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139B1 -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 Google Patents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139B1
KR100458139B1 KR10-2001-0047405A KR20010047405A KR100458139B1 KR 100458139 B1 KR100458139 B1 KR 100458139B1 KR 20010047405 A KR20010047405 A KR 20010047405A KR 100458139 B1 KR100458139 B1 KR 10045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ead
concrete
upper side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089A (ko
Inventor
백승목
박현기
최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1-004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1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뚝의 두부를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뚝의 두부의 타설시 불순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철근(16)을 이용해 말뚝(20)의 골조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근(16)에 의해 형성된 말뚝(20)의 골조 외경측에 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의 골조가 형성된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말뚝(20)에 두부정리장치(11)를 거푸집의 상부측에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의 두부정리장치(11)가 콘크리트에서 2∼3시간 양생된 후, 말뚝의 두부정리장치(11)를 말뚝(20)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콘크리트에 공극(15)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두부정리장치(11)의 형상에 의해 구획된 콘크리트를 핸드브레이커로 파쇄시키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PILE HEAD REMOVING APPARATUS AND PILE HEAD REMOVING METHOD}
본 발명은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정리방법에 관한 것으로,더욱 상세하게는 말뚝의 두부를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의 구부려짐을 방지하고 말뚝의 두부의 타설시 불순물을 원활하게 제거하여 상부 구조물과 양호한 품질로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말뚝을 형성시킬시에는 철근에 분리형 커버를 씌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말뚝(2)의 기초를 이루는 철근(4)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양생된 후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서 하부측으로 50cm정도를 남겨두고 기계브레이커 등을 사용하여 상단부의 콘크리트를 파쇄시킨다.
상기 대형 브레이커로 파쇄시킬 경우에는 인력깨기 부분까지인 기준면 하부까지 콘크리트가 파쇄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나머지 50cm는 핸드프레이커로 인력을 이용해 파쇄시켜 말뚝(2)의 두부를 정리한다.
이때에 말뚝(2)의 상단부를 정리하기 위한 기계브레이커 사용시에는 장비의 작업을 위한 위치공간이 적당하지 못하다.
또한, 계속적인 작업에서는 말뚝(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초 철근(4)을 구부리면서 콘크리트를 파쇄시켜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많은 예산비용과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말뚝의 상단부에 구부러진 철근들은 확대기초 연결부의 철근이 제대로 연결될 수 없어 강도상에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사현장에 사용되는 말뚝의 두부를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고, 콘크리트를 이용해 말뚝의 두부의 타설시 말뚝의 상부측으로 상승된 불순물을 원활하게 제거하여 상부 구조물과 양호한 품질로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말뚝 두부정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말뚝 두부정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말뚝 두부정리장치가 말뚝에서 양생되는 것을 상부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를 말뚝에서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를 이용해 말뚝상의 콘크리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관통부 12: 분할판
14: 리프트용 고리 15: 공극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말뚝 두부정리장치는, 상하로 뚫려진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경측이 2개이상으로 분할되게 형성된 분할판과, 상기 관통부 및 분할판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리프트용 고리로 구성된다.
또한, 말뚝의 두부정리 방법은,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에 의해, 철근을 이용해 말뚝의 골조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근에 의해 형성된 말뚝의 골조 외경측에 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의 골조가 형성된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양생되는 말뚝 상부측에 두부정리장치를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에서 두부정리장치가 콘크리트에서 2∼3시간 양생된 후, 말뚝의 두부정리장치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콘크리트에 공극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두부정리장치의 형상에 의해 구획된 콘크리트를 핸드 브레이커로 파쇄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말뚝의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상하로 뚫려진 원통형의 관통부(10)가 형성되고, 상기의 관통부(10) 내측에는 2개이상의 분할판(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관통부(10)에 형성된 분할판(12)은 관통부의 내경측이 다수개로 나눠지게 형성된다.
또한, 관통부(10)의 내경에 형성된 분할판(12)의 상부측에는 원통형 관통부(10)를 원활하게 상부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리프트용 고리(14)가 2개이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말뚝의 두부정리장치(11)를 이용해 말뚝의 두부를 정리시키기 위해 철근(16)을 이용해 말뚝의 골조를 형성한다.
상기 철근(16)에 의해 골조의 말뚝의 골조가 형성되면, 골조의 외경측에 거푸집을 형성한다.
상기 철근(16)의 기초 골조가 형성된 말뚝(20)의 거푸집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거푸집내의 철근(16)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묻힌 후, 말뚝의 두부정리장치(11)를 거푸집의 상부측에 매설하여 콘크리트와 같이 양생시킨다..
상기 콘크리트 말뚝상에서 매설된 두부정리장치(11)를 뽑아내기 용이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2∼3시간정도 양생되면, 타설된 콘크리트 말뚝(20)상에 설치된 두부정리장치(11)를 말뚝(20)의 상부측으로 뽑아지도록 들어올리면 두부정리장치는 상하부측이 관통되어 있어 쉽게 뽑아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말뚝(20)의 상부측에 양생된 콘크리트를 두부정리장치(11)의 콘크리트를 핸드브레이커로 파쇄시킨다.
상기와 같이 말뚝(20)의 상부측에 두부정리장치(11)를 매설시켰다가, 타설된 콘크리트가 적당하게 양생되면, 두부정리장치(11)를 말뚝(20)의 상부측에서 뽑아내어 분리시키면 분리된 두부정리장치(11)의 형상과 동일한 틈새의 공극(15)이 발생된다.
말뚝(20)의 상부측에 두부정리장치(11)에 의해 형성된 공극(15)을 핸드브레이커에 의해 파쇄시켜 말뚝(20)의 상부측의 두부를 정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말뚝의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말뚝 두부정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말뚝 두부정리장치가 말뚝에서 양생되는 것을 상부측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를 말뚝에서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를 이용해 말뚝상의 콘크리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11)는, 대략 원통형의 관통부(10)를 형성하고, 상기의 관통부(10)의 내경측에 열십자형으로 분할판(12)을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의 관통부(10)내에 형성된 분할판(12)은, 도 3 과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에 매설시켜 놓으면 4개의 영역으로 나눠지게 되고, 나눠진 영역에서 타설된 콘크리트는 각각이 양생된다.
상기 분할판(12)의 외주면은 원통형의 관통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관통부의 상하부측이 관통되어 있어 말뚝(20)의 길이방향으로 뽑아내기가 쉬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원통형의 관통부(10) 및 분할판(12)을 말뚝에서 뽑아서 들어올리기 위해 리프트용 고리(14)가 원통형 관통부(20) 또는 분할판(12) 중 어느 한 부분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4 와 같이 상기 리프트용 고리(14)에 작키, 체인블럭, 턴 버클 등을 걸어 올리면 분할판(12) 및 원통형 관통부(10)의 두부정리장치(11)를 쉽게 콘크리트와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두부정리장치를 이용해 콘크리트 말뚝의 상부측을 보다 쉽게 정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11)를 이용해 말뚝(20)의 두부를 더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공정은, 철근(16)을 이용해 콘크리트 말뚝(20)을 만들 골조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난 후에, 상기 철근(16)에 의해 형성된 골조의 외경측에는 콘크리트를 타설시키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한다.
상기 철근(16)의 골조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타설되면서, 불순물들이 말뚝(20)의 상부측으로 밀려 올라온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타설되면, 거푸집의 상부측에 말뚝의 외주면측에 형성된 철근(16)의 중앙부측에 두부정리장치(11)를 끼워 넣는다.
상기의 두부정리장치(11)는 얇은 강판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원통형상으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측에서 밀어넣으면 타설된 콘크리트로 쉽게 박혀지면서 밀려넣어진다.
말뚝(20)상에는 원형을 이루면서 위치되도록 철근(16)을 다수개 형성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원형으로 위치된 철근(16)의 내경, 즉, 말뚝(20)의 중앙부분에 끼워지도록 원통형 관통부(10)의 직경이 철근(16)의 골조를 이루고 있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말뚝(20)의 상부측에 콘크리트 타설이 완전히 끝난 후에,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매설시키기 위해 밀려넣어진 두부정리장치(11)를 매설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2∼3시간 정도 양생이 된 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굳기 전에 두부정리장치(11)의 상부측에 리프트용 고리(14)에 턴버클 등을 걸어 말뚝의 상부측으로 뽑아낸다.
상기의 두부정리장치(11)를 뽑아내는 시간이 콘크리트 양생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지 않아 뭉게질 수 있어 공극(15)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두부정리장치(11)를 주어진 시간보다 길게 적용될 경우에는 잘못하면 딱딱하게 경화되기 때문에 잘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두부정리장치(11)가 끼워진 상태로 경화되면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이전에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의 양생시간을 2∼3시간정도로 설정해 놓고 있지만 콘크리트의 혼합비율에 따라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말뚝의 콘크리트상에서 뽑혀져 나온 자리에는 두부정리장치(11)의 원형 관통부(10) 및 분할판(12)의 형상과 동일한 공극(15)이 형성된다.
상기 말뚝의 상부측에는 공극(15)이 형성된 콘크리트 상태로 양생되고 난후에는 공극(15)이 형성된 넓이만큼 핸드 브레이커 등을 이용하면 쉽게 파쇄된다.
이는 콘크리트상에 형성된 공극(15)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시키기 위한 부위를 작은 충격을 주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말뚝상의 상부측에 형성된 콘크리트부분은 사이사이에 공극(15)이 길이방향으로 여러개의 부분으로 나눠져 형성되기 때문에 말뚝의 좌우측으로 충격을 가하게 되면 콘크리트는 공극(15)의 사이 사이로 균열이 발생하거나 밀리면서 파쇄된다.
따라서, 말뚝의 상부측에 형성된 골조의 철근(16)을 종래의 기술과 같이 휘어버리지 않고 중앙부위에 형성된 콘크리트 부위만을 먼저 파쇄시킬 수 있다.
또한, 철근(16)에 형성된 콘크리트부는 말뚝의 중앙 부분을 먼저 파쇄하고 난후에 쉽게 파쇄시킬 수 있다. 즉, 말뚝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콘크리트부분을 먼저 파쇄시키면 외주면측의 철근이 박혀져 있는 부분의 콘크리트는 그 두께가 더욱 얇아지기 때문에 보강된 철근(16)을 도 5 와 같이 휘어버리지 않고도 콘크리트 부분만을 쉽게 파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철근(16)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철근(16)이 오염되지 않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긴커버가 씌워져 있어 큰크리트 파쇄시에 커버를 제거하면 철근(16)의 표면에는 콘크리트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부정리방법에 의해 콘크리트 말뚝의 두부를 정리할 수 있어 종래의 방법보다 매우 간단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 발명의 두부정리장치를 재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에 의해, 기초 골조로 형성된 철근을 구부리지 않고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말뚝과 확대기초 연결부위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를 이용해 파쇄시에 말뚝의 기준면이하로 파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말뚝의 강도를 저하시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부정리장치에 의해 적은 인력으로도 쉽게 콘크리트를 파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말뚝의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공사에 드는 간접비용 등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말뚝의 두부정리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부(10)와,
    상기 관통부(10)의 내경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2개이상으로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 분할판(12)과,
    상기 관통부(10) 및 분할판(12)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형성된 리프트용 고리(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두부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용 고리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두부정리장치.
  3. 제 1 항 기재의 두부정리장치에 의해, 철근(16)을 이용해 말뚝(20)의 골조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근(16)에 의해 형성된 말뚝(20)의 골조 외경측에 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16)의 골조가 형성된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양생되는 말뚝(20)의 상부측에 두부정리장치(11)를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20)에서 두부정리장치(11)가 콘크리트에서 2∼3시간 양생된 후, 말뚝(20)의 두부정리장치(11)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콘크리트에 공극(15)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두부정리장치(11)의 형상에 의해 구획된 콘크리트를 핸드 브레이커로 파쇄시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의 두부정리방법.
KR10-2001-0047405A 2001-08-07 2001-08-07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KR10045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405A KR100458139B1 (ko) 2001-08-07 2001-08-07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405A KR100458139B1 (ko) 2001-08-07 2001-08-07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089A KR20030013089A (ko) 2003-02-14
KR100458139B1 true KR100458139B1 (ko) 2004-11-26

Family

ID=2771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405A KR100458139B1 (ko) 2001-08-07 2001-08-07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200B1 (ko) 2020-08-12 2021-07-08 주식회사 지오로직스 현장 타설 콘크리트말뚝의 두부정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8523A (en) * 1979-02-15 1980-08-20 Fujita Corp Method for head treatment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JPS5693919A (en) * 1979-12-28 1981-07-29 Takenaka Komuten Co Ltd Treatment of extrabanking concrete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JPS5880020A (ja) * 1981-11-02 1983-05-14 Hasegawa Komuten Co Ltd 場所打ち杭の杭頭処理工法
JPS58204216A (ja) * 1982-05-24 1983-11-28 Sekisui Jushi Co Ltd 場所打ちコンクリ−ト杭の杭頭処理方法
JPS59199912A (ja) * 1983-04-26 1984-11-13 Marui Sangyo Kk 場所打ち杭用杭頭処理具
JPH068434U (ja) * 1992-07-06 1994-02-04 丸井産業株式会社 構築用既製杭の杭頭処理金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8523A (en) * 1979-02-15 1980-08-20 Fujita Corp Method for head treatment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JPS5693919A (en) * 1979-12-28 1981-07-29 Takenaka Komuten Co Ltd Treatment of extrabanking concrete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JPS5880020A (ja) * 1981-11-02 1983-05-14 Hasegawa Komuten Co Ltd 場所打ち杭の杭頭処理工法
JPS58204216A (ja) * 1982-05-24 1983-11-28 Sekisui Jushi Co Ltd 場所打ちコンクリ−ト杭の杭頭処理方法
JPS59199912A (ja) * 1983-04-26 1984-11-13 Marui Sangyo Kk 場所打ち杭用杭頭処理具
JPH068434U (ja) * 1992-07-06 1994-02-04 丸井産業株式会社 構築用既製杭の杭頭処理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200B1 (ko) 2020-08-12 2021-07-08 주식회사 지오로직스 현장 타설 콘크리트말뚝의 두부정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089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663B1 (ko) 탑 다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0458139B1 (ko) 말뚝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KR100932299B1 (ko)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부분 철거와 철근 연장을 위한 매설물 장치
KR10130311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용 하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방법
WO2006054094A1 (en) Method of breaking down concrete piles
JP3803298B2 (ja) 橋梁の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解体方法
KR101471058B1 (ko) 가시설 흙막이 벽체의 공극부 충진 공법
KR100966639B1 (ko) 맨홀보수공법
CN110984178B (zh) 一种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74200B1 (ko) 현장 타설 콘크리트말뚝의 두부정리방법
KR100403989B1 (ko)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피씨플레이트
JPS6354093B2 (ko)
KR101563710B1 (ko) “j”형 측구수로관의 설치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KR1002918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 볼트 구멍을 성형하는 방법 및 그 성형기구
KR100314779B1 (ko)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처리공법
JP2010281038A (ja) 山留め工法
JP7244967B1 (ja) 既設ジョイント装置の撤去方法
JP3620323B2 (ja) 地下構造物の改築方法
KR19990024358U (ko) 콘크리트 슬라브 거푸집틀용 탈형장치
KR20100111090A (ko) 현장타설말뚝의 두부정리방법
JP4007988B2 (ja) 縁石一体型側溝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6829173U (zh) 活动式预制混凝土墩保护锅炉基础地脚螺栓装置
JPS62236916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ト杭の余盛部処理装置
JPH0347367B2 (ko)
JPH07268866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杭頭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