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016B1 -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016B1
KR100452016B1 KR10-2001-0057250A KR20010057250A KR100452016B1 KR 100452016 B1 KR100452016 B1 KR 100452016B1 KR 20010057250 A KR20010057250 A KR 20010057250A KR 100452016 B1 KR100452016 B1 KR 10045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ailgate
actuator
fasten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200A (ko
Inventor
이중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0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테일게이트인너판넬(4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면에는 테일게이트글래스(170)와 체결된 스트라이커(160)가 안내되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된 몸체(141) 및 상기 가이드홈(142)에 안내된 스트라이커(1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141)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150)으로 이루어진 래치부(140)와, 상기 래치부(140)의 하부에 위치되어 운전석에 설치된 전원스위치(700)의 작동을 통해 전원부(8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내부에 설치된 모터(M)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200)와, 상기 모터(M)에 배면이 결합되고, 전면으로는 보스(21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된 액츄에이터레버(210)와, 상기 액츄에이터레버(2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11)에 하부가 힌지 체결되고, 상부는 크로우레버(151)의 단부 일측과 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래치부(140)에 힌지 결합되도록 중앙에 힌지공(310)이 형성된 오픈레버(300)와, 상기 보스(212)에 중앙의 힌지구멍(511)을 통하여 체결되며, 상부 일측은 결합돌기(211)에 접하게 위치되고, 하부에는 결합공(512)이 형성된 키레버(510)와, 테일게이트아웃판넬(410)에 설치되며, 전원부(800)에서 전류가 인가될 경우 구동되는 감속모터(520)와, 상기 감속모터(520)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530)과, 상기 회전판(530)이 감속모터(520)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를 전달받아 키레버(5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회전판(530)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공(512)에 체결된 연결부재(540)로 구성된다.
따라서, 테일게이트글래스(170)에 체결된 스트라이커(160)를 고정 및 해제하는 래치부(140)의 조작이 운전석에 설치된 전원스위치(700)의 작동을 통하여 원거리에서 제어됨으로써, 테일게이트글래스(170)를 보다 편한 위치에서 자유로이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므로써, 제품의 인지도 상승 및 생산자의 이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Tail gate glass 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글래스의 오픈을 원거리에서 제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테일게이트(tail gate)는 차체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웨건형 또는 승합차의 후미에 설치되는 개, 폐식 도어이다.
즉, 상기 테일게이트는 차실내부에 형성된 화물실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테일게이트를 장착하므로써, 화물실에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 또는 하역시킴과 더불어 승객이 차량 후방에서도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일게이트의 상부에는 차량의 후미를 관찰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차실내부에 적재된 물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글래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테일게이트글래스를 이용하여 화물을적재할 수 있도록 개, 폐가 가능한 테일게이트글래스도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개, 폐가 가능한 테일게이트글래스의 구성은 가압버튼(11')에 연결된 누름핀(13')이 하우징(1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부(10')와,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누름핀(13')과 접하는 밀착부(22')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부재가 설치된 링크부(20')와, 일측 단부는 절곡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부재(22')와 결합되며, 중앙에는 힌지공(31')이 형성된 오픈레버(30')와, 몸체(41') 일측 단부는 하부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오픈레버(30')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공(31')과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 중앙에는 이동홈(42')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테일게이트글래스(70')와 체결된 스트라이커(60')를 체결하는 고정수단(50')이 설치된 래치부(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버튼(11')과 하우징(14') 사이에는 가압버튼(11')의 누름반복이 가능하도록 리턴스프링(12')이 설치된다.
또한, 래치부(40')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수단(50')은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외주면에 단속턱(53')이 형성되고, 끝단은 몸체(41')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오픈레버(30')와 접하게 위치된 크로우레버(51')와, 상기 단속턱(53')에 의해 회동반경이 제한되는 포크레버(52')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크로우레버(51') 및 포크레버(52')는 힌지축(44')을 통해 몸체(41')에 고정되고, 그 사이에는 리턴스프링(43')이 설치된다.
즉, 테일게이트에 설치된 테일게이트글래스(70')를 오픈하기위해서는 먼저, 가압버튼(11')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가압버튼(11')의 누름작용에 의해 하우징(14')의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핀(13')이 그 단부와 접하게 형성된 밀착부(22')를 누르게 되고, 이를 통해 링크부(20')는 가상선에서 표시한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밀착부(22')의 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22')는 하부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2')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그 단부에 설치되어 있던 오픈레버(30')는 그 중앙에 형성된 힌지공(31')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따라서, 도 1의 ‘A’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오픈레버(30')가 일측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몸체(41') 저면에 힌지 고정되어 있던 크로우레버(51')는 오픈레버(30')의 회동방향을 따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결국, 상기 크로우레버(51')가 일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크로우레버(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속턱(53')에 의해 단속되어 있던 포크레버(52')가 자유상태로 놓여지게 되고, 이를 통해 테일게이트글래스(70')와 체결되어 있던 스트라이커(60')의 체결이 해제되어 테일게이트글래스(70')를 오픈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테일게이트글래스(70')가 오픈된 후에는 힌지축(44')과 고정수단(50') 사이에 설치된 리턴스프링(43')에 의해 크로우레버(51')와 포크레버(52')는 정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테이게이트의 글래스 락킹구조는 가압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링크부를 회동시키고, 이를 통해 연결부를 하부로 이동시켜 그 상부에 설치된 오픈레버를 회동시키므로써, 상기 오픈레버의 작동에 의한 래치부의 해제를 통해 테일게이트글래스를 오픈시켰다.
그러나,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를 오픈시킬 경우 필수적으로 가압버튼을 누름작동이 발생해야 하는데, 상기 가압버튼은 테일게이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석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의 외부 근거리에서 직접 가압버튼을 눌러야만 테일게이트글래스의 체결을 해제하여 오픈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여 제품의 인지도 및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츄에이터에 전류를 공급되는 전원스위치를 운전석에 설치하고, 이를 리모트키에 연결하여 원거리에서 테일게이트글래스의 체결을 해제시킬 수 있는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인지도 상승 및 생산자의 이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데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래치부의 형상 및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각 레버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인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에 적용되는 래치부의 형상 및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공급되는 전류의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0 - 래치부 141 - 몸체
150 - 고정수단 151 - 크로우레버
152 - 포크레버 160 - 스트라이커
200 - 액츄에이터 210 - 액츄에이터레버
300 - 오픈레버 400 - 테일게이트인너판넬
410 - 테일게이트아웃판넬 500 - 락킹부
510 - 키레버 520 - 감속모터
530 - 회전판 540 - 연결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인너판넬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면에는 테일게이트글래스와 체결된 스트라이커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된 스트라이커를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래치부와;상기 래치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운전석에 설치된 전원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전원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내부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상기 모터에 배면이 결합되고, 전면으로는 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액츄에이터레버와;상기 액츄에이터레버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하부가 힌지 체결되고, 상부는 크로우레버의 단부 일측과 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래치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중앙에 힌지공이 형성된 오픈레버와;상기 보스에 중앙의 힌지구멍을 통하여 체결되며, 상부 일측은 결합돌기에 접하게 위치되고, 하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키레버와;테일게이트아웃판넬에 설치되며, 전원부에서 전류가 인가될 경우 구동되는 감속모터와;상기 감속모터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과;상기 회전판이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를 전달받아 키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회전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공에 체결된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의 설치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한것으로, 테일게이트아웃판넬과 용착된 테일게이트인너판넬의 상부에 설치된 래치부와 상기 래치부의 하부에 구비된 액츄에이터 및 각 레버의 설치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각 레버간의 작동상태를 부분 확대도로 도시한 것으로, 액츄에이터레버의 회동에 따른 오픈레버의 회동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에 적용되는 래치부의 형상 및 구성을 저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몸체 저면에 설치된 크로우레버와 포크레버의 형상 및 설치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공급되는 전류의 순서를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류공급의 전반적인 순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글래스(170)의 오픈을 원거리에서 자유로이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테일게이트인너판넬(400)의 상부에는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170)에 체결된 스트라이커(160)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래치부(140)가 설치된다.상기 래치부(140)는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테일게이트인너판넬(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스트라이커(160)가 안내되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된 몸체(141) 및 상기 가이드홈(142)에 안내된 스트라이커(160)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외주면에 단속턱(153)이 형성된 크로우레버(151)와, 상기 단속턱(153)에 의해 회동반경이 제한되는 포크레버(152)로 이루어지며, 각각 힌지축(144)을 통해 몸체(141)의 저면에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래치부(140)의 하부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전원스위치(700)의 작동에 의해 전원부(8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내부에 설치된 모터(M)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2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00)에는 배면이 모터(M)에 결합되고, 전면으로는 보스(21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된 액츄에이터레버(2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레버(210)에 형성된 결합돌기(211)에는 상부가 크로우레버(151)의 단부 일측에 접하게 위치되며, 중앙에는 래치부(140)에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공(310)이 형성된 오픈레버(300)가 체결된다.
한편, 테일게이트인너판넬(400)과 결합된 테일게이트아웃판넬(410)에는 래치부(140)를 제어하여 테일게이트글래스(170)를 오픈시키기 위한 락킹부(500)가 설치된다.
상기 락킹부(500)는 중앙에 형성된 힌지구멍(511)을 통하여 액츄에이터레버(210)의 전면에 형성된 보스(212)와 체결되는 키레버(510)와, 테일게이트아웃판넬(410)에 설치되어 전원부(800)에서 전류가 인가될 경우 구동되는 감속모터(520)와, 상기 감속모터(520)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판(530)과, 상기 회전판(530)과 키레버(5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4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키레버(510)는 힌지구멍(511)을 중심으로 일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공(512)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530)의 양 단부에는 체결구멍(5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512)과 체결구멍(531)을 통하여 연결부재(54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키레버(510)와 회전판(53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40)를 통하여 회전판(530)의 회전운동을 키레버(510)에 전달하여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테일게이트아웃판넬(410)에 설치된 락킹부(500)와 테일게이트인너판넬(400)에 설치된 액츄에이터(200) 및 래치부(140)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글래스(170)의 오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운전석에 설치된 리모트키(600)를 운전자가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리모트키(600)에 의해 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발생된 전력은 전원스위치(700)를 작동에 의해 전원부(800)로부터 송출되게 되며, 상기 전원부(800)로부터 전류가 송출될 경우 락킹부(500)와 액츄에이터(200)는 각각 내부에 설치된 모터(M) 및 감속모터(52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감속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판(530)을 a에서 a'로 회전시킬 경우 연결부재(540)를 통하여 상기 회전판(530)과 연결된 키레버(510)는 c에서 c'로 회동하게 되어, 엑츄에이터(200)에 설치된 모터(M)를 구동시켜 액츄에이터레버(210)를 회동시켜도 오픈레버(300)를 통한 크로우레버(151)의 작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결국, 회전판(530)과 키레버(510)가 각각 a'와 c'로 회동할 경우에는 크로우레버(151)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테일게이트글래스(170)가 포크레버(152)를 통하여 잠금 상태로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감속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판(530)이 b로 회동할 경우에는 연결부재(540)를 통해 키레버(510)가 d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키레버(51)가 d에 위치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M)가 구동되어 액츄에이터레버(210)가 회동될 경우 이 액츄에이터레버(210)에 결합된 오픈레버(300)가 회동되어 크로우레버(151)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모터(M)가 구동됨에 따라 배면이 상기 모터(M)와 결합된 액츄에이터레버(210)는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레버(210)와 힌지 체결된 오픈레버(300)는 액츄에이터레버(210)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는, 상기 오픈레버(300)의 하부는 액츄에이터레버(210)에 힌지 결합되고, 중앙은 힌지공(310)에 의해 몸체(141)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발생하는 것으로, 하부는 액츄에이터레버(210)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고, 상부는 힌지공(310)을 통해 몸체(141)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오픈레버(300)가 힌지공(310)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오픈레버(300)의 상부와 접하게 위치된 크로우레버(151)의 단부가 힌지축(144)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크로우레버(151)으 ㅣ일측에 형성된 단속턱(153)에 의해 회동반경이 제한되어 있던 포크레버(152)가 자유상태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크레버(152)에 의해 단속되어 있던 스트라이커(160)가 래치부(140)로부터 해제되게 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60)와 체결되어 있던 테일게이트글래스(170)를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유로이 오픈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테일게이트글래스에 체결된 스트라이커를 고정 및 해제하는 래치부의 조작이 운전석에 설치된 전원스위치의 작동을 통하여 원거리에서 제어됨으로써, 테일게이트글래스를 보다 편한 위치에서 자유로이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므로써, 제품의 인지도 상승 및 생산자의 이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테일게이트인너판넬(4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면에는 테일게이트글래스(170)와 체결된 스트라이커(160)가 안내되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된 몸체(141) 및 상기 가이드홈(142)에 안내된 스트라이커(1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141)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150)으로 이루어진 래치부(140)와;
    상기 래치부(140)의 하부에 위치되어 운전석에 설치된 전원스위치(700)의 작동을 통해 전원부(8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내부에 설치된 모터(M)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200)와;
    상기 모터(M)에 배면이 결합되고, 전면으로는 보스(21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된 액츄에이터레버(210)와;
    상기 액츄에이터레버(2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11)에 하부가 힌지 체결되고, 상부는 크로우레버(151)의 단부 일측과 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래치부(140)에 힌지 결합되도록 중앙에 힌지공(310)이 형성된 오픈레버(300)와;
    상기 보스(212)에 중앙의 힌지구멍(511)을 통하여 체결되며, 상부 일측은 결합돌기(211)에 접하게 위치되고, 하부에는 결합공(512)이 형성된 키레버(510)와;
    테일게이트아웃판넬(410)에 설치되며, 전원부(800)에서 전류가 인가될 경우 구동되는 감속모터(520)와;
    상기 감속모터(520)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530)과;
    상기 회전판(530)이 감속모터(520)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를 전달받아 키레버(5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회전판(530)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공(512)에 체결된 연결부재(5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KR10-2001-0057250A 2001-09-17 2001-09-17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KR10045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50A KR100452016B1 (ko) 2001-09-17 2001-09-17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50A KR100452016B1 (ko) 2001-09-17 2001-09-17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200A KR20030024200A (ko) 2003-03-26
KR100452016B1 true KR100452016B1 (ko) 2004-10-08

Family

ID=2772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250A KR100452016B1 (ko) 2001-09-17 2001-09-17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0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200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0867B2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US7232161B2 (en) Latch device for vehicle tailgate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6722714B2 (en) Vehicul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5947536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US5718465A (en) Child-proof for vehicle sliding door latch device
US20080022736A1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KR101918367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JPH1024736A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KR20080038343A (ko) 차량 및 차량 도어용 도어잠금장치
US11598128B2 (en) Flush handle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door latch
KR100320817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KR100452016B1 (ko) 테일게이트글래스 락킹구조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JP3164520B2 (ja) 車両バックドア等のラッチ装置
JPH06185251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閉鎖装置
KR200247113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잠금장치
KR20020040346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JP3769641B2 (ja) ドアロック制御機構
KR100270976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겸 연료 필러 도어 릴리스 핸들
KR100339103B1 (ko) 자동차용 도어록
JPH116341A (ja) 扉体の施解錠装置
KR200338407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도어래치
JP2001138743A (ja) バック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