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166B1 -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166B1
KR100457166B1 KR10-2002-0041323A KR20020041323A KR100457166B1 KR 100457166 B1 KR100457166 B1 KR 100457166B1 KR 20020041323 A KR20020041323 A KR 20020041323A KR 100457166 B1 KR100457166 B1 KR 10045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loor slab
slab construction
finish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031A (ko
Inventor
최경준
차근수
Original Assignee
차근수
최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근수, 최경준 filed Critical 차근수
Priority to KR10-2002-004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1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가 보장되며,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별도의 에폭시수지나 하드너 등을 코팅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갈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슬래브 시공부지의 바닥을 고르는 단계와 바닥슬래브 시공구간을 설정하여 조인트(Joint)를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시공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면고르기하여 콘크리트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의 면고르기를 시행한 후 적어도 1시간이상 경과 후 8시간 이내에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표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켜서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와 평활도가 보장되며,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와 평활도를 보장하기 위해 별도의 에폭시수지나 하드너 등을 코팅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슬래브는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바닥슬래브 위의 랙(Rack) 하중과 차량하중 등 연직 하중을 바닥슬래브 하부의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닥슬래브는 통상 건축물 시공부지의 지반을 다진 후에 타설구간을 설정하고, 타설구간 와곽에 조인트(joint)룰 설치하고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설계기준강도 240kg/㎠ 이하의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래브의 상면을 피니셔로 표면마감을 시행하며, 표면마감을 시행할 때 표면 강도를 증가하기 위하여 하드너나 표면강화제 등을 사용하며, 그렇지 아니할 경우라도 표면이 완전히 경화한 다음 에폭시수지나 우레탄 등의 마감재로 코팅하여 표면을 마무리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공법을 적용할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가 약 1시간에서 4시간 정도 양생된 후에 표면마감 공정을 시행하며 마감작업을 보통 250kg 무게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가압하므로, 상기 슬래브의 표면 강도가 약해지며 심할경우 상기 바닥슬래브가 긁히거나 파여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감 공정 시 하드너나 표면강화제 등을 사용하며, 그렇지 아니할 경우라도 표면이 완전히 경화한 다음 에폭시수지나 우레탄 등의 마감재로 코팅하여 표면을 마무리한다. 하지만 상기 마감재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는 기간(약 4주 이상)이 경과된 후에 코팅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늘어나게 됨은 물론 별도의 마감재 코팅에 따라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상의 문제로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마감재를 코팅하면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른 수분 등에 의해 상기 마감재가 박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슬래브의 평활도를 높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바닥콘크리트의 높은 표면강도가 보장되어 바닥슬래브에 긁힘이나 패임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하드너나 에폭시수지 등을 코팅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의 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의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슬래브 시공부지의 바닥을 고르는 단계와 바닥슬래브시공구간을 설정하여 조인트(Joint)를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시공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면고르기하여 콘크리트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의 면고르기를 시행한 후 적어도 1시간이상 경과 후 8시간 이내에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표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켜서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면고르기 시행 후 적어도 1시간 이상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단계 후에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1차로 평활도 및 표면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의 가압 단계 후에 적어도 1시간에서 2시간내에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재차 가압하여 2차로 평활도 및 표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슬래브 시공부지의 지반을 다진 후 바닥을 고른 후에 바닥슬래브 시공구간을 설정하여 조인트(Joint)를 가설한다. 이어서, 상기 시공구간 내에 설계기준강도 270kg/㎠ 이상의 콘크리트와 강섬유가 혼입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를 타설한다. 이러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전단면 3차원적인 균일한 보강으로 하중 부담 능력이 크고, 기존의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바닥슬래브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균열의 발생이 현저히 적다. 또한, 상기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충격 및 피로강도가 크고, 부식 및 바닥 표면의 손상이 적다. 그리고, 상기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타설 할 경우에는, 배근 및 우수작업 등의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바닥 다짐 작업만 시행하면 되며 펌프카 없이 레미콘 트럭이 직접 현장까지 들어와 타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타설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레이저 스크리드(Laser Screed)라 칭하는 장비에 의해 면고르기하여 평탄화시킨다. 이러한 레이저 스크리드를 이용하여 면고르기를 하게 되면, 슬럼프 및 콘크리트 강도 적용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유로운 면고르기 및 콘크리트의 대량 연속 타설 작업이 가능하므로, 타설시간의 단축과 같은 작업 능률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스크리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면고르기 작업은 진동스크리드(Vibrator Power Screed) 등을 이용한 종래의 면고르기 작업과 비교할 때, 평활도(Flatness Levelness) 오차 범위를 현저하게 줄이게 되므로, 바닥의 평활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이저 스크리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면을 1차로 평탄화시킨 다음에는, 약 5M 정도의 긴 알루미늄 장대(Highway Straight Edge라 칭함)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면을 2차로 면고르기 한다. 이러한 알미늄 장대를 이용한 2차 면고르기로 슬래브 면의 평활도를 향상시키고, 노출된 강섬유를 가라앉히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레이저 스크리드와 알루미늄 장대에 의해 콘크리트를 면고르기하여평탄화시킨 다음에는, 상기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경화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1시간이상 기다리는 대기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상기 대기단계 후 중량 400kg 이상의 피니셔를 투입하여 바닥슬래브의 평탄화 향상 작업 및 1차로 콘크리트면을 가압하는 작업을 시행한다. 상기 피니셔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조정하면서 콘크리트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된 기계장치로서, 상기 피니셔의 저면에 원판형 블레이드를 장착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콘크리트의 상면에서 피니셔를 진행시켜서 상기 원판형 블레이드에 의해 콘크리트의 상면을 400kg 이상의 무게로 눌러준다. 이처럼 콘크리트면을 가압한 다음에 약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기다리는 2차 대기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2차 대기단계를 거치고 나서 작업자는 콘크리트면의 평활도가 미진한 부분을 체크하여 복구 및 수정 작업을 실행하고, 구석진 곳과 칼럼(column) 주위에 대한 작업 등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대기단계를 거치고 난 후(즉, 상기 콘크리트의 면고르기를 시행하고 약 3내지 5시간 정도 경과된 후)에 역시 중량 400kg 이상의 피니셔를 투입하여 상기 콘크리트면을 2차로 가압한다. 이때에는 상기 피니셔의 저면에 선풍기 날개 모양의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콘크리트의 상면을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가압하면서 콘크리트면을 버니싱(Burnishing)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표면 강도를 재차 향상시킴과 더불어 콘크리트면의 표면 광택이 나게 한다. 이처럼 콘크리트면을 2차로 가압하는 단계에서는 최대한의 압력을 콘크리트 표면에 가하고, 평활도의 오차 범위를 최대한 줄이는 평탄성 조정 작업을 시행하여 평활도의 유지와 표면 강도를 향상시켜 준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작업 신발을 벗고 가벼운 실내화를 신고 보행하되, 원칙적으로 많은 보행을 삼가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면의 표면 레벨을 체크하고, 후공정에서 콘크리트를 습윤 양생시켜서 바닥슬래브 공사를 마무리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 약 1시간에서 8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중량 400kg 이상의 피니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눌러주기 때문에, 시공된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가 강하므로, 상기 바닥슬래브가 긁히거나 파여서 손상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별도의 에폭시수지나 하드너 또는 우레탄 등의 마감재를 코팅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른 수분 등에 의해 마감재가 박리되는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시공된 바닥슬래브에 별도의 마감재를 코팅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현저히 단축됨은 물론 마감재 코팅에 따른 공사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타설 후 약 1시간에서 8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중량 400kg 이상의 피니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면을 가압하여 눌러주기 때문에, 시공된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가 강하므로, 사용 중에 바닥슬래브가 긁히거나 파여서 손상되는 경우가 없고, 상기 바닥슬래브의 표면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별도의 에폭시수지나 하드너 또는 우레탄 등의 마감재를 코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공정이 단축됨은 물론 마감재 코팅에 따른 공사비용의 낭비를 방지할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

  1. 바닥슬래브 시공부지의 바닥을 고르는 단계와 바닥슬래브 시공구간을 설정하여 조인트(Joint)를 가설하는 단계와, 상기 시공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면고르기하여 콘크리트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의 면고르기를 시행한 후 적어도 1시간이상 경과 후 8시간 이내에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표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켜서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면고르기 시행 후 적어도 1시간 이상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단계 후에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1차로 평활도 및 표면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의 가압 단계 후에 적어도 1시간에서 2시간내에 400kg 이상의 피니셔 무게로 콘크리트를 재차 가압하여 2차로 평활도 및 표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KR10-2002-0041323A 2002-07-15 2002-07-15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KR10045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323A KR100457166B1 (ko) 2002-07-15 2002-07-15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323A KR100457166B1 (ko) 2002-07-15 2002-07-15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031A KR20040008031A (ko) 2004-01-28
KR100457166B1 true KR100457166B1 (ko) 2004-11-12

Family

ID=3731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323A KR100457166B1 (ko) 2002-07-15 2002-07-15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76B1 (ko) 2018-02-12 2019-02-12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83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한양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60A (ko) * 1990-07-10 1992-02-28 시끼 모리야 유성치차 감속 시동기
KR19990048174A (ko) * 1997-12-08 1999-07-05 정성조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200248411Y1 (ko) * 2001-06-07 2001-10-22 김명식 콘크리트 포장용 그라운드 휘니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60A (ko) * 1990-07-10 1992-02-28 시끼 모리야 유성치차 감속 시동기
KR19990048174A (ko) * 1997-12-08 1999-07-05 정성조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200248411Y1 (ko) * 2001-06-07 2001-10-22 김명식 콘크리트 포장용 그라운드 휘니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76B1 (ko) 2018-02-12 2019-02-12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031A (ko)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3996A (zh) 用smc作留孔模具的华夫板施工方法
CN102359272A (zh) 用奇氏筒作留孔模具的华夫板施工方法
KR100457166B1 (ko)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KR20090033573A (ko) 분사식 섬유보강 코팅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수/보강공법
JP7023475B1 (ja) コンクリート振動機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CN108643432A (zh) 电子芯片厂房华夫板结构施工工法
KR100771441B1 (ko) 레벨링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플로어 폴리싱 시스템
JPH07119262A (ja) 一発仕上げ防水工法およびその防水材料
JP4366473B2 (ja) 補強コンクリート部材の仕上げ構造
JP2856013B2 (ja) 既存構造物の表面塗装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塗装下地用パテ材
CN110499893A (zh) 一种现浇混凝土楼地坪一次成型施工方法
KR200209578Y1 (ko) 수분침투방지층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CN217734061U (zh) 一种sas边坡防护轻质模板
KR102466106B1 (ko) 콘크리트 바닥의 보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수 구조
US202200819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nd/or strengthening a porous structure, and unidirectional carbon fiber material for use therewith
CN113622659B (zh) 用于连廊清水混凝土柱的施工方法及其结构
EP3753696B1 (en) A method of making a waterproof floor slab element
KR100477757B1 (ko) 세라믹 침강에 의한 초경량 콘크리트 보호 마감층의시공방법
CN2410358Y (zh) 纤维膜被覆模板
JP2794286B2 (ja) アパート廊下の防水補修工法
JPH08291616A (ja) コンクリート床仕上げ工法
JPH084265A (ja) コンクリートあるいはモルタル下地表面の滑止め舗装施工方法
CN113653111A (zh) 一种地下室顶板裂缝修复方法及修复结构
JP3845404B2 (ja) 断面修復・剥落防止併用工法
KR960004757B1 (ko) 콘크리트 비접착성 장식판재류를 일체로 부착한 건축용 콘크리트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