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350B1 - 향상된 전극 배치를 갖는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 및 발광 시스템 - Google Patents

향상된 전극 배치를 갖는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 및 발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350B1
KR100456350B1 KR10-2001-7003955A KR20017003955A KR100456350B1 KR 100456350 B1 KR100456350 B1 KR 100456350B1 KR 20017003955 A KR20017003955 A KR 20017003955A KR 100456350 B1 KR100456350 B1 KR 100456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discharge
cathode
grain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425A (ko
Inventor
프랑크 폴코머
로타르 힛취케
지몬 예레비크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 Lamp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곡류 형상의 새로운 전극 구조를 갖는 유전성 장애물을 발생시키는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애노드(들) 또는 애노드(들) 및 캐소드(들)은 곡류 형상이다.

Description

향상된 전극 배치를 갖는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 및 발광 시스템{DISCHARGE LAMP AND LIGHTING SYSTEM FOR 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S WITH IMPROVED ELECTROD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그 자체가 스트립(strip)형 전극으로 공지된 전극에 관한 것이다. 스트립형 전극은 특히, 적절하게는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평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평면형 방사기 형태의 방전 램프를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트립형 전극들은 일반적으로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벽상에 형성되며,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이 플레이트 사이에서 해당 평면형 방전 볼륨(volume)에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스트립형 캐소드와 애노드는 이 경우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또한, 스트립형 전극들은 물론 다른 방전 램프들, 특히 다른 방전 용기 형상을 가진 방전 램프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극들은 평면형이 아닌 경우 방전 용기를 형성하는 경계 벽들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들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방전 용기 벽으로부터 독립하여 예를 들면, 방전 용기 내부의 전극 스트립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전 용기의 벽 또는 방전 용기 내벽에 제공되는 스트립형 전극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대체로 본 발명은 전극 스트립용 캐리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방전 매질, 스트립형 캐소드와 스트립형 애노드 뿐만 아니라 애노드와 방전 매질 사이의 유전체층으로 충전된 방전 용기를 갖는 방전 램프로부터 시작한다.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가지며 여기서 고려되는 방전 램프들의 전극 배치에 대한 개선과 평가의 본질적인 기준들은 전기 소자로서의 전극 구성의 바람직한 전기적 성능에 부가하여 전극 배치 그리고/또는 그것을 사용하여 생산되어지는 방전 구조들(structures)의 기하학적 특성에 있다. 반면, 중요한 것은 시간상 그리고 공간상 광 생성의 균일성 즉, 변동(fluctuation)으로부터의 시간상의 자유와 가능한 균일한 공간상 분포이다. 물론, 원한다면 특정한 불균일 공간 분포 역시 가능하다. 게다가, 특정 응용에서의 방전 램프, 예를 들면 평면형 스크린 백라이팅 또는 신호 램프 분야에서 달성될 수 있는 표면 휘도도 중요하다.
본 발명은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s)을 위하여 설계된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방전 램프는 방전 매질로 충전된 방전 용기에 적어도 한 개의 캐소드(cathode)와 적어도 한 개의 애노드(anode)를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애노드는 유전체층으로 인하여 방전 매질로부터 분리된다. 방전 램프들에 있어서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의 작동 모드는 여기에서는 개별 관심은 없다. 따라서, 특히 하기에 언급되는 종래 기술을 참조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에서의 전극 배치에 관련한 것이다.
도 1에는 사인파 형태의 애노드들 및 캐소드들을 갖는 전극 배치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전극 배치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장방형파 형상의 애노드들 및 캐소드들을 갖는 다른 전극 배치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톱니파 형상의 애노드들 및 캐소드들을 갖는 전극 배치의 다른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반원형파 형상의 애노드들 및 캐소드들을 갖는 전극 배치의 다른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방전 램프를 가지며, 쌍극성 변화 구동 방법에 적합한 안정기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6에 따른 발광 시스템의 경우 방전 램프에 인가되는 외부 전압 및 방전 램프를 통과하는 전류에 대한 측정 곡선들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전극 배치를 갖는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를 특정 짓는 기술적 문제, 및 이러한 방전 램프와 적절한 안정기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특정 짓는 기술적 문제에 근간을 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는 언급된 종류의 방전 램프에 의하여 해결되어 지며, 이러한 방전 램프는 애노드가 곡류(曲流: meandering) 형상으로 연장하여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간격이 곡류 형상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거나 또는 캐소드와 애노드가 곡류 형상으로 연장하며, 이러한 곡류 형상은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간격이 두 개의 곡류 형상에 의해 조절되도록 서로에 대해 국부적으로 반대의 위상(相, phase)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두 개의 방전 램프 중 하나와 안정기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과 관련이 있으며, 안정기는 방전 램프 내에 유효 전력의 펄스 커플링을 위하여 설계된다.
방전 램프와 안정기에 대한 다수의 바람직한 개선점들과 그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고, 하기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본 발명은 방전 램프에 관련하여 두 개의 변형예가 고려된다. 제1 변형예는 오직 애노드에 대한 전극들만이 독창적인 곡류 경로를 가지는 것이다. 비록 애노드의 곡류 형상이 방전에 필수적인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지만, 스트립형 캐소드의 정확한 경로는 이 경우에 기본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캐소드는 직선형 스트립이거나 또는 곡류 형상에 의한 방전 간격의 조절이 다른 방법으로 방전 간격에 너무나 큰 영향을 미쳐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효과가 충족되지 않는 형태로 무효화되거나 억제되지 않는 한은 다른 원하는 형태의 스트립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특별하게 캐소드가 곡류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의 경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 방전 램프의 애노드가 형태에 있어서 캐소드와 구별되어 진다는 것이 여기서 논의될 제1 변형예를 위한 필수전제조건이며, 다시 말해 원칙적으로 캐소드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많은 형태중 캐소드와 방전 매질 사이에 유전체층이 없다는 사실에 의하여 가장 간단한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방전 매질로부터 이온 충격에 의한 스퍼터링 손실로부터 캐소드 또는 캐소드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캐소드 또는 캐소드들 위에 유전체층을 때때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캐소드 또는 캐소드들 위의 유전체층은 종종 애노드와 관련한 유전체층 보다 더 얇다. 또한, 애노드는 이 경우 캐소드와 구별되어진다.
이는 심지어 애노드가 방전 램프에서 적정 표시(designation),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에 대한 극성 기호(symbol)에 의해서만 구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의 경우에 있어서, 쌍극성(bipolar) 및 단극성(unipolar) 전원 모두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기술된다. 쌍극성의 경우에, 캐소드들과 애노드들은 물론 번갈아 그들의 전기적 역할들을 자연스럽게 바꾸기 때문에 작동상 상호 구별되어질 수 없다. 두 타입의 전극 중 하나에 대한 설명은 두 타입의 전극 모두에 대해 유효하다. 역으로, 이는 이러한 방전 램프가 단극성 동작을 위해 설계되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의 제2 변형예는 본 발명에 따른 곡류 형상의 효과와 이점을 자세하게 논의하기 전에 설명되어 질 것이다. 이 경우에, 곡류 형상은 두 타입의 전극과 관련이 있고,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와 적어도 하나의 애노드는 곡류 형상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에, 곡류 형상들은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방전 간격의 조절에 관하여 상호 보강된다. 캐소드와 애노드는 이를 위해 상호 반대 상(相)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전극들의 곡류 형상들이 주기적일 필요는 없다는 것은 범위까지 일반화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반대 위상 (phase opposition)이라는 용어는 국부적이며 다른 위치에서는 변화되는 주기성에만 관련되며, 가능하게는 그 본질에 있어 국부적으로 "피크가 골과 마주하는" 및 "골이 피크와 마주하는" 비주기성의 경우에도 또한 관련이 있고, 이에 따라 전극들은 동일한 점들에서 필연적으로 서로에게 향하거나 또는 멀어진다.
상술된 반대 위상에서의 곡류 형상의 보강은 방전 간격의 방향에서 곡류 형상과 각각 관련된 "스트로크(stroke)"의 대수적 합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곡류 형상들은 반드시 서로에 대해 평형일 필요가 없는 다른 평면들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예들 들면, 전극 스트립들은 방전 용기의 마주하는 내벽상에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방전 간격이 한 전극의 적어도 한 개의 곡류 형상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두 변형예에 대해 유효하다. 결론적으로, 국부적으로 가장 적은 방전 간격의 각각의 점들은 동시에 국부적으로 가장 큰 방전 필드의 점들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개별 방전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핵심 점들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는 유효전력을 펄스 커플링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특별한 이점을 갖고 있으나,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는다. 국제특허출원 제 94/23 442호 및/또는 독일 특허 제 43 11 197.1호가 이를 위해 언급될 수 있으며, 참조를 위해 인용된다.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 램프에 대해 상기 출원들에 기술된 작동 방법에 있어서, 적절하게 공간적으로 매우 안정된 개별 방전 구조들이 제조되고, 이들 방전 구조들은 초기에 전극들 사이에 각각 가장 높은 필드 세기를 갖는 점(point)들에서 다른 수의 결합된 유효전력에 따라 형성된다. 보다 적게 국부화된 "커튼형" 방전 구조들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방전 구조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동등하다.
물론, 대체로 생각할 수 있는 다른 작동 방법의 경우에 있어서, 방전은 또한 전극들 사이에서만 발생되거나,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가장 높은 필드 세기가 발생하는 전극들 사이의 점들에서도 발생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설명들은 더 일반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개별적 방전으로부터 전체 픽쳐(picture)의 시간적 공간적 분균일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도로 제공되는 국부 필드 강화를 위한 전극 구조는 이미 독일 특허 제 196 36 965호 등에서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특히 노즈(nose)와 같은 점상의 돌출부들은 전극 플레이트들 또는 직선의 전극 와이어들에 제공된다. 상기 독일 특허도 역시 본 발명에서 인용되고, 그 명세서는 참조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종래기술과는 대조적으로, 제1 변형예로서 표시된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애노드 형상화(shaping)를 통한 국부 필드 보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인용된 종래 기술은 단극성인 경우에 캐소드상에 돌출부들을 제공된다. 특히, 이러한 종래 기술은 펄스 작동하는 방법의 경우 발생되는 캐소드의 방전 구조들은 캐소드에서 더 뾰족한 모양이고 애노드에서는 부채꼴로 펼쳐진 모양으로 나타난다는 생각에 기초해 왔다. 결론적으로 방전 구조의 관련 팁은 캐소드의 기하학적 형상화에 의해 배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캐소드 위의 점상 노즈들은 논리적으로 적절하게 고려되어져 왔다.
그러나, 방전 구조들 중 부채꼴로 펼쳐진 면들은 애노드와 관련되어 특히 여기에서 곡류 형상으로 정의된 애노드 형상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곡류 형상이라는 용어는 파동형태로 연장하는 많은 다른 가능한 모양일 수 있지만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바람직한 예는 사인파, 장방형파, 톱니파 등이 있다.소위 제2 변형예에 따라 곡류 형상의 캐소드와 조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곡류 형상의 애노드는 종래의 구조들과 비교하여 실질적인 장점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언급된 종래 기술의 노즈형(nose-type) 돌출부들과 비교하여, 곡류 모양은 용량면에서 실질적으로 더 유리한데, 그 이유는 방전에 대해 실제로 중요한 간격보다 현저하게 더 큰 간격이 전극들이 가장 근접하는 점들에서 전극 길이의 상당한 부분의 전극 스트립들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극 배치의 감소된 용량 및 그에 따른 더 적은 무효전류(reactive current)로 인해, 방전 램프를 동작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안정기가 더 작게 설계될 수 있어서, 가격, 전체 크기 및 무게 면에서 경제적일 수 있다. 게다가 더 가파른 펄스 에지 및 그에 따른 더 우수한 펄스 모양들은 더 작은 동작 커패시턴스와 연계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 램프는 개별 스트립내에 교번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캐소드와 다수의 애노드로 구성된 전극 배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각 경우에 하나의 애노드 스트립만이 두 개의 캐소드 스트립들 사이에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 용량의 관점은 반대 극성의 전극들로 둘러싸인 전극들에 대하여 더 많은 용량을 보유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는 서론에서 구별된 본 발명의 두 가지 변형예에 대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미 논의된 "곡류 형상"은 반대 극성의 개별 전극에 의하여 양 측면들에 인접하는 곡류 형상의 전극들의 경우에서, 각각의 방전 구조들의 바람직한 점이 고려된 전극을 따라 양 측면에 대하여 변화가능하다는 것을 필연적으로 의미한다. 이는, 위에서 언급된 다수의 개별 방전 구조들의 부채꼴로 펼쳐진 면들이 하나의 동일한 애노드에서 상호 간섭하기 때문에, 애노드에 대해 특히 중요하다는 것이 본 발명을 통해 판명되었다. 이는 방전 구조들의 애노드측 단부 사이의 과도하게 적은 간격이 주어질 때 안정된 전체 방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쌍극성 전력 공급의 경우에 있어서 모든 전극들에 해당된다. 단극성의 경우에, 캐소드상의 방전 구조들은 거의 서로를 간섭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에서 기술된 교번하는 전극 배치와 관련한 곡류 형상은 전기 용량에 대한 괄목할 만한 이점이 있고,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게다가, 곡류 형상은 캐소드 스트립상의 방전 구조들의 캐소드측 "뾰족한" 단부 사이의 더 큰 간격을 발생시킨다. 이는 캐소드상에 방전 팁(tip)이 그 자체로, 표면 글로우(glow) 방전이 캐소드 스트립상에 가시적으로 발광될 수 있는 캐소드 스트립의 양쪽 측면상에 위치하는 공급 영역(feed zone)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이는 명백하게 방전 구조에 대한 전자들의 공급과 관련이 있다. 방전 팁(tip)들 사이의 간격이 더 크다면, 캐소드의 공급 영역의 크기 또한 증가할 것이며, 이것은 램프 전체적으로 효율성을 달성한다는 이점을 가져온다.
반면, 제1 변형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또한 곡류 형상이 아닌 스트립형 캐소드의 경우를 포함한다. 종래의 방법에서 직선으로 연장할 수 있고 이는 특히 제1 변형예의 범주 내에 속한다. 특히, 넓게 부채꼴로 펼쳐진 애노드측과 비교하여 좁은 캐소드측 단부를 갖는 개별 방전 구조들의 상호 간섭이 예를 들어, 방전 간격들이 특별하게 큰 경우에 있어서 명확하게 종속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 직선의 캐소드 스트립들은 스트립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방전 구조들로부터 개별 스트립들의 가능한 한 밀집한 배열을 허용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곡류 형상의 애노드는 개별 방전 구조들의 상호 간섭을 고려한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캐소드의 양 측면에서 적정 방전 지점들의 교번하는 배열을 실행하기 위하여, 동일한 캐소드에 인접한 두 애노드들의 곡류 모양은 서로에 대해 국부적으로 동일 위상으로 연장한다.
대체로 상호 독립적인 두 기준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배치에 대한 적정 영역에서의 양적인 기하학적 설명에도 적용된다. 제1 기준은 방전 간격에서 오르내리는 변동 사이의 비율 즉, 주기 길이의 1/2 이내의 최대 방전 간격 dmax와 동일한 주기의 1/2 이내의 최소 방전 간격 dmin사이의 차이와 관련되고, 이러한 곡류 형상의 주기의 1/2는 SL로 표기된다. 이러한 비율에 대한 상한으로서 0.6이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0.5 값은 보다 바람직하며, 0.4는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 비율은 영(zero)이 아닌 한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아주 작은 값들 역시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측 가능한 효과는 예를 들어 0.01 같은 값들로부터 시작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2 기준은 이미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 최소 방전 간격에 관련되는데, 설계에 따른 방전 램프의 동작 동안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방전 구조들에 대하여 발생하는 최소 방전 간격에 관련된다. 이를 위해, 비교적 국부적으로 위치하는 방전 구조의 경우 및 이미 언급된 "커튼 형태"로 넓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 개별 방전 구조는 소정의 "평균적인" 확장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방전 간격에서 소정의 변형을 생성한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여기서, 개별 방전 구조는 많은 경우에 최대 방전 간격에 도달하지는 못하지만, 상대적으로 주어진 강력한 전력 커플링이 주어질 경우에만 최대 방전 간격에 도달할 것이다. 최소와 최대 방전 간격이라는 용어는 특정 작동 상태에서 실제로 주어진 방전 간격보다는 램프의 작동동안 원리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방전 거리에 관련된다. 최소 방전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최대 방전 간격의 90% 이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최대 방전 간격의 40% 또는 50%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언급한 대로, 이 경우에 있어서 최대 충돌(striking) 거리는 특정 동작 상태에서 방전 구조들에 의하여 실제로 달성된 최대 충돌 거리에 반드시 대응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방전 램프의 전극 배치에서 달성될 수 있는 충돌 거리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가능성은 이와 관련하여 중요하고, 특히 방전 램프 안에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정기를 가진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는 것에 대해 중요하다. 여기서, 안정기의 전력 제어 장치에서, 방전의 아크(arc) 전력이 가변되고 개별 방전이 전극 배치내 다소 큰 충돌 거리를 가교(bridge)할 수 있도록 방전 램프의 전력 공급의 적절한 전기적 파라미터가 변화된다. 결론적으로, 전극들 사이에 각각 바람직한 지점들에서, 개별 방전 구조들의 전체 체적 또는 개별 방전 구조들의 개수 중 하나가 변화된다. 따라서, 특히 다수의 개별 방전들이 전극 배치의 동일한 바람직한 지점에서 상호 인접하여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관하여 좀 더 자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공동출원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디머블(dimmable) 방전램프" 출원 번호 DE 198 33 720.5를 참조한다. 여기서는 참조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 문서 DE 196 36 965 등에 관련하여 상술된 한계는 이해되어질 수 없는 것이어서, 본 발명의 경우 전극 배치내 국부적 필드 강화의 지점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술되어진 가능성을 배제한다. 오히려,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특징에 부가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이 경우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된다. 특히 동일한 기능을 충족시키는 곡류 형상내에 코너 또는 칩을 가지지 않는 이러한 전극 배치의 경우, 일 예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시작할 때 개별 방전의 충돌의 용이함이다. 이와 관련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참조되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곡류 형상들 사이의 영역들에서 전극 표면에 대한 특정 실시예와 관련된다. 곡류 형상들 사이의 영역들이 의미하는 것은 예를 들어, 언급된 사인파 모양의 경우에서, 개별적인 아크(arc)들 사이의 직선 조각들 또는 직선부의 중간부분들, 즉 수학적인 관점으로,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 또는 변곡점(point of inflection)들이다. 이러한 영역들은 동일한 곡류 형상의 양측면에서 방전 구조들 사이의 경계에 일정한 범위로 대응하고, 영역으로 방전 구조가 확장되는 것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다.
이것과 관련한 제1 가능성은 전극에 적용된 층의 그레인 크기를 적절하게 가변시키는 것이며, 형광층이 특히 적절하다. 이 경우, 더 굵은 입자(coarsely grained)의 형광 매질이 곡류 보우(bow)들에서보다 곡류 형상들 사이의 영역에서 선택되어져야 한다. 곡류 보우들는 또한 전적으로 형광물질이 없을 수 있다.
같은 목적을 갖은 다른 가능성은 전극 위에 위치한 유전체층의 층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유전체층은 남아있는 영역보다 곡류 형상들 사이의 영역에서 더 두껍다. 캐소드들의 경우에서, 유전체층 없이 전적으로 남아 있는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미 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적절한 안정기를 갖는 방전 램프의 조합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경우 안정기는 상술된 유효 전력을 결합하는 펄스화 방법에 적합하거나, 그렇게 되도록 설계되어진다. 이와 관련된 가능한 전력 제어 기능 또는 연속적인 또는 거의 연속적인 경우 디밍(dimming)기능은 이미 고려되어졌다.
안정기의 관점에서, 유효 전력의 단극성 결합을 선택하는 수단을 추구할 가치가 있음을 증명해왔다. 이는 유효 전력 펄스들의 경우 방전 램프에 인가된 외부 전압이 기술적인 기생 효과(parasitic effect)에 의하여 발생되는 작은 예외를 제외하고는 항상 동일한 사인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전 램프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반드시 단극성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의도되는 재충돌(restriking)은 적절하게 반전된 전류 신호를 갖는 방전 램프에서 발생되어질 수 있지만, 단극성의 경우에는 외부의 램프 전압에 직접적으로 영향이 없다.
이 경우 본원 출원과 동일자로 본 출원인로부터의 두 개의 다른 병행 출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를 위한 구동 방법들 및 안정기들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본원에서 고려된다. 1998년 8월 28일자 출원 번호들 제198 39 336.9호 및 제 198 39 329.6호를 갖는 독일 병행 출원들이 참고된다. 이들은 쌍극성의 외부 램프 전압없이 재충돌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구동 방법의 보조로 순방향 컨버터 원리를 사용하는 안정기 및 동일한 목적을 위해 합성된 플라이백/순방향 컨버터 원리를 사용하는 안정기를 각각 설명하고 있다. 이들 출원들의 공개는 참조로써 본원에 또한 통합된다.
한편, 쌍극성 모드 동작은 두 형태의 전극([일시적인] 애노드 및 [일시적인 캐소드])이 곡류 형상을 갖는 그러한 전극 구조들에 특히 적합하다. 이것에 대한 첫 번째 이유는 전극 배치의 기하학적인 대칭이다. 그러나, 쌍극성 작동에 대한 적합성은 모든 전극들이 유전체 층(2면의 유전체 장애물)으로 덮일 것을 또한 요구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방전의 관점에서 마찬가지로, 전극들은 동일한 형태이며, 시간에 따라 교번적으로 일시적인 애노드 및 캐소드 양쪽의 역할을 한다.
쌍극성 모드 동작의 이점은 예컨대, 램프의 방전 조건들을 대칭적이게 할 때 존재한다. 그에 따라, 비대칭적인 방전 조건들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들 예컨대, 흑화현상을 야기하는 유전체내 이온 이동 또는 방전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공간 전하 축적들을 특히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변형된 순방향 컨버터가 쌍극성 동작 방법을 위한 안정기로서 고려된다. 변형예들은 순방향 컨버터의 변압기에서, 1차-회로측 전류에서의 방향 전환(reversal of direction)을 가능케하여 2차 회로에 전압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2차 회로 측상의 방향 전환에 대한 해당 전기적 측정들보다 간단하다.
특히,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변환기는 두 전류 방향들 중 하나에 각각 할당되는 즉, 단지 두 방향 중 하나가 1차 회로 전류에 사용되는 1차 회로 측상에 두 개의 권선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1차-회로 측상의 두 권선들에 전류가 교번적으로 인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예컨대, 두 권선중 할당된 하나를 통해 전류를 각각 클럭시키는 1차 회로내의 두 클럭 스위치들을 사용하므로써 이행될 수 있다. 두 전류 방향 각각은 1차-회로 측상의 변환기의 전용의 클럭 스위치 및 전용 권선에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가 AC 전원상에서 사용되는 경우, AC 전원으로부터 1/2 주기들에서 교번적으로 충전되는 두 개의 저장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은 두 1차-회로 측상에서의 두 전류 방향들을 참조할 때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한 부호의 AC 1/2 주기들은 저장 커패시터들 중 하나에 사용되며, 다른 부호의 AC 1/2 주기들은 다른 저장 커패시터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한 방향에 대한 전류들은 이들 두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각각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변압기의 1차 권선의 개설된 이중 설계와 함께 이행될 수 있지만, 그러한 설계는 본원에서는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1차-회로측상의 단일 권선은 적절한 스위치들에 의해 그 각각에 전류 방향이 각각 할당되는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교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그 상세한 내용이 아주 명백한 적절한 정류 회로가 AC 전원으로부터 저장 커패시터들의 공급에 사용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전극 구성들에 대한 몇몇 실시예들을 아래의 첨부된 도면들을 설명하며, 또한 도시된 개별 특징들이 다른 조합들에서 본 발명에 필연적일 수 있다.
도 1에는 개별의 스트립들로 교번하고 상호 필연적으로 병렬인 애노드들(1) 및 캐소드들(2)의 전극 구조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왼쪽 및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연결 편에 관계없이, 이경우 상호 동일 상(相)으로 연장하며 바로 인접한 애노드들(1) 및 상호 동일 상(相)으로 연장하며 바로 인접하는 캐소드들(2), 및 상호 반대 상(相)으로 연장하며 바로 인접하는 애노드들 및 캐소드들 모두는 사인파 형태의 곡류 형상을 갖는다.
만일, 사인파 형상의 상향 보우들(3)이 최대점들로서 그리고 하향으로 향하는 보우들(downwardly pointing bows; 4)이 최소점들로 도 1에 표시된다면, 캐소드 최대점들(3)은 애노드 최소점들(4)과 맞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그러하다 즉, 그들은 바로 인접하는 형태로 상호 각각 대향한다. 따라서, 최대 필드 강도의 점들은 최대점(3) 및 최소점(4)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도시되지 않은 개별 방전 구조들은 이들 점들에서 초기에 형성된다. 적절한 전력 결합이 주어진다면, 모든 바람직한 점들에는 각각의 개별 방전 구조로 채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공급에서의 보다 큰 상승 예컨대, 방전 램프에 인가된 외부 전압의 진폭에 있어서의 증가를 통한 상승은 바로 인접한 최대점들(3) 및 최소점들(4)의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개별 방전 구조들의 확장을 야기한다. 이 경우, 안정기의 해당 전력 제어 디바이스는 개별 방전 구조들이 최대점들(3) 및 최소점들(4) 사이의 경계 영역들에 즉, 변곡점들의 주변들에 도달될 때까지 전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개별 방전 구조들의 커튼형 확장에 의해 전체적으로 연속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디밍 영역(dimming region)을 형성한다. 이러한 취지로 앞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병행 출원이 참고된다.
앞서 설명한 절반의 주기 길이(SL), 최소 방전 간격(dmin) 및 최대 방전 간격(dmax)이 도 1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절반의 주기 길이(SL)는 방전 구조의 폭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써, 이 경우 언급된 디밍 기능의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최소 방전 간격은 바로 인접한 최대점(3) 및 최소점(4) 사이의 간격에 상응한다. 그러나, 최대 방전 간격은 그 각각이 반대 측면들을 가리키는 최대점(3) 및 최소점(4) 사이의 간격에 일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최대 방전 간격(dmax)은 제어 길이(SL)의 외부 경계들에서의 방전 거리와 일치한다. 사인파의 인접하는 절반의 주기들은 제어 길이(SL)에 속하지 않으므로, 보다 큰 방전 간격(dmax)을 한정하는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그들이 반대편상에 각각 이웃하는 전극에서의 방전을 위해 제공되기 때문이다(예컨대, 에지 전극들의 경우 방전을 위해 사용되지 않음).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 경우 변곡점들의 영역(5)내에서 최대점들(3) 및 최소점들(4) 사이에 도시된 라인의 절단부는 그곳에 제공되는 유전체 층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여기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의 경우, 애노드들(1) 및 캐소드들(2)은 대칭적 즉, 상호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두 형태의 전극 모두 유전체 층으로 덮여있다. 도 2에서 영역들(5)은 유전체의 증가된 층 두께에 대응한다.
곡류 형상들 사이의 이러한 영역들(5)의 특정한 구조인, 형광 물질의 입자 크기(grain size)와 관련되는 이미 기술된 변형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이 나타낸, 제1 변형예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도면들에서 다른 표현은 없다; 도 1에서 요구되는 것은 층 두께가 변하는 애노드들(1) 및 캐소드들(2)의 유전체 코팅, 또는 교번하는 코팅 및 비코팅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선택적인 곡류 형상 특히, 애노드들(1) 및 캐소드들(2)에 대한 장방형파 형태의 형상이 도 3에 도시된다. 따라서, 최대점들(3) 및 최소점들(4)은 본 예에서는 국부적이지 않으며, 각 전극 스트립의 1/2 주기에 대응한다.
그런 까닭에, 본 예에서, 노즈형 돌출부들(6)이 최대점(3) 및 최소점(4)상에 제공되며, 각기 인접하는 최소점들(4) 또는 최대점들(3)과 대향한다.
이러한 노즈형 돌출부(6)는 방전 구조들의 초기 충돌을 용이하게 하며, 전원 공급이 1/2 주기의 전체 폭에 걸쳐 방전 구조들의 확장시키지 않는 한, 전극 스트립들 사이의 최대 필드의, 본 예에서는 확장된, 영역들 내부의 중심으로 방전 구조들을 고정시킨다.
위에서 언급한 기하학적인 변경들이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1/2 주기 길이(SL)는 최대점들(3) 또는 최소점들(4)의 선형 확장과 일치한다. 최소 방전 간격(dmin)은 설명한 노즈형 돌출부들(6)간의 간격과 일치하지만, 최대 방전 간격은 인접한 수평 영역내의 방전 간격과 일치한다. 본 도면에서 최소 방전 간격(dmin)이 최대 방전 간격(dmax)보다 단지 약간 작다라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도 4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류 형상이 톱니 형상을 가짐으로써 충돌(striking)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부호들 3 및 4는 톱니의 각 곡류 형상들 즉, 최대점 및 최소점 주변 영역을 나타낸다. 최대점들 및 최소점들 그들 자체는 점상의(punctiform) 모서리들(7)에 각각 대응하며,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노즈형 돌출부들(6)과 동일한 방식으로 충돌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다시 한번, 되풀이하여 언급했던 기하학적인 참조 변수들(SL, dmin, 및 dmax)이 여기서는 도 1과 유사한 설명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여기서 톱니파 형상의 각 직선부의 중간 영역에 대응하는 곡류 형상들 사이의 영역의 경우, 도 2의 예에 대한 것에서와 같이, 치수들을 제공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을 개별적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 5에는, 반원 파형의 형상의 전극 트랙 즉, 각 전극이 각각의 전극 트랙의 수직축에 대해 대칭인 방식(mirror fashion)으로 교번적으로 상호 결합된 일련의 반원들에 해당하는 전극 트랙을 도시하며, 이는 상향 반원형의 호들(3)을 최대점들로 그리고 하향 반원형의 호들(4)을 최소점들을 나타내도록 수행된다. 다시 말해, 도 5의 전극 트랙들은 각 절반의 사인파가 적절한 동일 위상의 반원형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에 의해 도 1의 것으로부터 제조된 것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도 1, 2, 3, 4, 및 5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최소 방전 거리(dmin), 최대 방전 거리(dmax) 및 1/2 주기 길이(SL)의 기하학적 변수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치수들(mm로)이 주어진다.
dmin dmax SL
도 1 5 8 9
도 2 5 6 6
도 3 5 6 8
도 4 6 10 17
도 5 4 8 5
도 1-5에 도시된 전극 구조체들의 전체 대비할 때, 도 4는 특별히 바람직한 충돌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3의 예는 여러 이유중 첫번째 이유로,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상호 인접하여 연장하는 전극 스트립들로 인한 상대적으로 큰 용량성으로 인해, 보다 덜 바람직하다. 두번째로, 각 노즈(6)에 관계없이, 확장된 최대점들(3)과 최소점들(4) 영역에서 방전의 필수 조건의 위치에 대한 두드러진 의존성은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이 구조는 전력 제어에 초기에는 부적절하다. 그러나, - 도 1, 2 및 4의 예들과 같이- 예컨대 전극 폭을 가변하여 그러한 불균일성을 생성하기 위해, 방전 거리를 가변시키는 것보다는 오히려 다른 치수들을 사용하는 것이 여기서는 가능하다. 단지 그러한 때에 제어 길이로서 1/2 주기 길이(SL)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력 제어에 관해서 앞서 언급한 병렬 출원을 다시 한번 참조할 수 있다.
도 1 및 2의 사인파 형상과 대비하여, 도 4의 톱니파 형상은 톱니 형상의 코너들(7)로 인해, 방전 구조의 애노드 측에 - 쌍극성의 경우, 순간 애노드 측에 전류의 소정 집중이 있게 되는 결점을 갖는다. 그러나, 방전 및 방전 램프의 전체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그 자체에서 개별 방전들을 공간적으로 가능한 멀리 확장시키고, 증가된 전하 케리어 집중 영역을 가능한 한 적게 그리고 작게 생성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1 및 2에 도시된 이중의 사인파 형상은 방전의 효율성, 전체 커패시턴스, 전력 제어 성질, 성취 가능한 표면 휘도 및 이러한 휘도의 균일성에 관한 한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반원형 파형의 형상은 전력의 제어성 즉, 디밍(dimming) 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제어 길이(SL) 영역에서의 보다 낮은 경사들에 의해 도 1 및 2에 도시된 사인파 형상과 구분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5에 도시된 전극 구조를 기초로 하는 실시예를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것은 기저 플레이트, 전면 플레이트, 원주 프레임으로 형성된 방전 용기(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평면형 램프이다. 플레이트들은 두께 2mm 및 105mm×137mm의 치수의 유리로 구성된다. 프레임의 높이 및 넓이는 모두 5mm이다. 기저 플레이트의 내부 영역은 78mm×110mm이다. 도 5의 전극 구조는 기저 플레이트상에 배치되며, 대략 150㎛의 두께의 유리 땜납(도시하지 않음)으로 씌워진다(양 측면들상에서의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 따라서, 이러한 평면형 램프는 쌍극성 가변 구동 방법에 또한 적합하다. 더욱이, Al2O3또는 TiO2로 만들어진 광-반사 층이 기저 플레이트 및 프레임에 제공된다. 3-대역 형광 층이 그 후 모든 내부 표면들상에 제공된다. 방전 용기는 대략 13kPa의 압력으로 크세논 가스로 충전된다. 단극성 구동 및 80kHz의 전압 펄스 주파수의 경우, 각 제어 길이(SL)의 영역 내에서의 델타형 부분 방전들(도시하지 않음)이 폭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제어된 변수로서 피크 전압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1.39kV로부터 1.49kV까지 피크 전압을 증가시키면, 평균 전력 소비를 7W로부터 10W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동 조건들 하에서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의 펄스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특징적인 부분적인 방전의 형상 및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언급한 WO 94/23442에서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전극 구조들은 예컨대, 선출원 WO 98/4327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평면형 램프들 위해 모두 제공된다. 이 출원의 공개는 또한 본원의 참조로서 포함된다. 보다 기술적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이미 반복하여 언급한 파일 참조 번호 DE 198 33 720. 5의 "Dimmbare Entladungslampe fue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Dimmable discharge lamp for 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라는 명칭의 병행 출원을 또한 참조할 수 있다.
도 6에는 쌍극성 변형 구동 방법을 위해 설계된 안정기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변 극성의 외부 전압 펄스들이 예컨대, 도 5와 관련시켜 설명한 형태의,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 램프(L)에 인가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변압기(T)는 반대쪽으로 감긴 도 6에 도시된 두 개의 1차 권선들을 갖는다. 1차 권선들 각각은 전용의 제어 디바이스(SE)를 갖는 할당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Q)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물론, 두 제어 디바이스들을 단일 제어 디바이스의 두 개의 기능들로서 또한 이해할 수 있다; 그 목적은 두 개의 1차 권선들이 동시가 아닌 교번적으로 클럭킹(clocking)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두 1차 권선들 사이의 권선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1차 권선들을 커플링함과 동시에, 변압기(T)는 2차 회로(S)에서 반대 극성의 전압 펄스들을 각각 발생시킨다. 요약하면, 도 1의 회로의 경우, 1차 권선(W1), 스위치(TQ), 및 제어 디바이스(SE)를 포함하는 모듈은 이중 설계되고, 신호의 반전이 권선의 방향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도 7에는 외부 램프 전압(UL) 및 램프 전류(IL)의 해당 실제 측정 커브들이 도시되어 있다. 측정된 외부 램프 전압(UL)은 실제 펄스의 전압 및 2차 회로의 자연적인 발진의 전압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후자는 방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결정적인 것은 오히려 충돌 및 재충돌의 해당 램프 전류 펄스들에 영향을 주며 최종적으로 앞서 WO 94/23442에서 공개한 유효 전력 펄스들을 사용하는 실제 전압 펄스들이다. 쌍극성 구동 방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외부 램프 전압의 충돌 펄스들 및 충돌 및 재충돌의 램프 전류 펄스들 모두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Claims (27)

  1. 방전 매질로 채워진 방전 용기, 스트립형 캐소드(2), 스트립형 애노드(1), 및 적어도 상기 애노드(1)와 상기 방전 매질 사이의 유전체층을 갖고, 상기 애노드(1)와 상기 캐소드(2)가 구별되는 방전 램프로서,
    상기 애노드(1)는 곡류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캐소드(2) 및 상기 애노드(1) 사이의 간격이 상기 곡류 형상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2)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캐소드(2) 및 다수의 상기 애노드(1)가 개별 스트립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2)의 양 측면상에서 연장되는 상기 곡류 형상의 애노드들(1)은 상호 국부적으로 동일 위상(相)으로 연장되어, 상기 캐소드들(2) 및 상기 각각의 애노드들(1) 사이의 최소 간격의 점들이 상기 캐소드(2)를 따라 교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5. 방전 매질로 채워진 방전 용기, 스트립형 캐소드(2), 스트립형 애노드(1), 및 적어도 상기 애노드(1)와 상기 방전 매질 사이의 유전체층을 갖는 방전 램프로서,
    상기 캐소드(2) 및 상기 애노드(1)는 곡류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곡류 형상들은 상호 국부적으로 반대 위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캐소드(2) 및 상기 애노드(1) 사이의 간격이 두 곡류 형상들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캐소드(2) 및 다수의 상기 애노드(1)가 개별 스트립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7.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은 사인형 코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8.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은 톱니형 코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은 장방형 코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0.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은 반원형 코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1.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의 절반 주기 길이(SL)내의 상기 전극들(1, 2)을 분리하는 최대 충돌 거리(dmax) 및 상기 절반 주기 길이(SL)내의 상기 전극들(1, 2)을 분리하는 최소 충돌 거리(dmin) 사이의 차와 상기 절반 주기 길이(SL)의 양적인 비율이 (dmax-dmin)/SL≤0.6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2.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최소 충돌 거리(dmin)와 최대 충돌 거리(dmax)의 비율이 0.3〈dmin/dmax〈0.9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3.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2)는 국부적인 필드 강화를 위한 점들(6, 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4.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들 사이의 전극 영역들(5)은 더 굵은 입자의 형광 물질로 코팅되고, 상기 동일 전극(1, 2)에 인접한 곡류 형상들은 더 미세 입자의 형광 물질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5.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들 사이의 전극 영역들(5)은 더 굵은 입자의 형광 물질로 코팅되고, 상기 동일 전극(1, 2)에 인접한 곡류 형상들은 형광 물질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6.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들 사이의 전극 영역들(5)은 더 두꺼운 유전체 층으로 코팅되고, 상기 동일 전극(1, 2)에 인접한 곡류 형상들은 더 얇은 유전체 층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7.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형상들 사이의 전극 영역들(5)은 유전체 층으로 코팅되고, 상기 동일 전극(1, 2)의 인접한 곡류 형상들에는 상기 유전체 층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18.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방전 램프, 및 상기 방전 램프로 유효 전력을 펄스 결합하기 위해 설계된 안정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는 상기 방전 램프로의 유효 전력의 펄스 결합의 전기적 변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방전 램프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는 유효 전력의 단극성 결합을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는 상기 방전 램프내에서의 충돌 및 내부 반대-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 외부의 전압 펄스를 변압기를 통해 1차 회로로부터 상기 방전 램프를 갖는 2차 회로로 주입하기 위한 순방향 컨버터이며, 상기 방전 램프에 대해 상기 외부 전압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전하를 제거하여 상기 방전 램프에서 내부 반대-극성에 의해 재충돌시키기 위하여, 상기 2차 회로가 발진할 수 있도록 상기 변압기를 통해 상기 1차측상에서 개시 이후 상기 전류의 흐름을 인터럽트하여 상기 2차 회로를 분리시키도록 설계되는 스위칭 디바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는 합성된 플라이백/순방향 컨버터이며, 상기 방전 램프에서 충돌과 반대-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 상기 방전 램프를 가진 2차 회로에 외부 전압 펄스를 인가하도록 변압기를 통해 상기 1차 회로측상의 전류의 흐름를 인터럽트한 후, 상기 내부 반대-극성에 의해 상기 방전 램프에서의 재충돌에 영향을 주도록 역 전압 펄스에 의해 상기 방전 램프에 대해 전압에 영향을 주는 전하를 상기 방전 램프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변압기를 통해 상기 1차 회로측상의 전류의 흐름을 재시작하도록 설계되는 상기 1차 회로의 스위칭 디바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는 전력이 인가되는 1차 회로(P), 상기 방전 램프(L)를 포함하는 2차 회로(S), 및 상기 2차 회로(S)에 상기 1차 회로(P)를 연결하는 변압기(T)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기는 전압 펄스에 따라 교번하는 신호를 갖는 외부 전압들(VL)을 상기 방전 램프(L)에 인가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T)의 1차 회로측상의 전류(IW1)의 방향은 전압 펄스에 따라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두 전류 방향들 중 하나로 각각 할당된 상기 1차 회로측상의 두 권선들(W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회로는 상기 두 권선들(W1)중 하나를 통해 상기 전류를 각각 클럭하는 두 개의 스위치들(TQ)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회로에는 절반 주기로 두 개의 저장 커패시터들을 교대로 충전시키는 AC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 커패시터는 두 개의 전류 방향들 중 하나에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시스템.
KR10-2001-7003955A 1998-09-29 1999-09-13 향상된 전극 배치를 갖는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 및 발광 시스템 KR100456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4721A DE19844721A1 (de) 1998-09-29 1998-09-29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verbesserter Elektrodenkonfiguration
DE19844721.3 1998-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425A KR20010075425A (ko) 2001-08-09
KR100456350B1 true KR100456350B1 (ko) 2004-11-09

Family

ID=788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955A KR100456350B1 (ko) 1998-09-29 1999-09-13 향상된 전극 배치를 갖는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 및 발광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11039B1 (ko)
EP (1) EP1118101B1 (ko)
JP (1) JP4650977B2 (ko)
KR (1) KR100456350B1 (ko)
CN (1) CN1165954C (ko)
AT (1) ATE293841T1 (ko)
CA (1) CA2345684C (ko)
DE (2) DE19844721A1 (ko)
HU (1) HUP0105135A3 (ko)
TW (1) TW483289B (ko)
WO (1) WO2000019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5228A1 (de) * 1998-10-01 2000-04-2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Dimmbare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DE10011484A1 (de) * 2000-03-09 2001-09-1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bessertes Pulsbetriebsverfahren für eine Stille Entladungslampe
DE10026781C1 (de) * 2000-05-31 2002-01-24 Heraeus Noblelight G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
DE10048187A1 (de) * 2000-09-28 2002-04-1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Stützelementen zwischen einer Bodenplatte und einer Deckenplatte
DE10063930C1 (de) * 2000-12-20 2002-08-0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tille Entladungslampe mit steuerbarer Farbe und Bildanzeigeeinrichtung mit dieser stillen Entladungslamp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10310144A1 (de) * 2003-03-07 2004-09-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zurückspringend überhändenden Entladungselektrodenabschnitten
JP4112449B2 (ja) * 2003-07-28 2008-07-02 株式会社東芝 放電電極及び放電灯
DE10347636A1 (de) * 2003-10-09 2005-05-04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mindestens einer Außenelektro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5339955A (ja) * 2004-05-26 2005-12-08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平面型放電ランプ及び照明装置
DE102004055328B3 (de) * 2004-11-16 2006-04-13 Institut für Niedertemperatur-Plasmaphysik e.V. Vorrichtung nach dem Prinzip einer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 zur Strahlungserzeugung
US20060175973A1 (en) * 2005-02-07 2006-08-10 Lisitsyn Igor V Xenon lamp
DE102005046481A1 (de) * 2005-09-28 2007-03-2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Boden- und Deckenplatte und Stützelementen dazwischen
DE102006026333A1 (de) 2006-06-02 2007-12-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flachem Entladungsgefäß
DE102006026332A1 (de) 2006-06-02 2007-12-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rippenartigen Stützelementen zwischen Bodenplatte und Deckenplatt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5229A (en) * 1976-07-02 1980-01-22 Fujitsu Limited Gas discharge panel
JPS60130033A (ja) * 1983-12-16 1985-07-11 Sony Corp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H02189854A (ja) * 1989-01-17 1990-07-2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希ガス放電灯
DE4311197A1 (de) 1993-04-05 1994-10-0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inkohärent strahlenden Lichtquelle
US5760541A (en) * 1996-02-26 1998-06-02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de fo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providing improved longitudinal stability of intensity striations
DE19628770A1 (de) * 1996-07-17 1998-01-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r Leistungsabgabe eines Verstärkerelementes sowie Anordnung
DE19636965B4 (de) * 1996-09-11 2004-07-0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lektrische Strahlungsquelle und Bestrahlungssystem mit dieser Strahlungsquelle
WO1998043277A2 (de) 1997-03-21 1998-10-0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Flachleuchtstofflampe für die hintergrundbeleuchtung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dieser flachleuchtstofflampe
TW412771B (en) 1997-03-21 2000-11-2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Gas discharge lamp with dielectrically impeded electrodes
JPH1131480A (ja) * 1997-05-12 1999-02-0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用放電体、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DE19839329A1 (de) 1998-08-28 2000-03-09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für Entladungslampe mit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en
DE19839336A1 (de) 1998-08-28 2000-03-09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für Entladungslampe mit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en
DE19843419A1 (de) * 1998-09-22 2000-03-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dielektrisch behinderten Elektroden
DE19844720A1 (de) * 1998-09-29 2000-04-0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Dimmbare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26895A (ja) 2002-08-20
TW483289B (en) 2002-04-11
CN1165954C (zh) 2004-09-08
EP1118101B1 (de) 2005-04-20
KR20010075425A (ko) 2001-08-09
DE59911954D1 (de) 2005-05-25
WO2000019487A1 (de) 2000-04-06
HUP0105135A2 (hu) 2002-04-29
DE19844721A1 (de) 2000-04-27
HUP0105135A3 (en) 2002-05-28
CA2345684A1 (en) 2000-04-06
ATE293841T1 (de) 2005-05-15
JP4650977B2 (ja) 2011-03-16
CA2345684C (en) 2008-11-04
CN1320271A (zh) 2001-10-31
US6411039B1 (en) 2002-06-25
EP1118101A1 (de)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350B1 (ko) 향상된 전극 배치를 갖는 유전성 임피디드 방전을 위한 방전 램프 및 발광 시스템
JP3622032B2 (ja) バックライト及び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
JP3634870B2 (ja) 放射源
KR100456351B1 (ko) 조광 가능한, 유전성 장해 방전용 방전등
US6445137B1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apparatus
KR940009330B1 (ko) 희가스 방전 형광 램프 장치
CN107535040B (zh) 光源装置的驱动方法及驱动电路和紫外线照射装置
US5977722A (en) Device for applying particular voltage waveform for operating a discharge lamp
CA2346009C (en) Dimmable discharge lamp for 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s
US6252352B1 (en) Flat light emitter
KR19990030118A (ko) 방전램프 점등장치
JP4453302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照明装置
JPH06163006A (ja) 蛍光ランプ装置
JP3513590B2 (ja) 外部電極式蛍光放電灯の点灯方式
EP1164820A1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apparatus
JP4096590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JP2005071828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照明装置
JPH1131591A (ja) 放電装置の駆動方法、放電装置の駆動装置、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4030421A1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1297278A (ja) 希ガス放電灯とその点灯装置
KR200274153Y1 (ko) 저전압 병렬구동 네온사인의 영전압 스위칭 구동장치
SU1767574A1 (ru) Газоразр дна лампа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
JP2005063862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H04288523A (ja) 平面型蛍光ランプ調光法
JPS63119154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