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253B1 - 유선 전화 연동 장치 - Google Patents

유선 전화 연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253B1
KR100721253B1 KR1020050011187A KR20050011187A KR100721253B1 KR 100721253 B1 KR100721253 B1 KR 100721253B1 KR 1020050011187 A KR1020050011187 A KR 1020050011187A KR 20050011187 A KR20050011187 A KR 20050011187A KR 100721253 B1 KR100721253 B1 KR 10072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ransmission
voice
landlin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376A (ko
Inventor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2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폰의 전원, 통신 케이블, 및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로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에는 집안의 전화망을 통하여 유선 전화로 재송신하여 유선 전화를 통하여 휴대 전화를 받을 수 있게 하고, 유선 전화를 통하여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휴대 전화를 통하여 전화를 걸 수 있게 하여 줄 수 있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폰 송수신 모듈은 휴대폰의 벨 울림을 감지하여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고, 휴대폰 수신 요청후 음성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 휴대폰 수신을 휴대폰에 요청하고 전달받은 발신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한다.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은 휴대폰 송수신 모듈에 의해 유선 전화의 벨 울림 요청에 따라 유선 전화에 벨을 울리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를 감지하고, 번호를 누를 때 마다 이를 감지하여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휴대폰으로 중계하여 연결시킨다.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은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여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 전달하고, 유선 전화로부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발신 번호를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 전달한다.
휴대폰, 유선전화, 연동

Description

유선 전화 연동 장치{WIRE TELEPHONE INTERWOR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를 포함한 전화망의 구성을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에 의한 휴대폰 수신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송수신 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상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에 의한 휴대폰 송신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상세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상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2: 휴대폰 104: 유선 전화 연동 장치
106: 유선 전화 202: 휴대폰 송수신 모듈
204: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 206: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
208: 전원부 302: 휴대폰 인터페이스
304: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
306: 휴대폰 수신 감지 및 처리 기능부 308: 음성 전달 기능부
310: 휴대폰 송신번호 전달 및 휴대폰 발신 기능부
502: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 504: 음성전달 기능부
506: 키 입력 신호 감지 및 번역 기능부
508: 유선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 감시 기능부
602: 유선전화 벨 울림 제어 기능부
604: 음성전달, 모니터링 및 상태 관리 기능부
606: 휴대폰 송신 번호 판단 및 휴대폰 발신 관리 기능부
본 발명은 유선 전화 연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유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통하여 통화하도록 하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파에 노출되어 건강 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원, 통신 케이블, 및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이 용하여 휴대 전화로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에는 집안의 전화망을 통하여 기존 유선 전화로 재송신하여 기존 유선 전화를 통하여 휴대 전화를 받을 수 있게 하고, 기존 유선 전화를 통하여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휴대 전화를 통하여 전화를 걸 수 있게 하여 줄 수 있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는 휴대폰의 벨 울림을 감지하여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고, 상기 휴대폰 수신 요청후 음성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 휴대폰 수신을 상기 휴대폰에 요청하고 전달받은 발신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휴대폰 송수신 모듈;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에 의해 유선 전화의 벨 울림 요청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에 벨을 울리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를 감지하고, 번호를 누를 때 마다 이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상기 휴대폰으로 중계하여 연결시켜 주는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 및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발신 번호를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 전달하는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은 상기 휴대폰과 상기 유선 전화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휴대폰 인터페이스; 상기 휴대폰의 발신 기능을 수정하여 번호 전달 기능을 추가하고, 상기 휴대폰의 벨 울림 및 음성 처리 기술 활용하고, 벨 울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폰 수신 요청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휴대폰의 수신 확인에 따라 휴대폰 수신을 상기 휴대폰으로 알리는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 상기 휴대폰의 벨 울림을 감지하여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고,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이 수화기를 들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부에게 휴대폰 수신을 요청하는 휴대폰 수신 감지 및 처리 기능부;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전달하는 음성 전달 기능부; 및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번호를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부로 전달하고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는 휴대폰 송신 번호 전달 및 휴대폰 발신 기능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은 상기 휴대폰의 벨이 울리고, 수신 요청을 받을 경우 이를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 알리고, 연결된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는 유선 전화 벨 울림 제어 기능부;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부터 음성 전달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 음성을 전달하고, 음성의 음량 및 잡음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음량 유지 및 잡음 제거를 수행하는 음성 전달, 모니터링 및 상태관리 기능부; 및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번호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번호인 경우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 발신 번호를 전달하고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는 휴대폰 송신 번호 판단 및 휴대폰 발신 관리 기능부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은 휴대폰 벨 울림을 감지하였음을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았을 경우 상기 유선 전화의 벨을 울릴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유선 전화로 전달하고,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 통지하여 달라고 요청하고,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 받게 되면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을 정지하고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휴대폰 수신 요청을 전달하는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받게 되면, 상기 휴대폰의 음성을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로 전달을 허용하는 음성 전달 기능부;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받게 되는 경우, 유선 전화로부터 입력되는 키 음을 번역하여 번호로 변환하고, 번호 입력이 끝났다고 판단된 경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고 발신 번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 신호 감지 및 번역 기능부; 및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를 감시하기 위하여 연결된 유선 전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음성 전달 기능부로 이를 통지하는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 감시 기능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의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 감시 기능부는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상기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로 통지하고, 상기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의 요청이 없을 경우는 상기 키 입력 신호 감지 및 번역 기능부로 통지한다. 또한, 상기 유선 연동 장치는 상기 유선 전화 연동 터미널에 전 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를 포함한 전화망의 구성을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에 의한 휴대폰 수신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는 휴대폰 송수신 모듈(202),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204), 및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4)을 포함한다.
휴대폰 송수신 모듈(202)은 휴대폰의 벨 울림을 감지하여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고, 상기 휴대폰 수신 요청후 음성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유선 전화(106)의 수화기(1062)를 들었을 경우, 휴대폰 수신을 상기 휴대폰(102)에 요청하고 전달받은 발신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송수신 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202)은 휴대폰 인터페이스(302),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304), 휴대폰 수신 감지 및 처리 기능부(306), 음성 전달 기능부(308), 및 휴대폰 송신 번호 전달 및 휴대폰 발신 기능부(310)를 포함한다.
휴대폰 인터페이스(302)는 상기 휴대폰과 상기 유선 전화의 인터페이스를 수 행한다.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304)는 상기 휴대폰(102)의 발신 기능을 수정하여 번호 전달 기능을 추가하고, 상기 휴대폰(102)의 벨 울림 및 음성 처리 기술 활용하고, 벨 울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폰 수신 요청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휴대폰(102)의 수신 확인에 따라 휴대폰 수신을 상기 휴대폰(102)으로 알린다. 휴대폰 수신 감지 및 처리 기능부(306)는 상기 휴대폰의 벨 울림을 감지하여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로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고,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이 수화기를 들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부(304)에게 휴대폰 수신을 요청한다.
음성 전달 기능부(308)는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304)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로 전달한다. 휴대폰 송신 번호 전달 및 휴대폰 발신 기능부(310)는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번호를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부(304)로 전달하고 휴대폰 발신을 요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연동 장치에 의한 휴대폰 송신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상세 블럭도이다.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206)은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502), 음성 전달 기능부(504), 키 입력 신호 감지 및 번역 기능부(506), 및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 감시 기능부(508)를 포함한다.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502)는 휴대폰 벨 울림을 감지하였음을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으로부터 전달받았을 경우 상기 유선 전화의 벨을 울릴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유선 전화(106)로 전달한다.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502)는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 통지하여 달라고 요청하고,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 받게 되면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을 정지하고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로 휴대폰 수신 요청을 전달한다.
음성 전달 기능부(504)는 상기 유선 전화(106)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 받게 되면, 상기 휴대폰(102)의 음성을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4)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로 전달을 허용한다.
키 입력 신호 감지 및 번역 기능부(506)는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 받게 되는 경우, 유선 전화로부터 입력되는 키 음을 번역하여 번호로 변환하고, 번호 입력이 끝났다고 판단된 경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로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고 발신 번호를 전달한다.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 감시 기능부(508)는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를 감시하기 위하여 연결된 유선 전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음성 전달 기능부(504)로 이를 통지한다.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은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202)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고, 발신 번호를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202)로 전달한다.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의 일예를 나 타낸 상세 블럭도이다.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206)은 유선 전화 벨 울림 제어 기능부(602), 음성 전달, 모니터링 및 상태관리 기능부(604), 및 휴대폰 송신 번호 판단 및 휴대폰 발신 관리 기능부(606)를 포함한다.
유선 전화 벨 울림 제어 기능부(2042)는 상기 휴대폰(102)의 벨이 울리고, 수신 요청을 받을 경우 이를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204)로 알리고, 연결된 상기 유선 전화(106)의 벨 울림을 요청한다.
음성 전달, 모니터링 및 상태관리 기능부(2044)는 음성 전달, 모니터링 및 상태관리 기능부(2044)는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202)로부터 음성 전달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204)로 음성을 전달하고, 음성의 음량 및 잡음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음량 유지 및 잡음 제거를 수행한다.
휴대폰 송신 번호 판단 및 휴대폰 발신 관리 기능부(2046)는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206)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번호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번호인 경우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202)로 발신 번호를 전달하고 휴대폰 발신을 요청한다.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104)은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에 의해 유선 전화의 벨 울림 요청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이 벨을 울리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유선 전화(108)의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를 감지하고, 번호를 누를 때 마다 이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폰(102)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상기 휴대폰(102)으로 중계하여 연결시켜 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의 전원, 통신 케이블, 및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로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에는 집안의 전화망을 통하여 기존 유선 전화로 재송신하여 기존 유선 전화를 통하여 휴대 전화를 받을 수 있게 하고, 기존 유선 전화를 통하여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휴대 전화를 통하여 전화를 걸 수 있게 하여 줄 수 있다.

Claims (6)

  1. 휴대폰의 벨 울림을 감지하여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고, 상기 휴대폰 수신 요청후 음성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 휴대폰 수신을 상기 휴대폰에 요청하고 전달받은 발신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휴대폰 송수신 모듈;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에 의해 유선 전화의 벨 울림 요청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에 벨을 울리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를 감지하고, 번호를 누를 때 마다 이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상기 휴대폰으로 중계하여 연결시켜 주는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 및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발신 번호를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 전달하는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은 상기 휴대폰과 상기 유선 전화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휴대폰 인터페이스;
    상기 휴대폰의 발신 기능을 수정하여 번호 전달 기능을 추가하고, 상기 휴대폰의 벨 울림 및 음성 처리 기술 활용하고, 벨 울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폰 수신 요청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휴대폰의 수신 확인에 따라 휴대폰 수신을 상기 휴대폰으로 알리는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
    상기 휴대폰의 벨 울림을 감지하여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고,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이 수화기를 들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부에게 휴대폰 수신을 요청하는 휴대폰 수신 감지 및 처리 기능부;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프리 기능부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전달하는 음성 전달 기능부; 및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번호를 상기 이어폰/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부로 전달하고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는 휴대폰 송신 번호 전달 및 휴대폰 발신 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은 상기 휴대폰의 벨이 울리고, 수신 요청을 받을 경우 이를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 알리고, 연결된 상기 유선 전화의 벨 울림을 요청하는 유선 전화 벨 울림 제어 기능부;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부터 음성 전달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 음성을 전달하고, 음성의 음량 및 잡음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음량 유지 및 잡음 제거를 수행하는 음성 전달, 모니터링 및 상태관리 기능부; 및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번호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번호인 경우 상기 휴대폰 송수신 모듈로 발신 번호를 전달하고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는 휴대폰 송신 번호 판단 및 휴대폰 발신 관리 기능부를 포함하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 송수신 모듈은
    휴대폰 벨 울림을 감지하였음을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았을 경우 상기 유선 전화의 벨을 울릴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유선 전화로 전달하고, 수화기를 들었을 경우 통지하여 달라고 요청하고,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 받게 되면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을 정지하고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휴대폰 수신 요청을 전달하는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받게 되면, 상기 휴대폰의 음성을 상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로 전달을 허용하는 음성 전달 기능부;
    상기 유선 전화로부터 상기 수화기를 들었다고 통지받게 되는 경우, 유선 전화로부터 입력되는 키 음을 번역하여 번호로 변환하고, 번호 입력이 끝났다고 판단된 경우, 음성 채널 유지/관리 모듈로 휴대폰 발신을 요청하고 발신 번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 신호 감지 및 번역 기능부; 및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를 감시하기 위하여 연결된 유선 전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음성 전달 기능부로 이를 통지하는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 감시 기능부를 포함하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의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유선 전화 수화기 착/탈 여부 감시 기능부는 상기 유선 전화 수화기를 들었다고 상기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로 통지하고, 상기 유선 전화 벨 울림 신호 발생 기능부의 요청이 없을 경우는 상기 키 입력 신호 감지 및 번역 기능부로 통지하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 연동 터미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유선 전화 연동 장치.
KR1020050011187A 2005-02-07 2005-02-07 유선 전화 연동 장치 KR10072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187A KR100721253B1 (ko) 2005-02-07 2005-02-07 유선 전화 연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187A KR100721253B1 (ko) 2005-02-07 2005-02-07 유선 전화 연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376A KR20060090376A (ko) 2006-08-10
KR100721253B1 true KR100721253B1 (ko) 2007-05-22

Family

ID=3757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187A KR100721253B1 (ko) 2005-02-07 2005-02-07 유선 전화 연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2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704A (ja) * 1996-05-23 1997-12-02 Teresen Kk 無線通信用の発信アダプター
KR19990002696A (ko) * 1997-06-21 1999-01-15 구자홍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
JPH11215239A (ja) 1998-01-27 1999-08-06 Nec Eng Ltd 電話通信システム、交換システム及び電話転送方法
JP2000324259A (ja) 1999-05-14 2000-11-24 Nec Mobile Commun Ltd 無線電話機接続装置
KR20040073391A (ko) * 2003-02-12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704A (ja) * 1996-05-23 1997-12-02 Teresen Kk 無線通信用の発信アダプター
KR19990002696A (ko) * 1997-06-21 1999-01-15 구자홍 무선 단말기의 호전환방법
JPH11215239A (ja) 1998-01-27 1999-08-06 Nec Eng Ltd 電話通信システム、交換システム及び電話転送方法
JP2000324259A (ja) 1999-05-14 2000-11-24 Nec Mobile Commun Ltd 無線電話機接続装置
KR20040073391A (ko) * 2003-02-12 200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376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0325B1 (en) Wireless repeater with wireless telephone adapter
KR20040054061A (ko) 이동전화를 위한 인터넷 폰 시스템 및 인터넷 폰 서비스방법
KR1014017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KR100818511B1 (ko) 휴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법
KR100721253B1 (ko) 유선 전화 연동 장치
KR20070077182A (ko) 유선전화의 연동장치
KR100566373B1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US20040005909A1 (en) Method for originating and terminating mobile (aka cellular) telephone calls on an analog phone line system utilizing the mobile handset as a gateway
CN203151606U (zh) 一种可以连接移动电话的固定电话通讯系统
KR20020003999A (ko) 전화기 장착용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9305B1 (ko) 인터폰을 이용한 외부 통화연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KR100602277B1 (ko)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및해지 알림 방법
JP3203758B2 (ja) 無線電話装置
KR201700547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전환 모듈, 통화 전환 모듈의 통화 전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통화 전환 시스템
KR20080013131A (ko) 원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부재중 유선 착신호 알림 방법
JP6156911B2 (ja) 中継装置、中継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325720B1 (ko) 이종 단말기 통합 통신 서비스 장치
KR101139852B1 (ko) 자동 다이얼 장치에서 근거리 호와 원거리 호를 라우팅하는 방법
JP2730254B2 (ja) Mca呼出信号変換アダプタとmca無線システム
KR20090081534A (ko) 일반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겸용으로 사용하게 하는 스위칭장치
KR100777303B1 (ko) 유무선 통신 겸용 폰과, 그 폰에서의 통신 방법
KR20000018228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벨소리 전송방법
KR2009002791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p 비디오폰의 호 착신 통보시스템 및 방법
JP2007013532A (ja) 電話装置
JPS6313532A (ja) 無線ネツトワ−ク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