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549B1 -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549B1
KR100456549B1 KR10-2001-0085360A KR20010085360A KR100456549B1 KR 100456549 B1 KR100456549 B1 KR 100456549B1 KR 20010085360 A KR20010085360 A KR 20010085360A KR 100456549 B1 KR100456549 B1 KR 100456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eat
spring
wir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4926A (ko
Inventor
정현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5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캠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높낮이 조절과 작동 성능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차체 바닥에 설치되어 와이어 길이를 조절해 주는 작동 레버부와,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시트 하부의 전부와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 가변에 따라 시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한쌍의 캠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seat}
본 발명은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시트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용 시트의 경우는 운전자가 직접 스티어링 시스템이나 브레이크 시스템 등 차량의 주행을 하는데 필요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면, 상기 자동차용 시트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및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 장치는 보통 기어 조합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작동 수단으로는 운전자가 손잡이를 직접 돌려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동식과 모터 등으로 작동되는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조절 장치는 수동식인 경우 손잡이를 돌리는데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조작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전동식의 경우 소형 차량에 장착하게 되면 비용 상승을 유발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이에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캠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높낮이 조절과 작동 성능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높낮이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 레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토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 레버부 11 : 손잡이
12 : 스프링 13 : 가이드홈
14 : 와이어 15 : 조작 레버
20 : 캠 구조 21 : 샤프트
22 : 캠부 23 : 스토퍼
24 : 가이드 25 : 위치 조절 구멍
26 : 탄성 스프링 30 : 고정 튜브
31 : 가동 튜브 32 : 스프링 수단
33 : 안내 돌기 34 : 스토퍼핀부
35 : 제 1스프링 36 : 제 2스프링
100 : 차체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차체 바닥에 설치되어 와이어 길이를 조절해 주는 작동 레버부와,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시트 하부의 전부와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 가변에 따라 시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한쌍의 캠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작동 레버부는 차체 바닥에 힌지로 고정되어 있으며 한쌍의 캠 구조에 와이어로 연결된 손잡이와, 이 손잡이에 복원력을 제공해 주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한쌍의 와이어가 각각 별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구조는 시트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샤프트와, 각 샤프트의 양단부에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캠부와, 상기 작동 레버부의 조작에 따라 캠부의 위치 조절 및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부는 바깥쪽면에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안쪽면에는 등간격으로 위치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캠부가 항상 위로 돌출되도록 힘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캠부를 안내하는 고정 튜브와, 이 고정 튜브와 나란하게 마주하고 있는 동시에 와이어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며 캠부의 안쪽에 설치되어 캠부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가동 튜브와, 상기 와이어의 장력 제거시 이 가동 튜브에 복원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수단은 고정 튜브와 가동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서로 연결된 제 1스프링과, 이들 튜브의 길이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제 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 레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높낮이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시트가 장착되는 차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작동 레버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상기 작동 레버부(10)는 차체에 힌지고정된 손잡이(11)와, 이 손잡이(11)에 복원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11)는 길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차체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특히 힌지부위의 윗쪽으로는 후술하는 한쌍의 와이어(14)의 단부를 걸 수 있고 또 와이어(14)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해주는 한쌍의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손잡이(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14)를 당겨줄 수 있게 된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홈(13)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는 "ㅡ"자 형태 다른 하나는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손잡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한쌍의 가이드홈(13)에 한쌍의 와이어(14)가 각각 하나씩 걸려지면서 가이드홈(13)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11)의 가이드홈(13)에는 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각 와이어(14)의 단부가 걸려져서 당겨질 수 있게 되는데, 이들 각 와이어(14)는 후술하는 한쌍의 캠 구조(20)에 연결됨에 따라 손잡이(11)의 작동력이 와이어(14)를 통해 캠 구조(20)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특히, 상기 각 와이어(14)에는 각각 조작 레버(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조작 레버(15)를 당기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와이어(14)가 당겨지고, 이렇게 당겨진 와이어(14)의 단부가 가이드홈(13)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캠 구조(2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2)은 일단이 손잡이(11)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이와 같이 이루어진 스프링(12)은 손잡이(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해주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작동 레버부(10)는 운전자(또는 탑승자)가 손잡이(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와이어(14)가 당겨지면서 한쌍의 캠 구조(2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조작 레버(15)를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캠 구조(20)만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 레버부(10)와 함께 한쌍의 캠 구조(20)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캠 구조(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21)와, 이 샤프트(21)의 양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캠부(22)와, 이 캠부(22)의 위치 조절 및 조절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해주는 스토퍼(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21)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트의 하부(바람직하게는 시트 하부의 전부와 후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이러한 샤프트(21)는 상기 캠부(22)의 회전을 지지해주는 구성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캠부(22)는 일면에는 샤프트(2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가이드(24)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쪽 면에는 이 가이드(24)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 고정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이와 같이 이루어진 캠부(22)는 샤프트(21)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2개가 설치되며, 이때 각 캠부(22)는 코일 타입의 탄성 스프링(26)에 의한 탄성 지지를 받아 항상 윗쪽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을 갖는다.여기서, 상기 탄성 스프링(26)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 튜브(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캠부(22)에 고정되며, 따라서 이와 같이 고정된 캠부(22)는 탄성 스프링(26)에 의해 항상 윗쪽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스토퍼(23)는 샤프트(21)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튜브(30)와, 이 고정튜브(30)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캠부(22)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가동 튜브(31)와, 상기 작동 레버부(10)의 와이어(14)에 의해 당겨지는 가동 튜브(31)에 복원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 수단(32)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고정 튜브(30)의 길이 중간 부분에는 캠부(22)의 가이드(24)에 끼워지는 안내 돌기(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안내 돌기(33)는 캠부(22)가 가이드(24)의 회전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 튜브(31)의 길이 중간 부분에는 캠부(22)의 위치 고정 구멍(25)에 끼워지는 스토퍼핀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스토퍼핀부(34)는 가동 튜브(31)가 와이어(14)에 의해 당겨지거나 재차 복귀될 때 위치 고정 구멍(25)으로부터 빠지거나 끼워지면서 캠부(22)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거나 조절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프링 수단(32)은 양단이 각각 고정 튜브(30)와 가동 튜브(31)에 고정되어 이들 튜브(30,31)의 하단부를 연결시켜주는 제1스프링(35)과, 상기 튜브(30,31)의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그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제2스프링(36)으로 이루어져 있다.이와 같이 이루어진 스프링 수단(32)은 작동 레버부(10)에 의해 와이어(14)로 연결된 가동튜브(31)가 당겨져서 캠부(2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작동 레버부(10)로부터 장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 레버부의 조작에 의해 시트의 전부와 후부를 한꺼번에 또는 일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1) 한쌍의 캠 구조를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게 되어 시트의 전부 또는 후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체형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2) 캠과 탄성스프링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3) 캠부가 탄성스프링의 지지를 받아 항상 시트를 위로 올려 주도록 설치되고 체중에 의해 시트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어 시트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9)

  1. 차체 바닥에 힌지로 고정되어 있으며 한쌍의 캠 구조(20)에 와이어(14)로 연결된 손잡이(11)와, 상기 손잡이(11)에 복원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12)으로 구성되어 와이어를 당겨주는 작동 레버부(10);
    시트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샤프트(21)와, 상기 각 샤프트(21)의 양단부에 탄성 스프링(26)의 탄성력을 받아 항상 윗쪽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바깥쪽면에 샤프트(2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2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안쪽면에 등각격으로 위치 고정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22)와, 상기 작동 레버부(10)의 조작에 따라 캠부(22)의 위치 조절 및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스토퍼(23)로 구성되어 시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주는 한쌍의 캠 구조(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에는 한쌍의 와이어(14)가 각각 별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3)는 샤프트(21)의 단부에 고정되면서 일단이 캠부(22)의 가이드(24)에 끼워져 캠부(22)를 안내하는 고정 튜브(30)와, 상기 고정 튜브(30)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캠부(22)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와이어(14)에 의해 당겨지면서 그 스토퍼핀부(34)가 캠부(22)의 위치 고정 구멍(25)에 빠지거나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는 가동 튜브(31)와, 상기 가동 튜브(31)에 복원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 수단(3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32)은 고정 튜브(30)와 가동 튜브(3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서로 연결된 제1스프링(35)과, 상기 고정 튜브(30)와 가동 튜브(31)의 길이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제2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4)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와이어(1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 레버(15)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001-0085360A 2001-12-26 2001-12-26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456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360A KR100456549B1 (ko) 2001-12-26 2001-12-26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360A KR100456549B1 (ko) 2001-12-26 2001-12-26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926A KR20030054926A (ko) 2003-07-02
KR100456549B1 true KR100456549B1 (ko) 2004-11-10

Family

ID=3221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360A KR100456549B1 (ko) 2001-12-26 2001-12-26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5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926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857B1 (ko) 모터 차량용 조절 가능한 페달 기구
JPH07329859A (ja) 走行車の風防部の位置調節のための装置
GB2259248A (en)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ular seat
KR20070118701A (ko) 좌석의 측면부 높이 조절장치 및 그 조절방법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0456549B1 (ko)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333282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JP2005013337A (ja) 車両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装置
KR0157262B1 (ko) 차량용 파워 시트에서의 콘솔 박스의 무빙 시스템
JPH07334262A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KR100533464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높이 조절장치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100297135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H07191774A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KR200144113Y1 (ko) 자동차의 내측 도어 손잡이 각도조절장치
KR100570378B1 (ko)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KR200168415Y1 (ko) 자동차 시트 전후 높이 조절 장치
KR0115990Y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0117475Y1 (ko) 자동차용 시트 등받이의 구동장치
KR0111308Y1 (ko) 차량용 시트의 허리 지지장치
EP0800953B1 (fr) Dispositif d'actionnement centralisé d'un siège de véhicule automobile
KR0132594Y1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용 요추 지지체
KR0168549B1 (ko) 조향휠 높이조절장치
KR0132601Y1 (ko) 시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