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750A -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 Google Patents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750A
KR20030008750A KR1020010043635A KR20010043635A KR20030008750A KR 20030008750 A KR20030008750 A KR 20030008750A KR 1020010043635 A KR1020010043635 A KR 1020010043635A KR 20010043635 A KR20010043635 A KR 20010043635A KR 20030008750 A KR20030008750 A KR 2003000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gravel
river
water
sedimentation 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600B1 (ko
Inventor
박이동
Original Assignee
박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동 filed Critical 박이동
Priority to KR10-2001-004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6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에 관한 것으로, 하천 우수 유입구 분리시설, 돌 보, 침전지, 소나무 보, 수초 재배지, 숯 보 및 자갈밭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은 2차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정화방법으로서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오염된 하천을 정화할 수 있는 우수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River Sanitation Facilities Using a Natural Object}
본 발명은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천 우수 유입구 분리시설, 돌 보, 침전지, 소나무 보, 수초 재배지, 숯 보 및 자갈밭으로 이루어진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하천은 급속도로 오염되고 있으며, 이러한 하천 오염은 해안을 오염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한 해안의 오염은 바다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유발하며, 우리의 먹거리 시장을 잠식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하천을 오염으로부터 차단시키고 오염된 물은 자연순환 정화방법으로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하천 우수 유입구 분리시설, 돌보, 침전지, 소나무보, 수초재배지, 숯보, 자갈 밭과 같은 자연물을 이용한 방법으로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려고 연구한 결과는 없다.
종래의 자연물을 이용한 정화방법으로는 서울 강남구 양재천에 접촉 폭기식으로 하천정화에 시설한 정화방법이 처음이다. 상기 접촉 폭기식은 오염물질이나 부유물을 침전시키는 방안지이며, 본 발명과 같이 숯, 소나무 송진, 수초(흡수), 돌 또는 자갈이나 침전지와 같이 2차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정화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하천 정화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우수 유입 분리구, 안전망, 미세망, 짚단여과장치, 우수통로, 안전철문을 갖는 하천 우수 유입구 분리시설; 정수석, 자연석, 견치석, 유실보강석을 차례로 시설하는 돌 보; 중앙에 청소구, 그 주위에 통나무를 가로세로로 설치하고, 침전지 바닥 및 주위에 견치석을 쌓은 침전지; 소나무로 상부가 엇갈리게 말뚝을 두줄 또는 세줄로 박아 고정시키고, 여기에 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 통나무로 물막이를 하고, 소나무 보의 주위에는 보강석을 시설하는 소나무 보; 통나무 틀을 짜서 뻘 흙을 틀 안에 채우고 여기에 부레옥잠과 억새풀과 같은 수초가 생육하고 번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초 재배지; 각각 순서대로 막돌을 쌓고, 숯을 그물로 된 안전망에 넣어 적층하고, 보강석을 시설하고, 그리고말목(63)을 설치하는 숯 보; 및 막돌과 자갈을 사용하여 하천 바닥에 자갈밭을 시설하고 자갈밭 끝에는 침전지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이 침전되도록 하며, 상기 침전지 주위에는 보강석을 설치하는 자갈밭으로 이루어지는 자연물을 이용한 환경친화적인 하천 정화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지, 숯 보, 돌 보, 수초재배지, 짚단여과장치, 소나무 보 및 자갈밭을 시설한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정화시설의 일 예을 나타낸 하천 평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우수 유입 분리시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 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재배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숯 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갈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우수 유입 분리구11: 짚단여과장치
12: 미세망14: 안전망
20: 정수석21: 막돌
23: 말목33: 청소구
41: 통나무53: 통나무 틀
54: 뻘 흙61: 숯
63: 말목71: 막돌
72: 자갈
본 발명의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정화시설은 하천 우수 유입구 분리시설, 돌 보, 침전지, 소나무 보, 수초 재배지, 숯 보 및 자갈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 보, 침전지, 소나무 보, 수초 재배지, 숯 보 및 자갈밭은 하천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설치 순서를 달리하여 시설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오염도에 따라 돌 보, 침전지, 소나무 보, 수초 재배지, 숯 보 및 자갈밭 중 2 또는 3을 선택하여 시설할 수 있다.
상기 침전지는 상류에서 흘러오는 토사, 모래, 오염물질(타이어 분진, 매연, 오염된 흙먼지)을 침전시키어 하류의 오염을 막는 침전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장치가 없으면 하천 바닥 전체가 오염된 물질로 검게 나타나는 현상이 일어난다.
상기 숯 보는 숯 보내에 있는 숯으로 물을 정수시키고, 물속에 생육하고 있는 물고기의 질병치료와 미량원소인 미네랄, 칼륨, 철, 망간 등의 공급은 물론 오염물질을 분해 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대나무 숯을 수돗물 1ℓ에 100g을 넣으면, 납 74%, 아연 99%, 철 44%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돌 보는 물 속에 있는 오염물질을 응집하고 분해시키며, 물 속에 산소 공급 효과를 높히는 작용을 하며, 또한 BOD를 높히고 SS를 제거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수초 재배지에서 수초는 물 속의 오염물질을 흡수, 분해할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은신처로서 역할을 하므로 상기 수초는 물을 맑게하는 정수작용과 질소, 인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하천정화작용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짚단 여과장치에서 짚단은 물 속에 오염되어 있는 기름 띠나 분진 등을 제거하고, 조류 억제물질은 물 속에 있는 보리 짚에서 스며나오며 이러한 기능들은 식물 플랑크톤을 먹는 유기체를 많게하는 생물학적 연이 되어 짚이 분해되는 시기에 스며난다.
상기 소나무 보는 소나무가 물 속에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소나무의 약리 성분인 솔잎 소나무가지, 꽃가루, 송진, 솔 뿌리혹, 솔씨 등의 성분들이 물고기의 질병치료와 하류에 있는 물고기를 상류로 오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자갈밭은 둔치로 인하여 하천의 적정량 온도변화가 없어진 하천에 자갈밭을 형성하여 하천물이 필요로 하는 온도변화의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성분들이 자갈밭에서 온도변화에 의하여 휘발이 되도록 한다. 또한 자갈밭은 물고기의 산란처와 은신처 기능도 한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정화시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하천에 침전지(101), 숯 보(102), 돌 보(103), 수초재배지(104), 짚단여과장치(105), 소나무 보(106) 및 자갈밭(107)을 시설한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정화시설의 일 예을 나타낸 하천 평면도이다.
도 2는 하천 우수 유입 분리시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하천 우수 유입구 분리시설은 우수 유입 분리구(10), 안전망(14), 미세망(12), 짚단여과장치(11), 우수통로(7), 안전철문(9)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하천 우수 유입구(1) 다음에 우수 유입 분리시설을 설치한다. 우수 유입 분리구(10)와 같은 시설은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또는 강수량이 적을 때 빗물이 우수 유입 분리구의 안전망(14)과 미세망(12) 사이에 설치된 짚단여과장치(11)가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타이어 마모 입자, 자동차 매연 등 각종 오염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짚단여과장치는 벼짚, 밀짚, 풀단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일차적으로 우수유입구(1)를 통하여 분리구(10)에 도달한 물은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은 짚단여과장치(11)에 접착되고, 모래(4), 돌 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은 밑으로 침전되며 기름(3)과 같은 가벼운 물질은 위로 뜬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물은 분리구(10) 중앙에 있는 우수통로(7)를 통하여 하천으로 배출된다.
우수 유입 분리구는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방류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도 우수 유입 분리구 상단에 있는 안전망(14) 위의 안전철문(9)을 닫어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사고를 막고 이 오염물질을 하수관을 통하여 종말처리장으로 보내는 장치이다.
우수 유입 분리시설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고 있는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장치이며, 사고시에는 이를 차단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을 막을 수 있는 장치이다.
도 3은 돌 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돌 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천 자연 정화장치에 돌을 이용하여 하천에 인위적 압력을 가하여 돌의 성분과 구조로 물을 정화하는 장치이다. 돌 보는 돌의 질이나 모양 또는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돌쌓기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때 이용되는 돌은 가급적으로 풍화작용의 영향력을 많이 받는 돌을 이용하고, 수질개선에 좋은 정수석(21)으로 석회석, 맥반석, 옥석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돌 보의 설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천 흐름 방향으로 1∼2m는 정수석(20)으로, 10∼20m는 막돌(21)로, 2∼5m는 보강석(22)으로 각각 차례로 시설하여 돌 보를 설치한다. 상기 보강석(22) 끝 부분에는 말목(23)을 시설하여 상기 보강석의 유실을 방지한다. 돌 보의 높이는 수면(27)에 따라 조절하며, 돌 보는 어도를 포함한다.
돌 보의 기능은 유속의 흐름을 더디게 하고, 홍수시 하류의 범람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뭄에는 하천에 소량의 물이 항상 흐르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도 4는 침전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침전지는 중앙에 청소구(33)를 설치하고, 그 주위에 말목(31)을 박고 통나무(32)를 가로세로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소나무 가지(35)를 설치하며, 침전지바닥 및 주위에는 견치석(34)을 수면(35) 위로 쌓아 침전지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위험을 방지한다.
침전지의 기능은 하천 또는 자갈밭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물질이 응집, 용해 되었을때 침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써 하구의 오염원 차단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침전지는 자갈밭을 통과한 물을 물리적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응집, 분해된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작용을 하며, 홍수 때에 물의 흐름을 정체시키는 작용을 한다.
둔치를 만들어 물의 흐름에 제동을 주는 기능이 없으므로 근간에 일어난 강의 범람은 계곡에 있는 자연석을 축대나 조경용으로 채취하여 물의 흐름에 제동장치를 주지 못하므로 강의 범람을 촉진시키고 있다.
침전지의 깊이에 따라 흐르는 물에 의한 작용은 플랑크톤의 번식에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왜냐하면 물은 온도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하천정비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된 보에서는 부유물질의 퇴적으로 수온이 상승하여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물고기가 떼죽음을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침전지를 일반적인 웅덩이로 대체 할 경우에는 침전물이 홍수나 장마 때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전지에 통나무(32)를 넣었을 때는 오염물질이 여기에 부착하여 유실되지 않는다. 상기 통나무는 짚, 소나무 가지, 풀줄기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나무 쌓기는 미생물 번식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침전물을 정기적으로 관리하여야 하천을 깨끗이 유지할수 있다. 상기 침전지 청소방법은 통나무(32)를 십자로 쌓고 청소구(33)를 두어 일정한 시기에 흡입구를 통하여 오염된 침전물을 청소한다.
도 5는 소나무 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소나무 보의 기능은 둔치를 만들어 하천에 흐르는 물의 자연적 자정능력을 상실하게 한 것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천에 설치된 둔치는 상기 성분들을 공급받을 수 있는 환경을 파괴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하천에 있는 어종의 변형과 멸종을 초래 하였으며, 강원대학교 농업연구소의 강릉 남대천 땜 피해 조사에서도 나타나고 있듯이 어종의 감소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강릉 남대천에 6월초 물고기 떼죽음이 있은 후에 9월에 이르러 부레옥잠이 급속히 번식한 일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자연의 원상회복 원리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소나무 보의 기능은 하천 물의 정화에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소나무 보에 사용되는 소나무는 봄에 벌채한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나무는 겨울나기를 위하여 충분한 영양을 저장하고 있으며, 봄에 개화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있다. 이와 같이 영양이 충분히 저장된 나무를 벌채하여 하천 보에 사용하면, 소나무가 갖고 있는 송진, 수액, 목피 등 물질이 물 속에 자라는 물고기나 수초의 영양원소가 된다. 소나무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성분은 송진, 수액, 목피, 솔잎 등과 같은 것이 있고, 상기 성분들은 물 속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동식물들이 필요로 하는 원소들이다.
소나무 보의 설치는 도 5에 나타낸 펑면도와 같이 통나무(41)로 통나무의 상부가 엇갈리게 말목을 두줄 또는 세줄로 박아 고정시키고, 그 사이에 물의 흐름 및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 가로방향으로 통나무(42)를 설치한다. 상기 통나무(42)는 나무가지, 줄기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소나무 보의 주위에는 홍수나 강물이 범람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석(43)을 시설하며, 상기 보강석(43)의 유실을 방지 하기 위하여 말목(44)을 설치한다. 소나부 보의 주변에는 수변나무를 심어 물가에 그늘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물막이를 하여 보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른 봄에 이런 공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여기에 사용되는 솔잎이나 가지 등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산란기의 물고기의 산란처 제공은 물론 어도의 역할도 한다.
하류에 서식하는 물고기가 상류로 산란처를 찾는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물속에 배어 있는 솔잎 향이 물고기를 유인하기도 한다. 소나무 보의 주변에 서식하는 어종은 다양하지만 주로 뱀장어, 자라, 게 등과 같이 행동이 느린 어종이다.
도 6은 수초 재배지의 정면도이다.
하천에는 풀이 자라야 하는데 하천에 둔치를 제작하면서 강폭을 좁혀 수초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모두 제거하였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강 하구의 오염치수는 심각한 상태이며 자정능력을 상실한 현실이다. 그러므로 수초 자생지를 만들어 수초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수초가 흡수하고 섭취하는 중금속 오염물질 부유 물질을 사람이 인위적으로 개발하여 만드는 것 보다 자연은 자연이 필요로 하는 공급의 원칙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은 자연이 필요로 하는 습생의 원리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흡수 정화하여야지 인공적인 방법으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
수초의 종류마다 필요로 하는 성분이 다르므로 하천에 따라 필요의 원리에 의하여 수초의 구성을 달리 하여야 한다. 수초와 수변식물들이 홍수 때에는 물의 흐름을 느리게 하며 하천 바닥의 유실을 방지하기도 한다.
수초 재배지는 하천 전체를 수초 재배지로 조성하는 방안과 물가에 공간을 만들어 물의 흐름을 수초 재배지로 경유하여 흐르게 하는 방법이 있다. 하천에 오염이 심각한 지역은 모래가 대부분인 토양이므로 수초가 생육하고 번식할 수 있는 토양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수초 재배지는 통나무 틀(53)을 짜서 뻘 흙(54)을 틀 안에 채우고 여기에 부레옥잠(51)과 억새풀(52)과 같은 수초가 생육하고 번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통나무 틀(53)은 홍수나 장마 때에 수초의 유실을 막는 작용을 한다. 도 6에 나타낸 수초 재배지의 정면도와 같이 뻘 흙의 깊이는 1∼1.5m로 하며, 넓이는 강폭에 따라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재배지를 하천에 설치함으로써 도시 하천에서도 연, 부레옥잠 등과 같은 수생식물의 꽃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7는 숯 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숯 보의 기능은 물을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숯의 양은 오염수치가 높다고 숯을 다량으로 시설하는 것이 아니라 물의 속도와 물의 양과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적정량을 시설하여야 한다.
숯 보의 높이는 물의 흐름에 따라 골고루 숯 분이 분산 살포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물 속에 포함 되어있는 오염물질의 상태에 따라서 숯을 살포하는 방식도 다르게 하여야 한다.
숯 보의 설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순서대로 40∼50㎝ 크기의 막돌(64)을 쌓고, 숯(61)을 그물로 된 안전망(62)에 넣어 적층하고, 보강석(65)을 시설하고, 그리고 말목(63)을 설치하여 상기 막돌(64), 숯(61) 및 보강석(65)의 유실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숯 보를 설치하면 숯 덩어리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며, 부착된 오염물질은 일정한 시기에 제거하여야 한다.
도 8은 자갈밭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자갈밭은 두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자갈의 일부는 물 속에 있고, 일부는 물 밖에 있는 자갈밭이고, 다른 하나는 물이 자갈밭에 와서 물이 자갈 밑으로 스며드는 자갈밭이다.
자갈은 물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므로, 이러한 온도변화는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응집시키고 분해시키는 작용을 하며, 수온의 상승효과와 물 속에 있는 미생물의 번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현상은 겨울에 눈 덮힌 개울에서 유일하게 얼지 않는 곳인 자갈밭에서 볼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천 자갈밭은 하천 물의 온도변화로 물을 정제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산란지로서의 역활도 한다.
자갈밭은 자연하천 조성방안 중에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폐기물이 쌓이는 곳이기도 하다. 자갈밭의 하단에 침전지를 설치하여 이러한 기능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하천의 자정작용 기능을 하도록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돌(71)과 자갈(72)을 사용하여 하천 바닥에 자갈밭을 시설하고 자갈밭 하단에는 말목(74)을 설치하여 상기 막돌(71) 및 자갈(72)의 유실을 방지하며, 자갈밭 끝에는 침전지(76)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이 침전되도록 한다. 상기 침전지 내에는 통나무(75)를 쌓아 오염물질이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침전지 주위에는 보강석(77)을 설치하여 침전지의 유실을 방지한다.
상기 자갈(72)의 크기는 15∼20㎝ 이며, 자갈은 물위로 1/3정도 나오도록 설치한다. 이는 자갈이 햇볕을 받아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 자연형 하천조성
서울시 강남구 소재 여의천을 맑은 물이 흐르고 자생화, 물고기 및 조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자연형 생태하천으로 복원하여 양재천, 시민의 숲, 문화예술공원 등과 연계된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고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의천 영동 1교로부터 양재 I.C까지 1,100m 구간에 침전지, 숯 보, 돌 보, 수초재배지, 짚단여과장치, 소나무 보, 자갈밭 및 자생화단지를 시설하였다.
상기 침전지의 크기는 8×28m 이며, 소나무, 자연석 및 솔가지로 이루진다. 상기 숯 보의 크기는 100㎜ 스텐×6m 이며, 망, 소나무 숯 및 대나무 숯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 보의 크기는 6×15m 이며, 자연석, 자갈, 맥반석 및 견치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초재배지의 크기는 8×23m 이며, 뻘흙, 부들, 억새, 연 및 미나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짚단여과장치의 크기는 4×9m 이며, 볏짚, 보리짚 및 소나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나무 보의 크기는 3×8m 이며, 소나무 원목, 자갈로이루어진다. 상기 자갈밭의 크기는 7×21m 이며, 막자갈의 지름이 20∼30㎝ 인 것을 사용하여 자갈밭을 형성하였다. 상기 자생화단지의 크기는 3×70m 이며, 목화, 도라지 및 패랭이로 이루어진다.
여의 1교, 윤봉길의사 기념관 및 양재IC 세 곳의 하천수를 수집하여 환경오염도 검사를 하였다. 상기 하천수의 BOD, SS, T-N, T-P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BOD(㎖/ℓ) SS(㎖/ℓ) T-N(㎖/ℓ) T-P(㎖/ℓ)
여의 1교 4.4 6.4 0.624 0.014
윤봉길의사기념관 4.8 7.6 3.024 0.005
양재 IC 3.7 26.4 2.208 0.019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정화시설을 여의천에 시설하였을 때, BOD수치는 4.4㎖/ℓ에서 3.7㎖/ℓ로 감소하였고, SS수치는 6.4㎖/ℓ에서 26.4㎖/ℓ로 증가하였으며, T-N수치는 0.624㎖/ℓ에서 2.208㎖/ℓ로 증가하였으며, 그리고 T-P수치는 0.014㎖/ℓ에서 0.019㎖/ℓ로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수질 오염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숯, 소나무 송진, 수초, 돌 또는 자갈이나 침전지와 같이 2차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정화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기 위한 자연물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하천 정화시설로서 생태계 보전 및 하천정화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우수 유입 분리구(10), 안전망(14), 미세망(12), 짚단여과장치(11), 우수통로(7), 안전철문(9)을 갖는 하천 우수 유입구 분리시설;
    하천 흐름 방향으로 1∼2m는 정수석(20)으로, 10∼20m는 막돌(21)로, 2∼5m는 보강석(22)으로 각각 차례로 시설하며, 상기 보강석(22) 끝 부분에는 말목(23)을 시설하여 상기 보강석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돌 보;
    중앙에 청소구(33)를 설치하고, 그 주위에 말목(31)을 박고 통나무(32)를 가로세로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소나무 가지(35)를 설치하며, 침전지 바닥 및 주위에는 견치석(34)을 수면(35) 위로 쌓아 침전지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 침전지;
    통나무(41)로 통나무의 상부가 엇갈리게 말목을 두줄 또는 세줄로 박아 고정시키고, 그 사이에 물의 흐름 및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 가로방향으로 통나무(42)를 설치하며, 상기 통나무가 홍수나 강물이 범람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석(43)을 시설하며, 상기 보강석(43)의 유실을 방지 하기 위하여 말목(44)을 설치한 소나무 보;
    통나무 틀(53)을 짜서 뻘 흙(54)을 틀 안에 채우고 여기에 부레옥잠(51)과 억새풀(52)과 같은 수초가 생육하고 번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나무 틀(53)은 홍수나 장마 때에 수초의 유실을 막는 작용을 하며, 상기 뻘 흙의 깊이는 1∼1.5m로 하는 수초 재배지;
    각각 순서대로 40∼50㎝ 크기의 막돌(64)을 쌓고, 숯(61)을 그물로 된 안전망(62)에 넣어 적층하고, 보강석(65)을 시설하고, 그리고 상기 막돌(64), 숯(61) 및 보강석(65)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말목(63)을 시설하는 숯 보: 및
    막돌(71)과 15∼20㎝ 크기의 자갈(72)을 사용하여 하천 바닥에 자갈밭을 시설하고 자갈밭 하단에는 말목(74)을 설치하여 상기 막돌(71) 및 자갈(72)의 유실을 방지하며, 자갈밭 끝에는 침전지(76)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이 침전되도록 하고, 상기 침전지 내에는 통나무(75)를 쌓아 오염물질이 부착되도록 하며, 상기 침전지 주위에는 보강석(77)을 설치하여 침전지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갈밭;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KR10-2001-0043635A 2001-07-20 2001-07-20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KR10044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635A KR100441600B1 (ko) 2001-07-20 2001-07-20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635A KR100441600B1 (ko) 2001-07-20 2001-07-20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50A true KR20030008750A (ko) 2003-01-29
KR100441600B1 KR100441600B1 (ko) 2004-07-23

Family

ID=2771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635A KR100441600B1 (ko) 2001-07-20 2001-07-20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6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837B1 (ko) * 2002-01-04 2004-03-02 성기달 자연친화형 오,폐수 정화시설의 완충 저류조
KR100457783B1 (ko) * 2001-07-24 2004-11-18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325403C (zh) * 2005-01-04 2007-07-11 北京师范大学 河道淤泥就地资源化利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32B1 (ko) 2007-09-11 2009-12-17 주식회사 젠트로 수 처리장 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451B1 (ko) * 1997-02-20 1999-06-15 방욱 자연 하천용 식생호안 부재의 시공방법
KR20000063599A (ko) * 2000-07-19 2000-11-06 박이동 자연형 하천 정화 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83B1 (ko) * 2001-07-24 2004-11-18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원통목을 이용한 자연형 수중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20837B1 (ko) * 2002-01-04 2004-03-02 성기달 자연친화형 오,폐수 정화시설의 완충 저류조
CN1325403C (zh) * 2005-01-04 2007-07-11 北京师范大学 河道淤泥就地资源化利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600B1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lis et al. Slow sand filtration
Klapproth et al. Understanding the science behind riparian forest buffers: effects on water quality
CN105967339B (zh) 一种重金属污染灌溉水的生态塘净化处理的方法及装置
Madramootoo et al. Agricultural drainage management, quality and disposal issues in North America
KR101051611B1 (ko)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CN108314189A (zh) 人工湿地无动力生态系统的构建方法
CN108580527A (zh) 一种水陆交错带污染修复系统及修复方法
KR100966646B1 (ko) 친환경적인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JP4299382B2 (ja) 水処理用人工湿地
KR101268382B1 (ko) 연안 및 자연습지 보호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CN109607975B (zh) 一种修复超富营养水体和内源性污染的人工湿地构造
CN109748461A (zh) 一种清浊分离的水库污染防治溢流堰和方法
KR100441600B1 (ko) 자연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시설
CN112939220A (zh) 一种基于清流水网的面源污染控制系统
CN210140480U (zh) 一种采煤沉陷区水污染控制系统
KR20050053208A (ko) 하천 직접정화공법
CN210764850U (zh) 一种人工红树林湿地污水深层处理系统
CN106517672A (zh) 一种截污和生态浮床一体化系统
RU2759966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ренажного стока рисовой орос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CN112028387B (zh) 一种用于面源污染水治理的人工湿地修复方法
KR100574171B1 (ko) 생태연못의 수(水) 처리장치
CN112321086A (zh) 一种多水生植物修复水体污染的方法
Truong Vetiver system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KR20000063599A (ko) 자연형 하천 정화 시설
CN213112962U (zh) 一种农村湖库型饮用水水源前置污染净化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