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055B1 -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 - Google Patents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055B1
KR100457055B1 KR10-2002-0077694A KR20020077694A KR100457055B1 KR 100457055 B1 KR100457055 B1 KR 100457055B1 KR 20020077694 A KR20020077694 A KR 20020077694A KR 100457055 B1 KR100457055 B1 KR 10045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yarn
composite yarn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015A (ko
Inventor
김남훈
송기철
권익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2-007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0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모(毛)섬유로 만들어진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 및, 모(毛) 100% 슬라이버 또는 소량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모(毛) 슬라이버를 교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의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사는 신축성 및 신축회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상압(常壓)에서 염색 가능하여 모(毛) 섬유의 열화에 의한 물성취화 방지가 가능하고, 동색성, 촉감, 광택이 우수하여, 정장용, 캐쥬얼웨어, 골프웨어를 포함한 스포트웨어 등의 직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Conjugated Yarn comprising PTT filament and Wool fibers and Woven Fabric comprising the Yarn}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모(毛)섬유로 만들어진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 및, 모(毛) 100% 슬라이버 또는 소량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모(毛) 슬라이버를 교연(交撚)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의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모(毛)섬유는 탄성 및 압축 반발력이 매우 우수하고, 고유의 광택, 보온성, 천연 크림프의 형태안정성이 탁월하며, 표준상태에서 상대습도가 16%정도로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고 있고, 산(酸)에 강하다. 하지만, 모섬유의 방적사는 강도가 낮고, 신축성, 워시 앤 웨어(wash & wear)성이 좋지 않고, 황변이 발생하기 쉬우며 방충, 방진균성이 낮아, 일반적으로 그 취급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고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단섬유(Staple)를 함께 혼방하거나, 상기 PET 연속 필라멘트를 심사로 사용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PET 섬유는 분자구조로부터 유래된 난염성(難染性)이 있어, 통상 고온고압의 염색 조건이 요구되나, 상기 고온고압 염색은 모(毛)의 시스틴 결합이 파괴하므로 혼방사 또는 복합사의 강도 저하가 일어나고, 황변 또는 실의 취화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염(yarn dyeing)의 과정 또는 제직 후 염색시, 모섬유 취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염색의 온도를 130℃까지 올리지 못하므로, 균염이 어렵고, 염색견뢰도도 좋지 않게 되며, 또한, PET 섬유는 터치가 뻣뻣하고 신축성이 없어, 모섬유의 여러가지 우수한 물성에 필연적으로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본 특허출원공개 특허평9-15797은 분자량 500 내지 4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5 내지 4.5(중량%)와 아디프산 6 내지 9%(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을 개시하였으나, 상기의 경우, 고진공에 의해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비산(飛散)하여 공중합에 균일하게 참여하지 못하거나, 제직 후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수축 과다로 직물이 수축되는 바, 신축성 발현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는 모섬유의 우수한 신축성, 신축회복성을 유지하면서도, 염색시 균염이 가능하고 염색 견뢰도가 우수하며 모섬유의 취화 또는 황변을 일으키지 않는 동시에, 실의 촉감이 우수한 모(毛)와 폴리에스테르 혼방사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필라멘트를, 모(毛) 100% 또는 소량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모(毛) 슬라이버를 정방의 공정에 함께 도입하여 교연·복합하여 복합사를 제조할 경우, 우수한 신축성, 신축회복성, 이염성, 동색상, 염색 견뢰도를 가지고 촉감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및 모의 복합사를 수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은 우수한 신축성, 신축회복성, 이염성, 동색상, 염색 견뢰도를 가지고 촉감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와 모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 필라멘트와 모(毛)섬유로 만들어진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 및, 모(毛) 100% 슬라이버 또는 소량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모(毛) 슬라이버를 교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의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사는, 다수의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가 심사로 되고, 상기 슬라이버의 모(毛) 단섬유가 상기 필라멘트 심사의 주위를 고르게 감싸면서 교연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어지는 상기 폴리트리메틸릴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는 데니어가 10 내지 75De이다 섬도가 10데니어 이하에서는 작업성이 나쁘며, 70데니어 이상에서는 양모 고유의 촉감 발현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PTT 연속 필라멘트는 복굴절율(Δn)이 0.05 내지 0.08 이다. 상기 PTT 연속필라멘트를 모(毛)와 복합한 경우, 복굴절율이 0.05 미만이거나, 또는 0.08 초과이면 제직 후 직물에서의 표면이 평활치 못할 뿐 아니라, 후가공성 및 작업성이 극히 불량하다.
상기 PTT 연속 필라멘트는 복합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의 혼용율(중량%)이 5 내지 30%의 범위가 되도록 복합한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의 혼용율이 모(毛)섬유 전체 중량에 대해 5% 미만인 경우, 신축성 및 신축 회복성이 저하하고, 혼용율이 30% 초과인 경우, 모(毛) 제품의 품위를 손상시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사는 상기 PTT 멀티필라멘트를 모(毛) 100% 슬라이버 또는 소량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모(毛) 슬라이버와 교연하여 수득한다. 이 경우, 상기 소량의 단섬유는 아크릴, 나일론, 폴리에스터의 합성섬유 및 면, 마, 실크 및 기타 동물의 수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양모 단섬유 중량의 30%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연은 종래에 공지되어 있는 이종(異種) 섬유간의 복합법인 합연법,커버링법등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사이로필 교연법을 사용한다.
교연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섬유 슬라이버가 소정의 굵기로 드래프트 되는 프런트 롤러에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필라멘트를 동시에 공급하면,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모섬유 슬라이버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필라멘트가 교연되어 꼬임을 가진 실을 형성하고 보빈에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교연할 경우, 모(毛) 단섬유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의 2합 효과가 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사는, 상기 복수개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필라멘트의 대분분이 실의 중심쪽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버의 모 단섬유가 상기 필라멘트의 주위를 고르게 감싸는 구조를 가지는 바, 특히, 수득된 실의 모양이 둥글고, 세번수의 실의 제조도 가능하기 때문에 직물의 드레이프성과 고급감이 뛰어나 하복지용과 섬세한 고밀도 추동용 소프트 수트에 적합하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복합사의 경우, 모 단섬유가 심사를 이루는 필라멘트 주위를 고르게 감싸는 동시에, 꼬임이 들어가 단섬유 슬라이버들이 필라멘트와 함께 집속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PTT 필라멘트 및 모섬유 복합사의 경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가 주변을 감싸고 있는 모(毛)슬라이버들을 지탱함으로써 사(絲) 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동시에, 신축성 및 신축회복성의 면에서도, 기존 모(毛) 섬유 단독으로 이루어진 실의 신축 특성을 능가하는 장점이 있고, 촉감 면에서도 모섬유로 이루어진 실과 유사한 특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사의 경우, 100℃ 이하 및 상압 조건하에서 염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추가로 유리하다. 기존의 PET 및 모(毛)의 정방교연에 의한 복합사의 경우, 고온 고압의 염색이 필수적인 PET 섬유의 존재로 인해, 복합사 제조후 1욕 염색법에 의한 경우 모(毛)의 손상을 배제할 수 없었으며, 모섬유의 손상을 막기 위해 PET 필라멘트를 먼저 염색을 한 후, 정방 교연을 행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색상의 복합사를 수득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합사는 100℃ 이하의 온도 및 상압조건 하에서 균일 염색이 가능하므로, 모(毛) 섬유의 열화에 의한 물성취화 방지가 가능하고, 농색에서의 동색(同色)상 발현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PTT 필라멘트 및 모(毛)섬유의 복합사를 위사 또는 경사로 사용하여 제직한 신축성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물은 신축성, 신축회복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정장용, 캐쥬얼웨어, 골프웨어를 포함한 스포트웨어 등의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복합사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방법에 대하여 먼저 상술한다
1) 강신도 : KS K0412법에 의거 강신도 평가하였다.
2) 촉감 : 촉감은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30명을 대상으로 5점기준 점수 합계의 평균값으로 평가하였다. (4∼5점: 우수, 3∼3.9: 양호, 2∼2.9점: 다소미흡, 2점미만: 미흡)
3) 염색성 : 100℃ 염색시 색농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4) 작업성 : 작업시 사절회수% (작업성 90%이상: 우수, 80%이상: 양호, 70%이상: 다소미흡, 70%미만 미흡)로 평가하였다.
5) 신축성(신축회복성) : 10% 신장시 신축회복율(%)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사이로필 방적기를 사용하여 교연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모(毛) 단섬유 슬라이버가 드래프트 되는 롤러에 10데니어의 PTT 멀티필라멘트를 도입하고,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이들을 교연(交撚)함으로써,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모(毛)의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또한 모(毛섬)섬유 슬라이버의 드래프트를 조절하여 복합사 내의 PTT 필라멘트 혼용율을 7% 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복합사를 가지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강도, 신도, 촉감, 염색성, 작업성 및 신축회복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20 De의 PTT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혼용율이 11%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사를 가지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강도, 신도, 촉감, 염색성, 작업성 및 신축회복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75 De의 PTT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혼용율이 30%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사를 가지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강도, 신도, 촉감, 염색성, 작업성 및 신축회복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5 De의 PET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혼용율이 3%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사를 가지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강도, 신도, 촉감, 염색성, 작업성 및 신축회복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100 De의 PET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혼용율이 33%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사를 가지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강도, 신도, 촉감, 염색성, 작업성 및 신축회복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10 De의 PET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혼용율이 7%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사를 가지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강도, 신도, 촉감, 염색성, 작업성 및 신축회복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75 De의 PET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혼용율이 30%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사를 가지고,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강도, 신도, 촉감, 염색성, 작업성 및 신축회복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총 De. 150 190 250 150 300 150 250
필라멘트 De. 10 20 75 5 100 10 75
혼용율(%) 7 11 30 3 33 7 30
강도(g/d) 1.3 1.5 1.7 0.7 2.1 1.5 2.0
신도(%) 30 32 40 22 42 21 25
촉감 ×
염색성 × ×
작업성 ×
*총 De는 모 단섬유 슬라이버와 PTT 필라멘트의 총 데니어를 말한다.
* 우수 (◎), 양호 (○), 다소 미흡 (△), 미흡 (×)
* 염색성 100℃ 염색시 색농도 평가결과임.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사는, 종래 기술의 PET 및 모 복합사에 비해 강도 및 신도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촉감, 염색성 및 방적 작업성도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사는 신축성 및 신축회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상압(常壓)에서 염색 가능하여 모(毛) 섬유의 열화에 의한 물성취화 방지가 가능하고, 동색성, 촉감, 광택이 우수하여, 정장용, 캐쥬얼웨어, 골프웨어를 포함한 스포트웨어 등의 직물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 및, 모(毛) 100% 슬라이버 또는 소량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모(毛) 슬라이버를 교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의 복합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가 심사로 되고, 상기 단섬유 슬라이버의 모가 상기 필라멘트 심사의 주위를 고르게 감싸면서 교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트리메틸릴렌테레프탈레이트 연속 멀티필라멘트는 10 내지 75 의 데니어를 가지고, 개개 PTT 연속 필라멘트는 0.05 내지 0.08의 복굴절율(Δn)을 가지며,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를 모(毛)와 복합하였을 시, 모 (毛) 섬유에 총 중량에 대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의 혼용율(중량%)이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복합사를 위사 또는 경사로 사용하여 제직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직물.
KR10-2002-0077694A 2002-12-09 2002-12-09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 KR10045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694A KR100457055B1 (ko) 2002-12-09 2002-12-09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694A KR100457055B1 (ko) 2002-12-09 2002-12-09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015A KR20040050015A (ko) 2004-06-14
KR100457055B1 true KR100457055B1 (ko) 2004-11-10

Family

ID=3734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694A KR100457055B1 (ko) 2002-12-09 2002-12-09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0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36B1 (ko) * 2008-10-13 2011-01-19 서광무역 주식회사 신축성 발현 형상기억 복합 가연사 및 그를 사용한 직물
KR101886232B1 (ko) 2017-10-18 2018-08-0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신축성이 개선된 린넨-실크 듀얼 사이로필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637B (zh) * 2013-01-11 2015-03-25 劲霸男装(上海)有限公司 sorona/羊毛的半精纺纱线及其生产工艺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043A (ko) * 1998-03-27 1999-10-15 구광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73940A (ja) * 2001-08-30 2003-03-12 Du Pont Toray Co Ltd 被覆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3941A (ja) * 2001-08-30 2003-03-12 Du Pont Toray Co Ltd 合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6642A (ja) * 2001-09-27 2003-04-03 Toray Ind Inc 複合布帛とその製造方法
JP2003221742A (ja) * 2002-01-23 2003-08-08 Du Pont Toray Co Ltd 被覆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043A (ko) * 1998-03-27 1999-10-15 구광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73940A (ja) * 2001-08-30 2003-03-12 Du Pont Toray Co Ltd 被覆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3941A (ja) * 2001-08-30 2003-03-12 Du Pont Toray Co Ltd 合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6642A (ja) * 2001-09-27 2003-04-03 Toray Ind Inc 複合布帛とその製造方法
JP2003221742A (ja) * 2002-01-23 2003-08-08 Du Pont Toray Co Ltd 被覆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36B1 (ko) * 2008-10-13 2011-01-19 서광무역 주식회사 신축성 발현 형상기억 복합 가연사 및 그를 사용한 직물
KR101886232B1 (ko) 2017-10-18 2018-08-0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신축성이 개선된 린넨-실크 듀얼 사이로필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015A (ko) 2004-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476B2 (en) Stretch polyester/cotton spun yarn
KR100469108B1 (ko) 방적사
KR100832392B1 (ko)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천연섬유를 함유하는고스트레치성 혼합방적사의 제조방법
TW200819571A (en) Process for making stretch woven fabrics
CN111270378A (zh) 一种聚乳酸羊毛新型混纺纱线的制备方法
JP4255473B2 (ja) 縫糸及び布帛縫製品
US66947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tton/rayon blended yarn
US3077006A (en) Production of staple fibers
CN104846503A (zh) 一种半精纺地毯纱
KR100457055B1 (ko)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및 모(毛) 섬유의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
US20040067707A1 (en) Stretch polyester and acrylic spun yarn
KR101946948B1 (ko) 신축성 및 감촉이 우수한 메타 아라미드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1956121A1 (en) Stretch polyester/cotton spun yarn
KR100494341B1 (ko) 난연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합성섬유 방적사
KR100871966B1 (ko) 스트레치 폴리에스테르/면 방적사
KR100554762B1 (ko) 실크/합성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CN1298906C (zh) 麻棉弹力灯芯绒
JP2020070520A (ja) 織物および衣料
JP2733302B2 (ja) ポリエステル系縫糸
KR20230161247A (ko) 직물 제직방법
JPH07118987A (ja) 新規な軽量織編物
JPH07278982A (ja) 複合紡績糸
JP2003313757A (ja) 編み地
JPH07157936A (ja) 自動縫製用フィラメント縫糸
JP2002180352A (ja) 複合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