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820B1 -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820B1
KR100462820B1 KR10-2001-0073280A KR20010073280A KR100462820B1 KR 100462820 B1 KR100462820 B1 KR 100462820B1 KR 20010073280 A KR20010073280 A KR 20010073280A KR 100462820 B1 KR100462820 B1 KR 10046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 tool
tool unit
units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575A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1-007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82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B23Q17/096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by measuring a force on parts of the machine other than a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23Plants for the 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면과 곡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3차원 형상의 몸체에 가공물 표면을 공작, 증착, 변환, 및 검사 등의 기능을 갖는 기계유닛들을 배열 구성하여 작업물을 작업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배열을 예로 들어볼 때, 중심부에 회전축(11)이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동일한 작업기능을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작업기능을 갖는 가공유닛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공구유닛(20)의 배열로 구성되어, 실린더 보어면과 같은 개구면(A)이나, 정밀기계 부품의 내외측면, 또는 광학기기의 표면 등의 어떠한 3차원적 가공물 표면에서도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Manufacturing apparatus utilizing tool arrays with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은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과 곡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3차원 형상의 몸체에 가공물 표면을 공작, 증착, 변환, 및 검사 등의 기능을 갖는 기계유닛들을 배열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실린더의 보어(bore)면과 같은 개구면이나 정밀기계 부품의 내외측면, 또는 광학기기의 표면 등의 어떠한 3차원적 가공물 표면에서도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기기 표면이나 크게 굴곡이 진 곡면을 기계적으로 연마, 연삭 작업하기 위해서는 이들 곡면에 최적화된 상태로 공구 및 작업물을 회전시키거나, 공구를 곡면에 맞게 배치함으로써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보통은 공구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공전시키고, 작업물을 x, y, 및 z 축으로 이송하며 연마 및 연삭 작업을 수행하게 되나,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공구의 회전축을 공진시키기 위하여 작업물보다 매우 큰 거대한 기계장치를 필요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방법과는 다르게, 여러 개의 작업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연마 공구를 회전할 필요 없이 작업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작업물(1) 위에 접촉하여 하측에 다수개의 연마 패드(3)가 부착되는 유동막(2)이 위치하고, 그 위에 에어 베어링(6)이 연결된 액츄에이터(5)가 브리지(8)에 삽입되어 구성되어, 상기 유동막(2)에 연결된 좌측의 선형모터(4a)와, 상기 브리지(8)의 좌우측에 연결된 선형모터(7)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브리지(8)가 좌우로 이송되며 상기 연마 패드(3)에 의하여 작업물(1)을 연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유동막 위에 위치하여 이송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각 액츄에이터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가공 작업을 수행할 능력이 없으며, 따라서 이 유닛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큰 기계장치가 필요하고, 더욱이 작업물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오직 연마 및 미세 연삭 작업만이 가능하며, 거친 연삭이나 기타 다른 작업은 수행할 수가 없고, 실린더의 내면과 같은 곡률이 큰 표면은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실린더의 보어(bore)면과 같은 개구면이나 정밀기계 부품의 내외측면, 또는 광학기기의 표면 등의 어떠한 3차원적 가공물 표면에서도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평면과 곡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3차원 형상의 몸체에 가공물 표면을 공작, 증착, 변환, 및 검사 등의 기능을 갖는 작업공구유닛들을 배열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광학기기 연마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회전축
21 : 연삭기계유닛 22 : 연마기계유닛
20 : 작업공구유닛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평면 또는 곡면 혹은 그들의 합성면을 갖는 어떠한 3차원적 몸체(10) 위에 다양한 작업기능을 가진 작업공구유닛(20)들을 배열하여 작업물을 독립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의 형상으로는 원통형, 삼각, 사각 등의 다각기둥, 럭비공 형상, 원뿔, 삼각, 사각 등의 각뿔 형상 등 어떠한 형상으로 하여도 관계없고, 해당 작업의 성질에 따라 최적의 형상을 채택하면 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는 원통형 몸체, 또는 판형 몸체를 이용한 연마, 연삭 결합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중심부에 회전축(11)이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작업공구유닛(20)으로 구성되어, 실린더 보어면과 같은 개구면(A)에 삽입되어 연마 및 연삭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로서, 내측이 비어있는 원통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공구가 상기 몸체(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작업공구유닛(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작업물(B)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작업공구유닛(20)은 일례로 연삭기계유닛(21)과, 상기 연삭기계유닛(21)에 이웃하여 상기 몸체(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연마기계유닛(22)으로 구성함으로써, 해당 작업면을 이동하면서 연삭 작업과 연마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몸체(10)를 따라 배열된 작은 원통은 모두 작업공구유닛(20)을 의미함.)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중심부에 회전축(11)이 설치된 판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중심부에 대하여 원주방향 또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 패턴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작업공구유닛(20)으로 구성되어, 판형 또는 렌즈 및 거울형상의 완곡한 곡면을 가지는 물체(C) 등의 표면을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업공구유닛(20)은 상기 몸체와 부착되는 부분에, 선형 액츄에이터(미도시)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측에 설치되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작업물에 가하는 힘을 모니터하기 위한 로드 셀 또는 압전 동력계로 이루어지는 힘 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0)에 대한 작업공구유닛(20)의 작업공구의 깊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실시예인 경우에는 작업하려는 개구면(A)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상기 작업공구유닛(20)의 설치 깊이를 내측으로 조절하여 개구면(A)에 삽입한 후에, 다시 그 깊이를 조절하여 적정한 위치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작업되는 작업물(B)의 크기에 따라서 적정위치로 상기 작업공구유닛(20)의 설치 깊이를 조절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이며, 제 3실시예의 경우에도 작업하려는 물체(C)의 표면의 형상에 따라서 적정위치로 작업공구유닛(20)의 깊이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작업공구유닛(20)으로는 상기 연삭기계유닛(21) 및 연마기계유닛(22) 외에도, 공작기능, 증착기능, 변형, 변질기능, 또는 검사, 측정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가공도구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적으로 배열함으로써, 해당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일례로, 연삭기계유닛(21)과 연마기계유닛(22)을 이웃하여 배열하고, 그에 이웃하여 측정을 위한 검사기계유닛(미도시)을 배열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는, 연삭 작업 및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고, 그 후에 작업한 공간을 측정하는 작업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상기한 공작기능, 증착기능, 변형, 변질기능, 또는 검사, 측정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가공도구유닛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는, 연삭기계유닛(21)과 연마기계유닛(22)을 배열하여 장착한 상태를 중심으로 각 실시예 별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하는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우선, 실린더 블록의 보어면과 같은 개구면(A)에 본 발명의 공작기계장치의 일측단을 삽입한다. 이때, 개구면(A)이 작을 경우에는 상기 작업공구유닛(20)을 내측(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삽입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개구면(A)의 크기가 깊이에 따라 변화된다 하더라도,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하여 작업공구유닛(20)을 내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해당 작업면을 따라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일측단에 연삭기계유닛(21)이 3열 배치되고, 그에 이웃하여 연마기계유닛(22)이 2열 배치되어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면(A)에 연삭기계유닛(21)이 삽입되면서 연삭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후에 연마기계유닛(22)이 잇따라 삽입되면서 상기 연삭 작업이 이루어진 표면에 연마 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3에서는 일측단에 연삭기계유닛(21)이 내측으로 3열 배치되고, 그에 이웃하여 연마기계유닛(22)이 3열 배치되어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상기 연삭기계유닛(21)의 위치를 작업물(B)의 크기에 맞게 조절한 후에, 몸체(10)의 내측으로 작업물(B)을 삽입하며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즉, 먼저 상기 연삭기계유닛(21)에 의하여 연삭 작업이 수행되고, 상기 작업물(B)을 화살표 방향으로 보다 깊이 삽입하면서 연마기계유닛(22)에 의하여 연마 작업도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4의 경우에는 판형의 몸체(10)에 작업공구유닛(20)이 설치되어, 렌즈나 거울면 등의 광학기계 표면을 연삭 및 연마할 수 있으며,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 등 정밀한 연삭 및 연마가 필요한 표면을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와 힘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표면에 적합한 상태로 접촉하여 작업이 가능하므로 평면이 아닌 렌즈면과 같은 굽은 면도 작업이 가능하며, 곡률반경이 작은 크게 굽은 면도 자유롭게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평면과 곡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3차원 형상의 몸체에 가공물 표면을 공작, 증착, 변환, 및 검사 등의 기능을 갖는 기계유닛들을 배열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실린더의 보어(bore)면과 같은 개구면이나 정밀기계 부품의 내외측면, 또는 광학기기의 표면 등의 어떠한 3차원적 가공물 표면에서도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평면 또는 곡면 혹은 그들의 합성면을 갖는 어떠한 3차원적 몸체 위에, 다양한 작업기능을 가진 것으로, 선형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측에 설치되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작업물에 가하는 힘을 모니터하기 위한 로드 셀 또는 압전 동력계로 이루어지는 힘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에 설치하는 깊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공구유닛들을 상기 몸체와 부착되는 부분에 배열하여, 작업물을 독립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
  2. 중심부에 회전축이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와 부착되는 부분에, 선형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측에 설치되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작업물에 가하는 힘을 모니터하기 위한 로드 셀 또는 압전 동력계로 이루어지는 힘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에 설치하는 깊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공구유닛으로 구성되어,
    실린더 보어면과 같은 개구면에 삽입되어 작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
  3. 내측이 비어있는 원통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공구가 상기 몸체의 내측 방향을 향하며,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와 부착되는 부분에, 선형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측에 설치되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작업물에 가하는 힘을 모니터하기 위한 로드 셀 또는 압전 동력계로 이루어지는 힘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에 설치하는 깊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공구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에 작업물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
  4. 중심부에 회전축이 설치된 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중심부에 대하여 원주방향 또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 패턴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작업공구유닛으로 구성되어,
    판형 또는 렌즈 및 거울형상의 등의 평면 및 완만한 곡면을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구유닛은 상기 몸체와 부착되는 부분에, 선형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측에 설치되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작업물에 가하는 힘을 모니터하기 위한 로드 셀 또는 압전 동력계로 이루어지는 힘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에 설치하는 깊이를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구유닛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연삭기계유닛과, 상기 연삭기계유닛에 이웃하여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열 이상 설치되는 연마기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
  7.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구유닛은,
    가공, 증착, 변형, 변질, 검사, 측정 기능을 가진 기계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적으로 배열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당 작업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공작기계장치.
KR10-2001-0073280A 2001-11-23 2001-11-23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KR100462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280A KR100462820B1 (ko) 2001-11-23 2001-11-23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280A KR100462820B1 (ko) 2001-11-23 2001-11-23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575A KR20030042575A (ko) 2003-06-02
KR100462820B1 true KR100462820B1 (ko) 2004-12-17

Family

ID=2957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280A KR100462820B1 (ko) 2001-11-23 2001-11-23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8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711A (en) * 1991-03-25 1992-09-08 Westech Systems, Inc. Cleaning brush for semiconductor wafer
US5836807A (en) * 1994-08-08 1998-11-17 Leach; Michael A. Method and structure for polishing a wafer during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US6247197B1 (en) * 1998-07-09 2001-06-19 Lam Research Corporation Brush interflow distributor
US6299698B1 (en) * 1998-07-10 2001-10-09 Applied Materials, Inc. Wafer edge scrubber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711A (en) * 1991-03-25 1992-09-08 Westech Systems, Inc. Cleaning brush for semiconductor wafer
US5836807A (en) * 1994-08-08 1998-11-17 Leach; Michael A. Method and structure for polishing a wafer during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US6247197B1 (en) * 1998-07-09 2001-06-19 Lam Research Corporation Brush interflow distributor
US6299698B1 (en) * 1998-07-10 2001-10-09 Applied Materials, Inc. Wafer edge scrubb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575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6746B2 (ja) 半導体ウエハを研削するための回転研削盤用ワークホルダ及び該ワークホルダ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方法
Bingham et al. Novel automated process for aspheric surfaces
US896805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wafer grinding
KR100720275B1 (ko) 비축대칭 비구면 거울의 연삭 가공방법
JP6831835B2 (ja) 被加工物を仕上げるための、高度に制御可能な処理ツールを有する機械
JPS63162150A (ja) 光学的な面をラツピング仕上げ又はバニシング仕上げ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H0653309A (ja) 基板用保持固定具
JP2018531503A6 (ja) 被加工物を仕上げるための、高度に制御可能な処理ツールを有する機械
EP1587649B1 (de) vorrichtung zur hochgenauen bearbeitung der oberfläche eines objektes, insbesondere zum polieren und läppen von halbleitersubstraten
JP2009208212A (ja) 基板の薄厚平坦化加工装置
US6343980B1 (en) Flattening machine
CN113752105B (zh) 一种外圆柱面研抛装置及使用方法
WO2006041629A1 (en) Semiconductor wafer material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462820B1 (ko) 작업공구유닛의 배열을 이용한 가공기계장치
JP2006289566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成形型の研削加工方法及び研削加工装置
JP2004174711A (ja) 予備切削された歯を有するワークピースをギア仕上げ装置に整合させるための歯車心合せ装置
CN115673934A (zh) 一种磨抛测量一体式自动化加工装置及方法
US20210069858A1 (en) Modular clamping device
JPH117424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216842A (en) Glass grinding and polishing machine
KR100462819B1 (ko) 작업기계유닛의 캐리어 장치
JP2002025951A (ja) 両面加工装置及びその研磨手段のツルーイング方法
JP2004160565A (ja) 研磨方法および形状可変研磨工具装置
JP3687324B2 (ja) シリンダボアの高精度微細溝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JPH0919859A (ja) 超精密非球面鏡面部品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