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446B1 - 연료량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연료량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446B1
KR100461446B1 KR10-2001-0054356A KR20010054356A KR100461446B1 KR 100461446 B1 KR100461446 B1 KR 100461446B1 KR 20010054356 A KR20010054356 A KR 20010054356A KR 100461446 B1 KR100461446 B1 KR 10046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rm
flow rate
termi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308A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44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연료량 감지장치는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게 됨에 따라 차량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되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게되면, 그 연료의 수면에 떠있는 플로우트 또한 연료의 출렁임에 연동되게되므로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정확한 연료의 양을 감지할 수 없게되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할때 차량이 기울어짐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연료의 평균높이를 정확히 감지하여 연료 계기판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또한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는 수단을 형성하여 이 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경사각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계기판에 표시되는 유량이 이전상태의 것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연료 계기판의 오동작에 의한 운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제품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량 감지장치{Fuel Quantity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연료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 계기판의 오동작에 의한 운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제품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량 감지장치라 함은 연료탱크에 저장되어있는 연료의 양을 감지하여 계기판에 표시해주는 것으로서, 상기 연료량 감지장치에서 감지되는 수치에 따라 운전자가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량을 확인하게되고, 연료가 얼마남지 않았을 경우에는 연료를 재충전시켜 연료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과 도 2 는 종래의 연료량 감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연료펌프(1)의 외주면상에 연료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측정부(4)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량측정부(4)는 하우징(5)의 표면에 일정길이의 저항기판(8)이 형성되고, 하우징(5)의 상면에는 상기 저항기판(8)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아암가이드(6)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가이드(6)에는 미도시된 밧데리전압을 공급받으면서 아암가이드(6)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코일전선(7)이 감겨져 있으며, 저항기판(8)의 일측에는 유량감지신호를 경고등과 계기판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출력단자(9,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가이드(6) 상에는 일정길이의 아암(3)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힌지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아암(3)과 아암가이드(6)는 같이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아암(3)의 끝단에는 연료 위로 뜨는 플로우트(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량 감지장치는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수위가 변화함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플로우트(2)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아암(3)이 회전하게되고, 상기 아암(3)이 회전함에 따라 아암가이드(6)가 연동 회전하게되어 아암가이드(6)에 감겨있는 코일전선(7)과 저항기판(8)이 접촉되는 위치가 가변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코일전선(7)으로 공급되어 저항기판(8)을 통해 각각의 출력단자(9,10)로 출력되는 전압이 가변되게되며, 이 전압의 높낮이에 따라 경고등이 켜지거나 계기판의 지침 위치가 가변되어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의 양을 감지, 표시하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량 감지장치는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게 됨에 따라 차량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되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게되면, 그 연료의 수면에 떠있는 플로우트 또한 연료의 출렁임에 연동되게되므로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정확한 연료의 양을 감지할 수 없게되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 연료가 부족(Empty)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차량의 기울어짐에 따른 오동작으로 인해 연료탱크에 연료가 부족한 상태로 표시하게되면 운전자의 심리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되는데, 특히 상기와같은 오동작에 의해 연료경고등이 켜지게되면 운전자는 심한 심적 불안감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은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할때 차량이 기울어짐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연료의 평균높이를 정확히 감지하여 연료 계기판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또한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는 수단을 형성하여 이 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경사각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계기판에 표시되는 유량이 이전상태의 것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연료 계기판의 오동작에 의한 운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제품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량 감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위한 본발명은,
연료펌프에 형성된 하우징의 표면에 일정길이의 저항기판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저항기판에 습동 회전하는 아암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가이드에는 밧데리 전압을 공급받으면서 아암가이드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코일전선이 감겨져있고, 저항기판의 일측에는 유량감지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 1 및 제 2 출력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유량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료량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가이드와 함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아암가이드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아암과;
상기 메인아암의 끝부분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1 아암과 제 2 아암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의 끝단과 제 2 아암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연료의 유면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 1 및 제 2 플로우트; 를 형성하여
차량의 경사길 주행에 의해 연료탱크 내의 유면이 기울어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제 1 플로우트와 제 2 플로우트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게되고, 그의 중간높이에 메인아암이 위치하면서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른 유량이 아암가이드의 회전각에 반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메인아암의 끝단에 ''모양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중간부분이 부분절개되어 있는 링형상의 홀더와;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그 양측에는 상기 홀더의 절개부분을 통해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및 제 2 아암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가이드와;
샹기 샤프트 가이드의 축공에 삽입되는 샤프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단자의 출력단에 형성되고, 제어단으로의 전압입력 여부에 따라 스위칭동작하여 제 1 출력단자를 통한 출력전압이 경고등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2 릴레이스위치와;
상기 제 2 출력단자의 출력단에 형성되고, 제 2 출력단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서 연산부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단자를 가지며, 제어단으로의 전압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중 어느 하나의 단자가 온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와;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경사도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 2 및 제 3 릴레이스위치로 소정의 밧데리 전압을 공급하는 경사감지부와;
상기 제 1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유량감지신호를 자체 저장하면서 계기판으로 공급하여 현재의 유량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단자로부터 유량감지신호가 입력될때에는 현재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고 자체 저장되어있는 이전의 유량감지신호를 계기판으로 공급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제어단으로 전압이 입력되지 않을때 제 1 단자가 온상태로 동작하고, 제어단으로 전압이 입력될때에는 제 2 단자가 온상태로 전환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사감지부는 사각형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의 양측벽면에 제 2 및 제 3 릴레이스위치의 제어단과 연결되어 있는 접점을 각각 형성하며, 케이스의 중앙 상단에 차량의 경사도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 움직이는 추를 매설하되,
상기 추에 밧데리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추가 어느 접점에 닿았을때 소정의 밧데리 전압이 제 2 및 제 3 릴레이 스위치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연료량 감지장치가 적용된 연료펌프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의 연료량 감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연료량 감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결합수단을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결합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결합수단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유량 측정부 20 : 메인아암
21,22 : 아암 23,24 : 플로우트
25 : 결합수단 26 : 지지대
27 : 홀더 28 : 샤프트 가이드
31 : 샤프트 40 : 밧데리
41 : 시동스위치 42,47,48 : 릴레이스위치
43 : 경사감지부 51 : 연산부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4 는 연료펌프의 표면에 설치되는 감지되는 유량을 전기신호로서 경고등과 계기판으로 전송하는 유량측정부를 나타내는데, 상기 유량측정부(4)는 하우징(5)의 표면에 일정길이의 저항기판(8)이 형성되고, 하우징(5)의 상면에는 상기 저항기판(8)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아암가이드(6)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가이드(6)에는 미도시된 밧데리(10) 전압을 공급받으면서 아암가이드(6)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코일전선(7)이 감겨져 있으며, 저항기판(8)의 일측에는 유량감지신호를 경고등과 계기판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출력단자(9,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밧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운전자가 시동스위치(41)를 온동작시킴에 따라 제 1 릴레이스위치(42)가 온동작하면서 코일전선(7)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 1 릴레이스위치(42)의 출력전압은 후설하는 경사감지부(43)로도 공급된다.
도면부호 20은 상기 아암가이드(6)에 결합되는 메인아암을 나타내며, 이 메인아암(2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있고, 메인아암(20)의 끝부분에는 제 1 아암(21)과 제 2 아암(22)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25)은 메인아암(20)의 끝단에 ''모양을 가지는 지지대(26)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6)의 끝단에는 그 중간부분이 부분 절개되어있는 링형상의 홀더(27)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홀더(27)에는 샤프트(31)가 끼워지기 위한 샤프트 가이드(28)를 결합한다.
샤프트 가이드(28)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관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중앙부분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아암(21,22)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29)이 각각 형성되고, 샤프트 가이드(28)의 양측에는 상기 홀더(27)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30)이 요입 형성되며, 이 샤프트 가이드(28)의 중앙에는 샤프트(31)가 삽입되기 위한 축공(3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샤프트 가이드(28)는 결합홈(30) 부위를 홀더(27)의 절개부분에 밀어넣어 홀더(27)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홀더(27)에 삽입된 샤프트 가이드(28)는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은 상기 결합수단(25)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와같이 홀더(27)에 결합된 샤프트 가이드(28)의 일측 결합홀(29)에는 제 1 아암(21)이 결합되고 타측의 결합홀(29)에는 제 2 아암(22)이 결합되며, 각각의 아암(21,22)에는 연료에 뜨는 제 1 및 제 2 플로우트(23,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22)은 연료의 출렁임에 따라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메인아암(20)은 상기 제 1 아암(21)과 제 2 아암(22)의 중간높이에 위치하면서 연료의 출렁임이 아암가이드(6)의 회전각도에 반영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들어, 연료가 도 3 의 A와같이 수평을 이루고 있을때에는 제 1 아암(21)과 제 2 아암(22)이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메인아암(20)의 끝부분에 형성되어있는 결합수단(25)의 높이 또한 상기 아암(21,22)들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되므로 이 높이에 대응하여 아암가이드(6)가 회전하여 저항기판(8)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3 의 B와같이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함에 따라 도면상의 좌측이 낮아지고 우측이 높아지게되면, 제 1 아암(21)은 하측으로 회전하고 제 2 아암(22)은 상측으로 회전하게되어 연료의 유면 변화에 대응하게되고, 이때 결합수단(25)의 높이는 상기 제 1 아암(21)과 제 2 아암(22)의 중간높이에 위치하게되므로 연료의 출렁임이 아암가이드(6)의 회전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된다.
또한 도 3 의 C와같이 도면상의 좌측이 높아지고 우측이 낮아질때에도 제 1 아암(2)은 상측으로 회전하고 제 2 아암(22)은 하측으로 회전하게되어 연료의 유면변화에 대응하게되므로 이때에도 연료의 출렁임이 아암가이드(6)의 회전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된다.
상기와같은 동작에 의해 아암가이드(6)가 회전하게되면, 이 아암가이드(6)에 권선되어있는 코일전선(7)과 저항기판(8)의 접촉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제 1 출력단자(9)와 제 2 출력단자(1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가변되어 경고등과 계기판이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는 차량이 과도한 경사로를 주행할때 발생하는 연료량 오감지 및 표시동작을 미연에 차단하기위한 수단으로서 경사감지부(43), 릴레이스위치(47,48), 연산부(51)를 구성하였다.
상기 경사감지부(43)는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사각형 모양의 케이스(44)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44)의 양측벽면에 제 2 및 제 3 릴레이스위치(47,48)의 제어단과 연결되어 있는 접점(46)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케이스(44)의 중앙 상단에는 차량의 경사도에 따라 양측으로 움직여 접점(46)에 접촉되는 추(45)를 매설하였다.
상기 추(45)는 금속성의 와이어로서 매설하되, 그 와이어를 통해 제 1 릴레이스위치(42)를 통한 밧데리(40)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추(45)가 어느접점(46)에 접촉할때 소정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릴레이스위치(47)(48)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즉, 차량이 매우 경사도가 높은 도로를 주행함에 따라 차가 많이 기울어지게되어 상기 추(45)가 접점(46)에 닿을때 소정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릴레이스위치(47)(48)로 공급되는 것이다.
제 2 릴레이스위치(47)는 제어단으로 전압이 공급되지 않을때 온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1 출력단자(9)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경고등으로 출력하며, 상기 경사감지부(43)로부터 전압이 공급될때에 오프되어 제 1 출력단자(9)의 출력전압이 경고등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유량측정부(4)에서 감지된 유량이 아주 작아서 운전자에게 경고해주어야 할때 상기 제 1 출력단자(9)를 통해 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나 상기와같이 차량이 급경사의 길을 주행함에 따라 연료탱크에 연료가 차있는데도 불구하고 유량측정부(4)에서 연료가 비어있는 것으로 감지되어 제 1 출력단자(9)를 통해 감지신호가 출력되어 경고등이 켜지게되면 운전자가 심적으로 불안한 마음을 가지게되므로, 이를 방지하기위해 차량이 급경사로를 주행할때에는 상기 제 2 릴레이스위치(47)를 오프시켜 잘못 감지된 유량감지정보가 경고등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3 릴레이스위치(48)는 제 2 출력단자(10)의 출력신호를 계기판 측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제 2 출력단자(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서 연산부(51)에 공급하는 제 1 단자(49)와 제 2 단자(50)를 가지는데, 경사감지부(43)로부터 제어전압이 입력되지 않을때에는 제 1 단자(49)를 온상태로 유지시키고, 제어단으로 경사감지부(43)에서 출력된 전압이 입력될때에는 제 2 단자(50)를 온상태로 유지시킨다.
연산부(51)는 제 1 단자(49)를 통해 입력되는 유량감지신호를 자체 저장하면서 계기판으로 공급하여 현재의 유량이 표시되도록 하고, 만약 상기 제 2 단자(50)를 통해 유량감지신호가 입력될때에는 현재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면서 자체 저장되어 있는 이전상태의 유량감지신호를 계기판으로 공급한다.
차량이 급격한 경사로를 주행함에 따라 유량측정부(4)에서 연료량을 잘못 감지하게되더라도 상기 연산부(51)에의해 연료량을 잘못 감지할때의 신호가 계기판으로 공급되지 않고 그 이전상태, 즉 정상적으로 감지된 연료량 감지값이 계기판으로 공급되므로 운전자에게는 항상 정확한 연료량이 표시되어지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할때 차량이 기울어짐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연료의 평균높이를 정확히 감지하여 연료 계기판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또한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는 수단을 형성하여 이 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경사각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계기판에 표시되는 유량이 이전상태의 것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연료 계기판의 오동작에 의한 운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제품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량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연료펌프에 형성된 하우징의 표면에 일정길이의 저항기판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저항기판에 습동 회전하는 아암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가이드에는 밧데리 전압을 공급받으면서 아암가이드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코일전선이 감겨져있고, 저항기판의 일측에는 유량감지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 1 및 제 2 출력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유량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료량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가이드와 함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아암가이드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아암과;
    상기 메인아암의 끝부분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1 아암과 제 2 아암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의 끝단과 제 2 아암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연료의 유면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 1 및 제 2 플로우트; 를 형성하여
    차량의 경사길 주행에 의해 연료탱크 내의 유면이 기울어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제 1 플로우트와 제 2 플로우트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게되고, 그의 중간높이에 메인아암이 위치하면서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른 유량이 아암가이드의 회전각에 반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메인아암의 끝단에 ''모양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중간부분이 부분절개되어 있는 링형상의 홀더와;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그 양측에는 상기 홀더의 절개부분을 통해 삽입되기 위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및 제 2 아암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가이드와;
    샹기 샤프트 가이드의 축공에 삽입되는 샤프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단자의 출력단에 형성되고, 제어단으로의 전압입력 여부에 따라 스위칭동작하여 제 1 출력단자를 통한 출력전압이 경고등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2 릴레이스위치와;
    상기 제 2 출력단자의 출력단에 형성되고, 제 2 출력단자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서 연산부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단자를 가지며, 제어단으로의 전압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중 어느 하나의 단자가 온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와;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경사도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 2 및 제 3 릴레이스위치로 소정의 밧데리 전압을 공급하는 경사감지부와;
    상기 제 1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유량감지신호를 자체 저장하면서 계기판으로 공급하여 현재의 유량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단자로부터 유량감지신호가 입력될때에는 현재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고 자체 저장되어있는 이전의 유량감지신호를 계기판으로 공급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제어단으로 전압이 입력되지 않을때 제 1 단자가 온상태로 동작하고, 제어단으로 전압이 입력될때에는 제 2 단자가 온상태로 전환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감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감지부는 사각형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의 양측벽면에 제 2 및 제 3 릴레이스위치의 제어단과 연결되어 있는 접점을 각각 형성하며, 케이스의 중앙 상단에 차량의 경사도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 움직이는 추를 매설하되,
    상기 추에 밧데리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추가 어느 접점에 닿았을때 소정의 밧데리 전압이 제 2 및 제 3 릴레이 스위치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감지장치.
KR10-2001-0054356A 2001-09-05 2001-09-05 연료량 감지장치 KR10046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356A KR100461446B1 (ko) 2001-09-05 2001-09-05 연료량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356A KR100461446B1 (ko) 2001-09-05 2001-09-05 연료량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308A KR20030021308A (ko) 2003-03-15
KR100461446B1 true KR100461446B1 (ko) 2004-12-14

Family

ID=2772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356A KR100461446B1 (ko) 2001-09-05 2001-09-05 연료량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05B1 (ko) * 2009-03-20 2011-06-07 윤훈오 이씨유 제어를 위한 전자 제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321A (ja) * 1983-12-05 1985-06-29 Nissan Motor Co Ltd 液面検出装置
JPS62175623A (ja) * 1986-01-30 1987-08-01 Nissan Shatai Co Ltd 燃料タンクの液量ゲ−ジ装置
KR960004477U (ko) * 1994-07-26 1996-02-14 연료량 표시장치
KR19980049729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환 연료량 지시장치
KR20020043096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이중 뜨게를 이용한 연료 게이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321A (ja) * 1983-12-05 1985-06-29 Nissan Motor Co Ltd 液面検出装置
JPS62175623A (ja) * 1986-01-30 1987-08-01 Nissan Shatai Co Ltd 燃料タンクの液量ゲ−ジ装置
KR960004477U (ko) * 1994-07-26 1996-02-14 연료량 표시장치
KR19980049729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환 연료량 지시장치
KR20020043096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이중 뜨게를 이용한 연료 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308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2646A (en) Method for detecting the fuel level in the tank of a motor vehicle
KR100461446B1 (ko) 연료량 감지장치
KR100233738B1 (ko) 연료량 계측 장치
KR100314170B1 (ko) 주유수위 감지장치
KR100369125B1 (ko) 차량의 경사도 측정장치
JP2004117121A (ja) 建設機械の燃料残量検出装置
KR100239643B1 (ko) 연료계의 연결장치
KR19980026653A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KR100457717B1 (ko) 오일 레벨 센서
KR970008584B1 (ko) 자동차의 연료경고등 점등장치
KR100309413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량검출장치
JP3055925B2 (ja) フューエルメータ装置
KR20050038461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잔량 측정장치
KR100381309B1 (ko) 연료량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19990062242A (ko) 연료탱크의 액위 검출장치
KR100250290B1 (ko) 자동차용 연료계
KR19990027533U (ko) 자동차의 연료 게이지
KR19980017342U (ko) 차량의 연료량 표시장치
JP2548849Y2 (ja) 車両用液面レベル検出装置
KR101619523B1 (ko) 연료레벨 표시방법
KR0139091Y1 (ko) 자동차의 오일수준표시기
JP2004340665A (ja) 液量検出装置
JPH056115U (ja) 車両用エンジンのオイルレベル検出装置
JPH0743190A (ja) 残量警告機能付燃料計
KR100251186B1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