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992B1 -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992B1
KR100452992B1 KR10-2001-0081692A KR20010081692A KR100452992B1 KR 100452992 B1 KR100452992 B1 KR 100452992B1 KR 20010081692 A KR20010081692 A KR 20010081692A KR 100452992 B1 KR100452992 B1 KR 100452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ompressor
base pan
bas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0966A (ko
Inventor
박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9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볼트(50)의 몸체(50')에 형성된 머리부(56)에 다수개의 고정돌기(58)를 상기 볼트(50)의 기둥부(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팬(4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볼트(50)의 기둥부(52)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체결공(44)을 관통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체결공(44)의 둘레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고정돌기(58)에 대응되는 돌기공(46)을 관통형성한다.
그리고, 고정돌기(58)가 돌기공(46)에 각각 끼워지도록 볼트(50)를 베이스팬(40)의 체결공(44)에 삽입한 후, 상기 베이스팬(4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고정돌기(58)의 상부를 압착(코킹)하여, 볼트(50)를 베이스팬(40)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는, 볼트(50)에 형성된 고정돌기(58)를 압착하여 상기 볼트(50)를 베이스팬(40)에 고정시키므로, 용접열에 의해 도색이 벗겨져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잇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고정돌기(58)가 상기 베이스팬(40)과 체결되므로, 볼트(50)의 유동이 방지되며, 더욱 견고하게 베이스팬(40)에 장착되는 잇점도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Compressor mounting apparatus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열교환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압축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작동유체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로부터 유입된 작동유체를 외부공기와 열교환시켜 다시 실내기에서 열교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실내기로 공급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팬(1)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 상에는 실내기측에 설치된 부품들과 함께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팬(1)의 하면에는 레그(3, 3')가 장착된다. 상기 레그(3, 3')는 실외기를 지지하고, 설치될 바닥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의 상면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체결공(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15)가 장착되는 볼트(7)의 기둥부(9)가 끼워진다.
상기 볼트(7)는 압축기(15)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에 직립되게 상기 체결공(5)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스폿용접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1)에고정된다. 상기 볼트(7)의 몸체(7')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환봉형상의 기둥부(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9)의 일단에는 나사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1)는 상기 기둥부(9)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15)의 체결부(15a)에 형성된 체결공(15c)에 삽입되어 압축기(1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11)에는 압축기(15)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여 감소시키는 방진구(12)가 끼워진다. 상기 방진구(12)는 중공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무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9)의 타단에는 머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3)는 기둥부(9)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며, 스폿용접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볼트(7)를 상기 베이스팬(1)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상기 베이스팬(1) 상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볼트(7)에는 압축기(15)가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15)는 열교환사이클의 구성요소로써,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작동유체를 전달받아서 상기 작동유체를 압축하고,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로 작동유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5)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7)의 나사부(11)에 삽입되는 체결부(15a)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5a)에는 상기 나사부(11)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기둥부(9)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체결공(15c)이 관통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기가 베이스팬에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1)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5)을 상기 볼트(7)가 관통하여 직립되게 끼워진다. 이 때, 상기 볼트(7)의 머리부(13)의 일면은 상기 베이스팬(1)의 하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밀착된 상기 베이스팬(1)과 상기 머리부(13)를 스폿용접하여, 상기 볼트(7)를 베이스팬(1)에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팬(1)에 고정된 볼트(7)의 나사부(11)에 방진구(12)를 삽입하고, 그 상부에 상기 압축기(15)의 체결편(15a)을 상기 나사부(11)에 끼운 다음, 체결너트(17)로 상기 나사부(11)를 조여주면, 상기 압축기(15)가 볼트(7)에 장착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폿용접으로 상기 볼트(7)와 베이스팬(1)을 체결하기 때문에, 용접열에 의해 용접부위의 베이스팬(1)의 도색이 벗겨지고, 이로 인해 베이스팬(1)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 위치를 스폿용접하여 상기 볼트(7)와 베이스팬(1)을 체결하므로써, 용접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오랜시간 운전하게 되면, 압축기(15)의 진동에 의해 용접부위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수리하기 위한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수리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작업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를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압축기가 장착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체결된 것을 보인 결합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베이스팬 42, 42': 레그
44 : 체결공 46 : 돌기공
50 : 볼트 50': 몸체
52 : 기둥부 54 : 나사부
56 : 머리부 58 : 고정돌기
70 : 압축기 72 : 체결부
74 : 체결공 76 : 방진구
78 : 높이유지용와셔 80 : 체결너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면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체결공과 각각의 상기 체결공의 둘레에 인접하여 다수개의 돌기공이 관통형성되는 베이스팬과, 상기 체결공과 돌기공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압착되어 상기 베이스팬에 직립되게 체결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 장착되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구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베이스팬에 직립되게 장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상기 기둥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나사부와, 상기 기둥부의 타단에 상기 기둥부의 원주둘레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의 하면에 밀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면에 상기 기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베이스팬에 형성된 돌기공을 관통해서 각각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팬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부가 압착되어서 상기 돌기공의 내경보다 외경이 커지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는 볼트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압착하여 베이스팬에 고정하므로써, 제조단가가 낮아지고, 용접열에 의해 용접부위의 표면이 벗겨져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볼트를 베이스팬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실시예에서 압축기가 볼트에 장착된 것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베이스팬(40)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40) 상에는 실내기측에 설치된 부품들과 함께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에는 외부의 공기를 실외기로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미도시)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 및 실외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작동유체가 서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40)의 하면에는 레그(42, 42')가 장착된다. 상기 레그(42, 42')는 실외기를 지지하고, 설치될 바닥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팬(40)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체결공(4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체결공(44) 둘레에 인접하여서는 다수개의 돌기공(46)이 상기 베이스팬(4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체결공(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볼트(50)의 기둥부(52)가 삽입되며, 각각의 상기 돌기공(4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볼트(50)의 머리부(56)에 형성된 고정돌기(58)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볼트(50)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7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상기 볼트(50)의 몸체(50')에는 압축기(70)를 지지하는 기둥부(52)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부(52)는 환봉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52)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팬(40)에 형성된 체결공(44)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52)의 일단에는 나사부(54)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54)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70)의 체결부(72)가 끼워져 실질적으로 압축기(70)를 상기 볼트(50)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사부(54)의 외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54)의 외경은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70)의 체결부(72)에 형성된 체결공(74)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52)의 외경보다 작다.
즉, 상기 기둥부(52)와 나사부(54)가 단차지게 형성되어서, 압축기(70)에 형성된 체결부(72)가 상기 볼트(50)의 일정한 높이에서 지지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압축기(70)가 베이스팬(4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52)의 타단, 즉 상기 나사부(54)가 형성된 반대편의 상기 기둥부(52)의 일단에는 머리부(56)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56)는 원반의 형상으로 상기 기둥부(52)의 원주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56)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5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58)는 상기 기둥부(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돌기공(46)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58)는 상기 돌기공(46)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상기 베이스팬(4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상기 고정돌기(58)의 상부가 압착(코킹)되므로써, 상기 베이스팬(40)에 상기 볼트(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58)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40)에 형성된 돌기공(46)에 끼워졌을 때, 상기 고정돌기(58)가 상기 베이스팬(40)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고정돌기(58)의 상부가 압착되어, 상기 고정돌기(58)의 외경이 상기 돌기공(46)의 내경보다 커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상기 볼트(50)의 나사부(54)에는 압축기(70)가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70)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작동유체를 전달받아서 상기 작동유체를 압축하고, 다시 다른 구성요소로 작동유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70)는 무게가 무겁고,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동작시 진동이 발생하므로, 실외기의 베이스팬(4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상기 압축기(70)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50)의 나사부(54)에 체결되어 실질적으로 압축기(70)를 상기 볼트(50)에 장착하는 체결부(7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72)에는 상기 볼트(50)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체결공(74)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체결공(74)의 내경은 상기 나사부(54)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기둥부(52)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70)의 체결부(72)를 상기 볼트(50)의 나사부(54)에 끼우기 전에, 상기 나사부(54)에는 중공원통형상의 방진구(76)가 삽입된다. 상기 방진구(76)는 압축기(7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고무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이 체결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이를 참고로 하여 구성요소들의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베이스팬(4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44)에 상기 볼트(50)의 고정돌기(58)가 상기 베이스팬(40)의 돌기공(46)에 삽입되도록 상기 볼트(50)를 끼운다. 이 때, 상기 고정돌기(58)는 상기 베이스팬(40)을 관통하여 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볼트(50)의 머리부(56)의 일면은 상기 베이스팬(40)의 하면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40)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정돌기(58)의 상부를 압착(코킹)하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58)의 외경이 상기 돌기공(46)의 내경보다 커지게 되어, 상기 볼트(50)가 상기 베이스팬(40)에 탈거되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3개 내지 4개의 고정돌기(58)는 상기 볼트(50)가 베이스팬(4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베이스팬(40)에 체결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50)의 나사부(54)에는 중공원통형상인 방진구(76)가 끼워진다. 상기 방진구(76)는 압축기(70)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여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50)의 나사부(54)에 끼워진 방진구(76)의 상면에 상기 압축기(70)의 체결부(72)가 끼워진다. 상기 체결부(72)는 상기 볼트(50)의 기둥부(52)와 나사부(54)의 단차로 인해 상기볼트(50)의 일정한 높이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70)의 체결부(72)의 상면에 높이유지용와셔(78)를 상기 볼트(50)의 나사부(54)에 끼우고, 상기 높이유지용와셔(78)의 상면에 체결너트(80)로 상기 나사부(54)를 조여주면, 상기 압축기(70)가 볼트(50)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는, 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압착하여 베이스팬에 고정하므로써, 스폿용접의 용접열에 의해 용접부위의 도색이 벗겨져서 베이스팬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립작업의 비용을 절감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베이스팬과 체결되므로, 볼트의 유동이 방지되며, 보다 견고하게 볼트를 상기 베이스팬에 고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저면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체결공과 각각의 상기 체결공의 둘레에 인접하여 다수개의 돌기공이 관통형성되는 베이스팬과,
    나사부가 형성된 기둥부와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상기 체결공과 돌기공을 각각 관통하여 끼워져서 상기 베이스팬에 직립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팬의 상하 유동 및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돌기공의 상단에서 압착되어 체결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 장착되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베이스팬에 직립되게 장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상기 기둥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나사부와, 상기 기둥부의 타단에 상기 기둥부의 원주둘레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의 하면에 밀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면에 상기 기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베이스팬에 형성된 돌기공을 관통해서 각각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팬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부가 압착되어서 상기 돌기공의 내경보다 외경이 커지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KR10-2001-0081692A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KR10045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692A KR100452992B1 (ko)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692A KR100452992B1 (ko)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966A KR20030050966A (ko) 2003-06-25
KR100452992B1 true KR100452992B1 (ko) 2004-10-15

Family

ID=2957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692A KR100452992B1 (ko) 2001-12-20 2001-12-20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9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215A (ja) * 1990-10-23 1992-06-03 Imasen Denki Seisakusho:Kk 溶接ボルト
JPH09229042A (ja) * 1996-02-26 1997-09-02 Eisuke Ishida ボルト類の共回り防止方法
JPH10325569A (ja) * 1997-05-27 1998-12-0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室外機における圧縮機の取付け固定方法
JPH11210729A (ja) * 1998-01-23 1999-08-03 Toshiba Corp 圧縮機固定用ボルトの固定方法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1330276A (ja) * 2000-05-23 2001-11-30 Funai Electric Co Ltd 空調機器の室外機
KR200257481Y1 (ko) * 2001-09-19 2001-12-31 캐리어 주식회사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215A (ja) * 1990-10-23 1992-06-03 Imasen Denki Seisakusho:Kk 溶接ボルト
JPH09229042A (ja) * 1996-02-26 1997-09-02 Eisuke Ishida ボルト類の共回り防止方法
JPH10325569A (ja) * 1997-05-27 1998-12-0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室外機における圧縮機の取付け固定方法
JPH11210729A (ja) * 1998-01-23 1999-08-03 Toshiba Corp 圧縮機固定用ボルトの固定方法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1330276A (ja) * 2000-05-23 2001-11-30 Funai Electric Co Ltd 空調機器の室外機
KR200257481Y1 (ko) * 2001-09-19 2001-12-31 캐리어 주식회사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966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992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KR200358678Y1 (ko)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KR200257480Y1 (ko) 실외기에서의 일체형 고정핀을 이용한 압축기 고정구조
KR100445268B1 (ko)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KR200257481Y1 (ko)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JP2006046805A (ja) 空気調和機
KR100443568B1 (ko) 냉각장치의 압축기 고정장치
JPH0645780Y2 (ja) 空気調和機の圧縮機支持装置
JP2001330276A (ja) 空調機器の室外機
JP346297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室外機における圧縮機の取付け固定方法
KR200237663Y1 (ko) 냉각장치의 압축기 고정장치
KR0129150Y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압축기 가변고정장치
KR200142858Y1 (ko) 공기조화기의 방진장치
KR200241187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베이스
KR10043740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JP2000337337A (ja) ナット固定金具
CN213630329U (zh) 一种灯具安装结构、预制天花板及拼装式房间
KR200184561Y1 (ko) 에어컨용 압축기의 결합구조
KR200318867Y1 (ko) 와셔가 일체로 구비된 나비너트
KR10042360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KR100347950B1 (ko) 제습기의 하우징
KR200150802Y1 (ko) 콘덴서를 갖춘 공기조화기 실외기
KR200300020Y1 (ko) 에어컨실외기의 지지구조
KR100200549B1 (ko) 에어컨용 압축기의 안착구조
KR20010009638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압축기 고정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