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428A - 동물의 쉼터 구조물 - Google Patents

동물의 쉼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428A
KR20120128428A KR1020110046371A KR20110046371A KR20120128428A KR 20120128428 A KR20120128428 A KR 20120128428A KR 1020110046371 A KR1020110046371 A KR 1020110046371A KR 20110046371 A KR20110046371 A KR 20110046371A KR 20120128428 A KR20120128428 A KR 2012012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elter
plate member
horizontal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우명
김동섭
황길순
송행섭
이선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수자원공사
한라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수자원공사, 한라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428A/ko
Publication of KR2012012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교각에 설치되어 수달을 포함하는 생물의 쉼터를 제공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천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교각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판형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형 부재는 친환경 재질인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재의 내측면에는 이동을 위한 베어링 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교각의 외주면과 상기 판형 부재의 사이에는 어류의 서식 공간을 제공하는 서식 시설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물의 쉼터 구조물 {STRUCTURE FOR RESTING PLACE}
본 발명은 생물의 쉼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을 따라 부유할 수 있게 설치되어 수달과 같은 생물에 휴식처 등을 제공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강, 하천, 계곡 등의 수변은 다양한 생물이 어우러져 복잡한 수변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의 급격한 진행에 따라, 전력과 공업 용수 및 가정용 상수의 확보를 위하여 전국 각지 강에 댐을 설치하여 전력 및 공업 용수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강이나 하천의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댐 등을 축조함으로써 필요한 전력 및 용수를 확보할 수 있는 반면, 이와 같은 댐 건설에 의해 자연 생태계 환경이 파괴되어 수중 및 수변 생물의 서식처 및 휴식처가 생태학적으로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천연기념물인 수달은 자연환경이 잘 보전되고 풍부한 어종이 살고 있는 강이나 하천 주변에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개발과 생태계의 훼손으로 인하여 집을 따로 짓지 않고 나무뿌리 밑이나 바위 틈 사이 등의 기존 서식 공간을 서식처로 삼는 습성의 수달은 서식처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최근, 실제로 댐 등의 건설 후 서식처가 파괴되어 주변 지역에 서식하던 수달의 개체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다.
또한, 하천 주변에 서식하는 수달과 같은 생물이 하천을 건널 때, 중간에 쉴 수 있는 휴식처 등이 부족하여, 생물이 죽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 하천 주변의 생물의 서식처 및 휴식처가 사라져 주변 생태계가 파괴되어 가고 있어 이를 복원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강이 하천 주변에 생물의 서식처 또는 휴식처를 제공하기 위해, 수변에 고정되는 부동식 구조물 또는 하천에 부유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부동식 구조물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 수위에 서식처가 잠기거나 육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일반적인 부유식 구조물은 강우시 등 하천이 범람하는 경우 다른 곳으로 떠내려가 그 위치를 지속적으로 일정한 곳에 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일정한 위치에 지속적으로 배치되면서 하천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수달과 같은 생물에 편안한 휴식처를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천의 교각에 설치되어 수달을 포함하는 생물의 쉼터를 제공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로서,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천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교각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판형 부재를 포함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판형 부재는 친환경 재질인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각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판형 부재의 적어도 내측면에는 스테인레스 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재는 복수 개의 판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판의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재의 내측면에는 이동을 위한 베어링 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교각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수직 구조목과; 상기 수직 구조목의 일측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구조목과; 상기 수직 구조목과 상기 수평 구조목을 연결하여 상기 수평 구조목을 지지하는 경사 구조목과; 상기 수평 구조목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력 부재; 및 상기 수평 구조목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방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각의 외주면과 상기 판형 부재의 사이에는 어류의 서식 공간을 제공하는 서식 시설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은 하천의 수위에 따라 교각을 따라 부유하면서 원활하게 상하 이동함으로써, 하천 범람에 의해 떠내려가지 않고 일정한 곳에서 생물에 지속적으로 안정된 휴식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포유류뿐만 아니라 어류의 서식공간까지 제공하여 보다 친환경적 및 생태적인 휴식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교각의 형상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판형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100)은 교각(50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판형 부재(10)를 포함한다. 판형 부재(10)는 교각(50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수달과 같은 생물이 이동중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갖는다. 판형 부재(10)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교각(50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천에서 부유할 수 있는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판형 부재(10)는 복수 개의 판(11, 12, 13)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복수 개의 판(11, 12, 13)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이와 같이, 판형 부재(10)를 폭이 변하는 복수 개의 판(11, 12, 13)의 적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목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면서 견고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시공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생물의 쉼터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판형 부재(10)의 상부면에는 횟대(14)가 설치된다. 횟대(14)는 수면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물새류의 휴식공간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생물군의 휴식처로 활용하기 위한 부가시설로서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각(500)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판형 부재(10)의 적어도 내측면에는 스테인레스 피복층(15)이 형성된다. 스테이레스 피복층(15)은 판형 부재(10)의 틀을 유지하고, 홍수시 등의 강한 유속이나 쓰레기 등의 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시설물의 유지를 장기화할 수 있다. 스테이레스 피복층(15)은 일반 금속의 재질과 달리 물 속에서 녹슬지 않고 이에 따른 위해물질의 용출이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생물의 쉼터 구조물은 교각의 종류 및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판형 부재의 형상도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교각에 원형의 판형 부재를 적용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교각에 원형의 판형 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교각에 삼각형 판형 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200)은 교각(5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구획(P)으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판형 부재(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 부재(20)를 평면에서 볼 때, 16개 구획으로 분할되었으나, 구획수는 제작 및 시공성을 위해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부재(20)는 교각(50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 부재(2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형 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21), 구조목(22), 부력 부재(23) 및 방부판(24)을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21)는 판형 부재(20)가 교각(50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름 베어링인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교각(50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 부재(2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예를 들면,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레일 홈을 구비한 하우징 등)가 설치될 수 있다.
구조목(22)은 판형 부재(20)의 기초 프레임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교각(50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수직 구조목(221)과, 이 수직 구조목(221)의 일측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구조목(222) 및 수직 구조목(221)과 수평 구조목(222)을 연결하여 수평 구조목(222)을 지지하는 경사 구조목(223)을 포함한다. 수직 구조목(221)과 수평 구조목(222)은 "T"자형 연결쇠(22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재(21)가 수직 구조목(2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2포인트를 지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원활하고 안정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부력 부재(23)는 판형 부재(20)가 부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평 구조목(22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부력 부재(23)는 예를 들어 압축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부판(24)은 수달과 같은 생물이 실제로 이동 및 휴식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며, 수평 구조목(222)의 상부에 복수 개로 배치된다. 각 방부판(23)은 대략 부채꼴 형상의 구획을 이루기 위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방부판(23)은 예를 들어 천연 방부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300)은 교각(500)과 판형 부재(30)의 사이에 어류의 서식 공간을 제공하는 서식 시설부(4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부재(30)가 베어링 부재(31), 구조목(32), 부력 부재(33) 및 방부판(34)을 포함하는 것은 상기 제2 실시예의 판형 부재(20)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부재(30)는 내측에 서식 시설부(40)가 설치되기 때문에, 베어링 부재(31)는 구조목(32)이 아닌 서식 시설부(40)에 설치되는 점이 제2 실시예의 판형 부재(20)와는 상이하다.
서식 시설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부재(30)의 내측에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수평 프레임(41, 42) 및 상부 및 하부 수평 프레임(41, 42)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43)을 포함한다. 상부 수평 프레임(41)과 구조목(32) 사이에 및 상부 수평 프레임(41)의 내측 단부에는 각각 앵글 부재(44, 45)가 설치되어, 각 프레임(41, 42, 43)을 견고히 고정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수평 프레임(41, 42)의 각 내측 단부에는 베어링 부재(31)도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서식 시설부(40)의 상부에는 스테인레스 망(46)이 설치된다. 상부의 스테인레스 망(46)은 시설부(4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하부의 어류 산란시설을 보호하고, 서식 시설부(40) 상부에 조류 및 수달 등의 동물이 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각 프레임(41, 42, 43) 및 각 앵글 부재(44, 45)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프레임(41, 42, 43)은 원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프레임(41, 42, 43) 및 스테인레스 망(46)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는 어류 서식용 시설(47)이 설치된다. 어류서식용 시설(47)이라 함은 물고기의 산란시 어란이 부착할 수 있는 매개체를 매단 것으로 수변 식물의 대용으로 활용되며, 어란부착 매체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활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쉼터 구조물(300)은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 시설부(40)를 제공함으로써, 수달과 같은 외부 생물뿐만 아니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도 함께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보다 생태적이고 친환경적인 생물의 쉼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20, 30: 판형 부재 11, 12, 13: 판
15: 피복층 21, 31: 베어링 부재
22, 32: 구조목 23, 33: 부력 부재
24, 34: 방부판 40: 서식 시설부
41: 상부 수평 프레임 42: 하부 수평 프레임
43: 수직 프레임 44, 45: 앵글 부재
46: 스테인레스 망 100, 200, 300: 쉼터 구조물
500: 교각

Claims (6)

  1. 하천의 교각에 설치되어 수달을 포함하는 생물의 쉼터를 제공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로서,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천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교각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판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판형 부재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판형 부재의 적어도 내측면에는 스테인레스 피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재는 복수 개의 판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판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재의 내측면에는 이동을 위한 베어링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교각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수직 구조목과;
    상기 수직 구조목의 일측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구조목과;
    상기 수직 구조목과 상기 수평 구조목을 연결하여 상기 수평 구조목을 지지하는 경사 구조목과;
    상기 수평 구조목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력 부재; 및
    상기 수평 구조목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방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외주면과 상기 판형 부재 사이에 어류의 서식 공간을 제공하는 서식 시설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쉼터 구조물.
KR1020110046371A 2011-05-17 2011-05-17 동물의 쉼터 구조물 KR20120128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371A KR20120128428A (ko) 2011-05-17 2011-05-17 동물의 쉼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371A KR20120128428A (ko) 2011-05-17 2011-05-17 동물의 쉼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28A true KR20120128428A (ko) 2012-11-27

Family

ID=4751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371A KR20120128428A (ko) 2011-05-17 2011-05-17 동물의 쉼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JP4787868B2 (ja)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KR101375558B1 (ko) 다단 대형 파이프형 인공어초
KR101158249B1 (ko)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Henderson et al. On structural complexity and fish diversity in an Amazonian floodplain
CN108308079B (zh) 四孔式圆台型滩涂组合构建礁及其建设方法
CN107938592B (zh) 一种直线型城市河道的生态改造结构
KR20120128428A (ko) 동물의 쉼터 구조물
CN107751071B (zh) 一种圆台型滩涂构建礁及其建设方法
CN108951548B (zh) 可调节、插板式生态护岸体及采用该护岸体的护岸结构
CN208080311U (zh) 四孔式圆台型滩涂组合构建礁
CN210049185U (zh) 具有生态保护和修复功能的自然水体层级式景观驳岸
CN112369354A (zh) 一种基于桥梁支撑机构的生态环境修复用人工鱼巢结构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0867204B1 (ko) 에이치빔을 이용한 해중림초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CN206705786U (zh) 一种仿自然根孔的生境岛
KR100457783B1 (ko)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73630Y1 (ko)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KR100488920B1 (ko)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KR200405469Y1 (ko) 연안해역의 조장 목장 형성을 위한 어소ㆍ어초 블록
KR20060132233A (ko) 생태보존형 낚시용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CN220191844U (zh) 一种可观赏的近岸仔稚鱼保育礁
CN212316858U (zh) 一种用于水体修复的生态围隔
RU2457144C1 (ru) Плавающий ост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08

Effective date: 201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