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603B1 -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603B1
KR100452603B1 KR10-2002-0045083A KR20020045083A KR100452603B1 KR 100452603 B1 KR100452603 B1 KR 100452603B1 KR 20020045083 A KR20020045083 A KR 20020045083A KR 100452603 B1 KR100452603 B1 KR 10045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gear box
vibration
shaft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300A (ko
Inventor
황인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6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의 기어 박스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 박스 내에서 좌우 이동되는 조향 이동수단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기어 박스 밖으로 각각 관통되어 양측 타이로드에 연결되는 좌우 샤프트 수단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과 좌우 샤프트 수단 사이의 기어 박스 내에 각각 채워져 상기 조향 이동수단의 작동력을 좌우 샤프트 수단에 전달하는 양측 전달 유체와; 상기 기어 박스에서 상기 양측 전달 유체가 채워진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 유체의 유동을 통해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으로부터 상기 조향 이동수단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진동흡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바퀴 쪽에서 조향 핸들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정숙한 주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운전자의 조향 작동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Reducing apparatus of vibration for steer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행 중 이나 제동시에 휠 언밸런스에 의해서 스티어링 기어 박스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박스(Gear box)는 운전자가 앞으로 전진할 때 자동차가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기어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랙(1)과 피니언(2)으로 구성된 기어 장치(3)와 조향이 쉽게 되도록 도와주는 유압 장치(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기어 장치(3)는 운전자가 핸들을 돌리게 되면 설계시 설정된 기어 비에 의해 피니언(2)의 회전운동은 랙(1)을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타이어가 조향 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유압 장치(4)는 스티어링의 회전 각을 감지하여 유압라인(5)에 유압을 조절하여 조향이 작은 힘으로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기어박스는 스티어링의 조작에 의해 타이어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되도록 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적이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휠(Wheel)의 편심이나 제동 시 디스크의 불 균일성에 의해 발생하는 가진력이 타이어를 전후 또는 좌우로 가진 시켜 랙(1)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이것은 기어 비에 의해 피니언(2)을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운전자가 잡고 있는 스티어링을 회전방향으로 진동이 유발되게 한다.
따라서 주행 중 이나 제동 시 발생하는 스티어링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강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 감응식 유압 스티어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거나 기어박스 내부 혹은 외부에 특정 주파수에서 진동이 감쇠 되도록 하는 쉬미 댐퍼 시스템(Shimmy Damper System), 그리고 진동이 발생하는 구간에서의 가진 변위가 작도록 랙의 치형을 가변식으로 만든 가변 치형의 적용이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스티어링 기어박스는 외부 케이스(6)안에 랙(1) 치형을 갖는 샤프트(7)가 있고 이 샤프트(7)의 양 끝에는 볼 조인트(8)로 타이로드(Tie rod)(9)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타이로드(9)는 타이로드 엔드(Tie rod end)(10)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크루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타이로드 엔드(10)는 휠(Wheel)과 연결된 너클 한쪽 단에 연결되어 타이어를 조향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유압라인(5)을 통하여 유체가 한쪽 단에 설치된 유압실(11) 좌우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이 적은 힘으로도 원활히 작동 되도록 도와 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스티어링 기어 박스는 피니언(2)과 연결되는 랙(1)을 갖는 샤프트(7)가 휠에 연결된 너클까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조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 주행 중 발생하는 쉬미(Shimmy)나 제동 중 발생하는 저더(Judder) 등의 진동이 휠로부터 역으로 그대로 샤프트(7) 및 랙(1)을 통해 핸들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 중 휠 언밸런스나 제동 중 디스크의 불균일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타이로드를 타고 좌우 샤프트로 전달될 때 비 압축성 유체를 압축성 축압기로 보내 조향 핸들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스티어링 기어 박스가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작동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기어 박스 56 : 조향 샤프트
57 : 중앙 샤프트 58 : 이동 플레이트
60, 60' : 전달 유체 66, 66' : 좌우 샤프트
67, 67' : 샤프트 플레이트 71, 71' : 동력 조향챔버
73 : 오일 펌프 75, 75' : 챔버 플레이트
77 : 조향각 감지센서 80 : 제어부
91, 91' : 진동감지센서 93, 93' : 솔레노이드 밸브
95 : 축압기 97, 97' : 다이어프램
98 : 탄성 부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는, 중공의 기어 박스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 박스 내에서 좌우 이동되는 조향 이동수단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기어 박스 밖으로 각각 관통되어 양측 타이로드에 연결되는 좌우 샤프트 수단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과 좌우 샤프트 수단 사이의 기어 박스 내에 각각 채워져 상기 조향 이동수단의 작동력을 좌우 샤프트 수단에 전달하는 양측 전달 유체와; 상기 기어 박스에서 상기 양측 전달 유체가 채워진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 유체의 유동을 통해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으로부터 상기 조향 이동수단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진동흡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스티어링 기어 박스(50)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 박스(50) 내에서 좌우 이동되는 조향 이동수단(55)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55)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기어 박스(50) 밖으로 각각 관통되어 양측 타이로드(미도시 됨)에 연결되는 좌우 샤프트 수단(65, 65')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55)과 좌우 샤프트 수단(65, 65') 사이의 기어 박스(50) 내에 각각 채워져 상기 조향 이동수단(55)의 작동력을 좌우 샤프트 수단(65, 65')에 전달하는 양측 전달 유체(60, 60')와, 상기 기어 박스(50)에서 상기 양측 전달 유체(60, 60')가 채워진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 유체의 유동을 통해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65, 65')으로부터 상기 조향 이동수단(55)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진동흡수수단(9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조향 이동수단(55)과 함께 좌우 샤프트 수단(65, 65')이 이동되도록 배력 작용을 하는 동력조향수단(7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동력조향수단(70)은 기어 박스(5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65, 65')이 작동 유체(60, 60')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비된 동력조향 챔버(71, 71')와, 상기 동력 조향 챔버(71, 71') 내로 유압 라인(74, 74')을 통해 작동 유체를 가압하거나 배출시키는 오일 펌프(73)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감지센서(도 3에서 77)와, 상기 조향각 감지센서(77)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일 펌프(7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도 3에서 8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동력 조향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향 이동수단(55)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 핸들과 연결되며 끝단부에 피니언(56a)이 형성된 조향 샤프트(56)와, 상기 기어 박스(50) 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며 상기 조향 샤프트(56)의 피니언(56a)에 치합되는 랙(57a)을 가진 중앙 샤프트(57)와, 상기 중앙 샤프트(57)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달 유체(60,60')에 대응하여 상기 기어 박스(50) 내에서 피스톤 작용을 하는 이동 플레이트(58,58')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65,65')은, 상기 기어 박스(50) 밖으로 각각 관통되어 타이로드에 연결되는 좌우 샤프트(66,66')와, 상기 좌우 샤프트(66,66')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달 유체(60,60')에 대응하여 상기 기어 박스(50) 내에서 피스톤 작용을 하는 샤프트 플레이트(67,6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조향 챔버(71,71')는, 상기 좌우 샤프트(66,66')가 관통되며, 상기 샤프트 플레이트(67,67')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어 박스(50) 내에고정된 챔버 플레이트(75, 7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전달 유체(60,60')는 상기 조향 이동수단(55)에 연동하여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65,65')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비압축성 유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흡수수단(90)은 상기 전달 유체(60,60')가 입출되면서 완충 작용을 하는 축압기(accumulator)(95)와, 상기 좌우 샤프트(66,66')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91,91')와, 상기 진동감지센서(91,91')의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값 이상의 진동이 발생할 때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도 3에서 80)와, 상기 기어 박스(50)와 축압기(95) 사이의 전달 유체가 통과라인(96,96')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80)의 신호에 따라 전달 유체(60,60')의 유동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93,9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감지센서(91,91')는 상기 기어 박스(50)에 양쪽에 고정되어 상기 좌우 샤프트(66,66')의 진동을 측정하는 비접촉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압기(95)는 양측 작동 유체(60,60')가 각각 유입되는 두 개의 챔버(C, C')를 갖도록 두 개의 다이어프램(97,97')이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다이어프램(97,97') 사이의 공간에는 압축성 기체가 채워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축압기(95)는 양측 작동 유체(60,60')가 각각 유입되는 두 개의 챔버(C, C')를 갖도록 두 개의 다이어프램(97,97')이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다이어프램(97,97') 사이에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 부재(98)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를 이용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진동 저감 동작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주행 중 휠 언밸런스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Shimmy)이나 제동 중 디스크의 불 균일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Judder)의 크기에 관계없이 기어 박스(50) 내의 조향 이동수단(55)의 샤프트(57)에 전달되는 진동을 조향 이동수단(55)과 좌우 샤프트수단(65, 65) 사이에 비 압축성 전달유체(60, 60')과 압축성 공기를 채운 축압기(95)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양측 휠로부터 조향 핸들 쪽으로 진동이 전달되면 전달 유체(60, 60')가 축압기(95)의 챔버(C,C') 내로 이동하면서 공기의 압축 또는 스프링의 압축에 의한 감쇄 작용으로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특히, 주행 중 휠 언밸런스나 제동 중 디스크의 불 균일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타이로드를 타고 좌우 샤프트(66, 66')로 전달될 때 진동 크기를 측정하는 진동감지센서(91, 91')에 의해 진동량을 측정하여 그 양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93,93')가 개방되면서 전달유체(60, 60')가 축압기(95) 내로 유입되어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돌리게 되면, 조향 샤프트(56)의 회전에 따라 랙(57a)과 피니언(56a)의 기어 비에 의해서 중앙 샤프트(57)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전달유체(60,60')와 함께 좌우 샤프트(66, 66')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휠의 조향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조향각 센서(77)와 진동감지센서(91,91')의 감지량을 각각 측정하여 각 센서의 작동 우선 여부와 그때의 작동 주파수 범위를 판단한다.
즉, 상기 진동감지센서(91,91')에는 좌우 샤프트(66,66')가 항상 움직이기 때문에 진동이 지속적으로 감지되지만 그 크기가 일정 수준(0.3m/sec2) 이상이 될 때만 측정값으로 간주하여 비교한다.
조향 핸들을 돌리는 순간에는 진동감지센서(91,91')의 진동 감지량의 크기가 대단히 작기 때문에 조향각 센서(77)의 감지량이 먼저 감지된다. 그리고 조향 핸들을 돌려 좌우 샤프트(66,66')가 움직일 경우에는 변위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진동 크기와 더불어 작동 주파수도 같이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샤프트(66,66')의 진동이 2~3Hz미만인 경우에는 저주파 대역에 해당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보다는 조향 핸들의 조작에 의한 진동으로 간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향각 센서(77)가 진동감지센서(91,91')보다 먼저 감지되고, 주파수가 2~3Hz미만인 경우에는 조향각 센서(77)에 의해 측정된 회전 방향에 따라 오일 펌프(73)가 작동되면서 작동유체가 유압라인(74,74')을 따라서 조향 이동수단(55)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조향 챔버(71 또는 71')로 유입되어 조향 작동이 원활히 되도록 좌우 샤프트(66, 66')를 한 쪽으로 밀어준다.
이때에는 축압기(95) 내로 전달 유체(60,60')가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93, 93')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 샤프트(57)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달 유체(60,60')도 동일한 양만큼 같이 이동하여 좌우 샤프트(66, 66')를 밀어 조향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반대로 주행 중이나 제동 시 외부에서 외란이 들어오면 좌우 샤프트(66, 66')는 좌우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진동감지센서(91,91')는 좌우 샤프트(66, 66')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조향각 센서(77)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우선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조향각 센서(77)도 일정 각도 이하의 감지량은 무시한다.
따라서, 진동감지센서(91,91')에 의한 값이 조향각 센서(77)의 측정값 보다 먼저 감지되고, 이때 진동감지센서(91,91')에서 감지한 주파수가 5Hz를 넘어가게 되면, 제어부(8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93,93')를 개방시켜, 외부 진동에 의해 좌우 샤프트(66, 66')가 밀리는 양만큼 전달 유체(60,60')가 축압기(95)의 챔버(C,C') 내로 이동하면서 공기 또는 탄성 부재(98)의 압축에 의해 진동이 감쇄되도록 한다.
이후, 좌우 샤프트(66, 66')의 진동이 감소하여 일정 가속도 이하가 되면 축압기(95) 내의 전달 유체(60,60')가 축압기(95) 내부의 축압된 힘에 의해 다시 기어 박스(50) 내로 유입되고, 이후 솔레노이드 밸브(93,93')가 닫히면서 정상적인 조향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는 자동차 주행 중이나 제동 중에 기어 박스 내로 전달되는 진동, 그리고 노면을 타고 기어 박스 내로 전달되는 진동을 비압축성 전달 유체와 축압기를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바퀴 쪽에서 조향 핸들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정숙한 주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운전자의 조향 작동감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2)

  1. 중공의 기어 박스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 박스 내에서 좌우 이동되는 조향 이동수단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기어 박스 밖으로 각각 관통되어 양측 타이로드에 연결되는 좌우 샤프트 수단과;
    상기 조향 이동수단과 좌우 샤프트 수단 사이의 기어 박스 내에 각각 채워져 상기 조향 이동수단의 작동력을 좌우 샤프트 수단에 전달하는 양측 전달 유체와;
    상기 기어 박스에서 상기 양측 전달 유체가 채워진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 유체의 유동을 통해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으로부터 상기 조향 이동수단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진동흡수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이동수단은, 끝단부에 피니언이 형성된 조향 샤프트와, 상기 조향 샤프트의 피니언에 치합되는 랙을 가진 중앙 샤프트와, 상기 중앙 샤프트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달 유체에 대응하여 피스톤 작용을 하는 이동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은 상기 기어 박스 밖으로 각각 관통되는 좌우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달 유체에 대응하여 피스톤 작용을 하는 샤프트 플레이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수단은 상기 전달 유체가 입출되면서 완충 작용을 하는 축압기(accumul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수단은 상기 좌우 샤프트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상기 진동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값 이상의 진동이 발생할 때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어 박스와 축압기 사이의 전달 유체가 통과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 수단의 신호에 따라 전달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밸브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센서는 상기 기어 박스에 고정되어 상기 좌우 샤프트의 진동을 측정하는 비접촉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는 양측 작동 유체가 각각 유입되는 두 개의 챔버를 갖도록 두 개의 다이어프램이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다이어프램 사이에는 압축성 기체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는 양측 작동 유체가 각각 유입되는 두 개의 챔버를 갖도록 두 개의 다이어프램이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다이어프램 사이에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조향 이동수단과 함께 좌우 샤프트가 이동되도록 배력 작용을 하는 동력조향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조향수단은 기어 박스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이 작동 유체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비된 동력조향 챔버와, 상기 동력 조향 챔버 내로 유압 라인을 통해 작동 유체를 가압하거나 배출시키는 오일 펌프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감지센서와, 상기 조향각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일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샤프트 수단은 상기 기어 박스 밖으로 각각 관통되는 좌우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달 유체에 대응하여 피스톤 작용을 하는 샤프트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조향 챔버는, 상기 좌우 샤프트가 관통되며, 상기 샤프트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어 박스 내에 고정된 챔버 플레이트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KR10-2002-0045083A 2002-07-30 2002-07-30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KR10045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83A KR100452603B1 (ko) 2002-07-30 2002-07-30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83A KR100452603B1 (ko) 2002-07-30 2002-07-30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300A KR20040011300A (ko) 2004-02-05
KR100452603B1 true KR100452603B1 (ko) 2004-10-13

Family

ID=3731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083A KR100452603B1 (ko) 2002-07-30 2002-07-30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1031B (zh) * 2021-08-06 2022-11-25 杭州琳达汽配有限公司 一种电动转向轴的减震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128A (en) * 1987-12-28 1989-05-16 Eaton Corporation Four wheel steering having closed hydraulic system with pressure relief
KR950017616A (ko) * 1993-12-17 1995-07-20 전성원 자동차의 유압식 조향장치
EP0818382A2 (de) * 1996-07-11 1998-01-14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Hydraulisch betätigte Lenkung für Kraftfahrzeuge
KR19990011887A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파워스티어링의 펌프부하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128A (en) * 1987-12-28 1989-05-16 Eaton Corporation Four wheel steering having closed hydraulic system with pressure relief
KR950017616A (ko) * 1993-12-17 1995-07-20 전성원 자동차의 유압식 조향장치
EP0818382A2 (de) * 1996-07-11 1998-01-14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Hydraulisch betätigte Lenkung für Kraftfahrzeuge
KR19990011887A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파워스티어링의 펌프부하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300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4787B1 (en) Active front steering actu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US20060060750A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WO2011027724A1 (ja) ペダル装置
JP4764254B2 (ja) 車両運転模擬システムの操舵反力発生装置
JPH0195922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0192381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JPS6327233B2 (ko)
JPH03272342A (ja) 減衰力可変シヨツクアブソーバ
KR100452603B1 (ko) 스티어링 진동 저감 장치
KR20120086332A (ko) 피스톤 이동 감쇠 장치 및 방법
JP2008074383A (ja) 流体圧制御回路
JP4740061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US6450286B1 (en) Rack and pinion power steering system with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JP2002276783A (ja) 負荷検出装置
KR100398231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구조 및 제어 방법
KR20080013490A (ko) 진동 저감 장치가 마련된 조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동저감 방법
JPS5923786A (ja) 自動二輪車の緩衝装置
JP2005343338A (ja) ステアリングダンパ装置
KR20040052400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진동방지장치
JPH0579526B2 (ko)
KR100528036B1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어셈블리
CN109131530A (zh) 双模式方向控制装置及新能源汽车
JPH10297238A (ja) 可変式懸架装置
JP2748121B2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装置
JP2003267023A (ja) 車両用制振走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