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387B1 -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387B1
KR100448387B1 KR10-2002-0050050A KR20020050050A KR100448387B1 KR 100448387 B1 KR100448387 B1 KR 100448387B1 KR 20020050050 A KR20020050050 A KR 20020050050A KR 100448387 B1 KR100448387 B1 KR 10044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region
interest
guid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634A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3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의 현재 차속 및 이동방향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그리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에 대응하여 운전자/이용자에 의해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적확한 시기에, 그리고 보다 다양한 차량용 도로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OAD INFORMATIO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 중 도로상의 특정한 위치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중에 지도(map)상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주는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네비게이션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중에는 차량이 목적지 기타 맵 상의 특정한 위치(이하"관심지역"(POI; Point Of Interest)라 한다)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이 구현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이 맵 상의 상기 관심지역(POI)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 네비게이션 시스템 내에서 기설정된 메시지 중에서 선택되는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설정된 한정된 종류의 메시지들 중에는, 운전자의 요구에 부합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POI)에 근접하였는가의 여부를 단순히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관심지역(POI)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판단함으로써 차속이 빠른 경우에는 충분한 여유를 두고 안내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POI)에 근접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진행방향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안내의 필요성이 차량의 진행방향에 의존되는 도로정보의 경우에, 반대방향으로 진행중인 차량에서 불필요한 안내메시지가 표현되는 경우도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심지역(POI)에 근접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고, 또한 관심지역(POI)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관심지역에 보다 적절한 안내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안내메시지 데이터의 작성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 검출기(vehicle position detector);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기; 관심지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map data), 그리고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유닛(data storage unit); 전기적 음성신호를 소리신호로 구현하는 스피커(speaker); 및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은, 운전자/이용자의 육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mike)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저장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전기적 음성신호(voice signal)로 변환하는 음성합성기(voice synthesizer)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맵 데이터로부터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및 이동방향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그리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지 판단하는 접근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구현하는 안내메시지 구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가 차선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접근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가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의 차선방향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여부 판단단계에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차속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한 정도를 표시하는 접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인가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상기 접근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근지수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지역까지의 거리를 상기 현재 차속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상기 안내메시지 구현단계는, 상기 설정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기초로 음성합성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를 지정받는 단계; 육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육성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데이터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 검출기(110),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기(120), 소리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30),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유닛 (140),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유닛(150), 입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합성기(160), 및 전기적 음성신호를 소리신호로 구현하는 스피커(17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위치 검출기(110)는, GPS위성(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으로부터 차량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수신기의 수신신호로부터 산출되는 연속적인 차량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산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중앙처리유닛(14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에 포함된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으로 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유닛(150)은, CDROM, DVD, 메모리반도체 기타 임의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저장유닛(150)에는 도로의 지도정보를 부호화한 맵 데이터(152)가 저장되고, 상기 맵 데이터(15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관심지역 데이터(154)들이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유닛(150)에는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154)에 대응되어 설정된 안내메시지 데이터(156)가 저장된다.
상기 차속 검출기(120), 마이크(130), 음성합성기(160), 및 스피커(170)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중앙처리유닛(140)은 맵 데이터(152)로부터 관심지역 데이터(154)를 추출한다(S210).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154)에는 관심지역의 위치 데이터 및 이에 더하여 관심지역의 차선방향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량위치 검출기(11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S215),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및 이동방향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검출한다(S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서,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및 이동방향 모두를 검출하게 된다. 즉, 차속검출기(12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차속을 검출하고(S225), 차량위치 검출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연속적인 차량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방향을 산출한다(S230).
이와 같이 필요한 데이터를 검출(S220)한 후에는, 검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그리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지 판단한다(S240).
이하 차량의 관심지역에의 접근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40)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가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의 차선방향 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S245),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가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의 차선방향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에는(S245),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차속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한 정도를 표시하는 접근지수(approach index)를 산출하고(S250),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인가 판단한다(S250).
상기 접근지수에 관한 판단과정(S250)에서,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접근지수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지역까지의 거리 및 현재 차속을 기초로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임의의 연산과정에 의해 산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관심지역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산출되고, 따라서 상기 접근지수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지역까지의 거리를 상기 현재 차속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상기 판단과정(S240)에서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구현한다(S260).
상기 안내메시지 구현(S260)은, 상기 설정된 안내메시지 데이터(156)를 추출하고(S265), 추출된 안내메시지 데이터(156)를 기초로 음성합성기(160)를 구동 (S270)함으로써 스피커(170)에서는 상기 설정된 안내메시지가 구현된다.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안내메시지 데이터의 작성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메시지 데이터는, 중앙처리유닛(140)이 마이크(130)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관심지역 데이터를 지정받고(S310), 상기 수신된 관심지역 데이터에 관한 육성 신호를 상기 마이크(130)를 통해 수신하며(S320), 수신된 육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저장(S330)함으로써 설정된다.
상기 지정받는 관심지역 데이터에는 관심지역의 위치 및 차선방향 데이터가 포함됨은 물론이다.
관심지역 데이터의 지정(S310)과정은, 현재 차량주행 위치 및 이동방향을 관심지역의 위치 및 차선방향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혹은 맵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여 추출된 맵 데이터 상에서 특정한 지역 및 차선방향을 지정받는 것으로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관심지역까지의 거리뿐만 아니라 차량의 이동방향 및/또는 차속까지 고려하여 관심지역에 접근한 정도를 판단하게 되므로, 보다 적확한 시기에 도로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이 관심지역에 접근할 때, 운전자/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안내메시지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그리고 운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안내메시지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2)

  1. 맵 데이터로부터 관심지역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및 이동방향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그리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지 판단하는 접근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구현하는 안내메시지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는 차선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가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의 차선방향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차속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한 정도를 표시하는 접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인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접근지수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지역까지의 거리를 상기 현재 차속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안내메시지 구현단계는,
    상기 설정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기초로 음성합성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안내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를 지정받는 단계;
    육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육성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데이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7.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 검출기;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기;
    관심지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 그리고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유닛;
    전기적 음성신호를 소리신호로 구현하는 스피커; 및
    중앙처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맵 데이터로부터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및 이동방향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그리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지 판단하는 접근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안내메시지를 구현하는 안내메시지 구현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는 차선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 데이터가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의 차선방향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차속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한 정도를 표시하는 접근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인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지수가 설정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접근지수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지역까지의 거리를 상기 현재 차속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7항에서,
    입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합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메시지 구현단계는,
    상기 설정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안내메시지 데이터를 기초로 음성합성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7항에서,
    소리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관심지역 데이터를 지정받는 단계;
    육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육성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데이터화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2-0050050A 2002-08-23 2002-08-23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4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050A KR100448387B1 (ko) 2002-08-23 2002-08-23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050A KR100448387B1 (ko) 2002-08-23 2002-08-23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634A KR20040017634A (ko) 2004-02-27
KR100448387B1 true KR100448387B1 (ko) 2004-09-10

Family

ID=3732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050A KR100448387B1 (ko) 2002-08-23 2002-08-23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05B1 (ko) * 2013-01-25 2013-11-20 팅크웨어(주) 관심지점 안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60B1 (ko) * 2004-09-01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그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검색방법
KR100696801B1 (ko) * 2005-03-04 2007-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관심위치 검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05B1 (ko) * 2013-01-25 2013-11-20 팅크웨어(주) 관심지점 안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634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9111B2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route guidance method
EP097301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in a vehicle navigation system
JP4375488B2 (ja) 運転支援装置
CN1322314C (zh) 道路引导信息学习装置
US7302338B2 (en) Navig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navigational system
US20110144901A1 (en) Method for Playing Voice Guidance and Navig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H10122893A (ja) 車両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音声案内タイミング
JP458191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1993007447A1 (fr) Instrument de navigation pour vehicules
JP3322140B2 (ja) 車両用音声案内装置
EP1273887B1 (en) Navigation system
JP2009151801A (ja) 運転支援装置
JP20002581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448387B1 (ko) 차량용 도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H1019594A (ja) 車両用音声案内装置
JP3627489B2 (ja) ナビゲーション用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機能付き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1271073A (ja) ナビゲーション出力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1126089A (ja) 音声対話装置
JP3154571B2 (ja) 音声案内装置を備えた走行位置表示装置
JP200008859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並びにナビゲーション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01055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関心地点情報提示方法
JP3251602B2 (ja) 車両用道路関連情報事前提示装置
JP200134324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用のカーブ警報装置及び方法、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媒体
JP3514282B2 (ja) 経路案内装置
JP2006119056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これの方面名称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