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188B1 - 통풍 양곡마대 - Google Patents

통풍 양곡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188B1
KR100456188B1 KR10-2002-0049377A KR20020049377A KR100456188B1 KR 100456188 B1 KR100456188 B1 KR 100456188B1 KR 20020049377 A KR20020049377 A KR 20020049377A KR 100456188 B1 KR100456188 B1 KR 100456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ischarge
input
side portion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122A (ko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02-004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1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 양곡마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양곡마대는 PP로서 조밀하게 직조된 PP원단을 이용하여 측면부와 밑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에 곡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측면부의 상부를 조임끈으로 조여 밀봉시키게되면 양곡마대에 통풍성이 확보되지 않아 곡물을 장시간 저장하기가 매우 어려울뿐만 아니라 양곡마대에 곡물을 투입할때 곡물저장탱크의 배출호퍼가 양곡마대 내측으로 일정깊이 진입한 상태로 곡물이 투입되므로 많은 양의 곡물을 양곡마대에 담을 수 없게 되므로 그만큼 양곡마대의 곡물 수용능력이 감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곡마대의 측면부를 망사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와 하부에 곡물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투입수단과 배출수단을 각각 형성하므로서, 양곡마대에 통풍성이 확보되어 곡물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중 곡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하며, 투입수단과 배출수단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곡물을 담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퉁풍 양곡마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풍 양곡마대{Gunny bag for cereal}
본 발명은 통풍 양곡마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곡마대에 통풍성이 확보되어 곡물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중 곡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하며, 투입수단과 배출수단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곡물을 담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퉁풍 양곡마대에 관한 것이다.
양곡마대라 함은 쌀, 콩, 팥 등과같은 곡물을 담아서 일정기간동안 저장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도 5 와 도 6 은 종래의 양곡마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양의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측면부(40)와 밑면부(41)를 PP원단으로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측면부(40)의 상측 끝단에 일정길이의 조임끈(42)이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43)가 형성되며, 측면부(40)의 각 모서리부위에 곡물이 저장된 양곡마대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여러개의 고리(44)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양곡마대는 상측의 개구부를 통해 일정양의 곡물을 투입한 후 도 6 과같이 조임끈(42)을 조여서 개구부가 밀봉되도록 하며, 이후 크레인기구로서 고리(44)에 걸어서 곡물이 담겨진 양곡마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양곡마대는 PP로서 조밀하게 직조된 PP원단을 이용하여 측면부와 밑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에 곡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측면부의 상부를 조임끈으로 조여 밀봉시키게되면 양곡마대에 통풍성이 확보되지 않아 곡물을 장시간 저장하기가 매우 어려울뿐만 아니라 양곡마대에 곡물을 투입할때 곡물저장탱크의 배출호퍼가 양곡마대 내측으로 일정깊이 진입한 상태로 곡물이 투입되므로 많은 양의 곡물을 양곡마대에 담을 수 없고, 또한 곡물을 담은 후 측면부 상측에 형성된 조임끈을 당겨서 밀봉시키게 되므로 그만큼 양곡마대의 곡물 수용능력이 감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곡마대의 측면부를 망사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와 하부에 곡물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투입수단과 배출수단을 각각 형성하므로서, 양곡마대에 통풍성이 확보되어 곡물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중 곡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하며, 투입수단과 배출수단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곡물을 담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퉁풍 양곡마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정양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양곡마대에 있어서,
PP원단으로 양곡마대의 상면부와 하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상호 연결하는 측면부를 PP 또는 나일론으로 직조된 망사로서 형성하여 양곡마대에 통풍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곡물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부의 중앙부분을 부분절개하여 절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의 끝부분에 조임끈이 삽입되는 조임부를 형성하여 밀봉이 가능케하며, 상면부 내측으로 일단이 재봉된 채 연장되어 그 상측 끝단이 절개면 사이로 돌출되면서 확개가가능한 투입부를 구비한 곡물투입용 투입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하면부에 통상적 구조나 상기 투입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곡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를 PP원단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부 중앙부분에 PP 또는 나일론으로 직조된 망사로서 부분적으로 통풍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통풍 양곡마대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통풍 양곡마대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통풍 양곡마대에 곡물이 담겨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종래의 양곡마대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종래의 양곡마대에 곡물이 담겨진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면부 2 : 하면부
3 : 측면부 4 : 고리
5 : 보강대 6 : 통풍구
10 : 투입수단 11,21 : 절개면
12,22 : 조임부 13,23 : 조임끈
14 : 투입부 20 : 배출수단
24 : 배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통풍 양곡마대는 그 내부에 일정양의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부(1)와 하면부(2) 사이에 측면부(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면부(1)와 하면부(2)는 PP원단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3)는 PP 또는 나일론으로 직조된 망사로서 형성하여 양곡마대에 담아진 곡물은 측면부(3)를 통해 흘러나오지 않으면서 통풍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상면부(1)와 하면부(2)에 각각 곡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투입수단(10)과 배출수단(20)을 구성하는데,
상기 투입수단(10)은 상면부(1)의 중앙부분을 부분 절개하여 절개면(11)을 형성하므로서, 이 절개면(11)들의 사이에 곡물 투입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면(11)들의 끝부분에 조임끈(13)이 연속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12)를 형성하여 상기 조임끈(13)의 양쪽 끝단을 잡고 당겨줌에 따라 조임부(12)가 조여지면서 양곡마대의 상측이 밀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상측 끝단이 절개면(11)들의 사이로 돌출되면서 확개되는 투입부(14)를 상기 상면부(1)의 저면에 형성하는데, 이 투입부(14)는 양곡마대 내로 곡물을 투입하고자 할때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입부(14)를 절개면(11)의 사이로 빼내어 그 끝부분을 확개시킨 상태로 곡물배출호퍼를 감싸도록 하여 곡물의 투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양곡마대 내에 곡물이 가득 찬 경우에는 투입부(14)의 중간부분을 별도의 끈으로 묶어준 후 그대로 절개면(11) 밑으로 넣어 양곡마대에 담겨진 곡물이 1차 밀봉되도록 하고, 이후 투입부(14)와 절개면(11) 사이에 형성된 차단막(15)으로 절개면(11)들의 사이공간을 차단한 상태에서 조임끈(13)을 조여서 절개면(11)들이 밀봉되도록 하므로서 2차 밀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수단(20)은 하면부(2)의 중앙부분을 부분 절개하여 절개면(21)을 형성하므로서, 이 절개면(21)들의 사이에 곡물 배출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면(21)들의 끝부분에 조임끈(23)이 연속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22)를 형성하여 상기 조임끈(23)의 양쪽 끝단을 잡고 당겨줌에 따라 조임부(22)가 조여지면서 양곡마대의 하측이 밀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2)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상측 끝단이 절개면(21)들의 사이로 돌출되는 배출부(24)를 상기 하면부(2)의 저면에 형성하는데, 이 배출부(24)는 양곡마대 내에 담겨진 곡물을 배출시키고자 할때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부(24)를 절개면(21)의 사이로 빼내어 그 끝부분이 목적하는 위치를 향하도록 하므로서 양곡마대에 담겨진 곡물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양곡마대 내의 곡물을 모두 배출시킨 후에는 배출부(24)의 중간부분을 별도의 끈으로 묶어준 후 그대로 절개면(21) 밑으로 넣어 양곡마대의 저면이 1차 밀봉되도록 하고, 이후 투입부(14)와 절개면(21) 사이에 형성된 차단막(25)으로 절개면(21)들의 사이공간을 차단한 상태에서조임끈(23)을 조여서 절개면(21)들이 밀봉되도록 하므로서 하면부(2)가 2차 밀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면부(1)의 모서리부에 곡식이 가득찬 양곡마대를 별도의 크레인기구로서 걸어서 들어주기 위한 고리(4)를 형성하는데, 이 고리(4)의 연장부분인 보강대(5)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망사로서 형성된 측면부(3)에 맞대어진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므로서 측면부(3)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곡마대에 곡물을 담고자 할 때에는 하면부(2)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수단(20)의 배출부(24)를 별도의 끈으로 묶어서 절개면(21) 내측으로 밀어넣고 다시 조임부(22)에 끼워져있는 조임끈(23)을 당겨서 다수의 절개면(21)들이 서로 밀착되어 양곡마대의 하면부(2)가 밀봉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입수단(10)의 투입부(14)를 절개면(11) 사이로 빼내어 그 끝부분이 확개되도록 한 후 투입부(14)의 확개부분이 곡물배출호퍼를 감싸도록 하여 곡물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투입부(14)를 따라 양곡마대 내부로 담겨지도록 한다.
양곡마대 내에 곡물이 가득찬 후에는 투입부(14)를 별도의 끈으로 묶은 후투입부(14)를 절개면(11) 내측으로 밀어넣어 양곡마대 내에 담겨진 곡물이 1차로 밀봉되도록 하고, 이후 절개면(11)의 조임부(12)에 끼워져있는 조임끈(13)을 손으로 당겨서 조여지도록 하여 상면부(1)가 2차 밀봉되도록 한다.
양곡마대에 곡물이 당겨진 상태에서 양곡마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상면부(1)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4)에 별도의 크레인기구를 걸어서 이동시킨다.
한편, 양곡마대에 담겨져 있는 곡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크레인기구로서 고리(4)를 걸어서 양곡마대를 이동시키고, 이후 묶여있는 배출수단(20)의 조임끈(23)을 풀고나서 절개면(21) 내측으로 몰입되어 있는 배출부(24)를 빼내고 이 배출부(24)를 묶고있는 별도의 끈을 풀어서 곡물을 트럭과같은 이송수단이나 다른 저장수단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통풍 양곡마대는 측면부(3)를 PP 또는 나일론으로 직조된 망사로서 형성하여 자체 통풍기능이 확보되므로 인해 곡물을 일정기간 보관할때 곡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하고,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곡물 투입시 상면부(1)의 절개면(11) 내측으로 형성되는 투입부(14)를 꺼내어 곡물배출호퍼의 출력단을 감싼 상태에서 양곡마대 내부로 곡물을 투입하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많은 양의 곡물을 마대에 담을 수 있게된다.
또한 하면부(2)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부(24)를 이용하여 마대에 담겨있는 곡물을 원하는 장소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곡물이 다른 곳으로 쏟아지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억제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양곡마대의 상면부(1)와 하면부(2)를 상호 연결하는 측면부(3)를 PP원단으로 형성하고, 이 측면부(3)의 중앙부분에 PP 또는 나일론으로 직조된 망사로서 통풍구(6)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같이 측면부(3)의 중앙부분에 부분적으로 통풍구(6)를 형성하게되면, 통풍구(6)를 통해 공기가 자유롭게 순환하게되므로 양곡마대에 담겨진 곡물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는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면부(1)와 하면부(2)에 각각 투입수단(10)과 배출수단(20)을 형성한 것을 예로하였으나 상면부(1) 또는 하면부(2)중 어느 한부분을 통상적구조, 즉, 종래와같이 조임끈으로 조여 밀봉하는 구조를 선택하는 것도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양곡마대의 측면부를 망사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와 하부에 곡물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투입수단과 배출수단을 각각 형성하므로서, 양곡마대에 통풍성이 확보되어 곡물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중 곡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하며, 투입수단과 배출수단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곡물을 담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퉁풍 양곡마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정양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면부(1)와 하면부(2) 및 상기 상,하면부를 이어주는 측면부(3)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면부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투입구(14)와 배출부(24)를 조임끈(13)(23)으로 밀봉 및 개봉할 수 있는 투입수단(10) 및 배출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양곡마대에 있어서,
    상기 상,하면부(1)(2)는 PP원단으로 형성하며, 상기 상,하면부 각각의 중앙부분을 부분절개하여 절개면(11)(2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절개면 각각의 끝부분에 형성된 조임부(12)(22)에 삽입된 조임끈(13)(23)의 노출된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조임부를 밀봉 및 개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수단(10) 및 배출수단(20)은 상면부(1)의 내측으로 일단이 재봉된 채 연장되어 그 상측 끝단이 절개면(11)(21) 사이로 돌출되면서 확개가 가능한 투입부(14) 및 배출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3)는 양곡마대의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PP사, 나일론사 중 어느 하나의 실로 망사조직으로 직조된 망사로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양곡마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3)를 PP원단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부(3) 중앙부분에 PP 또는 나일론으로 직조된 망사로서 부분적으로 통풍구(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통풍 양곡마대.
KR10-2002-0049377A 2002-08-21 2002-08-21 통풍 양곡마대 KR10045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377A KR100456188B1 (ko) 2002-08-21 2002-08-21 통풍 양곡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377A KR100456188B1 (ko) 2002-08-21 2002-08-21 통풍 양곡마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956U Division KR200294359Y1 (ko) 2002-08-21 2002-08-21 통풍 양곡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22A KR20040019122A (ko) 2004-03-05
KR100456188B1 true KR100456188B1 (ko) 2004-11-09

Family

ID=3732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377A KR100456188B1 (ko) 2002-08-21 2002-08-21 통풍 양곡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868A (ko) 2015-05-21 2016-11-30 최용순 다목적 톤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17B1 (ko) * 2013-07-04 2014-11-12 도창옥 통풍 마대
KR101964700B1 (ko) * 2018-11-01 2019-04-02 (유)에스에이치(Sh) 농산물 넘어짐 방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6058U (ko) * 1978-12-27 1980-07-03
KR920015066U (ko) * 1991-01-14 1992-08-14 박영묵 콘테이너백
US5484207A (en) * 1994-07-28 1996-01-16 Schnaars; Daniel R. Discharge outlet for a bulk bag utilizing a side entry release
KR970001682U (ko) * 1995-06-22 1997-01-21 김계철 콘테이너 백
JPH09255005A (ja) * 1996-03-19 1997-09-30 Diatex Co Ltd 大型袋体の開閉口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6058U (ko) * 1978-12-27 1980-07-03
KR920015066U (ko) * 1991-01-14 1992-08-14 박영묵 콘테이너백
US5484207A (en) * 1994-07-28 1996-01-16 Schnaars; Daniel R. Discharge outlet for a bulk bag utilizing a side entry release
KR970001682U (ko) * 1995-06-22 1997-01-21 김계철 콘테이너 백
JPH09255005A (ja) * 1996-03-19 1997-09-30 Diatex Co Ltd 大型袋体の開閉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868A (ko) 2015-05-21 2016-11-30 최용순 다목적 톤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22A (ko) 200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806B1 (ko)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US4364424A (en) End wall closure for bulk material transport bag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4524457A (en) Cargo bag with reinforced triangular lifting panels
JP2010071561A (ja) 穀類乾燥方法及び穀類乾燥機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KR200441487Y1 (ko) 벌크 백
US6834995B1 (en) Bulk bag having a pair of loops to secure the discharge opening in a closed position
KR100456188B1 (ko) 통풍 양곡마대
KR200294359Y1 (ko) 통풍 양곡마대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EP0041586A1 (en) Flexible container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bulk material
USRE32308E (en) End wall closure for bulk material transport bag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KR200414979Y1 (ko) 로프 인양형 벌크 백의 보강구조
SU1169892A1 (ru) М гкий многослойный контейнер
US4781470A (en) Flexible container with separate lifting area
JPH11301778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920002063Y1 (ko) 농작물 저장 및 건조용 마대
KR200453980Y1 (ko) 압축톱밥블록용 포장용기
KR200260331Y1 (ko) 포장용 망
JPH0343195Y2 (ko)
RU2412099C2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насыпных грузов
US4736449A (en) Flexible container with integrated lifting loops having separate cargo compar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