관 전압의 시간적 변화(곡선 B)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등 개시 전압(V2)은 종래의 점등 개시 전압(V1)보다도 낮은 값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을 사용한 경우, 직경 3mm, 길이 390mm의 냉 음극 방전관에 있어서 점등 개시 전압은 피크-피크 값으로 3.5kVpp이었다. 종래의 점등 방식을 사용한 경우, 점등 개시 전압은 4.5kVpp이었으므로 1.0kVpp 점등 개시 전압의 저 전압화를 이룰 수 있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낮은 레벨로부터 서서히 증가해 감으로써 방전관의 저 전압 점등을 실현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등 개시전의 관 전압을 스탭형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즉, 점등 개시전에 있어서 관 전압을 유지하는 기간을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등 개시 전압(Vb) 이하의 소정 전압(Vs)까지 전압을 증가한 후 소정의 기간 동안에 그 전압(Vb)을 유지하고, 그 후 전압 레벨을 상승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 레벨(Vb)은 타운전트 방전이 발생하지만 글로우 방전으로는 도달하지 않은 전압 레벨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점등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관 전압을 유지하는 기간을 2개 이상 마련하여, 즉 복수단의 스탭형상으로 관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계로 관 전압을 변화시켜도 좋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 음극 방전관의 조광에 대해서는 명기하지 않았으나 조광을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 소등을 반복함으로써 하는 경우, 최초의 점등 개시시의 점등시간보다도 2번 째 이후의 점등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소등에 의해 조광을 할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구동시의 휘도 분산이나 점등 늦음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고, 냉 음극 방전관의 폭넓은 제어를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 음극 방전관용 구동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열 음극 방전관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구동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압전 트랜스는 강압 타입의 압전 트랜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제4실시형태)
도 13은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4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제3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압전 트랜스(201)에 대한 과전압 보호회로를 마련한 점이다. 과전압 보호회로는 비교회로(214)와 분압저항(215a, 215b)으로 이루어진다.
압전 트랜스(201)의 과전압 보호를 하기 위해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에 냉 음극 방전관(210)과 병렬로 분압 저항(215a, 215b)이 접속된다. 분압 저항(215b)의 양단에는 압전 트랜스(201)의 2차 쪽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비례한 전압이 발생한다. 분압 저항(215b)의 전압은 비교 회로(214)에 입력된다. 비교 회로(214)는 설정 전압(Vref1)과 분압 저항(215b)으로부터의 입력전압을 비교한다. 설정 전압(Vref1)은 압전 트랜스(201)에 대해서 과전압이 인가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 전압 값으로 설정된다. 비교 회로(214)는 설정 전압(Vref1)보다도 큰 전압이 입력되면 압전 트랜스(201)의 구동 전압의 증가를 정지하도록 전압 제어 회로(21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압전 트랜스(201)의 과전압 보호 회로를 마련함으로써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하지 않을 경우에 압전 트랜스(201)가 구동 전압 증가에 의해 큰 진폭으로 동작할 때에도 일그러짐에 의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제어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여, 압전 트랜스를 구동함으로써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시에 있어서의 압전 트랜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압전 트랜스식 인버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가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와 다른 점은 승압 트랜스로서 전자식 트랜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며, 입력 전압의 제어에 의해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시의 제어 및 점등시의 제어를 한다는 점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냉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에 대한 제5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는 인버터 회로(310)를 구비한다.
인버터 회로(310)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304a, 304b), 입력 전압을 고 전압으로 변환하는 승압 트랜스(302), 스위칭 주파수를 발생하는 파형 발생 회로(309) 및 입력 전압의 제어를 하는 전압 제어 회로(308)로 구성된다. 스위칭 소자(304a, 304b)를 교대로 스위칭함으로써 직류 전원(307)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생성한다. 이 교류 전압은 승압 트랜스(302)에 의해 고압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냉 음극 방전관(210)에 공급된다.
전압 제어 회로(308)는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할 때까지는 승압트랜스(302)에 입력되는 전압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제어를 하며,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점등 후에는 냉 음극 방전관(210)을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를 한다.
전자식 승압 트랜스(302)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선비에 의해 1차 쪽으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2차 쪽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비(승압비)가 결정된다.
전압 제어 회로(308)는,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 전압이 증가하도록 파형 발생 회로(309), 스위칭 소자(304a, 304b)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냉 음극 방전관(210)에 인가되는 전압[즉, 승압 트랜스(302)의 출력]은 인가 전압의 상승이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 음극 방전관(210)의 개시보다도 느리게 되도록 인가 전압을 증가시켜 간다.
이하, 전압 제어 회로(308)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냉 음극 방전관(210)의 구동 장치 시동 시에 입력 전압(V0)이 승압 트랜스(302)에 입력된다. 승압 트랜스(302)에서 그 권선비에 따라서 승압된 전압이 2차 쪽에서 출력된다[이때, 냉 음극 방전관(210)은 타운전트 방전이 일어나지 않음]. 그리고, 입력전압을 VO로부터 조금씩 증가시켜 가고, 관 전압이 소정 값(Va)으로 되면 냉 음극 방전관(210)은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한다. 더욱 전압을 상승시켜 가면, 반점등의 상태에 있었던 냉 음극 방전관(210)이 전압(Vb)에서 점등을 개시한다. 이후, 냉 음극 방전관(210)은 부성 저항 특성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입력전압을 상승시켜 가면 관 전압은 저하하고, 관 전류가 증가하여 간다. 그 후 입력전압은 냉 음극 방전관(210)을 흐르는 전류가 냉 음극 방전관(210)의 설정 값으로 제어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낮은 레벨로부터 직선적으로 증가시켜 감으로써 방전관(210)의 저 전압 점등을 실현하였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관 전압의 전압 레벨을 높혀가는 방법으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 레벨은 적어도 타운전트 방전이 발생하여 글로우 방전으로 변화할 때까지의 전압 레벨이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욱이 점등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2및 제4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 음극 방전관(210)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압에 의거하여 냉 음극 방전관(210)에 과전압이 인가하지 않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는 보호회로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냉 음극 방전관의 조광에 대해서 조광을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 소등을 반복함으로써 할 경우 최초의 점등 개시시의 점등시간보다도 2번 째 이후의 점등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 음극 방전관의 점등·소등에 의해 조광을 할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구동시의 휘도 분산이나 점등 느림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으며, 냉 음극 방전관의 폭넓은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 음극 방전관용 구동 장치로 설명을 하였으나 열음극 방전관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구동을 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식 트랜스는 강압 타입의 트랜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는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인가 전압의 증가를 서서히 함으로써 타운전트 방전을 발생시키고, 그 정도를 서서히 크게 해 감으로써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 전압의 저 전압화를 도모한다.
그 결과, 액정 백라이트용으로 사용되는 냉 음극 방전관이 길게 되어 점등 개시 전압이 고 전압화하여도 점등 개시시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되고, 회로의 안전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정 백라이트용 인버터의 경우 현재 주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압전 트랜스식 인버터에 있어서, 점등 개시 전압이 고 전압화하여 가면 고 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압전 트랜스의 진폭이 커지고, 큰 진폭에 의해 신뢰성 저하의 원인이 되지만 점등 개시 전압을 종래의 방식으로써 점등을 하는 것보다도 저 전압화를 실현할 수 있으면 소자의 부담도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전자 트랜스 등으로 주로 이용되는 열 음극 방전관에 있어서도 점등 개시 전압을 낮게 발생함으로써 승압 트랜스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 장치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고 소형인 음극 방전관 점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9)

  1.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은 냉(冷) 음극 방전관으로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2.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상기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후에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기 교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3.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상기 전압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상기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상태를 일정 기간 유지한 후에 상기 음극 방전관이 방전을 개시하는 전압까지 상기 교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반점등 상태에서 상기 교류 전압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시에 있어서, 조광을 점등·소등을 반복하여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조광시의 점등시간을 최초의 점등 개시시의 점등시간보다도 짧게 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은 소정 주파수의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회로와, 압전 효과를 이용하고 소정 주파수 특성에 따라 입력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압전 트랜스로 되며,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높은 쪽에서부터 낮은 쪽으로 변화시키고, 이 때 상기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이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승하도록 상기 발진 회로의 출력 주파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발진 회로의 출력 주파수의 변화에 있어서, 상기 압전 트랜스의 공진 주파수에 가까울 수록 주파수의 변화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발진 회로의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최초로 상기 음극 방전관에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시킨 후에,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가 높은 쪽에서부터 낮은 쪽으로 변화 하도록 상기 발진 회로의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음극 방전관에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시키기 위해 교류 전압을 2단계 이상의 스텝 형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승시키도록 상기 발진 회로의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은 압전 효과를 이용하고 입력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압전 트랜스를 구비하며,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압전 트랜스의 입력 전압의 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로 고정하고, 또한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이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승하도록 상기 압전 트랜스의 입력 전압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음극 방전관의 점등전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시키기 위해 상기 압전 트랜스의 입력 전압을 2단계 이상의 스텝 형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승시키도록 상기 압전 트랜스의 입력 전압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그 출력 전압이 소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전압 보호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은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비에 의해 승압비가 정해지는 전자 트랜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소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 전압 보호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15.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은 냉(冷) 음극 방전관으로서,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16.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상기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후에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기 교류 전압을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17.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상기 음극 방전관을 반점등시키고, 그 반점등 상태를 일정 기간 유지한 후에 상기 음극 방전관이 방전을 개시하는 전압까지 상기 교류 전압을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점등 상태에 있어서, 교류 전압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의 점등 개시시에 있어서, 조광을 점등·소등을 반복하여 제어할 경우는 조광시의 점등시간을 최초의 점등 개시시의 점등시간보다도 짧게 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압전 효과를 이용하고, 소정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입력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압전 트랜스를 이용하여 상기 음극 방전관을 구동할 경우는,
    상기 음극 방전관의 점등시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높은 쪽에서부터 낮은 쪽으로 변화시키고, 그 때 상기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의 변화에 있어서, 상기 압전 트랜스의 공진 주파수에 가까울 수록 주파수의 변화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최초로 상기 교류 전압에 의해 상기 음극 방전관에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시킨 후에,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높은 쪽에서부터 낮은 쪽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시키기 위해 교류 전압을 2단계 이상의 스텝 형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압전 효과를 이용하고 입력한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압전 트랜스를 이용해서 상기 음극 방전관을 구동할 경우는,
    상기 압전 트랜스의 입력 전압의 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상기 음극 방전관의 개시 속도보다도 늦은 속도로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의 점등전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타운전트 방전을 개시시키기 위해 상기 압전 트랜스의 입력 전압을 2단계 이상의 스텝 형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승시키도록 상기 압전 트랜스의 입력 전압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압전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소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7.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비에 의해 승압비가 정해지는 전자 트랜스에 의해 상기 음극 방전관을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소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방법.
  29. 음극 방전관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 음극 방전관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음극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음극 방전관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을 음극 방전관의 점등 순간에 있어서 전압 변화의 돌출부가 나타나지 않도록 느리게 상승시키도록 상기 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KR10-2001-0070659A 2000-11-22 2001-11-14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463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6154A JP2002164190A (ja) 2000-11-22 2000-11-22 陰極放電管の駆動装置及び方法
JPJP-P-2000-00356154 2000-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556A KR20020040556A (ko) 2002-05-30
KR100463093B1 true KR100463093B1 (ko) 2004-12-23

Family

ID=1882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659A KR100463093B1 (ko) 2000-11-22 2001-11-14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09700B2 (ko)
JP (1) JP2002164190A (ko)
KR (1) KR100463093B1 (ko)
TW (1) TW2007042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974B1 (ko) 2008-06-25 2011-12-01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무전극방전등 점등장치 및 조명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0600B2 (en) 1998-12-11 2005-05-31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Method for starting a discharge lamp using high energy initial pulse
TWI222266B (en) * 2002-02-14 2004-10-11 Kazuo Kohno Self oscillation circuits
JP3653078B2 (ja) * 2002-12-12 2005-05-25 東光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定電流電源装置
US7034607B2 (en) * 2003-04-28 2006-04-25 Toko Kabushiki Kaisha Switching constant-current power device
JP4244893B2 (ja) * 2004-09-14 2009-03-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周波数制御による放電ランプの点灯
DE102007026912B4 (de) * 2007-06-12 2013-06-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romversorgung einer induktiven Last
US20110175890A1 (en) * 2008-10-14 2011-07-21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10767259B2 (en) 2013-07-19 2020-09-08 Agilent Technologies, Inc. Components with an atomic layer deposition coating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20150024152A1 (en) 2013-07-19 2015-01-22 Agilent Technologies, Inc. Metal components with inert vapor phase coating on internal surfa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3297A (ja) * 1990-03-29 1991-12-1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放電灯点灯装置
KR950035530A (ko) * 1994-05-24 1995-12-30 김종기 전자식 방전등용 점등장치
JPH1052068A (ja) * 1996-08-01 1998-02-20 Nec Corp 圧電トランスの駆動回路
JPH10312890A (ja) * 1998-05-22 1998-11-24 Kosei Japan:Kk 電子式放電管点灯装置
KR19990067938A (ko) * 1998-01-16 1999-08-25 고타니 고이치 방전등 점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10835T2 (de) * 1994-01-27 2000-03-16 Hitachi Metals Ltd Gerät zum Steuern einer Entladungslampe und piezoelektrischer Wandler dafür
JPH0831588A (ja) 1994-07-13 1996-02-02 Sony Corp 陰極放電管点灯装置
JP3119154B2 (ja) * 1995-07-06 2000-12-18 日立金属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JP3173585B2 (ja) * 1998-02-27 2001-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JP3050203B2 (ja) * 1998-04-27 2000-06-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トランスインバータ
JP3237614B2 (ja) * 1998-06-19 2001-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JP2000308358A (ja) * 1999-04-22 2000-11-02 Taiyo Yuden Co Ltd 圧電トランスの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3297A (ja) * 1990-03-29 1991-12-1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放電灯点灯装置
KR950035530A (ko) * 1994-05-24 1995-12-30 김종기 전자식 방전등용 점등장치
JPH1052068A (ja) * 1996-08-01 1998-02-20 Nec Corp 圧電トランスの駆動回路
KR19990067938A (ko) * 1998-01-16 1999-08-25 고타니 고이치 방전등 점등 장치
KR100327719B1 (ko) * 1998-01-16 2002-03-08 고타니 고이치 방전등 점등 장치
JPH10312890A (ja) * 1998-05-22 1998-11-24 Kosei Japan:Kk 電子式放電管点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974B1 (ko) 2008-06-25 2011-12-01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무전극방전등 점등장치 및 조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4286A (en) 2007-01-16
KR20020040556A (ko) 2002-05-30
US6509700B2 (en) 2003-01-21
US20020070674A1 (en) 2002-06-13
JP2002164190A (ja) 200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973B1 (ko) 압전 트랜스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백 라이트 장치,액정표시장치, 액정 모니터 및 액정 텔레비전
JP4972151B2 (ja) 放電灯点灯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5751120A (en) DC operated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ight
EP1220580B1 (en) Drive device and drive method for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US6975077B2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apparatus
US200201353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a capacitively coupled fluorescent lamp
WO2002030161A2 (en) Voltage feed push-pull resonant inverter for lcd backlighting
KR100463093B1 (ko) 음극 방전관의 구동 장치 및 방법
EP2222141B1 (en)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for AC-driving a discharge lamp
EP0758839B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driving apparatus using a piezoelectric transformer
JPH0845679A (ja) 冷陰極管点灯装置
JPH07220888A (ja) 放電管の駆動装置
JP3425716B2 (ja) 放電灯装置
KR100354520B1 (ko) 관외 전극 형광램프를 채용한 백라이트의 구동 방법
GB2397182A (en) Gas discharge lamp driver
KR200189769Y1 (ko) 형광램프용 인버터회로
KR100433804B1 (ko) 엘시디용 면발광 형광램프 구동장치
JP4410598B2 (ja) 蛍光管駆動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0058280A (ja) 圧電トランスの駆動方法
JP2003244964A (ja) 圧電トランス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液晶モニタ、並びに液晶テレビ
JP2004215463A (ja) 電源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WO2006114965A1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放電灯点灯制御方法
KR100528698B1 (ko) 램프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H04272698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0241884A (ja) 冷陰極管点灯駆動装置および液晶バックライト用冷陰極管点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