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335B1 - 국선의자동선택방법 - Google Patents

국선의자동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335B1
KR100292335B1 KR1019970059111A KR19970059111A KR100292335B1 KR 100292335 B1 KR100292335 B1 KR 100292335B1 KR 1019970059111 A KR1019970059111 A KR 1019970059111A KR 19970059111 A KR19970059111 A KR 19970059111A KR 100292335 B1 KR100292335 B1 KR 10029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trunk line
call
central control
econo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137A (ko
Inventor
길태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3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44Least cost routing
    • H04M15/8055Selecting cheaper transport technology for a give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경우, 일반국선과 CT-2국선중에서 경제적인 통화를 할 수 있는 국선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국선을 통해 전화를 거는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내교환기는 유선을 통해 공중전화망이나 ISDN국선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바, 무선을 통해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CT-2국선을 사용할 수 없어, 통화량이 많을 경우 효율적이지 못하고, 특정지역에서는 CT-2국선을 사용할 때보다 일반국선을 사용할 때의 통화료가 비싸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내교환기가 CT-2국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경우, 일반국선과 CT-2국선중에서 경제적인 통화를 할 수 있는 국선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국선을 통해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통화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
본 발명은 구내 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경우, 일반국선과 CT-2국선중에서 경제적인 통화를 할 수 있는 국선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국선을 통해 전화를 거는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T(Cordless Telephone; 무선전화)는 제1세대인 CT-1(The First Generation of Cordless Telephone;가정내무선전화), 제2세대인 CT-2(The Second Generation of Cordless Telephone;실외무선공중전화) 및 제3세대인 CT-3(The Third Generation of Cordless Telephone;실외이동무선전화)로 구분된다. CT-1은 아날로그방식의 코드없는 전화로 흔히 우리가 접하는 무선전화기를 말한다. 단말기 가격이 저렴한 반면 고정된 본체로 부터 수십미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CT-2는 개인휴대통신의 전단계로 일명 Telepoint로 잘 알려진 디지탈방식의 코드없는 전화기이다. 영국에서 최초 개발된 CT-2는 발신전용의 휴대용전화라 할 수 있다. CT-3/DECT는 착발신이 가능한 CT-2에 비해 더욱 발전된 형태의 무선전화기로서,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 ;유럽디지탈무선전화)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다중접속)/TDD(Time Division Diplex ; 시분할이중통신)방식으로, 1.8GHz의 주파수대에서 운용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CT-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세대 코드없는 전화기술로 위치가 제한된 발신전용이다. 개인휴대통신서비스의 전단계인 CT-2서비스는 소형 휴대용 단말기로 도심의 공공장소에서 이동중에 무선기지국과 기존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연결해 통화하는 방식이다. 영국에서 이동전화와는 달리 가정용 무선전화기의 사용범위를 옥외로 확장시켜 출발한 CT-2서비스는 무선공중전화로 불리는 발신전용 휴대전화서비스이다.
한편, 종래의 구내교환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국선정합부(10), ISDN국선정합부(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20), 내선정합부(30), 스위칭부(40), DTMF인식부(Dual Tone Mixed Frequency;50) 및 중앙제어부(60)을 구비한다.
일반국선정합부(10)는 스위칭부(40)와 외부의 공중전화망을 정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ISDN국선정합부(20)는 스위칭부(40)와 ISDN국선을 정합하여 종합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내선정합부(30)는 스위칭부(40)와 다수의 단말기를 정합하고, 스위칭부(40)는 중앙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일반국선이나 ISDN국선와 다수의 단말기간에 통화로를 개설하거나 해제한다. DTMF인식부(50)는 단말기로 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중앙제어부(60)측으로 인가한다. 중앙제어부(60)는 구내교환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DTMF인식부(50)로 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번역하여 그에 대응하는 구내교환기의 동작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구내교환기의 동작은 먼저, 호출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하고 해당 전화번호를 가진 구내 단말기로의 경로선택과 예약을 한다. 이 때, 스위치등이 다른 통화에 사용되고 있거나 상대방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통화중 신호를 통화를 건 사람에게 송출한다. 또한, 상대방이 응답을 하게 되면 이것을 검출하여 양자간의 통화를 접속하고 통화를 개시한다. 이후에, 통화를 건 사람또는 전화를 받은 사람이 끊는다면 이를 검출하여 지금까지 사용해 온 통화로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쌍방의 전화기도 대기 상태로 한 후, 구내교환기는 동작을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내교환기는 유선을 통해 공중전화망이나 ISDN국선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바, 무선을 통해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CT-2국선을 사용할 수 없어, 통화량이 많을 경우 효율적이지 못하고, 특정지역에서는 CT-2국선을 사용할 때보다 일반국선을 사용할 때의 통화료가 비싸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내교환기가 CT-2국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경우, 일반국선과 CT-2국선중에서 경제적인 통화를 할 수 있는 국선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국선을 통해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이후, 입력된 전화번호를 판독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이후, 판독된 전화번호에 따라 국선을 선택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과정은, 입력된 전화번호의 지역번호에 따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과정은, 전화요금이 저렴한 국선을 선택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내교환(Private Branch eXchange)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교환기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CT-2국선정합부의 구성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교환기에서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의 동작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일반국선정합부 20 : ISDN국선정합부
30 : 내선정합부 40 : 스위칭부
50 : DTMF인식부 60 : 중앙제어부
100 : CT-2국선정합부 110 : RF모듈
120 : RF인터페이스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교환기는 첨부된 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국선정합부(10), ISDN국선정합부(20), 내선정합부(30), 스위칭부(40), DTMF인식부(50), 중앙제어부(60) 및 CT-2국선정합부(100)를 구비한다.
일반국선정합부(10)는 스위칭부(40)와 외부의 공중전화망을 정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ISDN국선정합부(20)는 스위칭부(40)와 ISDN국선을 정합하여 종합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내선정합부(30)는 스위칭부(40)와 다수의 단말기를 정합하고, CT-2국선정합부(100)는 스위칭부(40)와 CT-2국선을 정합한다. 스위칭부(40)는 중앙제어부(60)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일반국선이나 ISDN국선 및 CT-2국선과 다수의 단말기간에 통화로를 개설하거나 해제한다. DTMF인식부(50)는 단말기로 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중앙제어부(60)측으로 인가한다. 중앙제어부(60)는 구내교환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통화요구에 따라 입력된 전화번호를 DTMF인식부(50)로 부터 인가받아 이를 분석하여 가장 경제적인 국선을 선택한 후, 해당 국선에 통화로를 개설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칭부(40)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CT-2국선정합부(100)는 첨부된 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모듈(110)및 RF인터페이스부(120)를 구비한다. RF모듈(110)은 CT-2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하고, RF인터페이스부(120)는 RF모듈(110)과 스위칭부(40)를 정합하여, 스위칭부(40)로 부터 인가되는 통화데이터를 RF신호로 변조하여 RF모듈(110)로 인가하거나, RF모듈(110)로 부터 인가되는 RF신호를 통화데이터로 복조하여 스위칭부(40)로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4의 동작순서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지역에 따라 해당 지역에 대응하여 유선을 통한 일반공중통신망을 사용했을 경우의 통화요금과 CT-2국선을 사용했을 경우의 통화요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며, 중앙제어부(60)는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할 수 있다.
먼저, 중앙제어부(60)는 내선에 연결된 단말기로 부터 발호신호를 검출하는데, 송신측사용자가 단말기의 수화기를 들음으로써, 중앙제어부(60)는 발호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이에, 중앙제어부(60)는 현재 사용가능한 국선중에서 임의의 국선을 선택하여 점유한 후, 발호신호가 검출된 단말기로 부터 다이얼번호를 입력받는다(스텝 S1).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이얼번호를 입력하면 중앙제어부(60)는 입력된 다이얼번호를 번역한 후(스텝 S2), 선택된 국선을 사용하여 입력된 다이얼번호에 해당하는 지역의 수신자와 통화를 할 경우, 다른 국선과 비교하여 경제적인지를 검사한다(스텝 S3). 이에 중앙제어부(60)는 선택된 국선이 다른국선보다 경제적이지 못할 경우, 경제적인 국선을 선택하여 해당 국선을 재점유하는 바(스텝 S4), 즉, 예를 들어, 중앙제어부(60)는 일반공중전화망을 점유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그 지역번호가 부산이면 부산에 대한 일반공중전화망을 사용할 경우와 CT-2국선을 사용할 경우의 통화요금을 비교한다. 이에 서울에서 부산으로 전화를 걸 경우, 일반공중전화망보다는 CT-2국선을 사용했을 때의 전화요금이 저렴하므로, 중앙제어부(60)는 일반국선, 즉, 공중전화망의 점유를 포기하고 CT-2국선을 재점유한다. 이후에, 중앙제어부(60)는 스위칭부(40)에서 개설되는 통화로 중에서, 필요한 접속을 하기 위한 경로의 선택과 예약을 한 후, 수신측의 단말기가 대기상태이면 링신호를 송출하고, 수신측의 단말기로 부터의 응답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여, 수신측의 단말기로 부터 응답신호가 검출되면, 양자간의 통화를 접속하고, 통화를 개시한다. 이후에 중앙제어부(60)는 송신측 단말기나 수신측 단말기로 부터 호절단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여, 호절단신호가 검출되면, 송신측 단말기와 수신측 단말기간에 개설된 통화로를 해제함과 동시에 단말기를 대기상태로 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 S3에서 이미 선택된 국선이 다른국선에 비해 경제적일 경우, 선택된 국선을 연결하여, 수신측단말기와 통화접속을 시도한다. 즉, 예를 들어, 중앙제어부(60)는 일반공중전화망을 점유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일반공중전화망을 사용할 경우와 CT-2국선을 사용할 경우의 통화요금을 비교하는 바, 입력된 지역번호가 서울이나 수도권지역이면 서울에서 서울이나 수도권지역으로 전화를 걸 경우, CT-2국선보다는 일반공중전화망을 사용한 전화요금이 저렴하므로, 중앙제어부(60)는 기선택된 일반국선, 즉, 공중전화망을 그대로 점유하여, 해당 공중전화망을 통해 수신측단말기와 통화접속을 시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내교환기가 CT-2국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경우, 일반국선과 CT-2국선중에서 경제적인 통화를 할 수 있는 국선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국선을 통해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통화수단을 제공한다.

Claims (3)

  1.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이후, 입력된 전화번호를 판독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이후, 판독된 전화번호에 따라 국선을 선택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입력된 전화번호의 지역번호에 따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전화요금이 저렴한 국선을 선택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의 자동선택 방법.
KR1019970059111A 1997-11-10 1997-11-10 국선의자동선택방법 KR10029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111A KR100292335B1 (ko) 1997-11-10 1997-11-10 국선의자동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111A KR100292335B1 (ko) 1997-11-10 1997-11-10 국선의자동선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37A KR19990039137A (ko) 1999-06-05
KR100292335B1 true KR100292335B1 (ko) 2001-07-12

Family

ID=3752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111A KR100292335B1 (ko) 1997-11-10 1997-11-10 국선의자동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3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907A (ko) * 1997-10-07 1999-05-06 유광섭 유무선 전화기의 연계 운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907A (ko) * 1997-10-07 1999-05-06 유광섭 유무선 전화기의 연계 운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37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032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using a mobile phone in a wireless office network
EP0705522B1 (en) Multinetwork terminal
US5983098A (en) Dual-mode network access point
US6154650A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all for a mobile station using either a wireless network or a wireline network
US5771465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obility adjunct fo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SE0003098D0 (sv)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20006486A (ko) 코드리스 전화와 셀 방식 전화의 통합형 시스템
EP0899928B1 (en) Communication metho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292335B1 (ko) 국선의자동선택방법
KR100610867B1 (ko)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및 장치
JPH08228384A (ja) 電話装置
GB2297455A (en) Automatic call divert for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248102B1 (ko) 구내교환기에서 씨티-2국선 및 일반국선 선택사용장치 및 방법
JPH08275238A (ja) 公専接続方式
KR20040036457A (ko)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른 호신호 연결 방법 및 장치, 및그를 이용한 전화통신시스템 및 단말기
US7020454B2 (en) Method for mak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JP3810128B2 (ja) コードレス電話の公衆基地局
JPH0374980B2 (ko)
JPH0918963A (ja) Phs移動体通信方式
JPH07264666A (ja) 予約接続移動通信方式
JPH09182151A (ja) 携帯電話機
JPS62271530A (ja) コ−ドレステレホンシステム
JPH02181529A (ja) 発信専用電話装置
JPH09135304A (ja) 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