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175B1 - 무선단말기의호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의호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175B1
KR100453175B1 KR1019970026377A KR19970026377A KR100453175B1 KR 100453175 B1 KR100453175 B1 KR 100453175B1 KR 1019970026377 A KR1019970026377 A KR 1019970026377A KR 19970026377 A KR19970026377 A KR 19970026377A KR 100453175 B1 KR100453175 B1 KR 10045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ireless terminal
terminal
wired
switch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696A (ko
Inventor
옥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2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17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단말기가 요구한 무선 단말기의 호를 다른 유선단말기로 전환하는 무선단말기의 호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은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 호출된 전화번호가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인지를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 호출된 전화번호가 무선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 상기 호출된 무선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를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환되는 제2 유선 단말기와 접속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의 호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에 대한 호를 유선단말기 쪽으로 전환하는 무선단말기의 호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셀룰러폰(Cellular Phone), 또는 디지털 셀룰러폰(Digital Cellular Phone ; 이하 DCP라 함)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되어 양방향의 무선통신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이 수행되기 위해서 무선 통신망은 이동통신 기지국(Base Station)을 다수의 셀 사이트(Cell Site)로 나누어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고주파 무선통신을 수행한다.또한, 유선 가입자와의 통화형성을 위해 공중회선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 이하 PSTN 이라 함) 또는 종합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이하 ISDN 이라 함) 등의 유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와 공중 통신망을 이용하는데 있어 최근 특이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는 공중전화 또는 일반전화 등의 유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를 호출(Call)할 경우 일반 전화의 통화료 보다 몇 배나 비싼 통화료를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무선 단말기를 호출한 사용자는 일반 전화의 경우 비싼 통화료를 지불하거나, 공중전화의 경우에는 통화료의 부족으로 인한 통화단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공중통신망간의 접속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공중통신망간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구성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망은, 유선 단말기(2)와 스위칭 시스템(6) 사이에 접속되어 유선 가입자의 통화형성을 위해 형성된 유선 통신망(4)과, 무선 단말기(10)와 스위칭 시스템(6) 사이에 접속되어 무선 가입자의 통화형성을 위해 형성된 무선 통신망(8)을 구비한다. 상기 유선 통신망(4)은 PSTN 또는 ISDN에 의해 유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통신망(8)은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Base Station)들과 하나의 이동통신 기지국(Base Station)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셀 사이트(Cell Site)에 의해 고주파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망(4) 과 무선 통신망(8) 사이에 접속되어 유선 통신망(4)과 무선 통신망(8) 상호간의 통화로를 절환시키기 위한 스위칭 시스템(6)을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시스템(6)은 상기 통화로를 절환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에 호출(Call)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호출자의 전화번호, 수신자의 전화번호 등)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의 통신망에서 사용자가 유선 단말기(2)로 무선 단말기(10)를 호출(Call)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피호출자의 전화번호를 유선 단말기(2)상의 키패드를 통해 다이얼링 하면 상기 유선 단말기(2)와 상기 유선 통신망(4) 간의 설정된 동작에 의해 호신호(A)는 유선통신망(4)으로 전송되며 유선통신망(4)을 경유하여 스위칭 시스템(6)으로 전송된 호신호(B)에는 무선 단말기의 호출정보를 가진다. 상기 스위칭 시스템(6)에서는 무선 통신망(8)으로 호신호(C)의 통신경로를 절환시키며, 상기 무선 통신망(8)을 경유한 호신호(D)는 무선 단말기(10)에 벨을 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호출자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 훅크오프를 하면 통화로가 형성되어 쌍방의 통화수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호신호 흐름과정(A 내지 D)을 갖는 통신망에서 상기 피호출자(즉, 무선 단말기 이용자)는 통화를 지속적으로 할 수는 있지만, 유선 단말기(2)로 현재의 통화를 중단하지 않고 절환할 수는 없으므로, 호출자(즉, 유선 단말기 이용자)는 상대적으로 비싼 통화료를 부담하게 되며, 통화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현재의 통화를 중단시키고 유선 단말기로 호출을 요청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호출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시스템과 무선 단말기에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적인 프로토콜을 첨가하여 사용자가 제1 유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를 호출할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의 중단 없이 제2 유선 단말기로 절환시켜 통화할 수 있어 호출자의 통화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통신 단말기와 공중통신망간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a,2b : 제1 및 제2 유선 단말기 4a,4b : 제1 및 제2 유선 통신망
6 : 스위칭 시스템 8 : 무선 통신망
10 : 무선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은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 호출된 전화번호가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인지를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 호출된 전화번호가 무선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를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환되는 제2 유선 단말기와 접속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자동전환모드는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자동전환모드 설정요구와 함께 전환될 상기 제2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전환서비스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호전환서비스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4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를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와 접속시키고,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호전환명령 및 전환될 상기 제2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 제5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의 호전환방법은 스위칭 시스템(6)과 무선 단말기(10)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토롤을 첨가함에 의해 가능하다.
S1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1 유선 단말기(2a)의 키패드에 원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게 되며 스위칭 시스템(6) 에서는 피호출자의 호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와 같은 호신호 흐름과정(A 내지 D)이 수행되어 무선 단말기(10)에 벨이 울리게 된다. 또한, 스위칭 시스템(6)에서는 피호출자의 전화번호가 유선 단말기 호출전환 서비스에 가입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2 단계) 상기 호전환방법은 스위칭 시스템(6)과 무선 단말기(10)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토콜을 첨가함에 의해 가능하다. S2 단계에서 호출 전환기능을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칭 시스템(6) 에서 자동전환 모드설정 여부를 판단한다. (S3 단계) 상기 자동 전환 모드는 무선 단말기(10)에서 유선 단말기 전환 키를 누르고, 원하는 제2 유선 단말기(2b)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킴에 의해 설정된다. 이때의 신호 흐름을 살펴보면, 무선 단말기(10)의 호신호(E)는 무선 통신망(8)으로 전송되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한 호신호(F)는 스위칭 시스템(6)으로 전송된다. S3 단계에서 자동전환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스위칭 시스템(6)의 데이터 베이스상의 호출 정보를 수정한다. (S4 단계) 스위칭 시스템(6)에서는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호출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한 후 변경된 호출정보에 따라 호신호(F)를 제2 유선 통신망(4b)으로 절환시켜 전송한다. (즉, 이때의 호신호(G)) S5 단계에서는 제2 유선 단말기(2b)를 호출한다. 이때의 신호흐름을 살펴보면, 이때의 호신호(G)는 제2 유선 통신망(4b)으로 전송되며, 제2 유선 통신망(4b)을 경유한 호신호(H)는 제2 유선 단말기(2b)의 벨이 울리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및 제2유선 단말기(2a,2b)로 상호 통화를 할수 있게된다.(S6 단계)
한편, S3 단계에서 자동전환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무선 단말기(10)로 통화를 연결한다. (S7 단계) 피호출자는 호출된 무선 단말기(10)를 훅쿠 오프함으로 호출자와 통화할 수 있다. S8 단계에서는 제2 유선 단말기(2b)로 전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8 단계에서 사용자중 어느 일측이 제2 유선 단말기(2b)로의 전환을 요구할 경우, 상기 S4 단계 내지 S6 단계를 수행한다.(S10 단계)
한편, 상기 S2 단계에서 피호출자가 유선 단말기 호출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이거나, 상기 S8 단계에서 제2 유선 단말기(2b)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무선 단말기(10)로 통화를 한다(S9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은 스위칭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호출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시스템과 무선 단말기에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적인 프로토콜을 첨가하여 사용자가 제1 유선 단말기에서 무선 단말기를 호출할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의 중단 없이 제2 유선 단말기로 절환시켜 통화할 수 있어 호출자의 통화료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무선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항목에 추가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 항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 호출된 전화번호가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인지를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 호출된 전화번호가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를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환되는 제2 유선 단말기와 접속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자동전환모드는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자동전환모드 설정요구와 함께 전환될 상기 제2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호전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전환서비스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호전환서비스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경우에 상기 제2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4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호자동전환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유선 단말기를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와 접속시키고, 상기 호출된 무선 단말기로부터 호전환명령 및 전환될 상기 제2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 제5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
KR1019970026377A 1997-06-21 1997-06-21 무선단말기의호전환방법 KR10045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377A KR100453175B1 (ko) 1997-06-21 1997-06-21 무선단말기의호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377A KR100453175B1 (ko) 1997-06-21 1997-06-21 무선단말기의호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696A KR19990002696A (ko) 1999-01-15
KR100453175B1 true KR100453175B1 (ko) 2004-12-23

Family

ID=3737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377A KR100453175B1 (ko) 1997-06-21 1997-06-21 무선단말기의호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65B1 (ko) * 2001-09-06 2004-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30032776A (ko) * 2001-10-20 2003-04-26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유무선 복합단말기
KR100721253B1 (ko) * 2005-02-07 2007-05-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선 전화 연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388A (ko) * 1995-03-30 1996-10-28 권혁조 코드분할 다원접속 셀룰라 및 개인통신시스템을 겸용단말기로 접속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388A (ko) * 1995-03-30 1996-10-28 권혁조 코드분할 다원접속 셀룰라 및 개인통신시스템을 겸용단말기로 접속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696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032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using a mobile phone in a wireless office network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EP185693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use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mobile terminal for establishing a call between two other terminals
CN1100864A (zh) 接通其它电话站的能力
JP3119627B2 (ja) 携帯電話における着信側所在通知方法
KR100453175B1 (ko) 무선단말기의호전환방법
JP388310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00034221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전환방법
CN100531260C (zh) 一种电话号码查询系统及电话号码查询和转接方法
KR20060037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KR100251001B1 (ko)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JP3296323B2 (ja) 電話転送方法および電話転送システム
KR20040036457A (ko)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른 호신호 연결 방법 및 장치, 및그를 이용한 전화통신시스템 및 단말기
JP2939367B2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KR20010043144A (ko) 고정된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이얼 번호 디지트길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2156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JPH10174145A (ja) 構内交換機の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システム
KR100270736B1 (ko) 패어지정을 통한 사설교환시스템의 내선 단말 호 처리 방법
KR100525367B1 (ko) 디지털 셀룰라폰 교환장치
KR100292335B1 (ko) 국선의자동선택방법
KR100233904B1 (ko) 디사 디엔코드를 이용한 원격호 전환 방법
JP2001268227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呼制御/管理方式
KR19980083095A (ko) 전화교환기에서 멀티 핸드 무선 전화기의 특정 핸드 호출방법
JPH06188979A (ja) パーソナルナンバーコールサービス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