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906B1 -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906B1
KR100453906B1 KR10-2002-0024253A KR20020024253A KR100453906B1 KR 100453906 B1 KR100453906 B1 KR 100453906B1 KR 20020024253 A KR20020024253 A KR 20020024253A KR 100453906 B1 KR100453906 B1 KR 10045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ening
revolver
reticle
exposur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944A (ko
Inventor
김우용
Original Assignee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9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8Mobile sepa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원하는 코히어런스 정도에 맞는 개구의 리볼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노광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리볼버의 개구를 통해 레티클에 입사된 사선광을 회절시킨 후 투영렌즈를 통해 축소하여 감광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에서 출사된 광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들과, 상기 수광 센서들에 전달된 광들을 변환하여 주파수 또는 전압 값의 차이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EXPOSURE TOOL AND METHODE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본 발명은 사입사 조명법을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코히어런스 정도에 맞는 개구의 리볼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노광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노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 고밀도화 추세에 따라, 보다 더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포토리소그라피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256MDRAM 이후의 초고집적소자(ULSI)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높은 해상도와 적당한 초점심도(DOF: Depth Of Focus)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광원의 파장 한계를 넘는해상도를 얻기 위하여 노광장치에 4극 개구(quadrupole aperture), 환상 개구(annular aperture), 2극 개구(dipole aperture) 등 여러 가지 모양의 개구들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사입사 조명(off-axis illumination)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입사 조명법은 파리눈 렌즈(fly's eye lens)와 스테퍼 렌즈(stepper lens)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여 상기 개구에 의해 입사광의 수직부분을 차단하고 경사진 부분(사입사 부분)만을 웨이퍼 위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라인/스페이스(L/S) 패턴에서의 DOF 및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조명법이다.
이는, 상기 해상도 및 DOF는 코히어런스 팩터 σ에 의해 달라지는데 (σ = ld / (NA), ld는 광원 이미지의 직경, NA는 투영렌즈의 개구수), 스테퍼의 실질적인 광원은 파리눈 렌즈에 의해 맺히는 초점이므로 코히어런스 팩터 σ가 상기 구경에 의해서 조절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입사 조명법에 있어서는 노광하고자 하는 패턴 피치에 따라 최적화된 모양의 개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노광장치는 원판형태의 리볼버(revolver)에 몇 개의 개구를 장착하고 필요에 따라 알맞은 개구를 교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노광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원에서 발생되어 리볼버의 개구를 통해 입사된 사선광(L)이 레티클(reticle)(112)상의 회절 격자를 통과하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0차광의 회절각(α)과 1차광(또는 -1차광)의 회절각(β)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절각이 서로 동일할 경우에는 이상적인 상태로, 투영렌즈(114)를 통해 웨이퍼(116)에 도달되는 0차광과 1차광(또는 -1차광) 사이의 광 경로차(OPD: Optical Pass Difference)가 발생하지 않지만, 상기 회절각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상기 0차광 및 1차광(또는 -1차광)의 광 경로차가 발생되어 웨이퍼(116)에 형성되는 미세 패턴의 해상도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입사 조명법의 장점을 살려주지 못하고 오히려 광학 마진(optical margine)이 감소되는 역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런데, 사입사 조명법에 있어서 0차광과 1차광(또는 -1차광)의 광 경로차는 리볼버의 개구 사이즈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0차광과 1차광(또는 -1차광)의 광 경로차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다. 따라서, 최대의 코히어런스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리볼버의 개구를 선택하는 작업이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광학 마진이 감소되어 미세 패턴의 해상도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영렌즈를 투과하는 회절광의 광 경로차를 측정함으로써, 원하는 코히어런스 정도에 맞는 리볼버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노광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제조용 노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입사 조명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오실로스코프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노광 방법의 블록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볼버의 개구를 통해 레티클에입사된 사선광을 회절시킨 후 투영렌즈를 통해 축소하여 감광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에서 출사된 광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들과, 상기 수광 센서들에 전달된 광들을 변환하여 주파수 또는 전압 값의 차이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노광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노광 방법은,
레티클 내의 피치 어레이 중에서 현재 진행되어야 할 최소 피치 사이즈를 선택하는 단계와;
리볼버의 개구를 통해 상기 레티클에 사선광을 입사시키는 단계와;
투영렌즈에서 출사된 광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한 광을 수광 센서에서 수광하며, 수광 센서에 수광된 광들을 변환하여 주파수 차이에 의한 위상차를 검출하는 단계와;
설정된 개구에 따른 위상차 데이터에 따라 계산된 위상차가 0이 되는 리볼버의 개구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리볼버의 개구를 이용하여 노광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오실로스코프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노광 방법의 블록도이다.
사입사 조명법을 사용하는 노광장치는 조명원(10), 리볼버(12), 레티클(14), 투영렌즈(16), 웨이퍼 스테이지(18)를 포함한다.
조명원(10)은 수은 램프의 g-라인(λ= 436nm) 및 i-라인(λ= 365nm)과 KrF 엑사이머 레이저(λ= 248nm)등이 사용되며 조명원(10)에서 발생된 빛은 리볼버(12)의 개구를 통해 레티클(14)로 사입사된다. 그리고, 레티클(14)로 입사된 빛은 레티클(14)상의 회절 격자를 통과하면서 회절되어 0차광 및 1차광(또는 -1차광)이 생성되고, 레티클(14)에 형성된 패턴에 따른 빛 이미지를 형성하는 회절광은 투영렌즈(16)에서 축소된 후 웨이퍼(20) 위에 형성된 감광막에 입사된다.
이후, 레티클(14)의 패턴에 따른 빛 이미지가 입사된 감광막은 중합 반응되며 반응된 영역에는 레티클(14)의 패턴이 형성되고, 웨이퍼(20) 전체적으로 레티클(14)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 스테이지(18)가 구동된다. 웨이퍼 스테이지(18)는 웨이퍼(20)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시켜 웨이퍼(20) 위에 형성된 감광막에 전체적으로 레티클(14)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웨이퍼(20) 위에 레티클(14)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노광장치의 제어기(미도시함)는 조명원(10) 및 웨이퍼 스테이지(18)를 구동하며,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는 미도시한 컴퓨터를 통해 입력된다. 컴퓨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제어기로 전송되며 제어기는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조명원(12)을 활성화시키고 웨이퍼 스테이지(18)를 구동시켜 웨이퍼(20)에 형성된 감광막 전체적으로 빛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런데, 광학 마진 및 패턴 프로파일의 해상도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0차광 및 1차광(또는 -1차광)의 광 경로차가 동일해야 하며, 상기한 광 경로차는 리볼버(12)의 개구 사이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광 경로차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비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한 장비를 통해 계산된 광 경로차를 근거로 하여 상기한 광 경로차가 0이 되는 리볼버의 개구를 선택하여 광학 마진 및 패턴 프로파일의 해상도를 극대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상술하면, 웨이퍼(20)가 놓여지는 웨이퍼 스테이지(18)에는 투영렌즈(16)를 통과한 회절광을 분리하는 스플리터(22)가 설치된다.
따라서, 웨이퍼(20)에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작업자가 레티클(14) 내의 피치 어레이 중에서 현재 진행되어야 할 최소 피치 사이즈를 선택적인 블레이드 세팅을 통해 선택하고(ST10), 웨이퍼 스테이지(18)를 구동하여 리볼버(12)의 개구를 통해 사선광을 입사시키면(ST20), 투영렌즈(16)를 통과한 회절광이 스플리터(22)에 입사되어 분리된다(ST30). 그리고, 스플리터(22)에서 분리된 회절광은 수광 센서들(S1)(S2)에 전달되고, 이 센서들(S1)(S2)에 전달된 광들은 이후 주파수 또는 전압 값 등으로 변환되어 오실로스코프(24) 등의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상기 수광 센서들(S1)(S2)에 전달된 0차광과 1차광(또는 -1차광)의 광 경로차가 발생된 경우 오실로스코프(24)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신호간에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가 표시된다(ST40).
상기 도 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6, 28은 각각 반사경 및 파리눈 렌즈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오실로스코프(24)에서 표시되는 주파수(또는 전압 값)를 이용하여 광 경로차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광 경로차가 발생된 경우, 즉 주파수의 위상차가 발생된 경우에는 위상차 데이터에 따라 계산된 위상차가 0이 되는 리볼버(12)의 개구를 선택하며(ST50), 이후 상기한 리볼버(12)의 개구를 통해 사선광을 입사하여 웨이퍼(20)에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ST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최대의 코히어런스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개구의 리볼버를 선택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의 노광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광학 마진 및 패턴의 해상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레티클 내의 피치 어레이 중에서 현재 진행되어야 할 최소 피치 사이즈를 선택하는 단계와;
    리볼버의 개구를 통해 상기 레티클에 사선광을 입사시키는 단계와;
    투영렌즈에서 출사된 광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한 광을 수광 센서에서 수광하며, 수광 센서에 수광된 광들을 변환하여 주파수 차이에 의한 위상차를 검출하는 단계와;
    설정된 개구에 따른 위상차 데이터에 따라 계산된 위상차가 0이 되는 개구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방법.
KR10-2002-0024253A 2002-05-02 2002-05-02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 KR100453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253A KR100453906B1 (ko) 2002-05-02 2002-05-02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253A KR100453906B1 (ko) 2002-05-02 2002-05-02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944A KR20030085944A (ko) 2003-11-07
KR100453906B1 true KR100453906B1 (ko) 2004-10-20

Family

ID=3238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253A KR100453906B1 (ko) 2002-05-02 2002-05-02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705B1 (ko) * 2004-12-30 2007-01-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슬릿을 갖는 노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027A (ko) * 1994-01-31 1995-08-21 가네꼬 히사시 회전 가능한 플라이-아이렌즈 장치를 갖춘 투영 노광장치
JPH09205053A (ja) * 1996-01-25 1997-08-05 Canon Inc センサ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走査型露光装置
KR19980080744A (ko) * 1997-03-27 1998-11-25 다나카아키히로 간극 설정기구를 구비한 프록시미티 노광장치
JPH11296877A (ja) * 1998-04-09 1999-10-29 Nec Corp フォーカスサーボ回路とフォーカスサーボ装置
KR20030005497A (ko) * 2001-07-09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정렬 노광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027A (ko) * 1994-01-31 1995-08-21 가네꼬 히사시 회전 가능한 플라이-아이렌즈 장치를 갖춘 투영 노광장치
JPH09205053A (ja) * 1996-01-25 1997-08-05 Canon Inc センサ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走査型露光装置
KR19980080744A (ko) * 1997-03-27 1998-11-25 다나카아키히로 간극 설정기구를 구비한 프록시미티 노광장치
JPH11296877A (ja) * 1998-04-09 1999-10-29 Nec Corp フォーカスサーボ回路とフォーカスサーボ装置
KR20030005497A (ko) * 2001-07-09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정렬 노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944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620B1 (ko)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를 구비한 노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노광 방법
KR101484435B1 (ko) 노광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디바이스 제조 방법
JP4497968B2 (ja) 照明装置、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KR100856976B1 (ko) 노광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JP4545874B2 (ja) 照明光学系、および該照明光学系を備えた露光装置と該露光装置による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070012248A (ko) 노광장치 및 방법
KR20100103498A (ko) 제어 장치, 노광 방법 및 노광 장치
US20060286460A1 (en) Photomask, method of making a photomask and photolithography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752492B1 (ko) 노광방법 및 장치
TWI406103B (zh) 照明光學系統、曝光設備及裝置製造方法
EP2020620A2 (en) Adjustment method, exposure metho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xposure apparatus
US20080036992A1 (en)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3997199B2 (ja) 露光方法及び装置
US8049865B2 (en) Lithographic system,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ask optimization method
KR100453906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 장치 및 방법
JP3296296B2 (ja) 露光方法及び露光装置
JP2008270502A (ja) 露光装置、露光方法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2001035777A (ja) 照明光学装置および該照明光学装置を備えた露光装置
KR10045484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노광장치 및 방법
JPH07135145A (ja) 露光装置
WO2022124211A1 (ja) 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JP2006135346A (ja) 露光方法及び装置
KR100221022B1 (ko) 반도체 노광 장치
JPH11307444A (ja) 投影露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0477743A (ja) 投影露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