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803B1 -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 Google Patents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803B1
KR100448803B1 KR10-2002-0024086A KR20020024086A KR100448803B1 KR 100448803 B1 KR100448803 B1 KR 100448803B1 KR 20020024086 A KR20020024086 A KR 20020024086A KR 100448803 B1 KR100448803 B1 KR 100448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engine
oil pump
pist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811A (ko
Inventor
천우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8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6Hydraulic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21)의 크랭크축풀리(21a)와 복수개의 볼트(2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유압조절수단(30)과, 내부에 오일통로(23a)를 구비하고서 일단이 오일펌프(6)에 설치되는 펌프고정축(23)과, 이 펌프고정축(23)에 베어링(24)을 매개로 결합되면서 상기 크랭크축(21a)과 동력전달벨트(25)에 의해 연결되는 오일펌프풀리(6a)와, 상기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와 연결되는 오일통로(26a)가 형성되고 이 오일통로(26a)와 연결되는 피스톤홈(26b)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펌프(6)와 오일펌프풀리(6a)사이의 펌프고정축(23)에 베어링(25)을 매개로 결합되는 펌프입력축(26)과,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의 선단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조립되면서 일측이 리턴파이프(27a)를 통해 리저버탱크(27b)와 연결되고 타측이 유압라인(27c)을 통해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7)와, 상기 피스톤홈(26b)내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홈(26)내에 유압이 발생될 때 피스톤홈(26b)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선단이 오일펌프풀리(6a)의 클러치판(28)과 접촉되어 엔진(21)의 동력을 펌프입력축(26)으로 전달시키도록 하는 입력축피스톤(29)으로 구성되어져, 상기 엔진(21)의 회전수가 2000rpm 이하인 저속상태에서는 엔진(21)의 동력이 오일펌프(6)로 전달되도록 하여 신속한 조향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엔진(21)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으로 상승되는 중고속상태에서는 엔진(21)의 동력이 오일펌프(6)로 전달되는 것을 강제적으로 차단시켜,차량이 중속이상으로 주행을 할 때 조향조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하고 아울러 엔진(21)에 걸리는 불필요한 부하를 제거하여 연료소모량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il pump for using in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회전수가 중속이상으로 상승될 때 엔진의 동력이 오일펌프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여 엔진의 불필요한 부하를 제거하면서 연료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된 조향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전환시키도록 하는 것인 바, 이를 위해 상기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각 기구로 전달하기 위해 조향핸들과 조향축 및 칼럼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와, 상기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조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기구 및, 이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앞바퀴에 전달함과 동시에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기 위해 피트먼 암과 드래그 링크 및 너클 암과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대형 자동차나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차량에서는 앞바퀴의 접지저항이 크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력이 크게 되고 신속한 조향 조작이 안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가볍고 신속한 조향조작을 하기 위해 동력조향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동력조향장치는 동력원이 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압력조절밸브 및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 등으로 구성된 동력장치와,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기계적인 힘으로 바꾸어 조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실린더를 사용하는 작동장치 및, 이 작동장치에 이르는 유로를 개폐하고 핸들의 조작에 상응해서 유로를 바꾸어 동력실린더의 작동방향과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동력조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향조작을 위한 조향핸들(1)이 상측 단부에 장착된 조향축(2)과, 이 조향축(2)을 외부에서 감싸고서 차체에 고정되는 조향컬럼(3), 상기 조향축(2)의 하부에 장착되어 조향시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된 컨트롤밸브(4) 및, 상기 조향축(2)의 하측 단부에 마련된 구동피니언(도시안됨)과 치합되어 이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랙바아(5a)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력실린더(5), 그리고 엔진의 크랭크축과 벨트(이상 도시안됨)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동력을 받아 작동되어 조향시 상기 컨트롤밸브(4)로 가압된 작동유를 공급하도록 된 오일펌프(6)와, 이 오일펌프(6)로 작동유를 공급하도록 일정량의 작동유를 저장하고 있는 오일저장탱크(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밸브(4)와 오일펌프(6) 및 오일저장탱크(7) 사이에는 각기 작동유의 공급 및 회수를 위한 공급관로(8)와 회수관로(9)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동력실린더(5)의 양쪽 단부에는 내부의 구동피니언과 일부 구간이 치합된 랙바아(5a)의 타단이 일부 외부로 노출되며, 이 랙바아(5a)에는 각기 전륜측 너클아암에 연결되어 조향시 선회방향으로 너클아암을 밀거나 당겨 회동시키도록 하는 타이로드(1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수관로(9)상에는 자연냉각방식을 이용하여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쿨러(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력조향장치는 보통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하인 저속에서는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게 되지만,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으로 상승되는 중고속에서는 오히려 안전운행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으로 상승되는 중고속에서는 바퀴의 접지저항이 작기 때문에 동력조향장치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운전자는 적은 힘을 이용하여 신속한 조향조작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동력조향장치의 성능이 부가되면 운전자에 따라 조향조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전운행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의 조향조작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중고속상태(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인 상태)에서도 오일펌프(6)가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엔진에는 오일펌프(6)를 구동시키는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많은 양의 연료가 불필요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하인 저속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오일펌프로 전달되도록 하여 신속한 조향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으로 상승되는 중고속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오일펌프로 전달되는 것을 강제적으로 차단시켜, 차량이 중속이상으로 주행을 할 때 조향조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엔진에 걸리는 불필요한 부하를 제거하여 연료소모량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전달구조는, 엔진의 크랭크축풀리와 복수개의 볼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엔진의 회전수와 비례되도록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전장의 길이가 탄력적으로 증감되는 유압조절수단과, 내부에 오일통로를 구비하고서 일단이 오일펌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펌프고정축과, 이 펌프고정축의 외주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크랭크축과 동력전달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오일펌프풀리와, 상기 펌프고정축의 오일통로와 연결되는 오일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이 오일통로와 연결되는 피스톤홈이 전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펌프와 오일펌프풀리사이에 위치되면서 펌프고정축의 외주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입력축과, 상기 유압조절수단의 길이가 변화될 때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유압조절수단의 선단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조립되면서 일측이 리턴파이프를 통해 리저버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유압라인을 통해 펌프고정축의 오일통로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홈내에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홈내에 유압이 발생될 때 피스톤홈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선단이 오일펌프풀리의 클러치판과 접촉되어 오일펌프풀리로 전달된 엔진의 동력을 펌프입력축으로 전달시키도록 하는 입력축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력조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및 종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및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엔진 22 - 볼트
23 - 펌프고정축 24,34 - 베어링
25 - 동력전달벨트 26 - 펌프입력축
27 - 유압실린더 28 - 클러치판
29 - 입력축피스톤 30 - 유압조절수단
31 - 하우징 32 - 압축스프링
33 - 하우징피스톤 35 - 실린더피스톤
36 - 제1막대부재 37 - 제2막대부재
38,39 - 질량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및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향조작을 위한 조향핸들(1)이 상측 단부에 장착된 조향축(2)과, 이 조향축(2)을 외부에서 감싸고서 차체에 고정되는 조향컬럼(3), 상기 조향축(2)의 하부에 장착되어 조향시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된 컨트롤밸브(4) 및, 상기 조향축(2)의 하측 단부에 마련된 구동피니언(도시안됨)과 치합되어 이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랙바아(5a)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력실린더(5), 그리고 엔진의 크랭크축과 벨트(이상 도시안됨)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동력을 받아 작동되어 조향시 상기 컨트롤밸브(4)로 가압된 작동유를 공급하도록 된 오일펌프(6)와, 이 오일펌프(6)로 작동유를 공급하도록 일정량의 작동유를 저장하고 있는 오일저장탱크(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밸브(4)와 오일펌프(6) 및 오일저장탱크(7) 사이에는 각기 작동유의 공급 및 회수를 위한 공급관로(8)와 회수관로(9)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동력실린더(5)의 양쪽 단부에는 내부의 구동피니언과 일부 구간이 치합된 랙바아(5a)의 타단이 일부 외부로 노출되며, 이 랙바아(5a)에는 각기 전륜측 너클아암에 연결되어 조향시 선회방향으로 너클아암을 밀거나 당겨 회동시키도록 하는 타이로드(1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수관로(9)상에는 자연냉각방식을 이용하여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쿨러(1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6)로의 동력전달구조는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하인 저속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오일펌프로 전달되도록 하여 신속한 조향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으로 상승되는 중고속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오일펌프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강제적으로 차단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의 크랭크축풀리(21a)와 복수개의 볼트(2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엔진(21)의 회전수와 비례되도록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전장의 길이가 탄력적으로 증감되는 유압조절수단(30)과, 내부에 오일통로(23a)를 구비하고서 일단이 오일펌프(6)에 용접등과 같은 결합법을 이용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펌프고정축(23)과, 이 펌프고정축(23)의 외주면에 베어링(2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크랭크축(21a)과 동력전달벨트(25)에 의해 연결되는 오일펌프풀리(6a)와, 상기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와 연결되는 오일통로(26a)가 내부에 형성되고 이 오일통로(26a)와 연결되는 피스톤홈(26b)이 전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펌프(6)와 오일펌프풀리(6a)사이에 위치되면서 펌프고정축(23)의 외주면에 베어링(25)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입력축(2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의 길이가 변화될 때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유압조절수단(30)의 선단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조립되면서 일측이 리턴파이프(27a)를 통해 리저버탱크(27b)와 연결되고 타측이 유압라인(27c)을 통해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7)와, 상기 피스톤홈(26b)내에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홈(26)내에 유압이 발생될 때 피스톤홈(26b)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선단이 오일펌프풀리(6a)의 클러치판(28)과 접촉되어 오일펌프풀리(6a)로 전달된 엔진(21)의 동력을 펌프입력축(26)으로 전달시키도록 하는 입력축피스톤(29)도 함께 포함되어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풀리(21a)와 볼트(22)에 의해 결합되는 하우징(31)과, 일단이 하우징(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압축스프링(32)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장이 상기 하우징(31)위 내부공간을 따라 탄력적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피스톤(33)과, 일단이 베어링(34)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피스톤(33)의 선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27)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피스톤(35)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31)의 외주면 및 하우징피스톤(33)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는 제1,2막대부재(36,37)의 선단과 힌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질량체(38,39)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입력축피스톤(29)의 전면에는 클러치판(28)과 접촉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마찰재(29a)가 일체로 결합되는데, 상기 마찰재(29a)는 접착력이 강한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고 가속페달을 밟아 저속주행(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하)을 하게 되면, 유압조절수단(30)을 구성하는 압축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이 하우징(31) 및 하우징피스톤(33)의 회전에 의해 질량체(38,39)에 작용하는 원심력보다 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피스톤(33)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피스톤(33)과 결합된 실린더피스톤(35)은 유압실린더(27)를 따라 유압라인(27c)쪽으로 직선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피스톤(35)이 유압라인(27c)쪽으로 직선이동되면 유압실린더(27)내의 오일은 유압라인(27c)을 통해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 및 펌프입력축(26)의 오일통로(26a)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펌프입력축(26)의 피스톤홈(26b)으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피스톤홈(26b)으로 유입된 오일은 입력축피스톤(29)의 뒷면을 가압하는 유압의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축피스톤(29)의 뒷면에 오일에 의한 유압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입력축피스톤(29)의 선단이 피스톤홈(26b)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마찰재(29a)가 오일펌프풀리(6a)에 결합된 클러치판(28)과 접촉하여 강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피스톤(29)의 선단에 결합된 마찰재(29a)가 오일펌프풀리(6a)의 클러치판(28)과 강한 마찰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 엔진(21)의 동력이 크랭크축풀리(21a)와 동력전달벨트(25)와 오일펌프풀리(6a) 및 펌프입력축(26)을통해 오일펌프(6)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오일펌프(6)가 엔진(21)의 동력으로 구동되면서 동력조향장치의 성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21)의 동력으로 오일펌프(6)가 구동되면서 동력조향장치의 기능이 발휘되면, 비교적 바퀴의 접지저항이 큰 저속주행(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하) 상태에서도 신속한 조향조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안전운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는 엔진(21)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으로 상승되는 중고속주행상태에서는 동력조향장치의 기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즉, 주행중 가속페달을 지속적으로 밟아 엔진(21)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으로 상승되는 중고속주행상태에 도달되면, 크랭크축풀리(21a)와 결합된 하우징(31) 및 하우징피스톤(33)이 고속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질량체(38,39)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압축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보다 대폭적으로 커지면서 상기 질량체(38,39)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 및 하우징피스톤(33)의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질량체(38,39)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압축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하우징피스톤(33)은 하우징(31)의 내부로 직선이동되게 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피스톤(33)과 결합된 실린더피스톤(35)도 유압실린더(27)를 따라 리턴파이프(27b)쪽으로 직선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피스톤(35)이 리턴파이프(27b)쪽으로 직선이동되면 피스톤홈(26b)과 펌프입력축(26)의 오일통로(26a) 및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에 충진되어 있던 오일은 유압라인(27c)을 통해 다시 유압실린더(27)로 리턴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홈(26b)에 충진되어 있던 오일이 펌프입력축(26)의 오일통로(26a)를 통해 리턴되는 순간 입력축피스톤(29)의 뒷면을 가압하던 유압은 해제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홈(26b)의 외부로 돌출되었던 상기 입력축피스톤(29)은 피스톤홈(26b)의 안쪽으로 다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피스톤(29)이 피스톤홈(26b)의 안쪽으로 다시 이동되면 이와 동시에 입력축피스톤(29)의 마찰재(29a)와 오일펌프풀리(6a)에 결합된 클러치판(28)가 서로 분리되게 되고, 이에 따라 엔진(21)의 동력은 크랭크축풀리(21a)와 동력전달벨트(25)를 통해 오일펌프풀리(6a)까지만 전달되게 되고 상기 펌프입력축(26)으로는 마찰재(29a)와 클러치판(28)이 분리됨과 동시에 동력전달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21)의 회전수가 중고속주행 상태(2000rpm 이상인 상태)에 도달될 때 엔진(21)의 동력이 펌프입력축(26)에서 차단되어 오일펌프(6)가 구동되지 않고 또한 동력조향장치의 기능을 발휘되지 않더라도 고속주행중인 차량의 조향조작은 바퀴의 접지저항이 작기 때문에 운전자는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아울러 동력조향장치의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조향조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의 조향조작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중고속주행상태(엔진의회전수가 2000rpm 이상인 상태)일 때 엔진(21)의 동력이 펌프입력축(26)에서 차단되어 오일펌프(6)가 구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오일펌프(6)를 구동시키기 위해 엔진(21)에 걸리는 불필요한 부하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연료가 불필요하게 소모를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하인 저속주행 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오일펌프로 전달되도록 하여 동력조향장치의 기능이 발휘됨으로써 안전운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 이상인 중고속주행 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오일펌프로 전달되는 것을 강제적으로 차단시켜 조향조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하고 아울러 상기 엔진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것과 연료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엔진(21)의 크랭크축풀리(21a)와 복수개의 볼트(2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엔진(21)의 회전수와 비례되도록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전장의 길이가 탄력적으로 증감되는 유압조절수단(30)과, 내부에 오일통로(23a)를 구비하고서 일단이 오일펌프(6)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펌프고정축(23)과, 이 펌프고정축(23)의 외주면에 베어링(2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크랭크축(21a)과 동력전달벨트(25)에 의해 연결되는 오일펌프풀리(6a)와, 상기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와 연결되는 오일통로(26a)가 내부에 형성되고 이 오일통로(26a)와 연결되는 피스톤홈(26b)이 전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펌프(6)와 오일펌프풀리(6a)사이에 위치되면서 펌프고정축(23)의 외주면에 베어링(25)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입력축(26)과,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의 길이가 변화될 때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유압조절수단(30)의 선단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조립되면서 일측이 리턴파이프(27a)를 통해 리저버탱크(27b)와 연결되고 타측이 유압라인(27c)을 통해 펌프고정축(23)의 오일통로(23a)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7)와, 상기 피스톤홈(26b)내에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홈(26)내에 유압이 발생될 때 피스톤홈(26b)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선단이 오일펌프풀리(6a)의 클러치판(28)과 접촉되어 오일펌프풀리(6a)로 전달된 엔진(21)의 동력을 펌프입력축(26)으로 전달시키도록 하는 입력축피스톤(29)으로 구성되는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은 크랭크축풀리(21a)와 볼트(22)에 의해 결합되는 하우징(31)과, 일단이 하우징(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압축스프링(32)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장이 상기 하우징(31)위 내부공간을 따라 탄력적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피스톤(33)과, 일단이 베어링(34)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피스톤(33)의 선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27)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피스톤(35)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31)의 외주면 및 하우징피스톤(33)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는 제1,2막대부재(36,37)의 선단과 힌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질량체(38,3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피스톤(29)의 전면에는 클러치판(28)과 접촉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마찰재(29a)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피스톤(35)은 엔진(21)의 회전수가 저속상태(2000rpm 이하)일 경우 압축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이 질량체(38,39)의 원심력보다 커져서 유압라인(27c)쪽으로 직선이동되고, 상기 엔진(21)의 회전수가 중고속상태(2000rpm 이상)일 경우에는 질량체(38,39)의 원심력이 압축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을 이기면서 리턴파이프(27a)쪽으로 직선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KR10-2002-0024086A 2002-05-02 2002-05-02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KR100448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086A KR100448803B1 (ko) 2002-05-02 2002-05-02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086A KR100448803B1 (ko) 2002-05-02 2002-05-02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11A KR20030085811A (ko) 2003-11-07
KR100448803B1 true KR100448803B1 (ko) 2004-09-16

Family

ID=3238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086A KR100448803B1 (ko) 2002-05-02 2002-05-02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95B1 (ko) * 2007-12-13 2009-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장치용 유압펌프의 장착유닛
KR101405608B1 (ko) * 2008-09-09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압펌프의 동력단속장치
KR101364383B1 (ko) * 2008-12-03 2014-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 제어 장치
CN115013280B (zh) * 2022-07-26 2023-12-05 绩溪山合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泵配件轴承换向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628A (en) * 1982-04-14 1985-10-29 Tokai Trw & Co., Ltd. Power steering device
JPH054587A (ja) * 1991-06-26 1993-01-14 Koyo Seiko Co Ltd 動力舵取装置
KR960023584U (ko) * 1994-12-30 1996-07-22 클러치 디스크의 구조
KR970006837A (ko) * 1995-07-31 1997-02-21 전성원 엔진의 오우버 런(Over run) 방지장치
KR19990061286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628A (en) * 1982-04-14 1985-10-29 Tokai Trw & Co., Ltd. Power steering device
JPH054587A (ja) * 1991-06-26 1993-01-14 Koyo Seiko Co Ltd 動力舵取装置
KR960023584U (ko) * 1994-12-30 1996-07-22 클러치 디스크의 구조
KR970006837A (ko) * 1995-07-31 1997-02-21 전성원 엔진의 오우버 런(Over run) 방지장치
KR19990061286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11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6619B2 (ja) 自動車の動力伝達装置
EP1580060B1 (en) Hydrostatic Power unit
EP1375315B1 (en) Crawler tractor
US6327799B1 (en) Snow-removing machine
KR100448803B1 (ko)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오일펌프의 동력전달구조
JP3705680B2 (ja) 油圧ユニット
US5007882A (en) Belt transmission for very small size shovel car
US3989117A (en) Hydraulic drive system for a work vehicle or tractor
US6880333B1 (en) Control assembly for a hydraulic device
US7047840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an engine of a vehicle
JP7059316B2 (ja) 鞍乗型車両
KR100283331B1 (ko) 엔진의 보기류 구동용 기어 변속장치
CN201137032Y (zh) 机械驱动单钢轮振动压路机
KR19990056650A (ko) 전자식 오일펌프를 갖춘 동력조향장치
KR0178653B1 (ko) 공압식 동력조향장치
KR100936313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제동장치
KR20030003861A (ko) 자동차용 유압식 동력조향장치
JP3599489B2 (ja) 作業機の伝動装置
KR19990061286A (ko)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KR100613774B1 (ko) 조향비 가변 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장치
KR960004146A (ko) 동력 조향장치의 유압 제어장치
KR101203806B1 (ko) 이동식 차량용 구동기
KR20030035356A (ko) 동력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작동유의 냉각시스템
KR0160882B1 (ko) 유압펌프용 구동벨트의 절손시 차속 제한장치
JP2001106100A (ja) 動力舵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