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044B1 -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 - Google Patents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044B1
KR100452044B1 KR10-2001-0025192A KR20010025192A KR100452044B1 KR 100452044 B1 KR100452044 B1 KR 100452044B1 KR 20010025192 A KR20010025192 A KR 20010025192A KR 100452044 B1 KR100452044 B1 KR 10045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present
inkjet recording
ink receiving
receiv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607A (ko
Inventor
권세영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켐
Priority to KR10-2001-002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0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27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organic non-macromolecular additives, e.g. UV-absorbers, plasticisers, surf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45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containing cationic or anionic groups, e.g. mor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9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orine- or silico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잉크수용층이 코팅된 잉크젯 기록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재료는 칼라 잉크젯 잉크에 대하여 우수한 내수성 및 발색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화상의 퍼짐이 없어 뛰어난 선명도와 선예성을 발휘할 수 있어 광고 분야 등에서 실사(實寫)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는 시트 기재 상에 잉크수용층이 코팅된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잉크수용층은 안료(pigment) 또는 충진제(filler), 바인더, 양이온성 수지 및 실리카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 또는 충진제는 바람직하게, 3~15 ㎛의 입경을 가지고 150~350 ㎖/g의 흡유량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이고,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수용성 폴리비닐알콜이며, 양이온성 수지는 바람직하게, 디시안아미드포르말린 축합물이다. 그리고, 잉크수용층은 바람직하게, 건조 부착량이 30~50 g/m2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재는 바람직하게, 합성지 또는 PVC 시트이다.

Description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Inkjet Recording Material For Printing A Photograph Taken From Life}
본 발명은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잉크수용층이 코팅된 잉크젯 기록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재료는 칼라 잉크젯 잉크에 대하여 우수한 내수성 및 발색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화상의 퍼짐이 없어 뛰어난 선명도와 선예성을 발휘할 수 있어 광고 분야 등에서 실사(實寫)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의 잉크 수용층에 코팅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록 방식은 기록용지에 직접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으로서, 종래의 다른 기록 방식에 비하여 가동비가 낮고, 소음이 거의 없으며, 칼라 기록이 용이하기 때문에 관심을 끌고 있다. 잉크젯 기록 용지에 있어서, 잉크젯 출력을 위하여 두 가지 주요한 요건이 있다. 첫 번째는 잉크 분사시에 기록 용지에 코팅된 잉크수용층이 잉크를 고착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잉크를 빨리 흡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출력 중에 인쇄된 잉크는 용지에 흡수되기도 전에 프린터에 의해 문질러져서 얼룩지게 되므로 고품질의 출력물을 얻을 수 없게 되거나 아니면 충분히 건조되는 동안 후속 출력 작동이 멈추어져야 하므로 출력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두 번째는 잉크의 번짐이 최소화되도록 용지의 표면에서 잉크의 염료(또는 안료)를 보유할 수 있는 수단을 잉크수용층(코팅)이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주위 환경 특히 빛에 의하여 색깔이 바래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종래에는, 잉크의 빠른 흡수(건조)는 실리카 또는 큰 비표면적을 가지는 다른 안료를 잉크수용층에 포함시킴으로써 달성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용지의 표면을 매끄럽지 못하게 하여 조악한 출력물을 발생시키므로 만족스럽지 않다.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안료로는 침강 실리카, 알루미나졸,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등이 있고, 수용성 바인더로는 폴리비닐알콜, 녹말, 카제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니트로셀룰로오스(NC),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아크릴 에멀젼, 수성 우레탄 에멀젼, 장유성 및 단유성 알키드 수지, 알긴산, 불소계 표면사이즈제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안료 및 바인더만으로 구성된 종래의 코팅층은 화상의 출력시 발색력이 떨어지고 잉크의 종류나 분사량에 따라서 화상이 번지거나 지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잉크가 분사되었을 때, 화상의 발색력, 선명도, 선예성 등이 우수한 출력물을 얻을 수 있게 하고, 기재에 대한 코팅층의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출력기종에 따른 화상의 변화가 적도록 하는 잉크젯 기록 용지 및 잉크젯 기록 용지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잉크수용층을 위한 코팅 제재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에 대하여 우수한 부착성을 가지는 잉크수용 코팅층을 포함하며, 잉크젯 프린트시에 우수한 발색력, 선명도 및 선예성을 발휘하는 잉크젯 기록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재료는 출력기종에 따른 화상의 변화가 적으며, 뛰어난 품질로 인하여 광고 분야 등에서 실사(實寫)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잉크젯 기록 재료의 기재에 잉크수용층으로코팅되어 우수한 부착성, 발색력, 선명도 및 선예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잉크젯 기록 재료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합성지 및 PVC 시트로 제조된 칼라 잉크젯 기록용지의 발색도를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이 도면에서 본 발명의 기록용지의 우수한 발색도를 보이기 위하여, 발색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타회사 제품(일본 왕자제지의 제품)의 발색도를 함께 도시하여 비교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합성지로 제조된 잉크젯 기록용지에 칼라 인쇄된 도트(dot)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합성지로 제조된 잉크젯 기록용지의 표면 거칠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PVC 시트로 제조된 잉크젯 기록용지에 칼라 인쇄된 도트(dot)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PVC 시트로 제조된 잉크젯 기록용지의 표면 거칠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는 시트 기재 상에 잉크수용층이 코팅된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잉크수용층은 안료(pigment) 또는 충진제(filler), 바인더, 양이온성 수지 및 실리카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 또는 충진제는 바람직하게, 3~15 ㎛의 입경을 가지고 150~350 ㎖/g의 흡유량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이고,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수용성 폴리비닐알콜이며, 양이온성 수지는 바람직하게, 디시안아미드포르말린 축합물이다. 그리고, 잉크수용층은 바람직하게, 건조 부착량이 30~50 g/m2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재는 바람직하게, 합성지 또는 PVC 시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재료는 기재와 잉크수용층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선 기재 상에 코팅을 실시하는데, 여기에는 비수용성 바인더 또는 내수성이 있는 수용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바인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바인더층에 사용되는 내수성이 있는 수용성 바인더는 아크릴 에멀젼 또는 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재료의 잉크수용층은 수성 우레탄 수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형광염료,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잉크젯 기록 재료의 잉크수용층으로 코팅되는 코팅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로는, 안료(pigment) 또는 충진제(filler) 20~50 중량부, 바인더 40~60 중량부 (10~20% 액 기준), 양이온성 수지 5~20 중량부 및 실리카졸 10~30 중량부가 증류수에 분산된 것이다. 상기의 코팅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들 이외에도 수성 우레탄 수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형광염료, 소포제 등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입경 3~15 ㎛ 및 흡유량 150~350 ㎖/g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20~5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40~60 중량부 (10~20%액 기준), 증류수 60~70 중량부 및 소포제 0.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안료분산액에 양이온성 수지(염,안료 고착제) 5~20 중량부, 수성 우레탄수지 20~30 중량부, 실리카졸 10~30 중량부 및 형광염료 0.5~1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 또는 충진제로는 일반적으로 잉크젯 기록 재료의 코팅층에 사용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실리카, 침강 실리카, 알루미나,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수산화나트륨, 제올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안료는 다공성 실리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공성 실리카는 바람직하게, 3~15 ㎛의 입경을 가지고, 150~350 ㎖/g의 흡유량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재료는 다공성 실리카의 입자크기 및 흡유량에 따라 잉크의 흡수속도, 발색성 및 선예성에 다소 영향을 줄 수 있다. 다공성 실리카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잉크의 흡수 속도는 빠르지만 해상도 및 발색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코팅 조성물에서 점도가 상승하고 분산시키기가 어렵게 되며, 코팅시에 기재에의 부착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안료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점도가 하강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에는 좋으나 잉크젯 출력시에 화상이 번질 우려가 있다. 또한 다공성 실리카의 흡유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잉크의 흡수력이 미약해지며, 다공성 실리카의 흡유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잉크의 화상 농도가 낮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인더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 바인더일 수 있다. 비수용성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인더가 수용액에서 분산될 수 있도록 분산제 또는 에멀젼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바인더로서는 폴리비닐알콜, 녹말, 카제인, 여러 가지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아크릴 에멀젼, 수성 우레탄 에멀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성 우레탄 에멀젼을 병용하는 것이 좋다.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콜의 고형분(solid content)이 낮으면 안료 또는 충진제 혼합분산액 제조시 용매의 양이 부족하여 충분한 분산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너무 높으면 폴리비닐알콜 용해시 점도가 높아져 작업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알콜의 고형분은 10~15%가 적당하다. 또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콜은 검화도가 85~95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잉크젯 기록 재료의 코팅층은 안료(충진제) 및 바인더를 포함하지만, 이것들만으로는 잉크젯 출력시 화상이 흐리고 잉크가 번지거나 지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이것들만으로는 발색성, 선예성, 내구성 등의 품질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것들에 더하여, 잉크젯 기록재료의 잉크에 대한 흡착력 및 보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이온성 수지 및 실리카졸을 도입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양이온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이온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그러나, 바람직한 양이온 수지는 예를 들어, Neofix-FY 및 SPO-600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디시안아미드포르말린 축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양이온성 수지는 염,안료 고착제로서 잉크젯 기록재료의 발색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카졸은 상기의 양이온성 수지와 함께 염,안료의 고착 및 보존을 강화하여 발색력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선예성을 향상시킨다. 실리카졸로는 클라리언트(상품명, Mobilish-8050,747,730,802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잉크젯 기록재료의 코팅층의 발색력, 선예성, 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이온성 수지와 실리카졸의 상호보완적, 향상적 기능을 이용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팅 조성물은 수성 우레탄 수지, 형광염료,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성 우레탄 수지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인더에 대하여 보조적인 바인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코팅 조성물에서 분산성을 조절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네카 R-902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수성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형광염료는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재료의 백색도를 향상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형광염료는 백색도를 향상 및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4'-디아미노스틸벤-2,2'-디술폰산 유도체(4,4'-diaminostilbene-2,2'-disulfonic acid derivatives)를 사용하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양이온성 수지의 기능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원할한 분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코팅층의 부착력 및 잉크 흡착력 향상을 돕는다. 사용할 수 있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소포제는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제조할 때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층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량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포제로서 BYK-Chemi회사의 제품(BYK-020,022,023)을 사용하였다. 이 이외에도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습윤제, UV 흡수제, 항산화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재료의 기재로는 바람직하게, 합성지 또는 PVC 시트가 사용된다. 상기의 기재는 통상적으로 어떠한 처리없이 그 상에 잉크수용을 위한 코팅층을 형성한다면 기재와 코팅층 간의 부착력이 약하여 코팅층이 박리되거나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잉크수용층을 코팅하기 전에, 기재와 코팅층 간의 부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의 기재상에 바인더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바인더 층은 비수용성 바인더 또는 내수성을 가지는 바인더를 상기의 기재 상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인더층에 사용되는 바인더로는 비수용성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성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수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내수성 바인더로는 아크릴 에멀젼 및 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바인더층을 포함하는 기재 상에 잉크수용층을 코팅하기 위하여,상기의 코팅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건조 부착량이 30~50 g/m2이 되도록 알려진 코팅 수단에 의하여 코팅한다. 이 때,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의 함량이 20~30% 정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코팅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롤 코팅 방법, 블레이트 코팅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먼저, 잉크젯 기록재료의 잉크수용층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을 하기의 표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제조하였다. 코팅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 폴리비닐알콜 및 소포제를 증류수에 혼합, 분산시켜 안료분산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양이온성 고착제, 수성 우레탄 에멀젼, 실리카졸 및 형광염료를 투입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안료분산액은 양이온성 고착제 등을 투입하기 전에 균질 혼합기로 충분한 시간동안, 보통 약 1시간 이상 교반함으로써 완전히 분산시켰다. 형성된 코팅 조성물은 진공을 실시하여 발생한 기포를 강제적인 방법으로 제거하고 코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필터시킨 후 사용하거나 다음의 사용을 위하여 포장, 보관하였다. 이 때, 고형분은 보통 20~30% 정도로 제조하였다.
한편, 합성지 또는 PVC 시트 상에 상기의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코팅층이 확실하게 부착되게 하기 위하여 먼저 전처리를 하였다. 즉, 평량(basis weight)이 70~100 g/m2인 기재 상에 아크릴 에멀젼 또는 수성 우레탄 수지와 같은 내수성 수용성 바인더 또는 비수용성 바인더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코팅하여 바인더층을 형성하였다.
바인더층이 형성된 기재 상에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조 부착량이 30~40g/m2이 되도록 코팅하여 잉크수용층을 형성하였다. 코팅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한 후에 형성된 잉크수용층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칼라 잉크젯 기록용지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잉크제 기록 용지에 대하여 하기에 설명하는 시험방법에 따라 발색성, 선예성, 부착성 및 내수성과 같은 품질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에 설명하는 평가방법에 따라 불투명도, 백색도 등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의 성분 함량(단위는 g)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다공성실리카 (흡유량 300 ml/g) 40
다공성실리카 (흡유량 200 ml/g) 40
다공성실리카 (입경 3~5 ㎛) 40
다공성실리카 (입경 10~12 ㎛) 40 40
폴리비닐알콜(12%) 60 60 60 60 60
증류수 60 60 60 60 60
양이온성 고착제(Neofix-FY) 7 7
양이온성 고착제(SPO-600) 7 7 7
수성 우레탄 에멀젼(Zeneca R-902) 25 25 25 25 25
실라카졸(클라리언트-790) 15 15 15 15 15
형광염료 0.7 0.7 0.7 0.7 0.7
소포제(BYK-Chemi 022) 0.3 0.3 0.3 0.3 0.3
합 계 208 208 208 208 208
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지의 품질
품 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발색성
선예성
부착성
내수성
비 고 ◎: 가장 양호함, O: 양호함, △: 보통임, x: 불량
품질 시험
상기 표 1의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칼라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용지의 발색성은 미놀타 CM-3700d를 사용하여 판단하였고, 선예성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망점처리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정밀한 데이터를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수성(water-resistance)은 인쇄된 용지를 20℃, 습도 65%에서 24시간 조습한 후 5분간 흐르는 물에 방치한 후 건조시켜 색상을 판단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부착력은 일반 투명 테이프를 사용하여 코팅 표면 위에 바르고 누른 상태에서 10초 경과후 45도 경사로 힘껏 잡아당겨 박리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특성 평가방법
상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얻은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지를 다음과 같은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특성들을 판단하였다.
1. 불투명도(Opacity) : Brightness opacity tester Model 7067 일본
1.1 평가기준 : Tappi-T425
2. 백색도(Brightness) : Brightness opacity tester Model 7067 일본
2.1 평가기준 : Tappi-T452
3. 광택도(Glossy) : Gloss meter Model TC-108D
3.1 평가기준 : Tappi-T480
4. 색상농도(Density) : DM800(M) 색차계 미놀타 CM-3700d 사용
5. 표면거칠기(Surface roughness) : Image Analysis OPTIMAS 6.5
6. 황변도(Yellowing) : 샘플을 63℃로 고정시킨 웨드로메타에서 24시간 노광시킨 후, 색차계 미놀타 CM-3700d를 사용하여 황변도를 측정
7. 내수성(Water-resistance) : 인쇄된 용지를 20℃, 습도 65%에서 24시간 조습하고, 5분간 흐르는 물에 방치한 후 건조시켜 색상을 판단.
8. 선예성을 판단하기 위한 도트상태 : ImageAnalysis OPTIMAS 6.5 (잉크의 퍼짐 정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선예성의 정도를 과학적으로 판단)
9. 출력 프린터 : HP DesignJet 2000CP; 염,안료 잉크(UV & Dye ink): 아티스트 립; 잉크 분사량 C:145, M:140; Y:140, K:30으로 잉크분사 조건을 일정하게 지정하고 화상농도와 선예성 비교.
상기에서 나열한 방법으로 시험하여 도 1과 같은 발색도에 대한 결과를 얻었으며,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지의 품질을 세계에서 가장 발색성이 우수하고 선예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일본 왕자제지 잉크젯 용지 (YUPO)와 비교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지의 품질은 일본 왕자제지의 잉크젯 용지와 비교하여 전혀 손색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용 합성지 및 PVC 시트의 특성들은 다음과 같다.
안료용 합성지 (Synthetic paper for pigment)
불투명도(%): 95, 백색도(%): 95, 광택도(%): 4, 색상농도: 도 1, 표면거칠기: 도 3, 황변도: 양호, 내수성: 양호, 도트상태: 도 2
PVC (for pigment)
불투명도(%): 83, 백색도(%): 92, 광택도(%): 4, 색상농도: 도 1, 표면거칠기: 도 5, 황변도: 양호, 내수성: 양호, 도트상태: 도 4
본 발명은 발색성, 선예성, 내수성 등의 품질이 우수한 칼라 잉크젯 기록재료 및 이 기록재료에 잉크수용을 위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재료는 우수한 품질로 인하여 선명한 색상과 뛰어난 해상도에 의하여 실감있는 화상이 요구되는 광고분야 등에서 실사(實寫)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재료는 불량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 및 금전적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시트 기재상에 잉크수용층이 코팅되고, 상기 기재와 상기 잉크수용층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바인더 층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잉크수용층은 안료 또는 충진제, 바인더, 양이온성 수지 및 실리카졸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층은 비수용성 바인더 또는 내수성이 있는 수용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또는 충진제는 3-15㎛의 입경을 가지고 15-350㎖/g의 흡유량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이고, 상기 바인더는 수용성 폴리비닐알콜이며, 상기 양이온성 수지는 디시안아미드 포르말린 축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
  9.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층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안료 또는 충진제 20~50 중량부, 바인더 40~60 중량부(10~20% 액 기준), 양이온성 수지 5~20 중량부 및 실리카졸 10~30 중량부가 증류수에 분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
  10.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층에 사용되는 내수성이 있는 수용성 바인더는 아크릴 에멀젼 또는 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
  11.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층은 수성 우레탄 수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형광염료 및 소포제 중 최소한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용 잉크젯 기록 재료.
KR10-2001-0025192A 2001-05-09 2001-05-09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 KR10045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192A KR100452044B1 (ko) 2001-05-09 2001-05-09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192A KR100452044B1 (ko) 2001-05-09 2001-05-09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07A KR20020085607A (ko) 2002-11-16
KR100452044B1 true KR100452044B1 (ko) 2004-10-08

Family

ID=2770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192A KR100452044B1 (ko) 2001-05-09 2001-05-09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0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406A (ja) * 1995-11-20 1997-06-03 Canon Inc 塗工液、該塗工液を用いた記録媒体、該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該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0149805B1 (ko) * 1995-12-20 1998-10-01 우석형 칼라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재료
JP2000247020A (ja) * 1999-03-04 2000-09-12 Takamatsu Yushi Kk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KR100365199B1 (ko) * 2000-05-16 2003-01-24 주식회사 마프로 내수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잉크제트 프린터용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406A (ja) * 1995-11-20 1997-06-03 Canon Inc 塗工液、該塗工液を用いた記録媒体、該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該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0149805B1 (ko) * 1995-12-20 1998-10-01 우석형 칼라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재료
JP2000247020A (ja) * 1999-03-04 2000-09-12 Takamatsu Yushi Kk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KR100365199B1 (ko) * 2000-05-16 2003-01-24 주식회사 마프로 내수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잉크제트 프린터용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07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8442B2 (ja) 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5851651A (en) Coating for inkjet recording
US5660622A (en) Coating for ink jet recording sheets
US20020055552A1 (en) Method for making a high solids interactive coating composition and ink jet recording medium
JPH0313376A (ja) 被記録材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5919558A (en) Inkjet recording sheet
CN102421811A (zh) 氯乙烯基树脂乳液、水性油墨及记录用纸
US20020192381A1 (en) Surface treatment for printing applications using water-based ink
CA2390040C (en) Waterfast ink receptive coatings for ink jet printing materials and coating methods therewith
US20050041084A1 (en) Quick drying, waterfast inkjet recording media
US6114030A (en) Recording material for the ink jet printing process
US20110081508A1 (en) Pretreatment liquid for water-based ink printing applications
DE69822707T2 (de) Tintenstrahlaufzeichnungsschicht
KR100452044B1 (ko) 실사출력용 잉크젯 기록 재료
JP2002011947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
JP331548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618361B2 (ja) 被記録材及び記録方法
JPH1120304A (ja) インク受容層用塗工液、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300500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4911656B2 (ja) 顔料インク対応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280129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H05104848A (ja) インクジエツト記録用紙
JPH11115306A (ja) 記録媒体、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EP0728594B1 (en) Recording paper
JPH04157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