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114B1 -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114B1
KR100461114B1 KR10-2002-0054150A KR20020054150A KR100461114B1 KR 100461114 B1 KR100461114 B1 KR 100461114B1 KR 20020054150 A KR20020054150 A KR 20020054150A KR 100461114 B1 KR100461114 B1 KR 10046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cliner
recliner upper
bolt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551A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1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의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에 연결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과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간 체결부위가 연결 브라켓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간 힌지결합부위와 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이 하나의 체결수단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어짐으로써,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상에서 연결 브라켓을 지지하던 종래의 A 브라켓이 삭제될 수 있고, 또한 조립공정시 상기 A 브라켓의 용접공접 및 너트의 용접공정이 모두 삭제되어 전체적인 작업공수가 축소되어지는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Mounting structure of coupling bracket for seat cushion and seat back}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의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에 연결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과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간 체결부위가 연결 브라켓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간 힌지결합부위와 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이 하나의 체결수단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어짐으로써,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상에서 연결 브라켓을 지지하던 종래의 A 브라켓이 삭제될 수 있고, 또한 조립공정시 상기 A 브라켓의 용접공접 및 너트의 용접공정이 모두 삭제되어 전체적인 작업공수가 축소되어지는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또는 화물용 승합차량에 설치되는 리어시트는, 물건을 실을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백을 앞으로 폴딩시켜 시트쿠션쪽으로 접을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폴딩하여 접은 상태의 리어시트를 차체 바닥쪽으로 밀어 내리는 다이브(dive) 구조가 채용된 것이 많이 있다.
이러한 폴딩 앤 다이브(folding and dive) 구조가 채용된 시트에서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이하 '연결 브라켓'으로 약칭함)을 통해 하나의 몸체와 같은 구조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선단에는 차체 바닥과 연결된 다이브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폴딩 앤 다이브 구조가 채용된 시트에서,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과,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첨부한 도 2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측의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14)에 연결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12)의 상단부가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11) 소정 위치에 볼트(15) 및 너트(16)로 체결되어 있고, 이 체결부위의 하측으로는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12)에 용접 고정된 별도의 A 브라켓(17)에 연결 브라켓(13)의 상단이 부싱(bushing)(1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결 브라켓 결합구조에서는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11)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12) 사이의 볼트체결구조와,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12)과 연결 브라켓(13) 사이의 힌지결합구조가 각각 상하로 나누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각 브라켓의 조립과정에서 작업공수 및 이에 필요한 용접용 지그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결합구조를 적용할 경우, 볼트체결구조의 너트(16)를 용접하는 공정 및 A 브라켓(17)을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12)에 용접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용접용 지그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결 브라켓(13)의 조립공정을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11)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12)을 먼저 조립한 후 따로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하측의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에 연결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과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간 체결부위가 연결 브라켓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간 힌지결합부위와 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 및연결 브라켓이 하나의 체결수단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어짐으로써,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상에서 연결 브라켓을 지지하던 종래의 A 브라켓이 삭제될 수 있고, 또한 조립공정시 상기 A 브라켓의 용접공접 및 너트의 용접공정이 모두 삭제되어 전체적인 작업공수가 축소되어지는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사이드 브라켓 22 :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
23 : 연결 브라켓 25 : 볼트
26 : 너트 27 : 제1부싱
28 : 제2부싱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21)과, 이 사이드 브라켓(21)에 체결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과, 이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23)의 상단부에 서로 동축선상으로 배치되는 체결홀(21a,22a,23a)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브라켓(21),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 및 연결 브라켓(23)이 각 체결홀(21a,22a,23a)에 동시 삽입된 하나의 볼트(25)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23)이 그 체결홀(23a)에 삽입된 상태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의 체결홀(22a)을 중심으로 볼트(25)상에 끼워진 제1부싱(27)상에서 상기 볼트(25)의 헤드(25a)에 의해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으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은 그 상단부 끝이 사이드 브라켓(2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볼트(25)에 의해 사이드 브라켓(21)에 체결 고정되되, 너트(26)가 상기 사이드 브라켓(21)의 체결홀(21a)에 압입 고정된 상태로 볼트(25)상에 끼워진 제2부싱(28)을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 반대쪽에서 일정 정도 가압하는 상태로 볼트(25) 선단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측의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24)에 연결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과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21)간 체결부위가 연결 브라켓(23)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간 힌지결합부위와 동축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브라켓(21),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 및 연결 브라켓(23)이 하나의 체결수단(25)에 의해 동시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21)과, 이 사이드 브라켓(21)에 체결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과, 이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에 힌지 결합되는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23)(이하 '연결 브라켓'으로 약칭함)에는 체결수단인 볼트(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축선상으로 배치 형성된 체결홀(21a,22a,23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23)의 체결홀(23a)은 연결 브라켓(23)의 회동을 위하여 연결 브라켓(23)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볼트(25)는 상기와 같이 동축선상에 형성시킨 각체결홀(21a,22a,23a)에 삽입되되, 상기 연결 브라켓(23)과 사이드 브라켓(21)의 체결홀(21a)에서는 이에 각각 일정 부분 삽입된 부싱(bushing)(27,28)의 중앙홀 안으로 끼워진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23)의 체결홀(23a)에 삽입된 부싱(27)을 제1부싱이라 칭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21)의 체결홀(21a)에 삽입된 부싱(28)을 제2부싱이라 칭하기로 한다.
결국, 상기 연결 브라켓(23)은 그 체결홀(23a)에 삽입된 상태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의 체결홀(22a)을 중심으로 볼트(25)상에 끼워진 제1부싱(27)상에서 볼트 헤드(25a)에 의해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2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은 그 상단부 끝이 사이드 브라켓(21)에 지지된 상태로 그 체결홀(22a)을 통과하고 있는 상기 볼트(25)에 의해 사이드 브라켓(21)에 체결 고정되는 바, 너트(26)가 상기 사이드 브라켓(21)의 체결홀(21a)에 압입 고정된 상태로 볼트(25)상에 끼워진 제2부싱(28)을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 반대쪽에서 일정 정도 가압하는 상태로 볼트(25)의 선단부에 체결된다.
이에 상기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은 그 체결홀(22a)을 통과한 후 사이드 브라켓(21)의 체결홀(21a)에 압입 고정된 제2부싱(28)의 중앙홀을 통과한 볼트(25)와, 그 선단부에 체결 고정된 너트(26)에 의해 사이드 브라켓(21)에 체결되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서는 하측의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24)에 연결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과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21)간 체결부위가 연결 브라켓(23)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간 힌지결합부위와 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21),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 및 연결 브라켓(23)이 하나의 체결수단(25)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어짐으로써,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상에서 연결 브라켓을 지지하던 종래의 A 브라켓이 삭제될 수 있고, 상기 A 브라켓의 용접공접 및 너트의 용접공정이 모두 삭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하측의 리클라이너 베이스 브라켓에 연결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과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간 체결부위가 연결 브라켓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간 힌지결합부위와 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 및 연결 브라켓이 하나의 체결수단으로 동시에 체결되어짐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1)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상에서 연결 브라켓을 지지하던 종래의 A 브라켓이 삭제될 수 있고, 이에 A 브라켓 용접공정 및 이의 실시를 위한 용접용 지그가 필요 없게 된다.
2)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상에 너트를 용접하는 공정이 삭제될 수있고, 이의 실시를 위한 용접용 지그가 필요 없게 된다.
3)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 연결 브라켓을 동시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 브라켓과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을 먼저 조립한 후 연결 브라켓을 조립하던 것에 비해, 조립작업이 용이해짐은 물론 조립공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2)

  1.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드 브라켓(21)과, 이 사이드 브라켓(21)에 체결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과, 이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23)의 상단부에 서로 동축선상으로 배치되는 체결홀(21a,22a,23a)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브라켓(21),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 및 연결 브라켓(23)이 각 체결홀(21a,22a,23a)에 동시 삽입된 하나의 볼트(25)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23)이 그 체결홀(23a)에 삽입된 상태로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의 체결홀(22a)을 중심으로 볼트(25)상에 끼워진 제1부싱(27)상에서 상기 볼트(25)의 헤드(25a)에 의해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으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은 그 상단부 끝이 사이드 브라켓(2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볼트(25)에 의해 사이드 브라켓(21)에 체결 고정되되, 너트(26)가 상기 사이드 브라켓(21)의 체결홀(21a)에 압입 고정된 상태로 볼트(25)상에 끼워진 제2부싱(28)을 리클라이너 어퍼 브라켓(22) 반대쪽에서 일정 정도 가압하는 상태로 볼트(25) 선단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2002-0054150A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46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50A KR100461114B1 (ko)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50A KR100461114B1 (ko)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51A KR20040022551A (ko) 2004-03-16
KR100461114B1 true KR100461114B1 (ko) 2004-12-14

Family

ID=3732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50A KR100461114B1 (ko)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271A (ja) * 1993-08-27 1995-03-07 Suzuki Motor Corp 車両の折り畳みシート
JPH09240335A (ja) * 1996-03-06 1997-09-16 Araco Corp シートバック可倒式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ヒンジ機構
JP2000094996A (ja) * 1998-09-25 2000-04-04 Shiroki Corp シート格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271A (ja) * 1993-08-27 1995-03-07 Suzuki Motor Corp 車両の折り畳みシート
JPH09240335A (ja) * 1996-03-06 1997-09-16 Araco Corp シートバック可倒式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ヒンジ機構
JP2000094996A (ja) * 1998-09-25 2000-04-04 Shiroki Corp シート格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51A (ko)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4160A1 (en) Foldable vehicle seat from a use position to a stowed position and related layout of a seat assembly
CA2337037A1 (en) Kneeling and tumbling automotive seating assembly
US20220048422A1 (en) Power leg rest for vehicle
US6679536B1 (en) Foldable and tumblable seat system
US20050082883A1 (en) Sinking seat for a vehicle
US8066325B2 (en) Deployable bolster for a vehicle seat
KR100461114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백 연결 브라켓의 결합구조
US4877282A (en) Foldable seat assembly for motor vehicle
KR20220016369A (ko) 차량의 암레스트
JP2005313869A (ja) 車両用ダブルフォールディングシート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JP3461777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854253B2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KR100315362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JP3876436B2 (ja) 自動車のリア・シート
JPH10119613A (ja) 車両用シートの収納構造
US20040155505A1 (en) Seating for automotive vehicles
JP2001260723A (ja) 車両用シート
JP407850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取付構造
JP3906815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取付構造
JPH0545552Y2 (ko)
US5098159A (en) Automotive seat
KR20230091577A (ko) 차량용 시트
KR100315363B1 (ko) 레저용 차량의 2열시트의 힌지와 넉클의 결합 구조
JP2000106972A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レスト取付支持構造
JPH0975168A (ja) 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