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509B1 -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509B1
KR100450509B1 KR10-2001-0064565A KR20010064565A KR100450509B1 KR 100450509 B1 KR100450509 B1 KR 100450509B1 KR 20010064565 A KR20010064565 A KR 20010064565A KR 100450509 B1 KR100450509 B1 KR 10045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flux
wire
core wire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151A (ko
Inventor
미요시아키라
이케지마사히로
사토우노부오
사카우에시게루
타니구치타다시
Original Assignee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23K1/203Fluxing, i.e. applying flux on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46Solder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46Solder baths
    • B23K3/0669Solder baths with dipp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전선 처리유닛으로서, 전선(2) 말단부에 압착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60)와, 상기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땜납을 부착하기 위한 땜납 부착 유닛(7)(8)을 구비한다. 어플리케이터(60) 및 땜납 부착 유닛(7)(8)은 설치부(13a)에 착탈이 자유롭고 또한 서로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땜납 부착 유닛(7)(8)에는,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15) 및 용융 상태의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16)가 구비된다. 플럭스액이 유지되고, 또한 심선부가 삽탈(揷脫)이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를 구비한다. 심선부의 하강 조작에 의해 땜납 조(16)에 저장된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심선부가 담궈져 땜납이 부착된다.

Description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WIRE HANDLING APPARATUS, FLUX APPLYING APPARATUS AND SOLD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선의 말단부에 소정의 처리를 하는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선의 말단부(末端部)에 소정의 처리를 하는 전선 처리장치로서, 전선의 양단(兩端)에 단자 압착처리가 행해지는 양단 단자 타격기와, 한쪽의 말단에는 단자 압착처리가 행해지고 다른 쪽 말단에는 땜납 부착 처리가 행해지는 편(片) 땜납 부착 단자 타격기가 있으며, 이들은 개별 기종으로서 제조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편 땜납 부착 단자 타격기와 양단 단자 타격기의 차이는, 전선 말단의 피복을 벗긴 후의 최종 공정으로서, 단자 압착 유닛 설치부에 땜납 부착을 위한 땜납 부착 유닛(땜납 조(槽), 플럭스 조 등)이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종래의 전형적인 땜납 부착 장치로는, 플럭스층 내에서 순환되고 있는 플럭스액에, 플럭스 조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구멍으로부터 전선 말단부의 심선부(芯線部)를 삽입하여 플럭스액을 부착하고, 그 후, 땜납 조 내에서 분류(噴流)되는땜납 분류부에 전선 말단부의 심선부를 삽입하여 땜납을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예컨대, 일본 실개평4-55788호 공보에도 개시된 바와 같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전선 처리장치에 의하면, 구입자(購入者)는 용도에 따라서 필요한 기종을 구입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양쪽의 기종을 모두 구입할 필요가 있어 설치를 위한 큰 공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땜납 부착장치에 의하면, 플럭스액을 순환시키는 방식이나 땜납을 분류시키는 방식이므로, 플럭스 조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구멍으로부터 액체 누설의 우려가 있는 동시에, 순환을 위한 구동기구나 분류를 위한 구동기구 등이 필요하게 되어 플럭스 조나 땜납 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점들로부터 전선 처리장치의 대형화가 초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치 전체로서의 소형화와 공간의 삭감을 꾀할 수 있는 전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의 간소화와 액체 누설방지를 꾀하고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플럭스 조를 갖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구조의 간소화와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땜납 조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전체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의 일부 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아래쪽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피막 제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피막 제거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플럭스 도포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플럭스 도포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땜납 부착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땜납 부착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땜납 부착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검출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땜납 보충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램(ram) 축체(軸體)와 어플리케이터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설치부에 대한 기판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땜납 부착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땜납 부착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땜납 부착 공정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 조작된 전선의 말단부에 대하여, 설치부에 설치된 전선 처리유닛에 의해 처리가 행해지는 전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 처리유닛은, 상기 설치부에 착탈이 자유롭고 또한 서로 교환이 가능하게 된, 상기 말단부에 압착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단자 압착유닛과, 상기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땜납 부착을 하기 위한 땜납 부착 유닛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선 처리장치에서의 단일 설치부에 대하여 단자 압착유닛과 땜납 부착 유닛이 교환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복수의 기종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설치 공간의 삭감을 꾀할 수 있어, 장치 전체로서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 압착유닛 및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은 각각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단자 압착 유닛 또는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승강부를 승강 조작하는 승강 수단이 상기 전선 처리장치에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 수단의 겸용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수단이 프레스 기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 압착장치에서의 단자 압착 유닛의 설치부에 땜납 부착 유닛을 설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땜납 부착 유닛에는, 상기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용융상태의 상기 땜납이 저장되는 땜납 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하강 조작에 의해 상기 땜납 조에 저장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를 담궈서 상기 땜납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땜납 조는 땜납을 용융상태로 저장시킬 수 있는 용기 구조라면 좋으므로, 종래와 같은 땜납의 분류(噴流) 구조가 불필요해져 땜납 조에서의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심선부가 담궈지는 상기 땜납 조 위쪽에 위치하는 전선 누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에는, 그 하강 조작에 의해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를 아래쪽으로 눌러 붙이는 누름면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후퇴 조작에 의해 상기 누름면에 의해 눌러 붙여진 상기 심선부가 상기 불룩한 부분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기 땜납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심선부에 대한 보다 양호한 땜납의 부착상태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땜납 부착 유닛에는, 상기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가 구비되고,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플럭스 조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플럭스액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로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상기 플럭스액이 유지되며 또한 상기 심선부가 삽탈(揷脫)이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플럭스 조는 플럭스액을 저장시킬 수 있는 용기 구조라면 좋으므로, 종래와 같은 플럭스액의 순환구조나 플럭스 조의 측벽에 형성되는 삽입구멍이 불필요해져 플럭스 조에서의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 누설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럭스 조 자체도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에서의 상기 유지 구멍의 상기 심선부가 삽입되는 쪽의 단부(端部)가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모양의 삽입 가이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삽입 가이드면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유지 구멍에 대한 심선부의 삽입이 안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상기 승강부에 지지 막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막대의 하단부에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지지 막대의 상승위치에서,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플럭스 조 위쪽의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가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가 담궈진 상기 땜납 조 위쪽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막대의 하강위치에서,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플럭스액 내의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의 상기 누름면에 의해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가 아래쪽으로 눌러 붙여지는 구성으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전선 누름 가이드가 일체로 승강 조작되어 가동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이, 상기 땜납 조에 저장된 땜납의 액면에 생기는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피막 제거기구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땜납 조에서의 땜납의 액면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하여 땜납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럭스 도포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전선의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플럭스액을 부착시키는 플럭스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와, 상기 플럭스 조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플럭스액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에서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이 유지되는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상기 전선을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의 상기 유지 구멍에 상기 심선부를 삽탈이 자유롭게 삽입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플럭스 조는 플럭스액을 저장시킬 수 있는 용기 구조라면 되므로, 종래와 같은 플럭스액의 순환구조나 플럭스 조의 측벽에 형성되는 삽입구멍이 불필요해져 플럭스 조에서의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 누설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럭스 조 자체도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플럭스 도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에서의 상기 유지 구멍의 상기 심선부가 삽입되는 쪽의 단부가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모양의 삽입 가이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삽입 가이드면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유지 구멍에 대한 심선부의 삽입이 안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땜납 부착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전선의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땜납을 부착시키는 땜납 부착장치에 있어서, 용융상태의 상기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와, 상기 전선을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조작에 의해 상기땜납 조에 저장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를 담 담궈서 땜납을 부착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땜납 조는 땜납을 용융상태로 저장시킬 수 있는 용기 구조라면 되므로, 종래와 같은 땜납의 분류구조가 불필요해져, 땜납 조에서의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땜납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땜납 부착장치는 상기 심선부가 담궈지는 땜납 조 위쪽에 위치하여 승강 조작이 자유로운 전선 누름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에는 그 하강조작에 의해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를 아래쪽으로 눌러 붙이는 누름면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수단의 후퇴조작에 의해 상기 누름면에 의해 눌러 붙여진 상기 심선부가 상기 불룩한 부분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기 땜납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심선부에 대한 보다 양호한 땜납의 부착상태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땜납 부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선 말단부에서의 노출 길이가 짧은 심선부에 땜납을 부착시키는 땜납 부착장치로 있어서, 용융상태의 상기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와, 상기 심선부를 상기 땜납 조의 위쪽에 위치시켜서 상기 전선을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심선부가 상기 땜납 조의 위쪽에 위치된 상기 전선의 위쪽에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그 하강조작에 의해 상기 전선을 아래 방향으로 눌러 상기 심선부를 상기 땜납에 담그는 전선 누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수단의 후퇴조작에 의해 상기 심선부가 상기 땜납으로부터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노출 길이가 짧은 심선부에 대해서도 양호한 땜납 부착이 가능해지고, 또한, 땜납 조는 땜납을 용융상태로 저장시킬 수 있는 용기 구조라면 되므로, 종래와 같은 땜납의 분류 구조가 불필요해져 땜납 조에서의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땜납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선의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와, 상기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용융상태의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와,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심선부에 상기 플럭스 조 위치에서 플럭스액을 부착시키고 또한 상기 땜납 조 위치에서 상기 땜납을 부착시키기 위해 이동 조작이 자유로운 이동수단이 구비된 땜납 부착장치에 있어서, 승강 조작되는 지지 막대와, 상기 플럭스 조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플럭스액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에서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상기 지지 막대 하단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심선부가 삽탈이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한 상기 지지 막대의 상승위치에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가 담궈진 땜납 조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막대 하단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한 상기 지지 막대의 하강위치에서, 상기 땜납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를 아래쪽으로 눌러 붙이는 누름면이 구비된 전선 누름 가이드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전선 누름 가이드가 일체로 승강 조작되어 가동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에서, 1은 전선 처리장치로서, 전선 공급라인(P)에 따라 순차 공급되는 전선(2)을 소정 길이로 측장(測長)하는 측장 유닛(3)과, 전선(2)을 해제가 자유롭게 파지(把持)하는 프론트 클램프(front clamp)(4) 및 리어 클램프(rear clamp)(5)와, 전선(2)의 절단ㆍ박피(剝皮)를 수행하는 커터 유닛(6)과,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7)과, 리어 땜납 부착 유닛(8)과, 프론트 클램프(4)로 파지된 전선(2)을 소정 위치로 반송(搬送)하는 프론트 이동수단(9)과, 리어 클램프(5)로 파지된 전선(2)을 소정 위치로 반송하는 리어 이동수단(10)과, 처리가 끝난 전선(2)을 배출하는 배출 유닛(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장 유닛(3)은, 전선(2)을 전선 공급라인(P)을 따라 송출하는 전선 송출기구와, 전선 송출기구에 의해서 송출되는 전선(2)의 전선 길이를 측장하는 측장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7) 및 리어 땜납 부착 유닛(8)은, 각각 플럭스액이 저장되는 플럭스 조(15) 및 용융상태의 땜납을 저장하는 땜납 조(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클램프(4)는 가대(架臺)(13) 상에 설치된 프론트 이동수단(9)에 지지되어 있고, 프론트 이동수단(9)은,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X, Y, Z)(도면에서는 화살표에 의해 2축 방향(X, Y)만 표시), 즉 전후ㆍ좌우ㆍ상하 방향의 3차원적으로 프론트 클램프(4)를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어, 프론트 클램프(4)는 측장 유닛(3)의 위치 및 커터 유닛(6)의 위치와,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7)의 플럭스 조(15)의 위치 및 땜납 조(16)의 위치의 상호간에서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리어 클램프(5)도 가대(13) 상에 설치된 리어 이동수단(10)에 지지되어 있고, 리어 이동수단(10)은, 서로 직교하는 상기 3축 방향, 즉 전후ㆍ좌우ㆍ상하 방향의 3차원적으로 리어 클램프(5)를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어, 리어 클램프(5)는 커터 유닛(6)의 위치와, 리어 땜납 부착 유닛(8)의 플럭스 조(15)의 위치 및 땜납 조(16)의 위치, 및 배출 유닛(11) 위치의 상호간에서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측장 유닛(3)에 의해서 전선 공급라인(P)을 따라 소정길이 송출된 전선(2)이 프론트 클램프(4) 및 리어 클램프(5)에 의해 각각 파지되고, 그 상태에서 커터 유닛(6)에 의해 절단 처리되어, 프론트 클램프(4)에 의해 파지된 전선(2)과 리어 클램프(5)에 의해 파지된 전선(2)으로 분리되며, 그 후, 각 클램프(4)(5)에 파지된 전선(2)의 말단부는 커터 유닛(6)에 의해 그 피복부가 박피 처리된다.
프론트 클램프(4)에 파지된 전선(2)은, 그 후,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7)의 플럭스 조(15)의 위치로 이동 조작되어 노출된 심선부에 플럭스액이 부착되며, 그 후, 땜납 조(16)의 위치로 이동 조작되어 심선부에 땜납이 부착된다. 그리고, 땜납 부착 처리 후, 프론트 클램프(4)에 파지된 전선(2)은 커터 유닛(6)과 대향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한편, 프론트 클램프(4) 쪽의 전선(2)에 땜납 부착 처리가 행해지는 사이에, 리어클램프(5) 쪽의 전선(2)도 리어 땜납 부착 유닛(8)의 플럭스 조(15) 위치로 이동 조작되어 노출된 심선부에 플럭스액이 부착되며, 그 후, 땜납 조(16)의 위치로 이동 조작되어 심선부에 땜납이 부착되는 땜납 부착 처리가 행해진 후, 전선(2)은 3차원적으로 이동 조작이 자유로운 배출 유닛(11)에 넘겨져 소정의 배출부로 배출되고, 리어 클램프(5)는 커터 유닛(6)과 대향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측장 유닛(3)의 작동에 의해 전선 공급라인(P)을 따라 전선(2)이 소정 길이 송출되며, 동일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양단부에 땜납이 부착된 소정의 전선 길이를 가지는 하네스(harness)가 차례로 제조된다.
여기서, 전선 처리유닛으로서의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7) 및 리어 땜납 부착 유닛(8)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7)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프론트 땜납 부착 유닛(7)은, 도 2 내지 도 7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유닛(7a)과 아래쪽 유닛(7b)을 구비하며, 아래쪽 유닛(7b)의 기판(17) 위에 지지 서포트(18)(19) 등을 매개로 플럭스 조(15)와 땜납 조(16)가 병설(竝設)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플럭스 조(15) 내에는 적절한 양의 플럭스액(21)이 저장되어 있으며, 땜납 조(16) 내에는 용융상태의 땜납(22)이 그 표면장력에 의해서 땜납 조(16)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위쪽으로 불룩한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땜납 조(16)의 한쪽 옆에 인접하여 이물질 수용기(受容器)(23)가 배치되는 동시에, 땜납 조(16)의 아래 면에는 땜납 조(16) 내의 땜납(22)을 가열하여 소정 온도의 용융상태를 유지하는 히터(24)가 구비되며, 이들 땜납 조(16), 이물질 수용기(23), 히터(24)의 옆쪽 및 밑바닥부를 둘러싸도록 단열 플레이트(25)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기판(17) 위에는 땜납(22)의 액면에 생기는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피막 제거기구(27)가 구비되어 있으며, 피막 제거기구(27)는, 기판(17) 상에 지지 서포트(28)를 통해 부착 고정된 슬라이드 실린더(29)와, 슬라이드 실린더(29)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29a)의 선단부에 장착된 지지 블록체(30)와, 지지 블록체(30)의 상부(上部)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된 지지축(31)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축(31)의 일단(一端) 돌출부에 고정된 지지 아암(32)이 연장 설치된 단부(端部)에 위치 결정핀(33)이 고정되며, 인장 스프링(35)에 의한 작용력 하에서 피막제거 플레이트(37)가 지지축(31)의 타단 돌출부에 고정된 플레이트 지지체(34)에 지지축(36)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블록체(30)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요동조작 실린더(38)가 장착되고, 요동조작 실린더(38)의 피스톤 로드(38a) 선단부는 위치 결정핀(33)의 아래면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초기 상태에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막제거 플레이트(37)는 연직(鉛直)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핀(33)과 지지 블록체(30) 상호간에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39)이 장착되어 있어, 위치 결정핀(33)이 피스톤 로드(38a)의 선단부에 맞닿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땜납(22)의 액면에 생기는 땜납(22)의 산화피막을 제거할 때에는, 요동조작 실린더(38)의 피스톤 로드(38a)가 진출(進出) 작동하여 위치 결정핀(33)이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게 조작되고, 이 위치 결정핀(33)의 상승에 따라 지지축(31)이 회동(回動) 조작되어, 도 7의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지지체(34) 및 피막제거 플레이트(37)가 지지축(31)의 축심 둘레로 일체적으로 상승 회동된다.
이 플레이트 지지체(34) 및 피막제거 플레이트(37)의 상승 회동자세에서, 슬라이드 실린더(29)의 피스톤 로드(29a)가 진출 작동되어, 플레이트 지지체(34) 및 피막제거 플레이트(37)가 땜납 조(16)의 땜납(22) 액면 위쪽으로 이동 조작된다.
그리고, 그 피스톤 로드(29a)의 진출 위치에서 상기 요동 조작 실린더(38)의 피스톤 로드(38a)가 후퇴 작동되면, 복귀 스프링(39)의 인장력에 의해 위치 결정핀(33)이 하강 조작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체(34) 및 피막제거 플레이트(37)는, 도 7의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피막제거 플레이트 (37)가 연직자세가 되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때, 피막제거 플레이트(37)의 하변부(下邊部)는 땜납(22) 액면 내에 약간 침입한다.
그 후, 슬라이드 실린더(29)의 피스톤 로드(29a)가 후퇴 작동되면, 피막제거 플레이트(37)는 땜납(22)의 액면을 따라 이동 조작되고, 그 후, 이물질 수용기(23) 위쪽에 위치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며, 피막제거 플레이트(37)에 의해서 제거된 산화피막은 이물질 수용기(23)에 낙하하여 수용되는 것으로서, 산화피막의 제거작업이 종료된다. 이 땜납(22)의 산화피막의 제거작업은 소정시간 경과마다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이 아래쪽 유닛(7b)은, 기판(17)이 가대(13)의 소정의 설치부(13a)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리어 땜납 부착 유닛(8)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설치부(13a)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위쪽 유닛(7a)은, 프레스 기구나 유압 실린더 등의 승강 수단, 예컨대, 프레스 기구(40)에 의해서 승강 조작되는 승강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스 기구(40)가 승강 조작되는 램 축체(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장착 구멍부(41a) 내에 부착 축부(42a)가 끼워넣어지고 볼트(43) 체결 등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지지 막대(42)와, 지지 막대(42)의 하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44), 전선 누름 가이드(45) 및 전극으로서 짝 프로브(probe)(4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44)는, 도 8 및 도 9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 기둥 블록체에서의 축심을 따라, 전선(2)의 심선부(2a)가 삽입될 수 있는 미세 지름의 유지 구멍(44a)이 형성되는 동시에, 유지 구멍(44a)에서 전선(2)의 심선부(2a)가 삽입되는 쪽의 단부는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모양의 삽입 가이드면(44b)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구멍(44a)을 수평상태로 하여 플럭스액 유지 통체(44) 외주(外周)의 일측면이 지지판(47)의 하단부에 고착되고, 플럭스액 유지 통체(44)가 플럭스 조(15)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지지판(47)의 상단부가 지지 서포트(48)를 매개로 상기 지지 막대(4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2)의 심선부(2a)에 대한 플럭스액(21)의 도포에 있어서는, 램 축체(41)의 하강(Z 방향) 조작에 따르는 지지 막대(42)의 하강에 의해, 플럭스액 유지 통체(44)가, 도 8의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럭스 조(15)의 플럭스액(21) 내에 담궈진다.
그 후, 램 축체(41)의 상승 조작에 따르는 지지 막대(42)의 상승에 의해, 플럭스액 유지 통체(44)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럭스 조(15)의플럭스액(21) 위쪽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때, 플럭스액 유지 통체(44)의 유지 구멍(44a) 내에 플럭스액(21)이 충전(充塡) 모양으로 채워진 유지 상태가 얻어진다.
그리고, 플럭스 조(15) 위치에서, 유지 구멍(44a)의 축심 연장선 상으로, 프론트 클램프(4)에 의해 파지된 전선(2)이 프론트 이동수단(9)의 작동에 의해 전진(Y 방향) 조작되어, 단부가 노출된 심선부(2a)가 유지 구멍(44a) 내에 삽입된다. 이 심선부(2a)의 유지 구멍(44a) 내 삽입에 의해서 심선부(2a)에 플럭스액(21)이 부착된다.
그 후, 프론트 이동수단(9)의 후퇴에 의해 심선부(2a)가 유지 구멍(44a) 내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서 플럭스 도포공정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이들 플럭스 조(15), 플럭스액 유지 통체(44), 프론트 이동수단(9) 등에 의해 플럭스 도포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45)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판재가 대략 L자 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구조로서, 하단이 누름면(45a)을 수평 상태에서 더욱이 땜납 조(16)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그 상단부가 지지 서포트(49)를 매개로 지지 막대(4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2)의 심선부(2a)에 대한 땜납(22)의 부착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땜납 조(16) 위치에서 심선부(2a)가 땜납 조(16)의 땜납(22) 액면과 전선 누름 가이드(45)의 누름면(45a) 사이에 위치하고, 프론트 클램프(4)에 의해 파지된 전선(2)이 프론트 이동수단(9)의 작동에 의해 하강(Z 방향) 조작되어,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심선부(2a)가 땜납(22) 액면에서의 표면장력에 의해 위쪽으로 부풀어오른 모양의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다.
그 후, 램 축체(41)의 하강 조작에 따른 지지 막대(42)의 하강에 의해, 전선 누름 가이드(45)의 누름면(45a)은 심선부(2a)를 위쪽으로부터 눌러 심선부(2a)를 땜납(22) 내에 가라앉힌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이동수단(9)의 후퇴(Y 방향)에 의해 전선(2)이 땜납 조(16)의 땜납(22) 내로부터 인출되면, 심선부(2a)에 땜납(22)이 부착된 상태가 얻어지며, 램 축체(41)의 상승 조작에 따른 지지 막대(42)의 상승에 의해, 전선 누름 가이드(45)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것으로, 땜납 부착 공정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들 땜납 조(16), 전선 누름 가이드(45), 프론트 이동수단(9) 등에 의해 땜납 부착장치가 구성된다.
또, 이 땜납 부착 공정에서의 램 축체(41)의 승강 동작에 의해, 플럭스액 유지 통체(44)도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동작되고, 그 다음 전선(2)의 심선부(2a)에 대한 플럭스 도포공정의 플럭스액(21)이 플럭스액 유지 통체(44)의 유지 구멍(44a)에 충전되게 된다.
상기 짝 프로브(46)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블록(50)에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가지며, 또한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병설 모양으로 부착 지지되고, 그 각 하단부는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45)의 누름면(45a)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땜납 조(16)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서포트(48)를 매개로 지지 막대(4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땜납 부착 공정에서, 전선 누름 가이드(45)가 하강 조작되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누름면(45a)이 땜납(22)의 액면에 맞닿을 때에, 각 프로브(46)도 땜납(22)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양 프로브(46)에는,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검출회로(51)가 접속되어 있고, 검출회로(51)는 전원(52), 포토 커플러(photo-coupler)(53)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땜납(22)의 액면 위치검출에 있어서는, 땜납 부착 공정에서, 전선 누름 가이드(45)가 하강 조작되어 누름면(45a)이 땜납(22)의 액면에 맞닿을 때에,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프로브(46)도 땜납(22)의 액면에 접촉하게 되면, 검출회로(51)는 도전성 물질인 땜납(22)를 통하여 폐회로(閉回路)가 생성되어, 포토 커플러(53)의 다이오드 발광에 의해 액면 감지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때, 땜납(22) 양의 감소에 의해, 도 1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땜납(22)의 액면이 하강하여 양 프로브(46)가 땜납(22)의 액면에 접촉하지 않으면, 검출회로(51)는 폐회로를 생성하지 않아 포토 커플러(53)의 다이오드는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액면 감지신호가 제어부에 출력되지 않고 제어부는 땜납(22) 양이 부족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땜납(22)의 보충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보충 제어로서는, 예컨대, 실 땜납(22)을 사이에 끼우는 공급 로울러(55)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가이드 파이프(56)를 통하여 실 땜납(22)이 차례대로 땜납 조(16) 내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이 공급된 실 땜납(22)은 히터(24)에 의한 가열에 의해 용융된다. 이렇게, 이들 실 땜납(22), 공급 로울러(55), 가이드 파이프(56) 등에 의해 땜납 보충 수단(57)이 구성된다.
또, 이 각 프로브(46)에 의해 검출되는 땜납(22)의 액면 위치는, 전선(2)의 심선부(2a)에 대하여 필요량의 땜납(22)을 부착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미리 설정해 놓으면 좋다. 또한, 땜납 보충 수단(57)도 가대(13) 위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면 좋다.
그리고, 리어 땜납 부착 유닛(8) 쪽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동일하게 땜납 부착 처리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설치부(13a)에 설치된 땜납 부착 유닛(7)(8)과, 전선 처리유닛을 구성하는 단자 압착 유닛으로서의 어플리케이터(60)가 서로 교환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볼트(43)를 풀어 램 축체(41)의 장착 구멍부(41a)로부터 부착 축부(42a)를 인출하면, 지지 막대(42)를 뗄 수 있고, 램 축체(41)와 어플리케이터(60)를 연결할 때에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60) 연결용의 연결부재(61)를 동일하게 램 축체(41)에 장착하고, 어플리케이터(60)의 승강부로서의 두부와 램 축체(41)가 연결부재(61)를 매개로 연결된다. 또, 이 연결 구조는, 실질적으로 종래의 어플리케이터(60)와 프레스 기구(40)의 램 축체(41)의 연결과 같다.
또한, 어플리케이터(60)의 가대(13)의 설치부(13a)에 대한 착탈이 자유로운 연결 구조도 실질적으로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방식을 상기 아래쪽 유닛(7b)과 가대(13)와의 연결 구조에도 채용하고 있다. 즉, 도 5나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래쪽 유닛(7b)에서의 기판(17)의 양단 테두리부에는, 쐐기 형상의 걸림부(17a)(17b)가 구비되어 있고, 설치부(13a)의 기초부(13b)에는 상기 걸림부(17a)(17b)에 걸림/풀림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져 아래쪽 유닛(7b)을 설치부(13a)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는 걸림 손톱부(13c)(13d)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중 한쪽의 걸림 손톱부(13d)는, 도 16의 화살표(Q)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식(可動式)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 유닛(7b)을 설치할 때는, 아래쪽 유닛(7b)을 설치부(13a)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걸림 손톱부(13d)를 도 16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걸림 위치로 일으켜서 걸림부(17b)와 걸어맞춘 상태로 잠금으로써, 아래쪽 유닛(7b)이 설치부(13a)에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래쪽 유닛(7b)을 떼어낼 때에는, 걸림 손톱부(13d)의 잠금을 해제하고, 걸림 손톱부(13d)를 쓰러 뜨려 걸림부(17b)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아래쪽 유닛(7b)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이 전선 처리장치(1)에 의해 땜납 부착 처리를 수행할 때에는, 설치부(13a)에 땜납 부착 유닛(7)이 설치되는 동시에 동작 모드가 땜납 부착 모드로 설치되고, 단자 압착처리를 수행할 때에는, 설치부(13a)에 어플리케이터(60)가 설치되는 동시에, 동작 모드가 단자 압착모드로 바뀌어진다.
또, 설치부(13a)에 어플리케이터(60)가 설치된 때에는, 단자 압착을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적어도 프레스 기구(40)에 의해 구동되고, 단자 릴(reel)로부터 연쇄(連鎖) 모양으로 연속되어 있는 압착 단자(도시 생략)를 인출하여 어플리케이터(60)의 단자를 압착하는 압착부에 공급하는 단자 수송기구 등이 구비되며, 종래의 단자 압착장치와 동일하게 양단에 단자가 압착된 하네스를 순차 제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선 처리장치(1)에 의한 땜납 부착 처리에 있어서, 전선(2) 말단부에서의 노출 길이가 짧은 심선부(2a)에 땜납(22)를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플럭스 도포공정이 종료된 전선(2)이,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땜납 조(16) 위치에서, 심선부(2a)가 땜납 조(16)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론트 이동수단(9)에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램 축체(41)가 소정 거리 하강 조작되어, 전선 누름 가이드(45)의 누름면(45a)에 의해 전선(2)을 아래를 향해 누름으로써,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심선부(2a)는 땜납(22) 내에 담궈진다. 이 때, 각 프로브(46)는 땜납(22)에 접촉하도록 미리 적절하게 상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그 후, 이 상태에서 프론트 이동수단(9)의 후퇴에 의해 전선(2)이 땜납 조(16)의 땜납(22) 내(內)로부터 인출되면,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심선부(2a)에 땜납(22)이 부착된 상태가 얻어지고, 램 축체(41)의 상승 조작에 따르는 지지 막대(42)의 상승에 의해, 전선 누름 가이드(45)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것으로, 땜납 부착 공정이 종료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 플럭스 조(15)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플럭스액(21)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에서 승강 조작되는 플럭스액 유지 통체(44)의 유지 구멍(44a) 내에 심선부(2a)를 삽입하여 심선부(2a)에 플럭스액(21)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서, 플럭스 조(15)는 플럭스액(21)을 저장시킬 수 있는 용기 구조라면 좋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플럭스액의 순환구조나 플럭스 조의 측벽에 형성되는 삽입구멍이 불필요해지고, 플럭스 조(15)에서의 구조의 간소화가 꾀해지는 동시에 액체 누설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플럭스 조(15) 자체도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 유지 구멍(44a)의 단부가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모양의 삽입 가이드면(44b)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가이드면(44b)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서, 유지 구멍(44a)에 대한 심선부(2a)의 삽입도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선(2)을 하강 조작하여, 땜납 조(16)에 저장된 땜납(22)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심선부(2a)를 담그는 것에 의해 심선부(2a)에 땜납(22)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서, 땜납 조(16)는 땜납(22)을 용융상태로 저장시킬 수 있는 용기 구조라면 좋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땜납의 분류 구조가 불필요해지고, 땜납 조(16)에서의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땜납(22)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 심선부(2a)를 전선 누름 가이드(45)의 누름면(45a)에 의해 아래쪽으로 누르고, 이 상태에서 심선부(2a)를 상기 불룩한 부분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에 의해 심선부(2a)에 땜납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서, 보다 양호한 땜납(22)의 부착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피막 제거기구(27)에 의해 땜납(22) 액면의 산화피막을 제거함으로써, 땜납 조(16)에서 땜납(22)의 액면을 양호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고, 심선부(2a)에 대하여 항상 양호한 상태에서 땜납(22)을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땜납 조(16)에 저장되어 있는 땜납(22)의 액면 위치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수단으로서의 검출회로(51)가, 땜납(22)의 액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폐회로를 구성하는 소위 스위치 회로로 충분하기 때문에, 비싼 열전대나 복잡한 온도 검출용 아날로그 회로 등이 불필요하고, 매우 염가로 간단한 구성의 땜납(22)의 액면 위치 검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로브(46)가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땜납(22) 액면에 잠겨져 있는 경우에 비하여, 프로브(46)에 대한 땜납(22)의 산화피막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더욱이, 설치부(13a)에 대하여 땜납 부착 유닛(7)(8)과 어플리케이터(60)가 착탈이 자유롭고, 또한 서로 교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상황에 따라 적절히 교환 사용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양단 단자 타격기와 편(片) 땜납 부착 단자 타격기의 양쪽 기종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전선 처리장치(1) 전체로서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플럭스 조(15)나 땜납 조(16)의 소형화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땜납 부착 유닛(7)(8) 전체로서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으며 종래의 어플리케이터(60)와 그 설치 점유 스페이스도 큰 차이 없이 구성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전선 처리장치(1)의 보다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막대(42)에 플럭스액 유지 통체(44)나 전선 누름 가이드(45)가 지지되어, 램 축체(41)의 승강 동작에 동반하는 지지 막대(42)의 승강 조작에 의해 플럭스액 유지 통체(44)와 전선 누름 가이드(45)가 일체로 승강 조작되기 때문에, 심선부(2a)에 대한 전선 누름 가이드(45)에 의한 땜납 부착 공정이 종료되면, 다른쪽의 플럭스액 유지 통체(44)의 유지 구멍(44a) 내에는 그 다음 심선부(2a)에 대한 플럭스액(21)이 채워지게 되어, 효율적으로 하네스를 제조할 수 있으며 가동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16)

  1.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 조작된 전선의 말단부에 대하여, 설치부에 설치된 전선 처리유닛에 의해 처리가 이루어지는 전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 처리유닛은, 상기 말단부에 압착 단자를 압착하기 위해 상기 설치부에 착탈이 자유롭고 또한 서로 교환이 가능하게 형성된 단자 압착 유닛과, 상기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땜납 부착을 하기 위한 땜납 부착 유닛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착 유닛 및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은 각각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단자 압착 유닛 또는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승강부를 승강 조작하는 승강 수단이 상기 전선 처리장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이 프레스 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부착 유닛에, 상기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용융상태의 상기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하강 조작에 의해 상기 땜납 조에 저장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가 담궈져 상기 땜납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심선부가 담궈지는 상기 땜납 조 위쪽에 위치하여 전선 누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에는 그 하강 조작에 의해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를 아래쪽으로 눌러 붙이는 누름면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후퇴 조작에 의해 상기 누름면에서 눌러 붙여진 상기 심선부가 상기 불룩한 부분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기 땜납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부착 유닛에는, 상기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가 구비되고,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플럭스 조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플럭스액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에서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이 유지되며 또한 상기 심선부가 삽탈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부착 유닛에는, 상기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가 구비되고,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플럭스 조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플럭스액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에서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이 유지되며 또한 상기 심선부가 삽탈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에서의 상기 유지 구멍의 상기 심선부가 삽입되는 쪽의 단부가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모양의 삽입 가이드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의 상기 승강부에 지지 막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막대 하단부에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지지 막대의 상승위치에서,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플럭스 조 위쪽의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가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가 담궈진 상기 땜납 조 위쪽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막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플럭스액 내의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의 상기 누름면에 의해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가 아래쪽으로 눌러 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부착 유닛은, 상기 땜납 조에 저장된 땜납의 액면에 생기는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피막 제거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처리장치.
  11. 전선의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플럭스액을 부착시키는 플럭스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와,
    상기 플럭스 조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플럭스액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에서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이 유지되는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상기 전선을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의 상기 유지 구멍에 상기 심선부를 삽탈이 자유롭게 삽입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도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에서 상기 유지 구멍의 상기 심선부가 삽입되는 쪽의 단부(端部)가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모양의 삽입 가이드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 도포장치.
  13. 전선의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땜납을 부착시키는 땜납 부착장치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상기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와,
    상기 전선을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동시에, 하강 조작에 의해 상기땜납 조에 저장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를 담궈서 땜납을 부착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부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부착장치는, 상기 심선부가 담궈지는 땜납 조 위쪽에 위치하고 승강 조작이 자유로운 전선 누름 가이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선 누름 가이드에는 그 하강 조작에 의해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를 아래쪽으로 눌러 붙이는 누름면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후퇴 조작에 의해 상기 누름면에서 눌러 붙여진 상기 심선부가 상기 불룩한 부분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기 땜납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부착 장치.
  15. 전선의 말단부에서의 노출 길이가 짧은 심선부에 땜납을 부착시키는 땜납 부착장치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상기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와,
    상기 심선부를 상기 땜납 조의 위쪽에 위치시켜서 상기 전선을 이동 조작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심선부가 상기 땜납 조의 위쪽에 위치된 상기 전선의 위쪽에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그 하강 조작에 의해 상기 전선을 밑으로 눌러 상기 심선부를 상기 땜납에 담그는 전선 누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수단의 후퇴 조작에 의해 상기 심선부가 상기 땜납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부착 장치.
  16. 전선의 말단부에서 노출된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플럭스액이 저장된 플럭스 조와, 상기 심선부에 부착시키는 용융 상태의 땜납이 저장된 땜납 조와,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심선부에 상기 플럭스 조 위치에서 플럭스액을 부착시키고, 또한 상기 땜납 조 위치에서 상기 땜납을 부착시키도록 이동 조작이 자유로운 이동수단이 구비된 땜납 부착장치에 있어서,
    승강 조작되는 지지 막대와, 상기 플럭스 조 위쪽에 위치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플럭스액 내에 위치하는 하강위치에서 승강 조작이 자유롭게 상기 지지 막대 하단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이 유지되며 또한 상기 심선부가 삽탈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유지 구멍이 형성된 플럭스액 유지 통체와,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한 상기 지지 막대의 상승위치에서, 상기 땜납의 표면장력에 의한 불룩한 부분에 상기 심선부가 담궈진 땜납 조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 막대 하단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럭스액 유지 통체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한 상기 지지 막대의 하강위치에서, 상기 땜납에 담궈진 상기 심선부를 아래쪽으로 눌러 붙이는 누름면이 구비된 전선 누름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부착 장치.
KR10-2001-0064565A 2001-01-16 2001-10-19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 KR100450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7950 2001-01-16
JPJP-P-2001-00007950 2001-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151A KR20020061151A (ko) 2002-07-23
KR100450509B1 true KR100450509B1 (ko) 2004-10-01

Family

ID=3748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565A KR100450509B1 (ko) 2001-01-16 2001-10-19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10B1 (ko) * 2013-10-08 2014-10-13 주식회사 경신 알루미늄 전선의 플럭스 디핑 장치
CN109530842A (zh) * 2018-12-29 2019-03-29 昆山康达斯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二极管浸焊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151A (ko) 200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639B2 (en) Wire processing apparatus, flux applying device, and solder depositing device
US20150108202A1 (en) Automatic Soldering System
US4936011A (en) Method of inserting a terminated wire lead into a connector cavity
EP2202021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coating flux with a movable nozzle
US3684151A (en) Solder machine
KR100450509B1 (ko) 전선 처리장치, 플럭스 도포장치 및 땜납 부착장치
JP2010062385A (ja) フラックス塗布装置およびフラックス塗布方法
CN215846206U (zh) 一种焊锡装置
JP2015226037A (ja) 部品装着装置
JP5326893B2 (ja) 端子挿入装置
KR0145211B1 (ko) 전자부품실장장치 및 전자부품실장방법
JP3981024B2 (ja) コネクタへの自動端子挿入装置
JP4633270B2 (ja) 電線のハンダ付着装置
CN115138937A (zh) 一种全自动沾锡机
JP2003050149A (ja) 液状導電性物質の液面位置検出方法
JP3125014B2 (ja) ワイヤ圧着ハーネスの製造装置
US4295441A (en) Apparatus for applying solder to the connections of integrated circuit components
KR100698782B1 (ko) 납땜용 자동 용융납 도포장치
CN115626405B (zh) 一种用于自动化检测的上下料四轴机器人
JP2525533B2 (ja) 実装部品挿入装置
JP2000101228A (ja) リード線のハンダ付け方法、リード線のハンダ付け装置、電子回路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回路基板
JP3059482U (ja) めねじ形成用インサ―トの自動載置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圧入装置
JP2000311762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電線付き端子の実装方法及びその実装装置
JPH0224540Y2 (ko)
KR20230060005A (ko) 케이블 자동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자동 납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