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783B1 -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783B1
KR100457783B1 KR10-2001-0044343A KR20010044343A KR100457783B1 KR 100457783 B1 KR100457783 B1 KR 100457783B1 KR 20010044343 A KR20010044343 A KR 20010044343A KR 100457783 B1 KR100457783 B1 KR 10045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wood
wood
antiseptic
cylindrical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745A (ko
Inventor
서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1-004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7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부처리된 원주목을 수중보로 구성하고 그 주변에 상당 크기의 거석(巨石)을 다수개 배치하여 지지하므로써, 수중보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간의 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들이 소통할 수 있도록 자연친화적인 구성을 가진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제작되고 하천의 하상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의 기능의 방부 원통목과, 상기 방부 원통목 주위에서 하천 바닥으로 삽입되므로써 상기 방부 원통목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부처리된 방부 원주목과, 상기 방부 원통목을 따라 방부 원통목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의 하상에 놓여져 상기 방부 원통목을 지지하는 소정 크기의 거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An eco underwater barrage structure for using cylinder wood and it's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방부처리된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부처리된 원통목으로 하천의 수중보를 구축하고 그 원통목의 주변에 상당 크기의 거석(巨石)들을 배치하여 지지시킴으로써, 수중보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간의 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하여 하천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유속을 줄이고 수위를 인위적으로 높이기 위한 구조물로서 하상에 수중보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수중보는 내구성의 목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진다. 따라서,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간의 물의 소통이 인위적으로 차단되어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의 소통도 인위적으로 차단되므로써 생태계에 심각한 교란을 일으키고 있다.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의 소통을 위해서는 별도의 조치가 강구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한 방법은 수중보에 별도의 어로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별도의 어로 설치 방법은 수중보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하므로,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고, 시공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비록 인위적인 어로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하여 인간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이므로 그 실효성에 상당한 의문이 있으며 실제로 설치된 어로가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중보 구조물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간의 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방부처리된 원통목으로 하천의 수중보를 구축하고 그 원통목의 주변에 원주목으로 된 말뚝을 박고 상당 크기의 거석들을 배치하여 지지시킴으로써, 수중보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하천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자연친화적인 구성을 가진 원통목을 이용한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통목 2 원주목
3 지지석 4 하상
10 수중보 구조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제작되고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하상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의 기능의 방부 원통목과, 상기 방부 원통목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방부 원통목의 주면과 접촉하면서 하천 바닥에 박혀 상기 방부 원통목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부처리된 방부 원주목과, 상기 방부 원통목의 양측 외주를 따라 방부 원통목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의 하상에 놓여져 상기 방부 원주목과 함께 방부 원통목을 지지하는 소정 크기의 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부 원통목은 상하로 다수층 적층되며, 상기 방부 원주목은 그 상단이 최상층에 위치하는 방부 원통목의 무게중심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이 제공된다.
위와 같이 방부 원주목의 하상 위로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방부 원통목을 상하로 적층하게 되면 하천의 깊이에 따라 수중보 구조물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보의 폭 역시 다수개의 상기 방부 원통목을 하상에 나란하게 놓음으로써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부 원통목을 상하로 그리고 수평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수중보 구조물의 규모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방부 처리된 통나무로 이루어진 방부 원통목의 굵기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하천의 상하류측으로 2열을 형성하면서 하천의 폭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방부 원주목들을 하상에 박아서 고정하고, 상기 방부 원주목의 2열 사이에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 기능을 하기 위한 방부 원통목을 끼우면서 상하로 다수층 적층하여 고정하되, 최상층에 위치하는 방부 원통목의 무게중심이 상기 방부 원주목의 상단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방부 원주목에 의해 고정된 방부 원통목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에 상기 방부 원통목의 주면을 지지하는 소정 크기의 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석을 배치하는 작업을 통해 수중보 구조물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수중보 구조물 설치 후 상류측의 수위가 약 300 내지 400cm 정도가 되는 작은 하천의 경우, 하나의 방부 원통목만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방부 원통목의 지름은 60 내지 80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만일 하천이 이보다 더 크거나 더 깊은 상류측 수위가 요구되는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방부 원통목을 상하로 다수개 적층하거나 수평으로 다수개 나란하게 놓거나 또는 이를 적절히 조합하므로써 요구되는 규모의 구조물로 만들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10)에서는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제작된 방부 원통목(1)이 하천을 가로질러 하상 위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방부 원통목(1)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부 원통목(1)의 주위에는 다수개의 원주목(2)이 상기 방부 원통목(1)의 측면에 닿은 상태로 하천 바닥으로 삽입된다. 상기 원주목(2) 역시 방부처리된 목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 원통목(1)을 따라 방부 원통목(1)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의 하상에는 상기 방부 원통목(1)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소정 크기의 다수개의 거석으로 이루어진 지지석(3)들이 놓여진다. 도면에서는 상기 지지석(3)이 2열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중보 구조물 설치 후 상류측의 수위가 약 300 내지 400cm 정도가 되는 작은 하천의 경우, 하나의 방부 원통목(1)만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방부 원통목(1)의 지름은 60 내지 80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중보의 기능을 하는 주요부가 통나무로 이루어진 방부 원통목(1)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원통목(1)이 하상(4)에 자연스럽게 놓여져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원통목(1)의 하부면과 하상과의 사이에 수중 생물이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의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들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게 되어 수중보 구조물의 설치로 인한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중보 구조물과는 달리 별도의 어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한편, 방부 원통목(1)의 주변에 놓여진 지지석(3) 사이에는 거석의 자연적인형상으로 인하여 틈새가 존재하는데, 이 틈새는 수중 생물들에게 자연스러운 은익처와 보금자리를 제공하게 되어 생태계 보전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 구조물은 하천의 규모와 깊이에 따라 그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앞서 설명한 1개의 원통목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보다 더 큰 규모의 본 발명의 수중보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다수개의 방부 원통목(1)을 적층하기 위하여, 방부 원통목(1)을 지지하는 방부 원주목(2)의 하상(4) 위로의 돌출높이를 증가시킨다. 또한, 하천 흐름 방향으로의 방부 원주목(2) 간의 간격을, 하상에 직접 놓여지는 방부 원통목(1)의 전체 직경에 맞추어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방부 원통목(1)을 상하로 및/또는 수평으로 적층하여 배치하게 되면 하천의 깊이와 규모에 따라 수중보 구조물의 규모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상의 폭을 따라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도록 사전에 방부처리된 다수개의 방부 원주목(2)을 하천 바닥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된 방부 원주목(2)의 열 사이에는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 기능을 하는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이루어진 방부 원통목(1)을 끼워 고정한다. 상기방부 원주목(2)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 방부 원통목(1)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에는 상기 방부 원통목(1)을 지지하는 소정 크기의 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석(3)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수중보 구조물에 비하여 그 시공방법이 매우 간단하다.
특히, 종래에는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중 콘크리트와 같은 특수 콘크리트를 사용하거나 하천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막아야 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하천 흐름 정지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수중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단축되며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보의 기능을 하는 주요부가 통나무 원통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원통목이 하상에 자연스럽게 놓여져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원통목의 하부면과 하상과의 사이에 수중 생물이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의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상류와 하류간의 수중 생물들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게 되어 수중보 구조물의 설치로 인한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에서는 실질적으로 수중보의 기능을 하게 되는 방부 원통목 주변으로 거석이 놓여지며, 거석과 거석 사이에는 거석의 자연적인 형상으로 인하여 틈새가 존재하는데, 이 틈새는 수중 생물들에게 자연스러운 은익처와 보금자리를 제공하게 되어 생태계 보전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일부러 어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그에 따라 시공비용이 절감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전에 방부처리된 원통목을 필요한 하상 위치에 놓고 그 주변을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수중보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방법이 간단하며 그만큼 시공비용이 절감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중보 구조물에 사용되는 재료는 모두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천연적인 목재를 사용하므로 종래 콘크리트로 시공된 수중보와는 달리 수중보 구조물로서의 사용을 완료한 후 철거하여 용도 폐기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Claims (3)

  1. 방부처리된 통나무로 제작되고 하천의 양안을 가로지르면서 하상에 놓여져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의 기능의 방부 원통목(1)과,
    상기 방부 원통목(1)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방부 원통목(1)의 주면과 접촉하면서 하천 바닥에 박혀 상기 방부 원통목(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부처리된 방부 원주목(2)과,
    상기 방부 원통목(1)의 양측 외주를 따라 방부 원통목(1)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의 하상에 놓여져 상기 방부 원주목(2)과 함께 방부 원통목(1)을 지지하는 소정 크기의 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석(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부 원통목(1)은 상하로 다수층 적층되며, 상기 방부 원주목(2)은 그 상단이 최상층에 위치하는 방부 원통목(1)의 무게중심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2. 삭제
  3. 방부 처리된 통나무로 이루어진 방부 원통목(1)의 굵기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하천의 상하류측으로 2열을 형성하면서 하천의 폭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방부 원주목(2)들을 하상에 박아서 고정하고,
    상기 방부 원주목(2)의 2열 사이에 하천의 흐름을 막아 상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중보 기능을 하기 위한 방부 원통목(1)을 끼우면서 상하로 다수층 적층하여 고정하되, 최상층에 위치하는 방부 원통목(1)의 무게중심이 상기 방부 원주목(2)의 상단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방부 원주목(2)에 의해 고정된 방부 원통목(1)의 상류측면 및 하류측면에 상기 방부 원통목(1)의 주면을 지지하는 소정 크기의 거석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석(3)을 배치하는 작업을 통해 수중보 구조물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01-0044343A 2001-07-24 2001-07-24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5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343A KR100457783B1 (ko) 2001-07-24 2001-07-24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343A KR100457783B1 (ko) 2001-07-24 2001-07-24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745A KR20030009745A (ko) 2003-02-05
KR100457783B1 true KR100457783B1 (ko) 2004-11-18

Family

ID=2771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343A KR100457783B1 (ko) 2001-07-24 2001-07-24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53B1 (ko) 2010-04-22 2013-02-08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920B1 (ko) * 2002-07-22 2005-05-11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007A (ja) * 1996-08-29 1998-03-10 Yamatatsugumi:Kk 木材を表面に埋め込ん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法
JPH11181738A (ja) * 1997-12-20 1999-07-06 Nisshoku Corp 護岸材
JP2000087335A (ja) * 1998-09-14 2000-03-28 Bosai Kogyo Kk ブロックおよび水生生物生息用治水構造物
KR20000020515A (ko) * 1998-09-22 2000-04-15 허태학 자연형 하천의 수제조성공법
JP2001030211A (ja) * 1999-07-23 2001-02-06 Sato Kogyo Co Ltd 伐採材等の樹木発生材を利用した土木用資材
KR20010055762A (ko) * 1999-12-13 2001-07-04 허 태 학 섶단을 이용한 생태낙차공 조성공법
KR20030008750A (ko) * 2001-07-20 2003-01-29 박이동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007A (ja) * 1996-08-29 1998-03-10 Yamatatsugumi:Kk 木材を表面に埋め込ん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法
JPH11181738A (ja) * 1997-12-20 1999-07-06 Nisshoku Corp 護岸材
JP2000087335A (ja) * 1998-09-14 2000-03-28 Bosai Kogyo Kk ブロックおよび水生生物生息用治水構造物
KR20000020515A (ko) * 1998-09-22 2000-04-15 허태학 자연형 하천의 수제조성공법
JP2001030211A (ja) * 1999-07-23 2001-02-06 Sato Kogyo Co Ltd 伐採材等の樹木発生材を利用した土木用資材
KR20010055762A (ko) * 1999-12-13 2001-07-04 허 태 학 섶단을 이용한 생태낙차공 조성공법
KR20030008750A (ko) * 2001-07-20 2003-01-29 박이동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53B1 (ko) 2010-04-22 2013-02-08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745A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1285A (en) Artificial reef
García‐Gómez et al. Artificial M arine M icro‐R eserves N etworks (AMMRN s): an innovative approach to conserve marine littoral biodiversity and protect endangered species
KR100457783B1 (ko)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79040B1 (ko) 방파제 구조물
JP2000034717A (ja) 貫通孔付消波ブロック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KR100488920B1 (ko)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JPH05346011A (ja) 水中構築材並びに魚礁構築方法
KR100656939B1 (ko) 생태수벽 정수 시스템
Jackson The influence of engineering design considerations on species recruitment and succession on coastal defence structures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US9339017B1 (en) Living wave barrier
KR101418476B1 (ko)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복합체
JP3989904B2 (ja) 淡水魚用の魚礁及び魚礁の設置方法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100521899B1 (ko) 조류소통을 위한 해수 교환 방파제
KR20060132233A (ko) 생태보존형 낚시용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JP2000087335A (ja) ブロックおよび水生生物生息用治水構造物
JPH0641934A (ja) 潜 堤
KR100425754B1 (ko) 방파제용 파도 소거 구조체
KR102435815B1 (ko)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예방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이안제
JP2002223659A (ja) 水中魚類の産卵及び生息用丸木植生帯施設物
KR20120128428A (ko) 동물의 쉼터 구조물
KR200438261Y1 (ko) 어소블럭
JP3080361B2 (ja) 漁礁用ブ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